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이야기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김혜경.호서대

I. 서론
기사 랜슬롯(Sir Lancelot)과 귀네비어(Guenivere) 왕비의 사랑이야기는
수많은 아서왕 이야기들에서 빠지지 않는 주된 주제 중의 하나로, 이들의 사
랑은 궁정식 사랑(Courtly Love)1)의 대표적 모델이다.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은 랜슬롯이 기사서임을 받을 때 귀네비어가 칼을 가져다준 것으로 인연
이 되어 그 이후로 그녀를 자신의 귀부인으로 모시겠다고 다짐하게 되면서
시작된다. 궁정식 사랑이란 기본적으로 기사계층인 남성 연인과 자신보다 높
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 귀부인 -대부분 기사가 모시는 군주나 영주의 부인-
간의 사랑이며, 이 때 미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완벽한 존재인 귀부인은 상대
남성에게 자신의 명예를 위해 모든 덕과 용기를 희생하기를 원한다. 귀부인에
게 사랑을 구애하며 괴로워하고 목숨을 다해 충성하는 과정을 거친 이 후에,
남성 연인은 그녀로부터 그의 고통스런 사랑의 과정에 대한 육체적인 보답을
받게 된다. 이때, ‘육체적 보답’이라는 것은 ‘눈길 한 번 주기’로부터 ‘손잡기’,
‘입 맞추기’, 그리고 실제적인 ‘육체적 관계’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모습을 포
함하고 있다. 즉, 궁정식 사랑에는 기사 계급의 남성 연인과 군주나 영주의
부인 간에 육체적 관계를 맺는, 합법적 결혼 이외의 사랑인 ‘불륜’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궁정식 사랑을 그리는 문학의 세계에서는 두 사람 간의 사랑
이 용인될 수 있다.


1) 1883년 『로마니아 Romania』에 실린 크레티엥 드 트로와이예(Chretien de Troyes)의
『이륜 마차의 이야기』(Conte de la Charette)에 관한 소논문에서 가스통 파리(Gaston
Paris)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이 궁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사랑이기 때문에 Amor Courtois(Courtly Love)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그 이후 많은 학
자들이 이를 따라 사용해왔다(이현주 2009, 47).
172 외국학연구 제18집


그러나 문제는 맬러리(Sir Thomas Malory)의 『아서왕의 죽음』(Le
Morte Darthur)에서 그려진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궁정식 사랑은, 문학 속 개
인적인 사랑의 문제를 벗어나 정치, 사회, 결국은 아서 왕국의 멸망에 직접적
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품 속에서 두 사람 간의 관계는 정치
적 이유에 의해 다른 몇몇 기사들에 의해 폭로가 되고, 폭로가 됨과 동시에
원탁이 와해되며, 곧이어 왕국이 무너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는 궁정식 사랑
을 그리는 문학에서 용인되어지는 불륜의 사랑이 이 작품에서는 현실의 세계
와 충돌하여 복잡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고, 그러한 이유에 의해 작품 속 등장
인물들에 의해 용인될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의 사랑은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에 의해 오히려 용인되고 묵인되며, 또한 작가
자신에 의해서도 모호하게 처리되고 있다.
많은 원탁의 기사들이 그들의 관계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쉽
게 폭로되거나 비난의 대상이 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 또한 작가 맬러리
가 원전들과는 달리 그들의 불륜의 사랑을 표현하는데 있어 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와 관련하여, 이현주는 두 사람 간의 관계를 포함
하는 궁정식 사랑에 관하여 서술하면서 당시의 시대적, 역사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중세는 십자군 전쟁을 포함해 유달리 전쟁이 많았던 시기였고, 잦은 전
쟁으로 왕이 성을 비우는 상황에서 기사로 하여금 자신의 부인을 사랑하게
하는 것은 하나의 통치수단이 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즉, 왕은 자신의 부
재 시에 다른 기사나 영주의 반란을 막기 위해 기사와 자신의 부인간의 불륜
의 사랑을 용인하기도 했다(2009, 578)는 것이다. 그러나 맬러리의 작품에서
