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풍경예술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장학적 접근/백 현 순.한체대



I. 들어가는 말
H 연구방법
III. ‘신명’의 본질적 의미
W 나오는말


I. 들어가는 말

지금까지 한국문화를 구성해 온 가장 오래된 문화로 그 생명력을 지켜
나가고 있는 문화는 무속일 것이다. 무속은 종교성과 함께 한국인의 의
식구조와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까지 전승해 오고 있다. 한
국춤 역시 한국의 무속에 뿌리를 두며 시대에 따른 변화가 있었지만 무
속의 정신문화적 토대를 이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춤에 내재
되어 있는 춤 철학이나 현상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려면 그 원 뿌리인
무속문화의 내용과 구조, 그리고 철학적 가치 등의 성격을 파악하여야
할 것인데 이것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적 방법은 무속의 종교적 행사인
굿의 현장을 조사õ-}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로 한국춤 연구에 있어서 굿
에 대한 연구는 7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학


10 우리춤 연구 <제 11 집 >


위 논문을 비롯하여 연구논문까지도 한국의 굿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
나 질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 온 것이다. 따라서 오늘 이 연구는 굿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굿판에 가면 신이 나는, 혹은 신바람이 부는 ‘선명’
이 오늘날 한국춤 속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 한국인의
정신문화의 뿌리라고 여겨지는 ‘신명’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을 내려 보고
자한것이다
지금까지 무속 속에서의 한국춤의 신명은 ‘한’과 함께, 혹은 ‘한’의 반
대개념이지만 서로 연관을 가지며 ‘맺고 어르고 풀고’ 하는 한국춤사위의
과정을 거쳐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굿에서 파생된 오늘의 한국춤이
아직도 굿속에 내재하고 있던 신명의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지 혹
은 한국춤이 변화 발전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개념으로 변질되어
한국춤의 또 다른 정서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
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한국춤이라는 용어는 한국전통춤을 비롯하여 민속, 창작
까지를 포함한 범위의 우리춤을 말하며 비록 이러한 한국춤 사위가 굿에
서 파생되었다고 하나 굿의 목적과 오늘날 추어지는 한국춤의 목적이 다
른 만큼 신명에 대한 의미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속적인 굿에 나타나는 신명에 대한 의미로 조동일은 ‘한’과 ‘선명’을
다같이 한국인의 정서로 보고 ‘신명’은 ‘한’과 맞물려 있으므로 ‘한’을 ‘한’
으로만 다루거나 ‘한’을 버리고 ‘신명 만 논하는 것을 적합지 않다고 하였
다. ‘한’은 ‘한’이고 ‘산병’은 ‘선명’이지만 ‘한’이 ‘선명’이고 ‘신명’이 ‘한’이
다. 한풀이가 선명풀이여서, 신명풀이를 해서 한풀이를 넘어선다 신명
풀이가 신명풀이 이기만 해서는 공연히 들뜨거나 할 수 있으므로 한풀이
에서 절실한 동기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공한다 한풀이가 한풀
이이기만 해서는 좌절과 자학에서 벗어날 수 없는 칠곡을 선명풀이에서
시원스럽게 풀어버리고 창조적인 비약을 이룩한다1)고 논하고 있다.


1) 조동일(1997). r 한국언의 신명, 선바람, 신명풀이 J , 민족문화연구 제 30집, pp.7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11


그러나 논자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한’과 ‘신명’이 우리 한국춤의 고
유한 정서임은 맞지만 ‘한’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혹은 ‘한’이 어
떻게 존재하는7r에 따라서 신명에 대한 개념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언가 맺혀있는 한을 풀어낼 때’, 즉 ‘원한이 쌓인 것을 갚아
나갈 때 신이나지 않는가?’ 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 고유의 인간성이라고
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논자는 “살풀이춤과 한의 철학적 해석 이라는 논문2) 에서 춤 속에서
‘한’을 표현할 때 분풀이 원수풀이처럼 ‘한’의 부정적인 속성보다는 한국
춤동작을 통한 ‘삭임’ 이라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한’의 질적인 변화가 이
루어진다고 언급하였다. 즉 한국춤을 통해 ‘맺힌 것을 풀어내는 것’ 보다
는 ‘맺힌 것을 속으로 삭여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을 해소하는 것이 한
국적 한의 고유성이라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신명’의 개념 역시 독
자적인 개념을 가진다고 보아지며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춤 속에서의 ‘신
명’이란 무엇인가가 연구의 관건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명’의 본질적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
을 시도하였다. 현상학이란 ‘의미의 현상에 대한 철학으로 메를로-폼띠는
‘인간 존재=인간 몸’으로 보면서 이 인간 폼을 중심으로 세계가 의미를
획득하게 되고, 역사가 의미를 획득하게 되고, 시간이나 공간이 의미를
획득하게 되고, 예술이나 문화가 의미를 획득하게 됨을 논구했다 3)
또한 메를로-풍띠는 “진정한 철학이란 세계를 보는 방법을 다시 배우
는 것이다’라고 지적한 뒤 그의 목표는 인간과 세계, 그리고 세계내 인
간(man-in-the-wor ld) 을 설존적 현상학의 맥락에서 재탐구하는 것4) 으로


