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이야기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이봉환.경남과학기술대



I. 들어가며
본 논문은 미국의 꿈과 오리엔탈리즘이 사회·문화의 심층구조에서 상호보
완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미국인에게 어떠한 정체성을 구축하게 하고, 개인의
삶과 현상학적 영역에서 어떤 메커니즘적 방식으로 표출되며, 아울러 미국사
회와 문화를 재생산하고 유지시키는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는 두 요소의 한
계와 연계적 허구성에 대해 접근하고자 한다.
미국인들의 내면세계에는 언제든지 성공할 수 있다는 경제적 기회의 평등
주의와 이를 바탕으로 조작된 문화정치학에는 진보와 저항의 상징인 소수그
룹마저 흡수·통합시키는 “하얀가면의 국가적 우월성”(박노자 24)이 예외 없이
자리 잡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기독교문화의 승리와 확대를 위하여 새롭
게 형성된 타 국가에 대한 보편적 지배이데올로기의 메커니즘은 국가와 공조
직의 정치와 경제의 위기 시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무비판적이고 무조건적 이
해와 참여의 환경은 개인을 희생시키고 국가의 이익을 우선순위에 두게 하는
효율적 통제수단이다. 자국 우월주의는 성공신화 모티브와의 긴밀한 유대관계
를 통해 지배계급의 국가경영에 차질이 발생하는 순간 오리엔탈리즘과 함께
항상 일반 구성원들의 정치·사회적 불안과 불평을 잠재우는 대외적 출구의
역할을 교묘히 수행한다. 미국은 20세기 중반까지 유럽백인들이 강하게 소유
했던 인종적·문화적·지리적 우월주의를 계승하여 경제적 패권주의와 기독교문
화의 공유라는 상치된 명분으로 베트남전과 중동전에 깊숙이 관여하게 된다.
1991년 1∼2월 2차 걸프전에서의 약 20만 명에 이르는 이라크인의 사망, 2006
년 11월 5일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의 사형과 2011년 10월
20일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Muammar Gaddafi)의 죽음에 이르기 까지


.
188 외국학연구 제18집


미국은 반기독교의 말살을 통한 자국민의 심리적 안정과 평화 보장을 명분으
로 내세우면서 실제로는 세계 경제의 독점권을 확보하기 위한 제국주의 전략
을 무모하게 반복한다. 사실 문화적 헤게모니에 오랫동안 물들어 있던 백인들
의 아시아에 대한 동양적 개념은 그 자체가 “부정적이며 비논리적이고 제국
주의적 음모이다”(사이드 47). 공존과 화해를 통한 다문화주의가 미국뿐만 아
니라 동서양 모두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
이다. 문화의 환유적 다의미성에 대해 미국과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지배계층
들은 겉으로는 불가피한 긍정의 미소를 짓지만 내부의 정치·사회적 갈등이
해결 국면에 접어들거나 협상테이블에서 벗어나는 순간 각각 자신들의 정치
적 혹은 민족적 이해관계로 거부한다. 미국 정부는 구성원들에게 누구나 성공
할 수 있다는 꿈의 비전과 타 문화보다 탁월하다는 문화적 우월주의를 교묘
하게 혼합하여 교화시키고 있다. 문화 차별전략은 개인으로 하여금 크게는 국
가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력을 약화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스로의 심리
적 갈등과 내적 문제에 대한 해결력을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초래한다. 국가와
지배계급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오래 동안 조작한 백인과 기독교중심 문
화차별화는 개인의 인식능력의 폐쇄성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미국인의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은 평형관계를 유지하는 듯한 외형적
표층구조와는 다르게 있는 자와 없는 자 모두의 무의식에 이미 공존함으로써
분리될 수 없는 강력한 연결고리로 이어져 있다. 성공의 보편성과 평등성 그
리고 보장성이라는 마약은 미국사회 내부의 인종적 다양성에서 파생되는 내
적 갈등구조를 망각하게 하고 동시에 타 문화와 국가에 대한 국가적 우월주
의로 교묘하게 연결되어 있다. 미국인이 국가와 사회, 그리고 미국중심주의와
미국우월주의 틀에 갇혀있는 여러 종류의 조직들이 조작한 성공신화와 오리
엔탈리즘의 연계적 허구성을 무비판적으로 공유하고 즐긴다면 결국 개개인의
삶에서 불가피한 갈등영역을 생산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하게 된
다. 따라서 국가와 조직 중심의 우선 논리를 추종하는 개인은 스스로의 고민
에 지혜롭게 대응하지 못하는 사회성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누구나 성공 가
능한 경제논리는 허구적 기호와 꿈에 지나지 않고, 문화의 우월성을 내세우면
서 다양성과 다원성을 부정한 오리엔탈리즘 역시 탄생부터 허상이다.
스콧 피츠제럴드(Scott Fitzgerald), 아더 밀러(Arthur Miller), 클리포드 오
데츠(Clifford Odets), 유진 오닐(Eugene O'Neill), 샘 셰퍼드(Sam Shepard), 데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189


이비드 마멧(David Mamet), 어거스트 윌슨(August Wilson), 웬디 와서스틴
(Wendy Wasserstein), 토니 쿠시니(Tony Kushner), 데이비드 황(David Henry
Hwang)은 사실주의와 표현주의 및 포스트모던적인 하이퍼 리얼리즘 등의 기
법을 혼용하면서 미국인의 꿈의 상실을 공통적으로 무대화시키고 있으며, 아
울러 황은 더 나아가 오리엔탈리즘의 허구성을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
들은 비언어적 수사학을 사용하여 성공을 위한 폭력과 규범의 이탈을 정당화
시키고 또한 묵인과 관용의 태도를 고집하는 사회문화적 병리현상을 드러내
고, 성공도구의 비합법화란 사회위기에 관한 저항적 문화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아울러 지배계급중심의 사회에서 피지배층이 일상적 노력행위를 통해
성공의 평등주의를 실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날카롭게 경고한다.
이들 중 피츠제럴드와 밀러는 자본흐름의 모순적 구조사회에서 노력과 평등
그리고 성공의 허구적 가치코드가 상관없는 별개의 개체임을 반복해서 지적
하고 있다. 그리고 황은 이러한 성공신화에서 파생되는 개인의 갈등구조를 오
리엔탈리즘이란 그럴듯한 미명으로 망각시키려는 지배계급의 전략을 경고한
다. 황의 ꡔM.나비ꡕ는 복장전환과 역할전이라는 극적 기법으로 오리엔탈리즘
의 허구성을 패러디하여 아시아인과 미국인 모두에게 상생과 공존을 위한 무
대공간 밖에서의 긍정적인 사회문화학적 역할전이와 복장전환을 요구한다.


Ⅱ. 본 론
Ⅱ-1. 개츠비 중심의 성공신화의 허구적 코드
ꡔ위대한 개츠비ꡕ(The Great Gatsby)와 ꡔ세일즈맨의 죽음ꡕ(Death of a
Salesman)은 질서와 성공의 꿈으로 가능했던 가족전통의 붕괴를 그리고 있는
데, 꿈의 상실과 문화충돌에서 비롯된 계층 간의 갈등은 오닐, 오데츠, 윌리엄
스(T. Williams), 셰퍼드, 윌슨, 와서스틴, 쿠시니, 마멧으로 진행되고 있다. 무
대와 텍스트의 인물들은 사회적 부적응 자와 실패자의 이미지를 피하기 위하
여 국가가 유도하는 조직의 순응체계를 수용하지만, 결국 그들은 욕망과 역사
에 대한 인식능력과 저항력의 결여로 "현대인 모두가 겪고 있는 다중인격체


190 외국학연구 제18집


라는 정체성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Schechner 13) 개츠비와 윌리(Willy
Loman)의 타살과 자살은 언제든지 노력하면 성공한다는 조작된 신화의 마취
제에 의해 사회문화적 비판력이 소멸된 소시민의 비극적 허상들이다. 20세기
중반이후 개인의 사회적·문학적 이미지는 더 이상 존재론적 가치 소유자가
아닌 가상세계의 단편적 기호이며 지식과 권력의 지배구조 하에 놓인 일회용
적 소모품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미국정부와 사회는 소시민으로 하여금 최
후까지 질서에 순응하다가 순직하는 도덕주의자로 잔존하기를 늘 강요한다.