그려지는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관계는 아서왕의 전쟁으로 인한 부재 시에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왕이 거하고 있는 그 왕국 이내에서, 즉 아서
왕의 눈앞에서 버젓이 이루어지는 사랑의 관계이다. 그러므로 이 견해에 따르
면 두 사람 간의 관계는 더욱이 용인될 수 없는 관계로 남게 된다. 제임스 제
스목(James Jesmok)은 귀네비어 왕비의 불임이 이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적자생산을 중시하던 당시에, 귀네비어 왕비가
불륜의 사랑을 했더라도 서자를 낳아가지고 와서 왕권불안이나 정권 유지에
문제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라는 가능성은, 다른 기사들과 주위 사람들이 그녀
와 랜슬롯 간의 관계를 묵과해 오던 이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2007, 2). 그
러나 작품 속에서 귀네비어 왕비와 아서왕 간의 후손의 존재 여부에 대해 언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73
급된 적이 없었던 것은 사실이나, 이것으로 귀네비어 왕비가 불임이라고 단정
지어 버릴 수 는 없다. 또한 설사 그녀가 불임임이 확실하다고 하더라도 그녀
의 불임을, 불륜의 관계를 용인할 만한 일반적 이유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두 사람 간의 사랑의 관계의 묵인 및 축소의 이유를 작
품 속에 편재한 남성 중심적 연대와 그 안에서의 남성들의 정치적 힘겨루기,
그리고 귀네비어의 왕비로서의 정치적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작품 속에 숨겨
진 정치적 구조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Ⅱ. 남성 연대의 구축과 유지
1. 아서왕의 태도의 모호성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관계가 작품 속에서 폭로되어 비난받기 보다는 오히
려 묵과되어지는 이유를 찾는 중에 발견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다름 아닌
두 사람의 간음이 폭로된 이후에 이에 대해 귀네비어 왕비의 남편 - 아서왕
이 보이는 모호한 태도이다. 작품의 후반부에서, 아그레베인 경(Sir Agravain)
이 아서왕을 찾아와 랜슬롯 경과 귀네비어 왕비의 불륜의 관계를 폭로하고,
그것은 곧 왕에 대한 모반이라고 주장한다. 이 때 아서왕은 그 소식에 곧바로
분노하고 그들을 비난하기보다는 오히려 그 일을 덮어주고자 하는 태도를 보
인다. 이와 같은 아서왕의 태도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또 하나의 대표적 궁정
식 사랑의 관계인 트리스트람(Sir Tristram)과 이조드 왕비(Queen Isode)간의
사랑에 대한 마크왕(King Mark)의 태도와 큰 대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마크왕은 자신의 아내인 이조드와 기사 트리스트람의 불
륜의 관계를 알게 된 이후,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트리스트람을 죽이
고자 끊임 없이 시도하여 결국 비열한 방법으로 그를 죽이고 만다. 그러나 아
서왕은 자신의 아내와 젊은 기사 간의 관계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
의 관계를 묵인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아서왕의 모호한 태도에 대해
작품의 내러티브는 “그가 랜슬롯을 진심으로 사랑하기 때문(494)”이라고 전하


174 외국학연구 제18집


고 있다. 그렇다면 아서왕은 랜슬롯 경을 왜 그렇게, 자신의 아내와 부정한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일에 대해 알고도 모르는 척 할 만큼, 왜 그렇
게 아끼고 사랑하는 것일까.
작품 속에서 계속 강조되는 바와 같이, 랜슬롯 경은 당대 최고의 기사로
아서 왕국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아서왕은 외부 혹은 내부의 위협으
로부터 왕국의 안전을 보장해줄 원탁의 중심인 그를 놓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아서왕은 ‘원탁’으로 구조화된 남성 중심적 연대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
그 연대 안에서의 자신의 권위와 지위를 지키고자 하는, 온전히 정치적인 이
유에 의해 두 사람 간의 관계를 묵인하고 있는 것이다. 작품 속 남성 연대,
즉 원탁의 와해를 두려워한 아서왕의 이와 같은 태도는 실제로 작품 속에서
불륜의 폭로로 인해 기사들이 두 파로 나뉘어 원탁이 와해될 위기에 처했을
때, 왕비를 데리고 도망간 랜슬롯을 원망하고 그들의 관계를 비난하기보다는
오히려 그 사실을 폭로한 기사를 원망하는 부분에서 더욱 여실히 드러난다.
