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자

(2)
한강 소설에 나타나는 타자와 윤리 연구/이근희.조선대 Ⅰ.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한강은 1970년 11월에 광주에서 태어나 10살이 되던 1980년 1월에 서울 수유리로 옮겨와 살아간다.대학 졸업 후 잡지사에 근무하던 1993년, 계간지 에 시 「서울의 겨울」 외 네 편이 당선되고, 이어 이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붉은 닻」을 발표하며 시인이자 소설가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다.현재까지 발표된 소설집으로는 『여수의 사랑』(1995), 『내 여자의 열매』(2000), 『노랑무늬영원』 (2012) 등 3권이, 장편소설로는 『검은 사슴』(1998), 『그대의 차가운 손』(2002), 『채식주의자』(2007), 『바람이 분다, 가라』(2010), 『희랍어 시간』(2011), 『소년 이 온다』(2014), 『흰』(2016) 등 7권이, 그리고..
고통과 문학, 고통의 문학-한강의 소년이 온다와 눈 한송이가 녹는 동안 을 중심으로-/김영찬.계명대 〈 차 례 〉1. 들어가며2. 고통을 쓴다는 것3. 고통의 목소리4. 그리고, 고통의 연대5. 고통의 안과 밖, 그리고 구원6. 나가며  1. 들어가며 한강의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는 광주민주항쟁에 대한 증언의 기록 이다. 이 소설에서 한강은 계엄군의 총에 죽은 소년 동호에 대한 기억과 애도를 그 중심에 놓고 1980년 5월 광주의 상처를 환기하고 증언한다. 특히 항쟁의 마지막 날인 5월 27일의 패배와 죽음, 그후로도 지속된 살 아남은 자들의 고통은 소설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모티프다.한강의 소 년이 온다는 그렇게 1980년 5월 광주를 통과해온 희생자들의 죽음과 고 통의 기록이자 그들에 대한 문학적 애도의 제의(祭儀)다. 그런데 왜 지금 광주인가?광주민주항쟁이 있은 지 30여 년이 흐른 지 금, 수많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