개인의 값진 노동으로 생산된 결과물이 그 고유한 가치를 외면당하고 교환가
치만으로 평가받고, 개인의 사회적 관계 역시 상품상호간의 일회용적 소비관
계인 것으로 여겨지는 미국사회는 구성원을 과학과 이성의 합리화를 통해 소
수 지배층 중심의 관료주의의 노예로 속박시켜 버린다. 외형상 이성적 이상주
의를 표방하는 현대의 대량 상품생산사회에서 개인이 생존하기 위하여 노력
행위란 도구로서의 도덕과 목적성의 회복보다, 성공에 대한 욕망의 주체가 무
엇이며 성공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창조활동이 자본의 이동에 의하여 획일화되고 통제되어 화석화되는
것처럼(Lukacs 233), 성공신화에 물화된 개인이 욕망주체와 욕망대상을 파악
하지 못함으로써 감당해야 할 대가의 중압감은 과중된다. 개인은 성공의 평등
주의와 이성의 이상주의를 강조한 국가와 지배계급의 전략에 늘 희생되는 절
차를 반복하는 허구적 기호와 허상에 불과하며, 대체로 우울증과 조울증이란
질병으로 치료가 힘들 경우 자살이라는 최종적 선택을 한다. 이들의 비극적
선택은 욕망대상인 꿈의 실체를 바로 볼 수 있는 스스로의 정견능력부재와
동시에 가족과 사회의 보완적 협력관계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실패한 성공신화, 즉 미국 꿈의 허구성을 노래하는 연속물은 냉소와 조롱
에도 불구하고 가난한 사람이 열심히 노력하면 종국에는 잘 살 수 있다는 희
망의 메시지를 놓치지 않고 있다. 실제 미국사회에는 2011년 10월에도 뉴욕
거리를 중심으로 이러한 희망과 허구가 혼재한 성공신화의 이야기와 비유들
로 넘쳐나고 있다. 조작된 성공신화극이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에게 항상 상
충되는 메시지를 비춰 주지만, 국가와 지배그룹은 꿈의 노래를 끊임없이 재생
산하고 있다.
자본의 편향적 이동을 인지하고 개인의 노동 한계에 대해 고민하던 19세
기 중반 독일의 게오르크 뷔히니(Georg Buchner)는 ꡔ보이체크ꡕ(Woyzeck)에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191
서 개인과 사회의 갈등구조를 통해 매듭처럼 얽혀 있는 피지배계급의 경제적
고통의 반복과 지속성을 충격적 무대를 통해 파헤치고 있다. 뷔히너는 개인의
이성과 자유의지를 신뢰하는 근대적 이상주의가 피지배계급의 착취를 바탕으
로 하는 한 허구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19세기 중반 인식하였다. 근·현대사회
에서 성공을 꿈꾸는 자유의지에서 발생한 이성과 도덕 그리고 성실 및 노력
등의 기호들은 신뢰할만한 경제적 가치코드가 아니라 그러한 함정 하에서 피
지배계층을 억압하고 현실사회의 구조적 부조리를 은폐하려는 지배 이데올로
기의 통제수단 메커니즘에 불과했다. 이처럼 실체 없는 성공신화는 개인에게
노동의 동기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국가와 상위층의 구조적 개혁과 반성이
없는 한 허구적 코드에 지나지 않으며, 사회문화적 갈등과 정체성위기라는 공
동의 위기를 피할 수 없다.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도 이상주의와 물질주의가 부에 대한 새로운 도전미
학이자, 외형상 사회문화적 미덕의 중요한 코드라고 할 수 있는 도전의식인
개척정신과 결합하게 된다. 프론티어는 개척지와 미개척지 사이의 경계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뉴잉글랜드를 중심으로 한 동부지방에서부터 점차
서쪽으로의 이동이었다. 이러한 있는 자의 기만에 의한 없는 자의 노동력 움
직임인 프론티어가 “미국인의 생활과 의식에 미친 영향은 상당했다”(Horton
4). 소수의 지배계급이 조장한 긍정적 노동가치인 노력행위 외에도, 피지배계
급으로 하여금 포기를 죄악시 하고 노동의 지속을 강조하는 새로운 전략 코
드인 프론티어 기호는 노동자의 저항 없이 미국인들에게 부와 꿈의 성취를
위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했다. 소수의 지배계급을 위해 값싼
노동력을 확보하는데 공헌한 프론티어 가치코드는 소시민들을 서부라는 죽음
의 공간으로 끌어들이면서 도시로의 편향적 집단이동을 야기했다. 성공에 대
한 집착은 노동자들 사이에 노동력의 과도한 집중과 한계를 초월한 인내력과
경쟁심을 미덕으로 여기게 하였다. 그러나 조작물인 프론티어 코드의 환영적
위상이 점차 약해지면서, 개인들은 노동과 인내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 근대의 이성적 이상주의와 합리주의적 근대성으로는 성공신화의
허구적 퍼즐을 완성할 수 없다는 현실을 자각하게 된다.
오데츠는 1930년 대공황을 중심으로 ꡔ레프티를 기다리며ꡕ(Waiting for
Lefty)에서 개인의 정상적 노동으로 주류사회로의 진입이 불가능함을 보여주
고 있다. 그리고 반세기 이후 마멧은 ꡔ미국의 들소ꡕ(American Buffalo)를 통
192 외국학연구 제18집
해 성공신화에 대한 배신감과 허구적으로 조작된 꿈의 틀에서 벗어나려고 몸
부림치지만 결국 벗어날 수 없는 문화중독증, 그리고 변질된 꿈의 반복적인
재생산과정 등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그는 ꡔ글렌게리 글렌 로스ꡕ(Glengarry
Glen Ross)에서 부동산중개업의 부정과 비리를 통해 노력이란 미명하에 규범
과 규율이 무시되고 탐욕과 욕망행위가 정당화되는 모순을 부각시키고 있다.
실제로 1930년 대공황은 미국 자본주의의 효용성과 정당성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 일으켰고, 미국인 자신을 위협하는 힘이 그들이 갈망하는 자본과 그것을
통제하는 정부권력에 있음을 실감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본주의에서 생산의
무정부성은 말 그대로 생산과 소비의 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단계로서, 오로
지 극소수의 지배계급만이 자본을 통해 돈의 방향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성공신화의 그럴 듯한 이야기구조의 허구성은 곧
개인의 실패와 고통으로 직결된다.
성공신화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은 성공의 욕망을 주제로 다루는 작가들뿐
만 아니라 역사가와 개인 모두가 기억해야하는 역사적 사실들-고통과 착취-
등을 망각하고, 잊어버려도 좋은 내용들-전통과 문화의 표층적 이미지-등을
열심히 기억하려는 편의주의적 심리현상이다. 국가와 지배계급은 “객관적 사
실들을 시간이 흐르면서 교묘하게 퇴색시켜버리고, 과거의 아픈 경험들을 근
거 없는 아름다운 신화의 틀로 재생산하여 조작한 이미지들을 개인의 무의식
에 투영시킨다.”(솅크먼 79) 결국 성공신화는 항상 미국인의 내면세계에 긍정
의 코드로 작용하며 개인의 고통의 흔적을 지우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의
침략과 정복의 역사적 사실조차 정당화시키는 효율적 통제수단임을 인식해야
한다. 오테츠의 ꡔ낙원의 상실ꡕ(Paradise Lost)에서 폴리(Foley)와 파이크
(Pike)가 노동자의 파업에 대한 적법성을 논쟁하는 대사에서, 파이크는 “늪지
가 있으면 모기가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부유한 정부가 있는 곳에는 사기꾼
들이 있다”(ꡔ낙원의 상실ꡕ168)라고 하면서 루즈벨트(T. Roosevelt)를 비롯한
자유주의자들을 비난한다. 파이크는 국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진보적
자유주의계급이 개방적 아이디어를 창조하면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보수주
의자들이 소수의 이익을 위한 방향으로 교묘하게 악용하기 때문이다. 사회성
회복을 위한 실천을 강조한 오데츠는 정치적 이상주의와 합리적 자유주의의
한계를 인지하고, 실업과 공황의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파업
의 정당성을 내세우지만, 타 명분보다 부를 위하여 성공신화의 허상을 추종하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193
거나 그것에 대해 대항한 인물이 얻는 대가는 분노와 좌절이다.