“정말로 지금처럼 마음이 무거운 적이 없다는 것을 경들도 알아주오. 진실로
내 아름다운 왕비가 사라진 것보다 내 훌륭한 기사들이 죽은 것이 더 마음이
아프오. 왕비야 충분히 다시 얻을 수 있지만 이렇게 훌륭한 기사들이 한 무리
가 되는 일은 다시는 없을 것이오.” 아서 왕이 말했다.....아, 아그레베인, 아그레
베인! 예수가 경의 영혼을 용서해주기를. 경과 경의 동생인 모드레드 경이 랜슬
롯 경에게 가졌던 사악한 마음 때문에 이런 슬픈 일이 일어났소.“ 이렇게 호소하
며 왕은 울다가 기절했다. (510)
'wit you well, my heart was never so heavy as it is now. And much
more am I sorrier for my good knights' loss than for the loss of my fair
queen; for queens I might have enough, but such a fellowship of good
knights shall never be together in no company. And now I dare say,' said
King Arthur, 'there was never Christian king that ever held such a fellowship
together. And alas, that ever Sir Lancelot and I should be at debate! Ah,
Agravain, Agravain,' said the King, 'Jesu forgive it thy soul, for thy evil will
that thou hadst, and Sir Mordred thy brother, unto Sir Lancelot, hath caused
all this sorrow.' And ever among these complaints the King wept and
swooned. (481-2)2)
이와 관련하여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관계를 포함하는 궁정식 사랑에 관한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75


조르주 뒤비(Georges Duby)의 주장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뒤비는 영주
들이 자신의 젊고 혈기 왕성한 기사들을 다루기 위해 일종의 전략적 차원에
서 자신의 부인을 미끼로 내세워 기사들 간에 경쟁을 조장하되, 자신의 부인
에 대한 절대적 복종과 헌신적 봉사를 통해 기사들에게 필요한 주요 덕목들
을 갖추게 하고, 나보다 남을 위한 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회조직의 토대
를 공고하게 만드는 목적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G. Duby, 1988, 김정희
32-33에서 재인용). 또한 맥크래켄(McCracken)은 당시에는 왕이 본인의 가정
과 궁정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을 때 왕에게 그에 대한 책임을 물었던 때로,
왕비의 불륜의 폭로는 봉신들에게 있어서 군주의 힘을 약화시키고 왕의 정치
적 힘을 분산시키고자 하는 욕구의 수단이 될 수 있었다(99)고 전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아서왕은 첫째로 두 사람의 관계 폭로로 인해
원탁이,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왕국이 무너질 것을 두려워하고, 둘째로 봉신
들에게 약점을 잡혀 남성 연대 내에서 힘을 잃을 구실을 없애는 동시에, 자신
의 편에 서서 왕국을 지켜줄 훌륭한 기사의 봉사를 계속 받기를 원하는 이유
로 인해 아내인 귀네비어 왕비와 기사 랜슬롯 간의 폭로된 불륜의 사랑에 대
해 모호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두 사람의 불륜의
관계에 대한 아서왕의 이러한 태도는, 결과적으로 그들의 사랑이 폭로됨으로
써 가져올 왕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막아, 원탁이라는 남성 중심적 연대를 지
키고 그 안에서 자신의 왕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정치적 이유에 의한 정치적
태도인 것이다.


2. 연대 구성원들의 정치적 힘겨루기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관계가 작품 속에서 묵인되는 또 다른 이유
는 기사들을 포함한 봉신들 간의 정치적 갈등의 양상에 기인한다. 우선, 작품
내에서 왕비의 간통에 대한 발각 및 폭로는 사실 여부를 넘어서는 복잡한 정
치적 함수를 갖고 있으며(최예정 56), 이는 랜슬롯과 귀네비어 간의 관계의
폭로에 대한 작품 속 대부분의 남성 등장인물들인 원탁의 기사들의 상반된
태도에 의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2) 작품 인용은 번역문의 경우 이현주의 『아서왕의 죽음 1,2』로부터, 원문의 경우 Helen
Cooper Ed. 『Le Morte Darthur』로부터 한다.
176 외국학연구 제18집
우선, 아서왕과 랜슬롯을 지지하는 대부분의 원탁의 기사들은 자신들을
하나로 통합시켜주고 사회 질서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탁이 와
해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원탁의 기사들 중 모든 면에서 가장 훌륭
한 기사로서 다른 모든 기사들의 존경과 신뢰를 받고 있던 랜슬롯 경이 왕비
와의 사랑의 발각으로 인해 원탁을 떠나게 되면, 그를 따르던 기사들이 뿔뿔
이 흩어져 결국은 원탁이 와해되고, 왕국에 내부 분열이 생길 수 있음을 두려
워하는 것이다. 실제로 작품 속에서 랜슬롯 경의 사촌인 보어스 경(Sir Bors)
은 두 사람 간의 관계의 폭로가 랜슬롯 경의 친인척으로 이루어진 정치적 파
벌은 물론이요, 아서 왕국의 전체의 정치적 균형과 안정에 악영향을 끼칠 것
을 두려워하여 두 사람의 관계를 묵인하고, 그 관계가 발각되지 않도록 애쓰
며(Hodges 2005, 62), 가웨인 경 역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랜슬롯에게 적
대감을 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그와 왕비 사이의 관계의 폭로를
막으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반면, 랜슬롯 경이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이러한 남성 연대를 유
지하고 지키고자 하는 것이 모든 남성 등장인물들의 바람은 아니다. 아서왕의
총애를 받고 있는 랜슬롯 경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무리들은 그와 왕비의 사
랑을 폭로하여 그를 파멸시키고 자신들이 더 큰 정치적 힘을 얻기를 원한다.