72 참조.
2) 백현순(2009). r 살풀이춤과 한의 철학적 해석 J. 한국무용연구』 제 27권1호. pp
43-60 참조
3) 조광제 (2003). r주름진 작은 봄들로 된 봄: 몽 철학의 원리와 전개~ . 철학과 현실사,
p.61 참조
4) Maurice Merleau-Ponty( 1964). 돼e Primacy of Perception. ed. James M.
Edie. North-Westem University Press. p .47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12 우리춤 연구 【제 11 집]


신체적 존재로서 인간을 파악하는 작업을 매우 중요한 위치에 두었다.
현상학적 연구는 현^J-에 대한 새로운 개념파악을 위한 연구방법론으로
경우에 따라 1 인을 대상으로 집중연구하기도 하는데 그들이 직접 움직
이는 신체에 대한 경험적 탐색을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춤을 전공한 무용수들이 직접 몽으로 체득하여 느끼는 ‘신명’
에 대해 현상학적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신명’의 본질적 의미를 구명
해 보고자 한다. 이들은 굿의 의미를 상실한 오늘날 무대에서 추어지는
공연예술로서의 한국춤을 배우고 익힌 실연자로서 이들이 느끼는 선명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등}는 것이다.


II.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춤을 전공한 무용수 1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
한 개개인의 체험적 의미를 기술하여 ‘신명’의 본질적 의미를 찾고자 질
적 연구방법 (qualitative research methode) 중 하나인 현상학적 방법
(phenomenological methode) 을 적용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특정현상에
대한 생생한 개인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기술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았
으며 이러한 연구유형은 여러 개인이 경험한 현상의 의미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현상학적 연구는 전통적으로 어떠한 현상을 경험한 여
러 명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주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다.
본 연구는 개인 대 개인의 형태로 개방형 면담을 채택하였으며 현상학
적 방법의 분석은 무스타차스(Moustakas) 가 발전시킨 접근방법을 사용하
였다. 연구절차는 조흥식 5) 등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의해 현상에 대한 개
5)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Creswell. J.w. 著(2005). ~질적 연구방법론r
다섯 가찌전통:!I. 서울. 도서출판 학지사 원전: 따181itative Inquiry and Re
search L농'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13
인의 경험에 대한 진술 중 의미있는 진술을 나열한 뒤 의미단위로 분류하
고 조직하여 상상적 변형, 또는 구조적 기술(imaginative variation or
structural description) 을 사용하여 있을 수 있는 모든 의미와 다양한 관
점들을 찾고 현상에 대한 준거틀을 다양화하며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는지
를 기술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기본 전략은 연구문제률 개개인의 자각, 의미, 행동,
상황의 이해 동을 체험적 과정에 의해 접근하게 되므로 질적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나 이러한 질적 체험은 주관적이고 개인적이
라 할 수 있으며 연구의 결과들은 계량적 분석의 접근방법으로는 확연히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절차를 통한 현상학적
연구는 특정현상에 대한 개인의 생생한 개인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기
술하는 방법인 것이다 6)
특히 한국춤과 신명에 대한 관계는 한국춤을 추어본 사람의 신명경험
을 통해 신명이 무엇인지를 체험할 수 있다고 보며 이러한 체험의 의미
를 통해 하나의 본질적 개념을 추론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면담방법으로 무용을 전공한
연구참여자에게 먼저 질문지를 보내 답변을 받았으며 그 후 비공식적 면
담을실시하였다.
질문 유형은 ‘신명’과 관련된 경험이나 행동, 의견이나 감정, 느낌 등
을 질문하였으며 또한 한국춤과의 관련성을 질문하였다. 질문내용은 @