한국에서도 1960년대 말 패티킴의 히트곡인 “하와이 순정”이 국내에서 미
국의 이미지를 아름답게 도색한 이래 한국의 소수 학자들은 성공신화를 긍정
적으로 해석하고, 2011년 말까지 미래의 성공을 위하여 미국으로의 이민과 유
학을 권장하는 미국 우호적 분위기를 조장하고 있다. 미국에서의 성공신화의
실패과정을 수료하고 귀국한 미국학습자들은 자신들의 미국 투자에 대한 보
상대안으로 국내의 정치·경제·사회분야에서의 지적 우월성이란 통제권을 갖고
서 실패한 성공신화 메커니즘을 무리하게 확대·재현하고 있다. 실제로 천승걸
교수는 아메리칸 드림을 긍정적 측면에서의 미국 문화의 모든 속성을 포괄하
는 이상의 총화로 정의한다. “이 꿈은 넓게는 미국적 평등, 미국적 민주주의
의 실현에 대한 꿈, 즉 새로운 약속 받은 땅에 대한 꿈을 뜻하며, 좁게는 근
면, 노력, 성실, 정직, 검소, 돈독한 신앙 등에 의하여 신분의 귀천이나 빈부에
관계없이 미국 사회에서 누구나 이룰 수 있는 사회적 성공에 대한 꿈을 의미
한다”(천승걸 3)라는 위험한 미화작업을 마무리한다.
양귀비처럼 긍정과 부정의 사회·문화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꿈의 신드롬은
모든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부와 신분상승에 대한 추구욕망이다.
자본주의사회에서 돈은 절대적 평가가치이자 권력을 상징함으로써, 상류사회
로의 편집증적인 상승욕망은 소시민으로 하여금 합리적 노동행위를 대신하여
기만과 술책의 부정적 수단을 수월하게 선택케 한다. 결국 비합법적 방법의
대가는 비극적 행위의 결말로 연계되고, 생존하더라도 돈과 상품을 독점하고
있는 지배계급이 강요하는 불평등과 가난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다
른 한편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성공신화의 추구에 관한 실례는 미국과는 차원
이 다를 정도로 심각한 인권유린과 성폭력 및 빈부의 간극을 피할 수 없다.
실제로 리비아의 카다피는 사망하는 순간까지 성공의 꿈을 위하여 유럽으로
이동하려는 아프리카인들에게 통행세를 거둬들이고 동시에 이들의 유입을 반
대하는 유럽국가연합으로부터 해마다 통제권행사를 위하여 수억 달러의 지원
금을 받았다. 수백 년 동안 아프리카인들은 가난과 불평등을 탈피하여 유럽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 모로코의 탕헤르에서 스페인의 최남단도시 타리파에
도달하기까지 고통과 죽음이 동반된 긴 여정을 반복한 것이 사실이다. 2011년
10월 한국에서도 중국교포를 비롯한 아시아인들의 성공신화를 위한 고통이
진행되고 있고, 일본에서는 일본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한국인들이 일
194 외국학연구 제18집
본 내의 불평등과 노동착취를 감내하고 있다. 세계 도처에서 자본축적이란 미
국의 꿈을 성취하기 위한 돈 전쟁이 개인·계층·국가·종교·인종 간의 대립구조
에서 끊임없이 진행되고, 특히 지배층과 피지배층 모두는 자신들의 이익쟁취
를 위하여 이성적 경제이상주의를 벗어나 추잡하고 암울한 경제 전략을 반복
할 뿐이다.
20세기 초반 개츠비를 중심으로 절망의 황무지에서 희망의 계단으로 오르
는 서사적 이야기구조가 일반적 성공신화의 글쓰기인 반면에, 20세기 후반에
나타나는 성공신화의 실패양상은 주로 다양성을 인정하는 풍토에서 출발한
미국사회가 그 포용력을 상실하면서 여러 소수인종과 소수문화가 경험하는
정체성 위기감과 사회문화적 소외이다. 이들은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면서 타
인종들과의 적극적 교감을 통해 고유한 문화적 목소리를 생산한다. 셰퍼드와
윌슨 그리고 쿠시니와 마멧은 특정 소수그룹의 정체성위기, 즉 다중인격체인
백인남성, 흑인가정, 유태인가정, 아시아여성, 에이즈와 동성연애자들의 어두
운 개인사를 무대화시키고 있다.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던 작가들은 무기력한
기호적 인물들의 과거사와 현재의 갈등을 예리하게 드러내지만, 초반 작가들
과 마찬가지로 문제해결을 위한 생산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정체성위기
란 절박한 외침만 재생산한다.
소그룹단위가 공유한 반사회적 약점을 통한 사회적 희생양을 구원하고자
노력한 20세기 후반 작가들과는 달리, 피츠제럴드는 비교적 단순한 이야기구
조를 통해 성공신화의 허구성을 오데츠와 유사한 시기에 서사화 시키고 있다.
오데츠가 노동자의 고통을 직접화법으로 대변하고자 한 반면에, 피츠제럴드는
약자의 아픔을 가식과 기만으로 보복하려는 성공 편집증적인 인물을 그리고
있다. 그의 주인공 역시 사람과 사람, 집단과 집단 사이를 가르는 벽의 경계
를 뛰어 넘으려는 열망을 포기하지 않았지만, 그가 강 건너 도달한 곳, 힘들
어 오른 산의 정상, 힘껏 당겨서 놓아버린 화살이 명중한 자리는 실제 어떤
아름다운 니르바나(Nirvana)도 아니며, 사람이 살 수 있는 공간도 아닌 자존
심을 짓밟는 파국의 도살장이다.
개츠비의 이야기는 인간생존 조건의 일회적이고 유전적인 절망의 황무지
에서 무모하게도 희망을 가지고 신분상승의 변화 가능성을 꿈꾸는 낭만적 플
롯이다. 하지만 일시적으로 조작하여 전개된 사랑과 욕망추구의 아름다운 서
사극은 부를 장악하고 있는 동부금융업계를 대변하는 지배계급의 전략적 부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195
산물임을 부인할 수 없다. 닉과 함께 독자들은 부의 상승을 병적일 만큼 집착
했던 개츠비의 개인적 고뇌를 회상하기에 앞서 그의 빈자리에 떠도는 더러운
먼지를 목격한다. 이 먼지는 동부의 뉴욕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본의 흐
름이 통제되는 지배계급만의 놀이공간으로 일회용품인 졸부 개츠비의 몰락에
전혀 관심이 없음을 의미한다. 자본의 통제자는 위험한 역할을 대신할 희생양
들이 자원하여 대기하고 있음을 알기 때문에, 욕망추종자들에게 부와 지위상
승에 대한 욕구를 순간 만족시켜 주면 어떠한 희생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사
실을 매번 이용할 뿐이다. 한여름 내내 개츠비의 집에서 열리는 호화스럽고
방탕한 파티에 참석했던 많은 인물들은 역시 마치 실체가 없는 나방과도 같
다(45). 그 시기는 청교도적 경건함이 무너지고 월스트리트에는 주식부자들이
넘쳐나고, 할리우드 유명연예인과 스포츠 스타들이 매일 미디어를 장식하고
집집마다 자동차가 보급되기 시작하고 젊은이들은 도시로 모여 들고, 부를 통
해 원하는 미인을 차지하고 밤마다 파티를 열고 즐기는 사회의식이 결여된
비판의 멈춤 단계였다. 주변 인물들은 개츠비에게서 초대를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제공하는 향락의 공간을 찾아 몰려다니는 나비 같은 허상들
이다. 이들은 동부의 지리적 공간이 기회의 불평등과 자본의 승자 독식화 및
정치의 소수엘리트화란 3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
나 동부가 항상 향락과 여자와 기회가 혼재되어 있는 마지막 천국의 이미지
로 남아 있기를 바라지만 지적 능력과 순응의 도리를 지키는 소수만이 자본
의 충견으로 선택되고 나머지 탈락자들은 그 중심무대공간을 다음 희생을 자
원한 대기자들에게 양보해야 한다. 결국 미국사회는 정치·경제·지식의 긴밀한
협력관계로 작동되며, 외형상 급진적 자유진보주의를 표방하면서도 근원적으
로는 백인보수우월주의자들의 전략에 의해 철저히 통제될 뿐이다. 2011년 말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및 삼성의 스마트폰이 구글과 함께 글로벌
정보화시대를 통제하고 있듯이 세계의 자본을 통제하는 지배계급 역시 극소
수의 IT산업과 우주산업 및 식량산업을 장악하고 있는 그룹들이다. 개인이
정보와 자본을 독점하고 있는 다국적기업에 순응의 미덕을 버리고 대항해서
생존할 수 없다.
