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음주-도연명

飮酒

結廬在人境 (결려재인경)

 

而無車馬喧 (이무거마훤)

 

問君何能爾 (문군하능이)

 

心遠地自偏 (심원지자편)

 

採菊東籬下 (채국동리하)

 

悠然見南山 (유연견남산)

 

山氣日夕佳 (산기일석가)

 

飛鳥相與還 (비조상여환)

 

此中有眞意 (차중유진의)

 

欲辨已忘言 (욕변이망언)

 

 

 

 

 

 

 

 

 

 

 

 

 

짚 엮어 초가 세워 이 외진 곳에 사노라니,,

 

말 울음과 수레의 소란조차 들리지 않네,,

 

자네에게 묻노니 그대는 어찌 그럴 수 있는가,,

 

마음이 멀어지니 이곳조차 가물해지는가,,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따서,,

 

고요히 남산(南山)을 바라보자니,,
산중에 비추인 저녁노을이라 저리도 아름다운데,,

 

저 이름모를 새들도 서로 짝지어 돌아가네,,
이런 풍경에 세상이치 들어 있으니,,

 

말로 표현하고자 하나 이미 말조차 잊어버렸네,, (陶淵明)

 

 

 

 

 

 

 

 

 

 

 

앞서 누가 시제(詩題)가 음주(飮酒)인데 술 얘기가 아니더라고 했으나,,

 

어딜 봐도 술 얘기이다,,

 

술을 마시지 않고서야 어찌 저렇게 고독이 진할 것이며,,

 

그 외로움을 원망하는데 어찌 저리도 순수할까,,

 

그 취기(醉氣) 어린 두 눈으로 본 후에야 비로소 세상 이치가 저렇듯 자연에 순응하는 바인줄 아니,,

 

바로 저 절구(絶句)야말로 취한 후 읊조리는 주정이 아니겠는가,,

 

 

 

 

 

 

 

 

 

 

 

結廬在人境(결려재인경) 而無車馬喧(이무거마훤),,

 

초가를 지어 인가 몇편있는 자그마한 마을에 살다보니,,

 

한낮에 바삐 다니는 마차도 보이지않고 고요함이 오히려 귀청 아프게 할때도 빈번한 듯하다,,

 

사연이야 모르나 저 적막한 곳에 자리잡아 살다보면,,

 

대자연의 묵직한 숨소리가 태풍처럼 거세게 귀를 울릴때도 있으니,,

 

차라리 고요하다는 말이 소란스럽기조차 하다,,

 

 

 

 

 

이런 곳에서 누구에게 푸념을 할까,,
心遠地自偏(심원지자편)이니,,

 

바로 내 마음이 저 멀리 외져 있으니 내가 사는 이곳도 구석 한편에 감춰진 듯,,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따서,,
담담히 남산(南山)을 바라보니,,

 

그 향기 베옷에 스미어,,

 

붉은 노을에 물들여진 산을 바라봄이 어찌 산을 봄이겠는가,,

 

 

 


저 하늘에 새들도 서로가 짝을 지어 집으로 돌아가는데,,

 

내 품에 스민 국화향(菊花香)만을 품은채 홀로 돌아서는 내 모습이,,

 

애써 무릎을 치며 세상의 순리가 다름아닌가,,

 

하며 씁쓸히 미소지으며 돌아서는 저 이의 취기어린 눈에 맷힌 것이,,

 

어찌 눈물이라 아니할까,,

 

 

 

 

 

여지없이 흐르는 거대한 자연을 보고,,

 

다만 흐르는 피에 술을 섞어,,
목에까지 메이는 수없는 말들이,,

 

차마 말로 다하지 못하여 그저 애써 웃으며 돌아서는 저 노인이,,

 

 

 

 

 

바로 도연명(陶淵明)이로구나,,

 

 

 

 

 

 

 

 

 

비록,,

 

酒 字를 쓰지 않아도,,

 

저 오십 글자 하나하나에 술로 적시어 놓은 채,,

 

마치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노을에 눈을 비추인 저 신선이야말로,,

 

 

 

 

 

 

 

영락없는 도연명이로구나,,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기/이항복  (0) 2015.06.08
월계-남효온  (0) 2015.06.03
요주파양정-최치원  (0) 2015.05.26
야우기북-이상은  (0) 2015.05.20
보천탄즉사-김종직  (0) 201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