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옥 (1) 썸네일형 리스트형 <꿈>의 각색과 그 의미- 이광수의 소설, 오영진의 시나리오, 신상옥의 영화를 중심으로 -/이상우.고려대 본고의 목적은 이광수의 소설 (1947)과 두 편의 신상옥 영화 (1955, 1967)에 나타난 각색의 양상과 그 의미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은 신상옥의 초기주요 작품이고, 그가 두 번이나 제작할 만큼 애착을 보인 작품이다. 그 원인은 무엇이었으며, 또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하는 점을 문화 연구적 맥락에서 고찰하고자하는 것이 이 논문의 의도이다.이를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하였다. 신상옥이 최초에 이광수의 소설 을 영화화 하고자 의도했던 이유는 원작이 가진 박진감 있는 희곡적 구성, 불교적 소재가 지닌 한국적(동양적) 정체성 때문이었다. 신상옥이 특히 한국적 정체성을내포한 서사에 관심을 가진 것은 1950년대 초반 일본 고유의 전통과 정체성을 담은일본 영화가 국제영화제를 석권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