피츠제럴드는 개츠비의 비극적이면서도 영웅적인 면모를 부각시켜 나가면
서 돈키호테적 주인공이 패배하는 과정을 사랑과 연민의 낭만적 프레임에서
계급간의 갈등이라는 사회구조적 문제제기를 놓치지 않고 있다. 사실 개츠비
196 외국학연구 제18집
와 주변 인물들이 갈망하는 미인과 부에 대한 욕망은 자본주의사회에 오래
전부터 뿌리내려져 있는 낭만적 환상으로서, 성공신화의 실패를 위장하는 전
형적인 수사학적 메커니즘이다. 작가는 미국 꿈의 황량한 서술을 통해 순수한
사랑놀이보다 자본과 권력에 희롱당하고 패배당하는 개인의 아픔을 분명히
경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인의 희생을 바탕으로 세워진 성공신화의 허구성
과 무의미성에 대한 원인과 책임을 사회와 권력에 있음을 지적한 사회·문화
적 텍스트의 서사구조는 ꡔ세일즈맨의 죽음ꡕ의 윌리에게도 이어지고 있다.
Ⅱ-2. 문화충돌코드로서의 성공신화의 해체
오닐과 셰퍼드가 애정·폭력·근친상간의 원시적이고 심리적인 어둠의 가족
극을 그리는 동안 엘머 라이스(Elmer Rice)와 밀러 그리고 마멧은 거짓·자살·
자본·계급갈등을 바탕으로 일그러지고 황폐화된 인간 군상을 다룬 사회극을
생산하고 있다. 2011년 12월 뉴욕에서 미국인의 99%를 대표하는 노동자와 학
생 및 소수그룹이 집회하고 있는, 즉 “월스트리트 점령 운동”은 1%의 미국지
배계급과 연방정부에 대하여 부의 불균형과 세금정책의 비효율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세계 80여개 국가 700여 도시에서도 중산층과 노동자들이
19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철학의 핵심인 경쟁논리에 의해 주도적으로 성장
한 금융자본주의의 타락성과 사회복지정책의 문제를 들고 거리로 나오고 있
다. 이들은 하나같이 자신들이 1%의 지배계급을 위하여 매일 희생당하고 있
다고 외치면서 잘못된 사회경제시스템의 정상화를 위한 사회개혁을 요구한다.
결국 그들은 성공의 꿈을 각각 자신들의 공간에서 실현시키고자 하지만 경제
순환구조의 모순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공감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점령 운
동에 대한 뉴욕타임지가 2011년 10월 실시한 여론조사는 43%의 찬성과 37%
의 반대 그리고 20%의 무응답의 결과를 보여주지만, 대규모 사회적 저항집회
를 체질상 기피하는 백인의 정치사회학적 성향으로 볼 때 그 수치는 충격적
이다. 대부분의 중산층은 추운 날씨에도 거리에 나와 미국사회에서 미국의 꿈
에 대한 도전을 포기하고, 정치와 경제기반과 구조의 변혁을 한 달 넘게 요구
하고 있다. 그들은 20세기 초반이후 거의 100년간 지배계급과 소수엘리트들이
조작한 성공신화의 노리개로 전락했지만, 더 이상의 개인희생을 막기 위하여
집단적 저항운동을 선택한 것이다. 이러한 부의 균형회귀를 위한 시민운동은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197
세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국가권력과 소수의 지배층의 대응전략은 결
코 가볍지 않을 것이다. 성공신화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되는 사회저항에 대비
한 권력과 지배계급의 일반적 대응전략은 신제국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의 활용
메커니즘을 통해 자국민의 관심을 아프리카와 중동의 내전이나 민주화폭동으
로 이동시켜, 눈물겨운 애국심에 호소하면서 미국주의라는 신파극을 제작할
것이다. 1단계는 국내에서 경계 너머로의 관심 전이이며, 2단계는 정치와 경
제와의 그리고 미국주의와 오리엔탈리즘과의 긴밀한 연계를 기반으로 99%의
다수를 배제시키고 1%의 소수권력층을 위한 자본 보호이다.
금융자본주의 시스템의 비효율성과 실업문제가 장기화되면서 2007년 의학
관련 통계자료에 의하면, 미국인의 12.5%가 직업의 중압감으로 인한 우울증
을 앓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노동자를 위시한 중산층으로, 조직과 사회에서
의 단절과 부적응으로 심리적 위기를 겪는다. 이들의 신경학적 질병은 삶의
동기와 의지부족, 소외와 고립, 경제능력의 부재, 언어능력과 소통기교의 부
족, 욕구와 욕망의 관리능력 미흡함, 정부의 의학적 지원방안의 미결정, 금융
시스템의 비효율화 등으로 확대되면서 심각한 사회병리학적 관심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밀러는 2011년 보다 60여년 앞서 지금처럼 부의 가치가 절
대적으로 인정받는, 즉 “인간을 포함하여 모든 대상의 가치를 질이 아닌 양과
상품의 가치로 평가하는”(Kintz, 104) 자본주의사회에서 신분상승의 욕구와
경쟁심으로 인지능력이 떨어진 주인공의 욕망구조의 허구성을 사회문화적 시
각에서 조명하고 있다. 밀러는 개인의 우울증과 자살의 사회책임론을 부각시
키기 위해 아버지와 아들, 두 아들, 찰리(Charley)와 윌리, 윌리와 벤(Ben), 하
워드(Howard)와 윌리, 아내와 윌리, 윌리의 집과 아파트 등 모든 대치적 갈
등관계의 중심에 윌리를 설정해두고 있다. 무대구성요소들과의 문화적 대립을
무대의 기본 축으로 하는 ꡔ세일즈맨의 죽음ꡕ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최고 가치
인 부를 위한 돈 전쟁을 재연하는 인물 군상을 묘사하고 있다. 극의 시작부와
함께 윌리의 작고 무너질 것 같은 낡은 집이 높이 솟아 있는 건물들로 사방
이 둘러 쌓여있는 계층과의 갈등을 드러내는 문화 충돌의 장면이 관객에게
직접 제시된다. 아파트는 물질문명과 산업사회의 가치관을 상징하고 윌리의
낡은 집은 그가 동경하는 전원적이고 단순한 생활 방식으로 살아가는 개척시
대의 가치관을 각각 대변한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구시대적인 인물인 윌
리의 직업이 아이러니컬하게도 현대자본주의사회의 대표적 직업이라 할 수
198 외국학연구 제18집
있는 세일즈맨이다. 이처럼 구시대적 가치관과 현시대의 직업이라는 모순된
상황은 극의 시작부에서 윌리의 자살을 음향효과로 처리하고 있듯이 관객에
게 앞으로의 전개과정을 예측 가능케 한다.
포기를 거부하는 돈키호테 같은 윌리는 영업하는 도시의 시장과 만나서
차를 마시고 불법 주차한 자신의 자동차를 경찰관들이 지켜준다고 거리낌 없
이 늘 습관처럼 아들에게 거짓말을 반복한다(30-31). 하지만 언어의 중지와
입의 닫힘이 곧 죽음을 의미하는 윌리는 오직 살아남기 위해 자신을 회피하
는 타자들과의 비언어적 소통을 끊임없이 시도한다. 실제로 그는 정상적 언어
로의 접촉이 불가능함으로써 주변의 관심을 끌기위한 마지막 도구로서 일회
적이고 충격적인 기호에 불과한 거짓말을 선택한다. 아이포 브라운(Ivor
Brown)은 이 텍스트가 오프브로드웨이까지 충격을 줄 수 있었던 것은 미국
인들이 자신들을 윌리와 동일시했다(245)라는 사실에 있다고 지적한다. 노인
윌리는 비록 젊은 개츠비와 마찬가지로 죽음 직전까지 모든 미국인들이 품고
있었던 환상, 즉 성공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 인물이기에 미국인들이 자신들과
동일시하고 싶었다.