이는 실제로 작품 속에서 두 사람 간의 관계가 랜슬롯을 시기하고 질투하던
두 기사에 의해 공식적으로 노출되고 폭로됨과 동시에 원탁이 와해되고, 곧
아서 왕국이 멸망하는 작품의 스토리 구조에 의해 뒷받침 되어 진다. 예를 들
어, 평소에 랜슬롯 경을 증오하여 밤낮으로 그를 감시하던 가웨인 경의 동생
인 아그레베인 경과 모드레드 경(Sir Mordred)은 많은 기사들이 모여 있는
곳에서 사적으로가 아닌 공개적으로 랜슬롯 경과 귀네비어 왕비의 불륜의 사
랑을 폭로하고, 그 일을 그대로 두는 것은 자신들의 고귀한 왕이 치욕을 입도
록 두는 것과 같다고 말한다. 또한 아서왕을 찾아가 랜슬롯 경과 왕비가 몰래
사랑을 나누고 있었으며, 이는 랜슬롯 경이 왕에게 모반했다고 말할 수 있다
고 전하고, 랜슬롯 경이 왕비의 방에 들어간 이후 현장에서 그를 포위한다.
결국 자신을 따르던 친족들과 기사들의 도움으로 랜슬롯 경은 아그레베인 경
을 죽이고, 자신을 따르고자 결심한 원탁의 기사 스물 두 명과 북웨일스와 콘
월의 기사 140명을 데리고 왕비와 함께 기쁨의 성으로 간다. 즉, 랜슬롯을 싫
어하던 기사들에 의해 간음이 폭로되자마자 원탁이 아서왕과 랜슬롯 경의 두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77
파벌로 나뉘게 되고, 결국 원탁의 와해와 아서 왕국의 파멸의 원인이 되고 있
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러니하게도, 작품 속에서 아서 왕국의 사회적, 정치적 안정
은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불륜의 사랑에 의존하고 있으며(McCraken 23), 이러
한 관계의 공식적 폭로는 개인의 사적인 도덕적 범죄의 폭로를 넘어, 기사와
봉신들 간의 정치적 힘겨루기에 의한 정치적 갈등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관계는, 아서왕뿐 아니라 남성 연
대를 구성하는 다른 남성들에 의해서도 정치적 파워 게임을 위한 장치이자
전략적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3. 귀네비어의 정치적 역할
남성 연대의 유지를 위한 남성들의 정치적 태도 이외에, 귀네비어가 지닌
왕비로서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힘 또한 그녀와 랜슬롯 간의 관계 묵인
및 폭로의 지연의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다. 귀네비어는 랜슬롯의 연인이기
이전에, 가장 강력하고 위대하다고 칭송받던 아서 왕국의 왕비이다. 중세 유
럽의 왕비가 왕과 봉신들 사이의 중재자로서 그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왕의 통치력을 보여주는 데에 있어 중요한 상징적 역할을 했다는(MacCraken
2-15)점을 고려해 볼 때, 또한 실제로 12세기에 프랑스와 영국의 왕비였던 아
키텐의 엘리노어(Eleanor of Aquitaine)가 지녔던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권력
을 생각해 볼 때, 아서 왕국의 왕비로서의 귀네비어는 왕국의 봉신들과 기사
들을 직접 통제하고 관리할 만한 힘을 소유하지는 못했어도 최소한 간통으로
섣불리 고발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작품 속에서 귀네비어는 아서왕과
결혼 할 때 결혼 지참물로 아서왕의 궁정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중추적인 역
할을 하는 원탁을 가져온 인물이다. 즉, 아서 왕국의 모든 기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사회 질서를 유지시키고, 왕국의 안정을 도모하는 발판을 마련한 중요
인물이라는 것이다. 작품 속에서 원탁이 아서왕과 작품 속 남성 등장인물들이
그토록 중요시 하던 남성 중심적 연대 자체를 상징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그 원탁을 가져온 인물이 바로 귀네비어 왕비라는 사실은 아서 왕국 내에서
의 그녀의 입지와 정치적 파워가 어느 정도였는지 가늠케 해주는 부분이다.
