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원

(2)
에덴 동산 이미지와 회복으로서의 구원/김영선.프란치스코 수녀회 국문초록구약성경의 첫 권인 창세기 2-3장과 신약성경의 마지막 권인 요한 묵시록 21-22장에는 생명의 물과 생명 나무라는 공통된 요소가 등장한다. 이는 성경 전체가 인간의 죄로 인해 상실하였던 낙원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구원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구원의 지도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에 필자는 에덴 동산 이미지가 회복으로서의 구원의 전망을 드러내기 위해 성경 전체에 걸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에덴 동산이 직접적으로 언급되거나 에덴 동산의 이미지와 직접적 관련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성경 본문들을 선정하고, 이 본문들 안에서 에덴 동산 이미지가 구원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함의하고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먼저, 에덴 설화(창세 2,4ㄴ-3,15) 안에서 에덴 동산 ..
베드로전서의 권면적 동기에 관한 고찰: 베드로전서 1:3-25에 나타난 “이미와 아직” 개념을 중심으로/이기운.총신대 베드로전서는 다른 신약 성경의 형식과 비교할 때 권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신학적 진술과 권면 사이에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이 서신의 본론부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에 관하여 학자마다 다양하게 제시해왔기 때문에 이는 논의하기 쉽지 않은 사안이다. 아쉽게도 베드로전서의 구조적인 이해에 관하여 학자들 간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학자들의 베드로전서에 대한 서신학적 접근은 서신의 구성 요소에 할당된 고유 기능과 출처를 살피는 일에 국한되어 왔다. 안타깝게도, 이 서신의 통일성에 대한 인식 부족은 학자들로 하여금 베드로전서의 구조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베드로전서의 서론부와 본론부를 논의할 때, 학자들은 대체로 베드로전서 1:13 이후부터 발견되는 명령형들로 인하여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