... 윌리 로만은 미국의 보통사람과도 같다고 여겨졌다. 대화, 태도 그리고 심
리학적 상세함들을 수 백 번 정밀하게 관찰한 후에 만들어진 일종의 보편적인
상징물로 만들어졌다. (Carson 44-5)
밀러는 윌리를 “도시적-사업적 성공에의 꿈이 부패한 유형”(Carson 68)의
한 희생자로만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이 무대는 부의 소유로써 삶의 질
을 평가하는 흐름이 만연된 사회에서 퇴색해버린 공동체적 유대감이나 사람
들 간의 관심의 결여, 본연의 인간성 상실 등의 사회문화적 갈등과 충돌에 작
가가 궁극적 관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 준다. 밀러가 이 무대공간을 통하여 나
타내고자 했던 것은 윌리가 미국의 꿈이라는 환상에 대해 맹목적으로 추종하
는 과정에서 주변 인물들로부터 소외되면서 삶을 부정하지만 체념하지는 않
는 모습이다(조은영 435-6). 천승걸 교수도 윌리의 실패 원인 중 하나는 비프
에 대한 집착과 사랑이 왜곡된 성공 꿈의 환상 위에서만 가능했다는 점에 있
다고 말한다.1) 이처럼 밀러는 힘없는 “작은 사람”인 소시민을 가장 힘없는
1) 윌리 로만이 왜 비극적 주인공인가에 관해서는 천승걸. ꡔ미국문학과 그 전통ꡕ(서울: 서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199
자리로 몰고 가는 사회가 개인으로 하여금 우울증에 걸리게 하고 자기도취증
에 빠져들게 하여 현실과 환상을 혼동하도록 만든다(Domhoff 17). 60세가 넘
은 윌리는 부와 조직보다 오직 살아남기 위해서 노력했지만, 무력한 가족과
자신에게 관심조차 없는 조직과 사회 권력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로서 자살을
선택한다. 월급쟁이는 늘 조용하고 낮은 자세로 살아야 한다는 권력을 가진
“큰 사람”의 지배논리에 순응해야 한다는 사실을 수용했던 주인공에게 남은
것은 부채와 능력 없는 아들 및 우울증뿐이다. 그가 신봉했던 성공신화는 사
라지고 사회에서의 추방 경고와 우울증 치료약만이 그를 기다리고 있다. 윌리
는 어디에도 소속될 수 없고, 회사에서도 지시를 원만하게 처리하지 못할 만
큼 이미 사회의 부적응아가 되어버렸다고 고백한다.(131) 그러나 윌리는 포기
의 순간마다 “노령의 나이에도 20개 이상의 도시를 돌아다니며 많은 사람들
에 의해 기억되고 사랑받고 도움을 받았던 싱글먼(Singleman)“(81)이라는 전
설적 세일즈맨을 기억한다. 그의 장례식에 수백 명의 세일즈맨들과 구매자들
이 몰려들었다는 사실이 윌리로 하여금 최후까지 꿈을 놓치지 않고 세일즈맨
으로서의 자존심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윌리의 미국 꿈은 자기
를 겨냥한 비프의 통렬한 자기인식을 통한 언어적 공격에 의해 철저히 무너
진다.
비프: 아버지나 저나 둘 다 남을 지도하는 사람도 아녜요. 아버진,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열심히 일했어요. 결국 쓰레기통 속에 쳐 박히는 지
경에 이른 외판원에 불과할 뿐이라고요! 전 시간당 1달러짜리 인간이에요. 7개주
를 돌아다녔어요. 그 값 이상으로 받을 수 없는 인간 이였다고요! 시간당 1달러
짜리이라고요! 이시겠어요? 더 이상 집에 선물 사가지고 올 수 없으니까, 그러리
라고 기대하지도 마시라고요! (132)
윌리는 미국 꿈이 현대자본주의사회에 이르러서 노동자와 중산층 개인을
위하여 더 이상 통용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늦게 인지했다(81). 그는 시간의
변화와 함께 스스로의 변화 필요성을 수용하지 않음으로써 가족의 해체를 목
격해야했고 마지막 장면에는 자살을 선택하게 된다. 아울러 경제와 사회구조
를 형성하는 중요한 평가가치코드의 변화 속에서도 나만은 괜찮을 것이라는
울대학교 출판부, 1985) 124-33을 참조 바람.
200 외국학연구 제18집
허황된 착각이 존재론적 위기로 연결된 것이다. 그러나 윌리스(Gerald
Weales)는 “윌리가 자아인식능력을 충분히 소유하고 있지만, 현실과의 잦은
문화적 충돌로 극단적인 선택을 유발시키는 자기기만과 이중성을 드러낸
다”(142)라는 흥미 있는 사실을 지적한다. 2011년 12월 현재에도 뉴욕의 타임
스퀘어와 월스트리트에는 개츠비와 윌리의 분신들이 부와 명예를 위해 바쁘
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후배들은 개츠비와 윌리가 겪은 개인적 파
국을 피하기 위해 “월스트리트점령운동”에 집단으로 저항하고 있고,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 1%에 대항하는 99%의 개혁집회를 전 세계로 확산시키면서
소수지배권력과의 돈 전쟁을 장기화하고 있다. 밀러는 이러한 빈부투쟁을 기
독교의 이상주의와 계급사회의 상대주의의 충돌이 야기시키는 사회·문화학적
대립의 패러다임에서 직시한다. 그는 피츠제랄드, 라이스, 오데츠, 마멧, 세퍼
드와 함께 개인의 성공신화의 허구성을 폭로한 사회극에서 자신의 인물과 관
객에게 사회개혁을 위한 타자의 수용성을 강조하면서, 문화계층이 겪는 충돌
과 실패에 대하여 개인과 사회의 책임공동론을 제시한다.
Ⅱ-3. 권력운영코드로서의 오리엔탈리즘의 해체
K-POP 열풍이 일본과 중국을 넘어 동남아와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
점에서 한국의 젊은 한류스타들의 인기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의문이 든다.
한국의 중요한 국가문화브랜드로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부의 문화산업
인과 정부문화정책가들은 K-POP과 한류의 고유한 문화적 한계를 놓치고 있
다. 한국스타들의 무대공연은 ꡔ게이샤의 추억ꡕ(Memories of a Geisha)과 ꡔ포
카혼타스ꡕ(Pocahontas) 및 ꡔ나비부인ꡕ이 담고 있는 문화 대립과 충돌이라는
오리엔탈리즘의 잔영들을 자연스럽게 상기시킨다. 데이비드 황의 ꡔM.나비ꡕ는
지아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의 ꡔ나비부인ꡕ(Madam Butterfly)의 오리
엔탈리즘에 대한 새로운 저항적 글쓰기로서의 완결이 아니라, 대안을 모색하
기 위한 해체과정이다. 소수의 권력 독점과 자본의 독식화로 성공신화의 동력
을 상실한 미국인으로 하여금 상실의 위기를 극복하도록 유도하는 대표적 전
략이 오리엔탈리즘과 애국심을 이용하는 아메리카니즘의 재생산이다. 오리엔
탈리즘은 성공신화와 할리우드 영화와 함께 미국정부의 효과적인 국가운영수
단으로서, 메이저 미디어들의 협조를 통해 국내의 정치·사회적 불만을 언제든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201
지 바깥으로 전환시키는 활용가치가 높은 장점을 내재하고 있다.
