검해(혜공)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분황 원효 금강삼매경론의주요 내용과 특징― 반야 중관(空性)의 이제설과 유가 유식(假有)의 삼성설의 一味적 通攝:기신론소 ‘一心’과 삼매경론 ‘本覺’의 유기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고영섭(동경大) - 목 차 -Ⅰ. 서언Ⅱ. 일심과 본각의 상의성과 역동성 1. 금강삼매경의 편찬 주체와 금강삼매경론의 간행 2.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의 상관성Ⅲ. 정설분 6품 및 제7품 총지품의 유기성 1. 금강과 삼매의 정의와 상호 관계 2. 정설분 6품의 구조와 풀이 3. 총지품의 정설분 편제와 의미Ⅳ. 중관 이제설과 유식 삼성설의 일미적 통섭 1. 일미관행의 요체와 십중법문의 종지 2. 반야 공관과 유가 유관의 화회적 통섭 3. 진제 유식의 구식설과 아마라식 4. 일각, 본각과 시각의 관법Ⅴ. 일심지원과 일심본각의 상호의존성 1. 일심지원과 일심 2. 일심본각과 일각Ⅵ. 결어 Ⅰ. 서언 고타마 싯다르타(BCE. 624~544)는 ‘중도’(中..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