@문항은 성별과 무용경력을 @문항은 신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하는 의견을 물었고 @X5XQ)문항은 경험이나 행동을 통해 본 신명과 한국
춤과의 관계를 물었으며 (t@문항은 한국춤을 추면서 느꼈던 신명에 대
한 느낌이나 감정 등을 서술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후 면담을 실시하
였는데 면담 역사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개방성과 면담의 목적을 모두
6) 육정학(2009) , r영화〈우꿔 생애 최고의 순간〉의 현상학적 접근을통한표현적 의미
고찰J ,영화연구』 제 38호, p.14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14 우리춤 연구 <제 11 집 ]
지켜나가는 균형 있는 질문을 하였으며 각 면담간의 내적 일치도를 높혀
자료의 선뢰성을 증가하였다.
1) 연구참여자
연구참여자는 무용경력 최소 3년에서 25년까지의 남녀를 포함하여
15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참여자의 인적사항은 〈표 1>과 같다.
연구효뼈자 성 흐렉및직업 효택춤경력
A 여 대학생 4년
B 여 대학생 6년
C 여 대학원졸/강사 10년
D 여 대학생 3년
E 여 대학원졸/강사 17년
F 여 전문무용수 10년
G 여 대학원졸/강사 25년
H 여 대학생 12년
여 대학원졸/강사 24년
J 여 대학생 8년
K 여 대학생 7년
L 남 대학생 5년
M 남 대학생 3년
N 여 대학생 7년
O 남 대학생 3년
〈표 1) 연구참여자의 인적사항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15
2) 조사방법
본 연구는 연구의 특성상 질문지를 통한 기초자료를 제공받은 뒤 이를
토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질문지는 ‘신명’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반
응이 질문지 문항 자체 속에 내재될 수 있는 요구적 특성 (demand
characteristic) 을 배제하고 응답의 유형, 성격 및 범주를 제한하지 않기
위해 철저하게 개방적 질문(open-ended questions) 을 사용하였다. 따라
서 어떤 응답이 나올지는 조사의 실시 전에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자유발
상(free elicitation) 상황에서 자료를 제공 받았다. 정보를 얻어내기 위한
기초질문은 총8개 항의 질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에게 성별
및 연령, 무용경력, 직업 등 개인적 배경을 중심으로 구성된 질문지와
동의서를 함께 작성하도록 하였다.
면담의 형식은 개인 대 개인의 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심층변담은 ‘신
명’에 관한 간단한 질문으로 한국춤을 추면서 느끼는 개인의 ‘신명’ 경험
에 대해 질문을 갚이 있게 하여 연구참여자가 직접 체험한 ‘신명’을 발견
하고자 하였으며 변담은 2009년 11 월 15 일부터 2009년 11 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면접 회수는 2-3회에 걸쳐 이루어 졌고 변접 시간은 대략 1
시간에서 2시간 정도로 진행되었으며, 면접 장소는 녹취가 가능한 장소
에서 이루어졌다.
면담구조는 비구조화된 면담(unstructured interview) 을 사용하였고
연구참여자는 면접자의 최소한의 지시를 받고 자신의 경험을 진술하고,
자기에게 의미 있어 보이는 느낌을 기술하며, 자신의 상황에서 자기 나
름대로 ‘신명’의 개념을 규정하여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자신의 견해나 태
도를 밝힐 수 있다. 이러한 면담에서 얻은 자료는 다시 각종 문헌과 논
문에서 제시되어진 이론을 통해 구체화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체험적 인식
에서 제시된 면담자료를 뒷받침하였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16 우리춤 연구 <제 11 집 3
3) 자료분석 및 자료의 신뢰도 검토
본 연구의 자료는 심층면접으로 수집된 녹음자료를 체계적으로 전사
( transcription) 한 후 연구 참여자에게 피드백을 받았으며 연구자는 이러
한 자료를 내용분석에 의거하여 각각의 범위로 분류하여 범주화하고 서로
관련이 있는 패턴을 찾아 체계화한 후 종합화 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패튼(Patton. 1990) 7) 과 구바(Lincoln
& Guba. 1985)8) 의 질적 조사 결과 진실성 ( trustworthiness) 강화전략을
사용하였고 이후 세분화된 자료를 재조직하여 새로운 개념이나 범주 또는
의미를 생성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III. ‘신명’ 으| 본질적 의미
1) 흥
〈손을 들면 흥이요 발을 들변 멋이라-우리춤꾼 김천흥〉 이라는 말
은 춤꾼의 삶을 다룬 책 표지로 인간문화재 김천홍의 춤을 일컬어 한 말
이다. 또한 우리 조상의 문화와 전통을 재미있게 표현한 시 그림책『우리