2011년 3월 중국주재 한국 총영사관 소속 3명의 영사들이 한국인이 남편
인 중국여성 덩신밍(鄧新明, 33세)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비자발급업무에
비리를 저지르고, 총영사관 비상연락망과 한국정부의 고위인사 관련 정보데이
타를 넘겨준 외교스캔들이 폭로되었다. 3명의 한국영사들이 한명의 중국여성
스파이에 의해 농락당한 상하이스캔들은 ꡔM.나비ꡕ의 프랑스 영사와 중국 경
극 여장배우 사이에 실제 있었던 국가기밀 유출사건인 북경스캔들과 흡사하
다. 물론 전자가 동양남성과 동양여성과의 외교스캔들인 반면에, 후자는 백인
남성과 중국남성과의 동성애적 관계를 설정하고 있다. 황은 백인남자를 위해
목숨을 버리는 순종적이고 연약한 나비 같은 동양 여성의 기본적 원형을 변
형시켜, 중국 공산당의 여장스파이인 동양남성 송(Song)에 의해 스스로가 푸
치니의 충실한 주인공인 핑커턴이라고 자부하던 프랑스 외교관인 갈리마르가
처절하게 농락당하는 변형적 무대를 탄생시켰다. 물론 아내 헬가(Helga)와의
성관계를 오래전부터 거부한 갈리마르는 오랄 섹스만을 고집하는 송의 성적
정체성을 이미 알고서, 아시아 남성에게서만 느끼는 성적매력을 즐기려는 동
성애자일 수도 있다. 갈리마르의 송의 성 정체성에 대한 인지여부와 시점은
오리엔탈리즘의 정치적 도구화와는 별개로 비주류문화의 영역에서 접근할 주
제이다.
푸치니 작품이후 70년이 지난 뒤, 나비부인을 소재로 하여 거의 동시에
연극 ꡔM.나비ꡕ와 뮤지컬 ꡔ미스 사이공ꡕ(Miss Saigon)이 관객을 초대한다.
같은 내용을 토대로 만들어진 두 작품이지만, 주제와 수사학적 표현에 있어서
둘은 완전한 대치점에 있다. ꡔM.나비ꡕ는 제목부터 푸치니의 오리엔탈리즘의
담론체계를 비틀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M.이라는 약어는 반전의 텍스트에서
성적 희생양을 가리키며, 나비부인의 여성(Madame/Miss/Mrs)과, 주인공 갈
리마르를 의미하는 남성(Monsieur/Mr/Man) 및 양성(Multi) 중 하나를 뜻한
다. 황이 역할전이와 복장전환을 통해 낭만과 환상으로 가려진 백인의 동양에
대한 편협한 시각의 산물인 오리엔탈리즘을 해체시키려는 반면에, ꡔ미스사이
공ꡕ의 창작자와 제작자들은 모두 백인들로서 나비부인의 모티브를 현대적 이
야기로 각색하여 더욱 환상적인 뮤지컬을 선보이면서 관객들에게 동양을 더
욱 타자화시킨다. 동양이 오리엔탈리즘 담론의 허구성을 폭로하고 타문화와
문명에 대한 접촉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동안, 서양은 혈연적으로나 문화적으
202 외국학연구 제18집
로 멀리 있는 아시아에 대한 우월주의의 가면을 벗고 새로운 긍정의 이미지
창조를 시도하려는 어떠한 변화의 몸짓도 취하지 않는다.
갈리마르는 북경 극장에서 송이 연기한 일본기생의 이미지를 보고 “순수
한 희생입니다, 그런데 그녀가 그런 처신 외에 달리 무엇을 할 수 있겠습니
까? ... 아무튼 그녀는 그를 사랑했습니다. ... 너무도 진실하게, ... 매우 아름다
운 이야기입니다,”(ꡔM.나비ꡕ55)라고 표현할 만큼 두 사람간의 소통을 차단하
는 문화차이의 벽인 오리엔탈리즘의 허구성에 대해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 하
지만 “서양여성과 애인인 백인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송의 고백”(86)을 자주
들었던 갈리마르는 이야기의 초반부터 일이 잘못되어 자신이 현재 사람들에
게 웃음거리가 되고 있음을 분명히 공개하면서 관객의 주의를 끌어 드린다.
작가는 자신의 글쓰기 의도를 주인공이 왜 이 터무니없는 사건의 돈키호테가
되었으며 자기가 왜 송을 완벽한 여성이라고 착각했는지 우선 설명하겠다는
각오를 드러낸다. 황은 갈리마르의 입을 통해 타자성의 뿌리인 오리엔탈리즘
의 허구성을 부각시키고 무의식에 박혀있는 파편을 털어내겠다는 의지를 밝
힌다. 이 황당하고 난해한 외교스캔들의 결말은 마지막 부분에서 송의 성적
정체성이 밝혀지고 갈리마르가 죽음을 선택하는 일반담론구조를 벗어나, 결과
를 미리 관객에게 통지하고 20년 동안의 실수의 원인을 역으로 규명하면서
갈리마르의 동양여성에 대한 우월적 의식구조의 심각성을 하나씩 해체시킨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은 일종의 인종적 신화이고, 서양인들의 자의적 이해
와 역사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고 굳어진 동양에 대한 허상이다(67)이라고
지적한다. 그 용어는 서양인들에게 자신들이 믿고 싶고 필요한 형태로 규정되
어진 동양의 이미지이다. ꡔM.나비ꡕ를 쓴 후 황은 디게타니(Digaetani)와의 대
화에서 ꡔ오리엔탈리즘ꡕ을 읽고서 글쓰기의 방향을 정립할 수 있게 된다고 밝
힌다.
서구의 오해를 표현하는 말로, 사이드의 용어를 빌리자면, “오리엔탈리즘”이
라는 단어가 있다. 나는 이 극을 쓰고 난 후에 사이드의 책을 읽었는데...동양은
신비스럽고 수수께끼 같으며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열등하다는 이러한 관념은 푸
치니의 나비부인의 주제와 대체로 관련 있는 중요한 내용들이다(Digaetani 142)
그는 푸치니의 동양여성의 원형과 브리스코트의 실화의 두 축을 기반으로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203
하여 극중극·회상극·복장전환·성전환·에로티시즘·다중배역·동성애·타자화·반전
과 전복·해체·경계 허물기 등의 기법을 통해 제국주의와 백색신화의 이데올로
기에 대항한다. 황은 레먼(Remen)의 주장대로 ”다른 문화들 사이에 존재하는
지배의 환상과 권력의 정치학적 문제를 그려낸다“(393). 더 나아가 그는 “성
과 인종이 정체성의 복잡한 정치·사회적 네트워크 속에서 서로 엉키는 방식,
그리고 성적·인종적인 상투적 프레임과 관련된 광범위한 고도의 음모와 전략
을 파헤치고 있다”(Kondo 6). 실제로 황은 동양여성과 섹스를 통한 동양적
후진성의 직선적 폭로보다 갈리마르의 의식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백인의 정치
와 문화의식에 깊이 침투되어 있는 인종차별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악성코드를
약화시키는데 창작의 목적을 두고 있다. 대체로 북경과 파리의 배경과 함께 3
막 27장으로 구성된 해체극은 파리의 감옥에 갇힌 갈리마르의 감방에서 시작
하여 감옥으로 끝나는 표현주의극 기법의 회귀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65세의
갈리마르의 회고로 시작하여, 플래쉬백 수법을 사용하면서 극적 환상과 전이
를 통해 송을 만나기 전의 주인공, 송과의 만남과 헤어짐, 파리에서의 재회,
송의 정체를 발견하는 재판장면과 호송차 장면, 감옥에 수감된 갈리마르의 나
비부인 재연과 자살 장면을 전개시키고 있다. 1막에서는 파리의 감방에 첩보
행위로 수감된 갈리마르가 자기의 기이한 사랑에 대해 세상의 놀림감이 된
경위를 밝히고 푸치니의 오페라의 내용소개와 두 사람이 연인이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2막은 정보 부서를 맡게 된 갈리마르와 친(Chin)에게 프랑스의 군
사정보를 전하는 송의 첩보행위, 갈리마르의 외도 및 송의 유혹, 변화된 중국
의 상황과 이별 및 파리에서의 재회로 이루어진다. 3막에서는 1986년 파리 법
정에서의 재판장면과 송의 실체를 알고 난 갈리마르가 결국 자신이 나비였음
을 인식하고 나비부인을 재연하면서 자살을 암시하는 마지막 환유적 수사학
의 연기를 볼 수 있다. 황은 갈리마르에게 푸치니의 작품을 재현시키는 극중
극의 연출가와 핑커튼의 배역, 자신의 이야기를 관객의 입장에서 들려주는 객
관적 나레이터, 연애스캔들을 직접 해명하는 해설자 등 다중역할을 연기케 하
면서 텍스트의 연극성과 극적 환상을 부각시킨다.
