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프로메테우스 #리바어던 #토마스홉스 #상상 #자기보존 #영원성 #계몽 #믿음 #정치사상연구제29집1호2023봄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바이어던을 기다리는 프로메테우스 : ‘이성적 원칙’에 따라 설립되는 (정치적) 주권자의 가능성과 한계/김지훈. 부산대 국문초록본고는 잉글랜드의 정치철학자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가 자신의 주저인 『리바이어던』(Leviathan, 1651)에서 인간, 특히 ‘신중한 사람’을 가리키는 대상 으로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라는 신화적 인물 을 내세우며 전하고자 했던 내용이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리바이어던』 에서 비유되는 프로메테우스는 홉스 자신이었을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홉스는 ‘이성의 원칙’에 따라 세워질 수 있는 절대적 권력을 행사하는 주권자의 권 위를 세우고자 시도했으나, 그러한 시도가 불완전함 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홉스는 ‘상상’ 이 직접적 ‘감각’을 통해서만 나타날 수 있다고 정의하 며, 이성적 판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