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종교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치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응으로서의 “새로운 정치신학” 재고(再考)/김태연.숭실대 Ⅰ. 들어가는 말 근대 국가 체제에서 정교분리는 필수적인 원칙으로 여겨져 왔다. 그 러나 종교는 여전히 공적 영역에서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고 있 으며, 이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난다. 이러한 맥락에 서 ‘정치신학’은 서구 근대성 속에서 이성과 신념, 종교와 정치의 긴장 관 계를 분석하는 중요한 주제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칼 슈미트(Carl Schmitt, 1888-1985)의 ‘정치신학’은 근대적 국가 모델이 종교적 신념과 정치적 권력을 어떻게 결합했는지를 보여주며, 근대성에 내재된 모순을 드러낸다. 더 나아가, 정치신학적 관점은 서구 정치 구조의 기저에 여전 히 작동하는 종교적·신학적 관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1) 1) ‘탈세속화 사회(세속화 이후 사회..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