갈리마르는 성장기부터 영사가 될 때까지 소극적이고 인기가 없어 아내를
제외하고 어떤 여자와도 섹스경험이 없는 무기력한 백인남성이다. 그의 우상
은 항상 적극적인 친구 마르끄(Marc)와 동양여성을 마음대로 농락하고 성을
상품화와 정치화시키는 전문가인 상사 툴롱(Toulon)이다. 서구에서는 당연히
204 외국학연구 제18집
비난받을 애정행각의 도전정신을 마르끄와 툴롱으로부터 전수받은 갈리마르
는 오직 이 부분에서만 서로 동지애를 느끼고 인종적 동질감마저 형성하면서
송과의 우월적 관계를 과시한다. 그는 핑커튼처럼 “바늘에 찔려 고통 속에서
몸부림치는 나비 잡기”(86)를 시작하면서 백인여성이 아니라 동양여성으로부
터 남성으로서 절대적인 힘이 솟아나는 환희를 느끼기도 한다. 아내 헬가의
묵인 하에 송과의 성적 유희를 계속 진행하면서, 갈리마르는 처음으로 성적
성취감과 남성적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다. 그는 송이 연기하는 전형적인 완전
한 동양여성의 환상 속에서 즐기다가, 결국 송의 역할전이가 끝나자 백인 왕
자는 핑커튼의 역할에서 나비의 역할로 전락한다. 갈리마르가 당당하게 송을
향해 “나비, 나비”라고 노래하면서 시작된 연기는 양복 차림의 송이 갈리마르
를 향해 “나비? 나비?”라고 질문하면서 마무리된다. 두 사람의 역할전이와 갈
리마르의 나비로서의 희생은 오리엔탈리즘의 벽 허물기 과정이자, 동시에 미
국사회의 주류인 백인에게 국가권력이 국내의 정치·사회적 갈등을 바깥으로
이동시키려는 전략으로서의 오리엔탈리즘의 악용 위험성에 대한 경고이기도
하다. 성의 상품화란 함정에 빠진 갈리마르는 송을 쉽게 정복하자 베트남에
대한 정보 역시 총영사에게 고민 없이 자신 있게 보고할 정도로 아시아 국가
전체에 대한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무시한다. 송에 대한 성적 권력을 확보한
것으로 착각한 갈리마르는 서구의 제국주의자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재연하
면서, 그녀에게 연인으로서의 조화보다 희생과 순종의 연기를 강요하고 동시
에 그녀의 의견을 철저히 배제한다.
동양과 성을 연관시키는 결합은 일관되어 왔다. ...중동은 항상 처녀와 같이
저항하나 억지로 열어서 그 획득물을 확보하면 그만이다. ...그들과의 조화란 대
등한 입장의 공존을 의미하지 않는다... 연구, 이해, 지식, 평가 등 이러한 것들은
조화를 확보하기 위한 감언이설의 가면을 쓰고 있으나 실제로는 정복을 위한 도
구이다.(사이드 309)
사이드가 동양은 백인에게 단지 저속한 상품으로서의 성의 이미지에 불과
하고 두 사회의 이상적 조화 역시 힘들다고 여기는 것처럼, 두 사람 사이의
이성적 양성관계구축은 동양문화의 타자화로 인한 불가능한 간극 채우기이다.
사실 극의 초반에 갈리마르는 “핑커튼은 관객석의 누구든지 패주고 싶은 혐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205
오스러운 놈팽이다(42)”라고 평할 정도로 이성적 합리주의자로 비취지만, 곧
핑커튼과 같은 기회가 주어진다면 그 기회를 놓치고 싶어 할 남성은 없을 것
이라고 부연함으로써 스스로 핑커튼이 되고 싶은 강한 욕망을 드러냈다. 그는
맹목적으로 헬가에서 떠나 마르끄와 툴롱처럼 북경에서 자유로운 카사노바가
되고 싶었지만, 중국경극의 여성역할은 남성배우가 맡는다는 누구나 아는 일
반적 사실조차 모를 만큼 문화적 무지를 드러낸다. 이처럼 갈리마르가 가지고
있는 동양에 대한 생각과 개념은 모두 환상에 불과하고, 그의 동양에 관한 관
심은 오직 섹스와 문화적 우월주의이다. 특히 갈리마르의 의식에는 약한 자인
동양은 남성과 여성 모두 복종과 순종을 바탕으로 한 여성적 태도를 선호하
고 아울러 서양에 의해 늘 지배받고 싶어 하는 피지배의 욕망을 보유하고 있
다는 왜곡된 오리엔탈리즘이 춤추고 있다. 그러나 극의 후반부에서 갈리마르
는 푸치니의 ꡔ나비부인ꡕ이 결코 아름다운 사랑이야기가 될 수 없다는 자각을
함으로써, 자신이 가부장적 남성우월주의와 제국주의 및 문화이데올로기가 혼
재되어 생산된 오리엔탈리즘의 희생양임을 인정한다.
...그리고 이 진실은 희생을 요구합니다. 평생 동안 저지른 실수에 대한 희생
말입니다 .저의 실수는 단순하고 분명했습니다. 제가 사랑했던 남자가 비열한 놈
이고, 별 볼일 없는 건달이라는 사실입니다. 그자는 뒤에서 한 발로 차버리면 좋
을 그런 종류의 놈인데, 저는 그자를 차기는커녕 그 사람에게 ...저의 사랑을 전
부 바쳤습니다. 그렇습니다. 사랑, 그것을 왜 그동안 인정하지 못했냐고요? 그건
저를 산산이 해체시키는 일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안 그렇습니까? 사랑이 제 판단
력을 비뚤어지게 했고 제 눈을 멀게 했습니다. 마침내 거울을 바라보았습니다.