실제로 그녀는 작품 속에서 이러한 사회적, 정치적으로 힘을 지닌 왕비로
178 외국학연구 제18집
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녀의 이러한 정치적 역할은 첫째로 그녀가 원
탁의 기사들을 소집하는 데에서 드러난다. 귀네비어는 「짐마차를 탄 기사」
이야기에서 모든 원탁의 기사들을 소집하여 오월제를 지내러 간다. 그녀는
“기사님 모두가 말을 타고 실크나 천으로 된 초록색 옷을 입기를 명합니다.
저는 지체 높은 숙녀 10명을 데리고 갈 것이며 모든 기사는 한 사람당 한 숙
녀를 수행할 것입니다. 모든 기사는 한 명의 견습기사와 두 명의 향사를 수행
할 것입니다. 이들 모두가 말을 타도록 할 것입니다(457).”이라고 말하며 왕비
로서의 권위와 정치적 지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그녀는 ‘왕비의 기사들’이
라 불리는 자신만의 호위 기사단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들을 직접 돌보고 관
리하는 군주로서의 모습을 보인다.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모드레드 경이 반
란을 일으킨 뒤 그녀를 다시 자신의 왕비로 맞이하려는 이유 역시, 귀네비어
왕비의 이러한 정치적 역할이 아서 왕국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귀네비어의 정치적 역할에 대해, 엘
리자베스 에드워즈(Elizabeth Edwards)는 작품 속 귀네비어의 역할은 원탁의
기사들로 이루어진 ‘homosocial'3) 유대를 유지시키는 역할이라고 주장한다
(45). 즉, 귀네비어가 기사들을 관리, 통제하며 원탁을 중심으로 한 남성들의
유대에 균형을 주고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드워즈의 이러
한 주장은 귀네비어의 정치적 역할을 원탁을 지탱하고 있는 남성들, 즉 기사
들을 화합하고 단결시키는 데에 두어, 그녀를 원탁은 물론, 아서 왕국의 안정
과 유지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인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 여겨
볼만하다. 또한 하지스(Hodges)는 ‘훌륭한 왕비다움’(good ladyship) 을 지닌
귀네비어가 자신의 기사들뿐 아니라 모든 아서 왕국의 기사들에게 ‘정치적 책
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사적인 일-랜슬롯 경과의 관계-과 왕비로서의 정치적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고 있다고 말한다(2005, 57). 이러한 하지스의 주장
의 중요성은 귀네비어를 그저 자신의 사적인 사랑의 감정에 휩싸인 여성이
아닌, 자신에게 주어진 정치적 역할에 충실한 여성으로 간주함으로써, 그녀가
아서 왕국에서 정치적 힘을 가진 인물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러
한 점은 또한 “맬러리의 귀네비어는 작품 속에서 아서왕의 궁정이 담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구조 속에서 복잡하고도 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3) 'Homosocial'은 Eve Kosofsky Sedgwick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용어로, 남성들 사이의
성적이지 않은(non-sexual) 유대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79
러한 그녀의 정치적 역할은 랜슬롯과의 사랑이 아닌, 군주의 아내, 즉 왕비로
서의 역할에 기인한다(272).” 힐(Hill)의 주장과도 맞닿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귀네비어의 왕비로서의 권위와 정치적 힘은 작품 속
에서 그녀와 랜슬롯 간의 관계의 묵인 및 축소, 그리고 폭로의 지연의 또 하
나의 이유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작품 속에서 남성 연대의 유지와 강화라
는 의도와 목적을 지닌 남성들의 정치성과 복잡하고도 미묘한 경계를 구축하
는 결과를 가져온다.
