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本來成佛과證悟成佛 #無明과圓覺 #順逆과倒逆生成 #成佛과隨順淨覺 #동서철학연구제94호 (1) 썸네일형 리스트형 易學을 통해본 圓覺經의 成佛論 - 周易과 正易을 중심으로 - /이현중.충남대 한글 요약본고에서는 원각경의 成佛論을 中國易學의 전적인 周易의 順逆合一과 韓國易 學의 전적인 正易의 倒逆生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는 일상의 삶으로부터 遠離心을 發하여 수행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하여 實相의 세계를 물건적 관점에서 가치상의 우열을 가진 性과 相, 중생과 부처, 무명과 圓覺의 양자로 구분하여 중생, 무명을 벗어나서 원각, 부처에 이르는 수행과 成佛을 논한다. 그러나 相에서 性을 향하는 상구보리는 逆방향 중심의 證悟成佛論으로 順방향의 衆 生本來成佛論과 모순을 일으킨다. 중생이 본래성불이라면 무명이 없어서 수행을 할 필요가 없고, 무명이 있다면 부처라고 할 수 없음은 물론 수행을 통하여 성불할 수 없 다. 따라서 물건적 관점에서 제시된 실상의 두 측면인 본래성불과 증오성불이 하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