전 거기서 ....한 여자의 얼굴 외에 그 어떤 것도 볼 수 없었습니다.(214)
Ⅲ. 나오며
ꡔ위대한 개츠비ꡕ는 부와 성공을 향한 미국의 꿈에 내포된 사회문화적 문
제점들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성을 유도하는 서사적 이야기이다. 무엇보다 ꡔ
위대한 개츠비ꡕ는 미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통렬한 경고와, 비리와 사랑의 극
적인 모티브들이 어우러진 사회문화에 대한 비판이다. 작가는 일차대전 이후
206 외국학연구 제18집
부터 경제공황직전의 물질적 풍요와 전신적 빈곤의 괴리를 개츠비의 사생활
을 중심으로 대비시키면서, 미국의 권력과 부를 독점하고 있는 1%의 지배계
급에 의해 조작된 성공신화를 99%의 중산층이하 계층이 맹목적으로 추종하
다가 몰락하는 자본주의사회의 부정적 메커니즘을 공격하고 있다. 백인 자본
독식가들은 부의 통제를 통해 중산층과 노동자 그리고 소수민족들을 미국사
회의 중심부에서 떨쳐내어 주변부에 머무는 영원한 타자로 남게 한다. 더욱
심각한 사실은 개츠비가 성공욕망과 데이지와의 사랑으로 죽음의 순간까지
사회구조적 모순과 미국 꿈의 허구성을 인지하지 못했듯이 2011년 말 현재도
많은 미국인들이 개츠비가 즐겨 탔던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퓨리탄과 양키로 대변되는 미국인”(Bushman 4)이자 돈키호테인 윌리도
개츠비와 마찬가지로 미국 꿈의 신화가 내포한 권력과 정치이데올로기의 메
커니즘을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자살로 내몰린다. 36년간 근무한 회사에서 1달
러의 수당도 받지 못하고 예고 없이 쫓겨나는 63세의 윌리가 가식과 허풍 그
리고 우울증 등 개인적 약점으로 가족과 사회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지만
관객의 사랑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이 가진 자에 의해 수명이
다한 소모품 취급을 받는 사회적 희생양이기 때문이다. 부쉬먼은 한 세일즈맨
의 죽음의 원인이 미국 꿈을 공동으로 조작한 성직자와 교육자 및 자본가에
있다(13)고 분명히 지적하고, 그들은 권위의 유지와 권력의 독점을 위하여 타
자의 상대성을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 결국 성공신화의 실체를 미리 알아차리
지 못했다는 점, 과거의 기억에 집착하고 있다는 사실, 신분상승을 위하여 선
택한 방법의 부적절성, 역사인식의 부족, 자본주의사회의 권력구조와 자본이
동의 속성에 대한 불이해, 시장경제논리의 모순 등이 개츠비와 윌리를 위시한
작은 시민들을 있는 자의 노리개로 계속해서 잔존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ꡔM.나비ꡕ는 관객에게 타자, 즉 언제나 위축되어 있는 숨겨진 목소리가 지
배적인 목소리와 공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인간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사회의 기준을 넘어서 타자를 고려하기 어렵고, 아울러 집단의 가치
나 규범을 벗어난 인식을 하면 그 조직에서 외톨이가 되기 쉽다. 이러한 사고
의 제약성과 한계로 인하여 우리는 타자와 타문화와의 공존이 불가능하다. 황
은 남과 여, 동양과 서양, 백인과 유색인종, 권력과 피지배계급, 기독교와 동
양종교, 미국그룹과 저항그룹 등의 이분법적 분류를 거부하고, 문화의 다양성
과 개별성의 가치존중을 추구한다. 황에 의하면 각자의 진실은 임의적이고 상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207
대적인 것으로 절대적 보편성이 없다고 보면서, 지구상에 현존하는 모든 사회
문화적 가치코드는 우월성을 주장할 근거가 없다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송과
갈리마르의 성적 우위를 위한 경쟁의 반복연기는 동양이라는 타자의 정체성
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서구의 문화적 우월주의에 대한 허구적 실체를 해체시
키는 연극적 장치이다. 아울러 표현주의극의 회귀적 원형구조를 지닌 혼돈의
열린 무대에서 두 사람의 반복되는 복장전환의 역할전이 역시 1904년 푸치니
가 생산한 나약한 동양여성의 원형적 이미지인 나비부인의 패러다임을 충격
적으로 뒤집는다. 1970년대 출발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정치·문화적 의식화
(Pao 204)에 동참한 황은 여성을 포함한 동양 전체를 여성화시킨 오리엔탈리
즘이 100년이 지난 현재 동양과 서양에서 각각 작동하는 정치학적 기능에 관
해 바로보기를 요구한다. 미국의 권력은 항상 노동의 가치를 미화한 미국 꿈
의 허구성에 기만당한 다수의 미국인들이 지닌 내부의 정치·사회적 불만을
외부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타 국가와의 갈등관계를 조장한다. 이러한 국내의
정치적 위기상황을 극복시키려는 방어기제로서의 중동과 북아프리카 국가들
과의 빈번한 전쟁은 오리엔탈리즘과 함께 맹목적 애국심으로 연계되어 마지
막 단계의 아메리카니즘을 완성시킴으로써 성공신화의 실패로 파생된 이전의
불만을 망각해버린다. 갈리마르의 자살은 개츠비의 타살과 윌리의 자살과 결
코 무관하지 않으며, 그들 공동의 위기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속한
사회와 조직의 지배논리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3명의 주인공들은 동양을 영원
한 타자로 만든 오리엔탈리즘의 수혜자인 반면에, 미국의 꿈이란 허구적 성공
신화에 의해 자신의 사회에서 주변부에 머무는 타자로서의 불이익을 인내해
야 한다.
208 외국학연구 제18집
참 고 문 헌
루카치, 게오르그. ꡔ역사와 계급의식ꡕ 〮박정호, 조만영 역. 거름출판사, 1993,
서울.
박노자 ꡔ하얀 가면의 제국: 오리엔탈리즘ꡕ 한겨례 출판, 2007, 서울.
박홍규 ꡔ에드워드 사이드 읽기ꡕ 우물이 있는 집, 2003, 서울.
사이드, 에드워드 ꡔ오리엔탈리즘ꡕ. 박홍규 역. 교보문고, 1991, 서울.
솅크먼, 리처드 ꡔ미국사의 전설, 거짓말, 날조된 신화들ꡕ 이종인 역, 미래
M&B, 2003, 서울.
조은영 「Death of a Salesman에 나타난 소외의 문제」 ꡔ영어영문학ꡕ 영어영
문학회, 1983 여름, 서울.
푸치니, 지아코모 ꡔ나비부인ꡕ 이인선 역. 태림출판사, 2000, 서울.
천승걸 ꡔ미국문학과 그 전통ꡕ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 서울.
Brown, I. 「As London Sees Willy Loman」 In G. Weales (Ed.) ?Death of a
Salesman: Text and Criticism.? Viking, 1967, New York.
Bushman, R. L. ?From Puritan to Yankee? Harvard UP, 1967, Cambridge.
Carson, N. ?Arthur Miller? Macmillan, 1982, London.
Digaetani, J. L. 「M. Butterfly: An Interview with David Henry Hwang」
?Drama Review?, 33(3), 1989.
Domhoff, W. G. ?Who Rules America Now?? Simon & Schuster, 1983,
New York.
Fitzgerald, F. S. ?The Great Gatsby? Penguin, 1950, Harmondsworth.
Hwang, D. H. ?M. Butterfly? Plume Books, 1988, New York.
Horton, R. W. & Herbert, W. E. ?Backgrounds of American Literature?.
Prentice-Hall, 1974, Englewood Cliffs: NJ.
Kintz, L. 「The Sociosymbolic Work of Family in Death of a Salesman」 In
M. C. Roudane(Ed.) ?Approaches to Teaching Miller's Death of a
Salesman? 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1995,
New York.
Kondo, D. K. M. 「Butterfly: Orientalism, Gender, and a Critique of
Essential Identity」 ?Cultural Critique? 16(6), 1990.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209
Miller, A. ?Death of a Salesman? Viking, 1968, New York.
Odets, C. ?Six Plays of Clifford Odets? The Modern Library, 1963, New
York.
Pao, A. 「M. Butterfly by David Henry Hwang」 In S-L Wong, & S.
Sumida(Eds.) ?A Resource Guide to Asian American Literature?,
MLA, 2001, New York.
Remen, K. 「The Theatre of Punishment: David H. Hwang's M. Butterfly
and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Modern Drama?
37, 391-400, 1994.
Sarashon, D. 「The Weight of An Empire in the Era of Fax Americana」 ?The
Sunday Oregon? Jan. 3, 1999, G1.
Schechner, R. 「Introduction」 ?Viet Rock and Other Plays by Megan Terry?
Simon and Schuster, 1967, New York.
210 외국학연구 제18집
Abstract
Fictitiousness in Strategic Connection Between
Orientalism and American Dream
Bong-hwan Lee
The thesis deals with such cultural conflicts of the invisible connection
between American Dream and Orientalism, which have been misused as
the main governance methods in modern capitalism. Based on the cultural
opposite structure of The Great Gatsby, Death of a Salesman, this study
emphasizes the social sacrifice of individual for the survival of the superb
power using the absurd fairy and illusion which anyone can be rich and
have power only if they make much effort at works and obey the orders
from the top classes. M. Butterfly draws out the inherent camouflages
and pharisaism in Orientalism, which was created by Western culture and
Christian white chauvinists.
While warning the corruption and immorality of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American society, Fitzgerald and Miller tend to lay some
reasons of social failure and psychological frustration to the futility of
American Dream or Success Myth, which has been ubiquitously spread
among the reckless pursuers of money and honor. They point out that the
Success Dream is only an unwanted and swindling code manipulated by
the ruling power and brain group in the government. The Great Gatsby
and Death of a Salesman describe the miserable destruction and failure of
an individual derived from the cultural and social confliction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in American modern society. The main
characters deny approving the loss of their dream, and are stubborn to
protest against the governance system conducted by money and authority.
While they're fated to self-destruction and identity-crisis during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211
self-defiance against the authoritarian regime, Gallimard would never give
up such a stupid dream as Orientalism created by white racists and
Christian supremacists through M. Butterfly.
Key-words: American Dream(미국의 꿈), orientalism(오리엔탈리즘),
deconstruction(해체), cultural conflict(문화적 충돌), connection(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