4. 맬러의 시선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관계는 작가인 맬러리에 의해서도 축소되어
그려지고 있다. 이는 맬러리가 두 사람 간의 사랑에 관한 육체적, 성적 표현
들을 프랑스 원전들로부터 많은 부분 삭제하고, 사랑을 나누는 부분을 표현하
긴 하되 간접적으로 간략히 표현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산문
랜슬롯』(The Prose Lancelot)에서 등장했던 두 사람 간의 첫 키스신이 이
작품에는 없다든지, 크레티엥의『이륜 마차의 이야기』(Conte de la
Charette)의 ‘사랑의 밤’(night of love) 에피소드에 묘사된 사랑을 나누는 장
면에 관한 부분이 삭제되어있든지 하는 것이다(Walters xxx). 또한 맬러리가
랜슬롯과 귀네비어 간의 관계를 축소하고자 노력했다는 것은 작품의 곳곳에
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짐마차를 탄 기사」이야기에서 두 사람이 하룻밤
을 보내는 장면에서도 그는 자세한 설명이나 표현하기를 꺼려한 채, “이야기
를 간단히 하자면, 랜슬롯 경은 왕비와 함께 침대에 들어갔다(468)”이라는 문
장으로 시작하며 두 사람이 함께 있었음을 아주 간략히 표현하고 있다. 또한
또 다른 밤을 보낼 때에도, “프랑스 원전에서 기록되었듯이 왕비와 랜슬롯 경
은 함께 있었다. 그 시대의 사랑은 지금의 사랑과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침대
에 있었는지 다른 즐거움을 누렸는지 여기서 말하고 싶지 않다(495).”고 말하
며 그들이 불륜의 육체적 사랑을 나누었다고 표현하는 것 자체를 회피하고
있다.
맬러리가 프랑스 원전들과는 달리,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에 대한 표
현들을 축소하고 삭감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우선,
그가 기사와 귀부인의 사랑이야기, 즉 궁정식 사랑 이야기보다는 남성들 간의
180 외국학연구 제18집
기사도적 유대 및 관계에 관련한 이야기에 집중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맬러리는 그의 작품에서, 다른 프랑스 원전들과는 달리, 랜슬롯과 귀
네비어의 개인적인 사랑이야기에 깊은 관심을 보이기보다는, 아서왕을 비롯한
랜슬롯 경, 가웨인 경 등 원탁의 기사들의 용맹성과 그들이 맺는 기사도적 우
애, 그리고 그들이 보여주는 기사도의 세계를 그리는데 더 큰 관심을 보였다
는 것이다. 이는 맬러리의 작품이, 아서왕 이야기를 다룬 이전의 프랑스 원전
들과 동시대의 초서(Geoffrey Chaucer)의 작품들보다 더 아서왕과 기사들 간
의 우애(fellowship)를 강조하고 있다는 아키볼드(Elizabeth Archibald 324)의
주장과 더불어, 맬러리의 작품을 기사도적 화합과 통합을 다룬 작품으로 보아
온 브루어(D.S. Brewer) 등의 비평가들의 주장에 의해 더욱 뒷받침 된다. 즉,
맬러리의 이러한 시도는 작품 속 아서왕과 그의 기사들로 구성된 남성 중심
연대에 중점을 둔 것이며, 이는 그들의 연대 구축과 유지라는 목적과도 맞닿
는 부분이다.
한편, 맬러리가 두 사람 간의 사랑의 관계를 축소 및 삭감한 또 다른 이
유는, 그가 두 사람의 사랑을 진실한 사랑으로 규정하고 싶어 한다는 데에 있
다. 두 사람 간의 관계에 대한 그의 견해는「짐마차를 탄 기사」이야기에서,
귀네비어 왕비가 하고 있는 사랑을 묘사하는 내레이션 속에 잘 드러나 있다.
오늘날 남자들은 온갖 욕망을 채우지 않고는 7일 밤 동안 사랑을 지속 할 수
없다. 이 사랑은 이성으로 지속되는 것이 아니다. 신속하고 빠르게 성취된 욕망
은 곧 식는다. 오늘날의 사랑은 너무 빨리 뜨겁고 너무 빨리 식어 안정적이지 않
다. 그러나 오래된 사랑은 그렇지 않다. 남녀는 7년 동안 사랑할 수 있으며 이
사랑에는 호색적인 음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사랑은 진실하고 충실하다. 이런
종류의 사랑이 아서 왕 시절에 행해졌다.
