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아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신은희.경희大 Ⅰ. 시작하며 이 글은 참회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종교 철학적 대화이다.기독교 전통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 of Hippo)의 『고백록』(Confessions)에 나타난 ‘메모리아’(memoria) 이론을 중심으로 참회의 기억을 살 펴본다.1) 1) 본 논의에서 ‘메모리아’의 라틴어 표현은 일반적 개념의 ‘기억’과 구별하고, ‘컨버시오’(conversio)의 통전적 참회의 기억을 내포하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불교의 전통에서는 붓다가 설법한 ‘포살’(uposatha)을 중심으로 초기 불교가 전한 참회의 진정한 의미와 수행 과정을 성찰해 본다.이 대 화를 통해 참회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유사점과 차 이점을 살펴보고, 미래 지향적인 한국적 참회 신학의 지향점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