어찌 되었든 난 오늘날의 사랑을 여름과 겨울에 비유했다. 한 계절은 춥고
한 계절은 더운 것처럼 오늘날의 사랑도 그러하다. 사랑에 빠진 연인들이여, 오
월에는 귀네비어 왕비가 한 것과 같은 사랑을 기억하시오. 왕비의 사랑에 대해서
여기서 잠깐 다룰 것이다. 귀네비어 왕비는 진실한 연인으로 살았고 그 결과 좋
은 결말을 얻었다. (457)
But nowadays men cannot love seven night but they must have all their
desires. That love may not endure by reason; for where they be soon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81
accorded and hasty, heat soon cooleth. And right so fareth the love
nowadays, soon hot, soon cold-this is no stability. But the old love was not
so; for men and women could love together seven years, and no lecherous
lusts were betwext them, and then was love truth and faithfulness. And so in
like wise was used such love in King Arthur's days. Wherefore I liken love
nowadays unto summer and winter; for like as the one is cold and the other
is hot, so fareth love nowadays. And therefore all ye that be lovers, call unto
your remembrance the month of May, like as did Queen Guenivere; for whom
I make here a little mention, that while she lived she was a true lover, and
therefore she had a good end. (444)
이와 같이 맬러리는 이전 원전들과는 달리, 랜슬롯과 귀네비어 왕비의 사
랑을 군주이자 남편인 아서왕을 배반한 불륜의 사랑으로 보고 비난하기 보다
는 그들의 사랑을 진실한 사랑으로 규정지어 그들을 비난의 대상에서 제외시
키고자 했다. 또한 맬러리는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 귀네비어에게, 아
서왕이 죽은 후 알름스베리로 가서 죄를 회개하고 수녀가 됨으로써 종교에
귀의하여, 자기 자신뿐 아니라 랜슬롯 경과 다른 남은 기사들까지도 수도사가
되고 성직자가 되도록 이끄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그녀를 작품에 등장하는
그 어떤 인물보다도 신실한 믿음의 소유자로 그리고 있다. 그러므로 맬러리는
귀네비어가 맺고 있는 세속적 사랑보다는 그녀의 기독교적 신념, 즉 신에 대
한 사랑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그녀를 비난의 시선이 아닌 긍정적이고 우호적
인 시선으로 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즉, 맬러리는 작품 속에서 귀네비어
왕비를, 불륜의 사랑에 휘둘리는 연약한 여인의 모습보다는 왕비로서 사건들
을 판단하고 명령하고, 또한 자신의 기사들을 보호하고, 어린 기사들에게 기
사도 정신을 불어 넣어주는, 정치적, 사회적 파워를 가진 여성임과 동시에 종
교적으로 강한 믿음을 가지고 그 믿음을 다른 남성들에게 전하는 또 다른 리
더의 역할을 하는 여성으로 그리고 있다.
182 외국학연구 제18집
Ⅲ. 결론
아서왕 문학의 결정체로 꼽히는 맬러리의 『아서왕의 죽음』에서 기사 랜
슬롯과 귀네비어 왕비가 이루는 사랑의 관계는 궁정식 사랑의 공식을 잘 따
른 전형적인 기사와 귀부인 간의 관계이다. 그러나 군주의 아내와 기사 간의
이러한 사랑은 궁정식 사랑을 다루는 문학 세계에서는 용인될 수 있어도, 작
품 속 현실 세계에서는 이해될 수도 용인될 수도 없는 관계로 남는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맬러리의 『아서왕의 죽음』에서는 두 사람 간의 관계가 공공연
한 비밀로 등장인물들 사이에 잔류하며 묵인되고 축소된다. 랜슬롯과 귀네비
어 간의 불륜의 관계가 묵인되고 축소된 이유는 결국 작품 속에 내재하고 있
는 여러 정치적 관계에 기인한다. 우선, 두 사람 간의 관계의 폭로를 지연시
키고자 한 작품 속 남성등장인물들의 태도는 결국 그들이 두 사람의 개인적
사랑 관계 자체에 중요성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속한 남성 연대의
구축과 유지, 그리고 그 안에서의 정치적 힘겨루기라는 남성들의 의도 및 목
적의 결과이다. 그리고 중세시대의 왕비가 지녔던 정치적, 경제적 힘을 고려
할 때, 작품 속에서 귀네비어가 보여주는 왕비로서의 권위와 힘은 그녀와 랜
슬롯 간의 관계가 묵인된 또 다른 이유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서 랜슬롯과 귀네비어 간의 사랑은 남성 연대를 더욱
확고히 하고 그 안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공고히 하려는 남성들의 목적과, 그
러한 남성 중심적 구조 속에서 귀네비어의 왕비로서의 정치적 권위 및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매트릭스 안에 존재하고 있다. 작가인 맬러리 역시 두 사람
간의 사랑을 풀어감에 있어서 남성 연대에 중점을 두고자 함과 동시에 귀네
비어의 정치적, 종교적 역할에 힘을 실어 줌으로써 그들의 사랑이 지닌 다양
한 정치적 힘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작품 속에서 맬러리가 랜슬롯과 귀네
비어의 사랑에 부여한 이러한 복잡하고도 미묘한 힘의 역학 관계는 결국 중
세의 주요 담론이자 지배적 이데올로기였던 가부장제와 12세기 후반부터 두
드러진 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의 변화가 충돌하였던 당시의 시대적 모습
이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정치적 힘의 관계가 맞물려 있는 이러
한 매트릭스가 단지 중세의 사랑 문제에만 국한된 것은 아닐 것이다. 시대를
불문하고 여러 상황 속에서 다양한 방식과 매개체를 통해 매순간 재현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83
참 고 문 헌
김정희 「아더왕 신화의 형성과 해체(Ⅱ): 궁정식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고전
르네상스 영문학회?, 9권 2호, 2001.
이현주 「궁정식 사랑: 허구인가? 현실적 실체인가?」 ?한국고전르네상스
영문학회?, 11권 1호, 2002.
______ ?아서 왕의 죽음 1, 2? 나남출판사, 2009, 파주.
최예정 「여성과 왕국: ?아서왕의 죽음?의 귀네비어와 모르간 르 페이를 중심
으로」 ?중세르네상스 영문학회?, 19권 1호, 2011.
Archibald, E. 「Malory's Ideal of Fellowship」 ?The Review of English
Studies? 43(7), 311-328, 1992.
Barber, R. 「Chivalry and the Morte Darthur」 In D. S. Brewer(Ed.), ?A
Companion to Malory? Cambridge, 1996, Rochester: NY.
Burns, J. 「Courtly Love: Who Needs It? Recent Feminist Work in the
Medieval French Tradition」 ?Signs? 27(1), 23-57, 2001.
Cole, H. E. 「Forgiveness as Structure: ?The Book of Sir Lancelot and
Queen Guinevere? 」 ?The Chaucer review? 31, 1996.
Edwards, E. 「The Place of Women in the Morte Darthur」 In D.S.Brewer
(Ed) ?A Companion to Malory?, Cambridge, 1996, Rochester: NY.
Hill, S. J. 「Recovering Malory's Guenevere」 In L. J. Walters (Ed.) ?
Lancelot and Guinevere: A Casebook?, Routledge, 1996, London.
Hodges, K. 「Guinevere's Politics in Malory's Morte Darthur」 ?Journal of
English and Germanic philology? 104, 2005.
_______. 「Wounded Masculinity: Injury and Gender in Sir Thomas
Malory's Le Morte Darthur」 ?Studies in Philology? 106, 2009.
Jesmok, J. 「Reviews of Marriage, Adultery, and Inheritance in Malory's
Morte Darthur」 ?Arthuriana? 17, 2007.
_______.「Guiding Lights: Feminine Judgement and Wisdom in Malory's
Morte Darthur」 ?Arthuriana? 19, 2009.
Lee, Byung-Eun 「Heridity in the Morte Darthur」 ?중세르네상스 영문학회?,
11.2, 2003.
184 외국학연구 제18집
Malory, T. Le Morte Darthur. Ed. ?Helen Cooper?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New York.
McCracken, P. ?The Romance of Adultery: Queenship and Sexual
Transtgression in Old French Literatu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8, Philadelphia.
Saul, M. L. 「Courtly Love and Patriarchal Marriage Practice in Malory's
Le Morte Darthur」 ?Fifteenth century studies? 24, 1998.
맬러리의『아서왕의 죽음』에 나타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의 정치성 185
Abstract
The Politics of the Lancelot and Guenivere's
Love in Malory's Le Morte Darthur
Hye-kyung Kim
This study aims to analyz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portrayal of the
Sir Lancelot and Queen Guenivere's love in Malory's Le Morte Darthur.
Their love is following a typical form of the courtly love which contains
adulterous relationship between a knight and a lady. In this point of view,
Lancelot and Guenivere's adulterous relationship as a matter of individual
love could be acceptable. However, in Malory's work, their adulterous love
makes complicated political problems in the Arthurian society since the
divulgence of their relationship provides the most important cause for the
breakup of the Round table which is a symbol of the male-centered bond
in the Arthurian society, and finally the dissolution of the Arthurian
kingdom itself. on that ground, Lancelot and Guenivere's relationship
becomes one which can not be acceptable in the work. Ironically, however,
their adulterous relationship is tolerated and reduced by King Arthur who
is a husband of Guenivere, other male characters, and by Malory himself.
This essay argues that it is attributed to the political power game among
male characters including King Arthur and his knights and Guenivere's
political role as a queen. It also argues that Malory portraits Queen
Guenivere as not a lady who is just tied to a secular love, but as a
leader who has the political power and Christian faith.
Key-Words: 귀네비어(Guenivere), 랜슬롯(Lancelot), 아서왕(King Arthur),
맬러리(Malory), 궁정식 사랑(Courtly Love)
186 외국학연구 제18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