나라 바로 알기』시리즈 제 2권에 보면 《저절로 홍이 난다〉 라는 표지가
있다. <저절로 흥이 난다〉는 우리 조상들의 민속놀이를 재미있게 표현한
시 그림책으로 우리 조상들의 전통 민속놀이인 탈춤, 사물놀이부터 민속
놀이인 공기놀이, 줄넘기까지의 놀이를 할 때 우리는 저절로 흥이 난다
7) Patton. M. QJ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Newbury Park CA: Sage.
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walistic Inq띠IY. Bevely Hills.
CA: Sage.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17
는것이다.
이렇듯 홍이란 놀이나 춤을 출 때 무엇인가 저절로 일어나는 즐거움
을 말하는 것으로 사전에 보면 ‘신이 나거나 감탄할 때 내는 콧소리’. 혹
은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 등을 말하는 것으로 되어 있
다. ‘신명’의 사전적 의미 역시 ‘흥겨운 신과 멋’으로 ‘신명’은 어햇든 흥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무용에 있어 신명이란 흥겨운 신이나 멋이라고 정의 되어 있듯 무용
에서의 신명은 무용의 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흥이라는 것은 무용을 보여
주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이나 같이 재미있고 어깨가 들썩거려, 보는 사람이
나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하나가 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그냥
내가 생각하는 신명은 재미있는 것 하는 사람은 힘들겠지만 그 안에서 재
미를 느끼고 보는 사람도 지루하지 않고 춤추는 사람을 보면서 재미있고 흥
이 나서 무대에 같이 올라가고 싶다고 느낄 수 있는 거 ...... 그런 것 이라 생
각합니다. (LYM)
생각보다 몸이 먼저 선이 나서 몸이 절로 흥겨워 하는 것 ...... 한국민속춤
에 많이 들어 있다는 생각 이예요. 민속춤 특히 저는 진도북춤을 출 때 신명
을 느끼는데 한국춤 중에는 어깨춤을 출 때나 악기를 다룰 때 우선 홍이 나
므로 그것이 신명이라고 생각해요. (KBK)
제가 생각하는 신명은 자연스럽게 홍이 나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PDW)
요즘은 창작품형태의 작품들이 많이 공연되어 지기는 하지만 ‘신명’을 느
낄 수 있는 것은 전통춤에서 배가 되어 느껴집니다. 예를 들어 신풀이를 출
때 느껴지는 ‘한’의 정서나 ‘농악’이나 ‘장고춤’ 등의 타악이 들어간 춤에서 느
껴지는 ‘흥’이 신명의 한 표현이라 보여 집니다. (JDW)
신명이란 개인이 느끼는 흥이라고 생각된다. 그냥 보고만 있어도 즐겁고
듣고만 있어도 어깨가 들썩이는 그런 느낌 ...... (JHJ)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18 우리춤 연구 [제 11 집]
잘은 모르겠지만 내가 생각히는 신병은 신이 나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기분’이 아닌가싶다. 많은춤을춰 보진 않았지만내가직접 춤을출때 조
금은 힘이 들지만 빠르고 경쾌한 음악이나 장맨 즐기면서 임했을 때 신명
이라고 꼭 단정하긴 그렇지만 지신도 모르게 홍을 느끼고 ...... 그런 신명의
느낌을 받았던 것 같다. (PSH)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신명의 개념적 의미를 홍으로 대치시켜 파
악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한국춤 정서를 말할 때 ‘신명’은 ‘한’과 맞물
려 있다고 생각하고 맺힌 한을 풀 때 신명이 난다라는 대립적, 상반적
의미를 나타내었지만 이번 연구참여자들은 신명과 같은 개념으로 흥을
많이 느꼈고 몸에서 저절로 일어나는 흥겨움, 즐거움, 즐거운 기분 등의
감정을 ‘신명’으로 표출하였다. 그리고 한국춤에서의 선명은 춤사위 중
유독 어깨를 들썩거린다든가 어깨를 우중거리는 것으로 어깨춤을 ‘선명’
의 징후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신명 을 기존의 개념처 럼 ‘한‘을 풀 때 발
산되는 느낌으로 생각하는 연구참여자도 있었지만(2 명) 그 외 대부분03
명)의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춤에서의 ‘신명’과 ‘흥’을 일체된 감정으로 느
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열규9) 역시 ‘신명’의 의미 속에는 놀이의 흥겨움이 내재하고 었다고
보았으며 이논 신명의 사회적 속성을 나타내준다고 말하고 있다. 놀이는
억제,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즐거움과 충만함, 기쁨으로 가득 차게 한다.
이것이 선명의 원동력이 된다고 함으로써 ‘선명’이 즐거움이나 충만함,
기쁨 등을 포함하는 흥으로 발산됨을 언급하였고, 조동일 10) 은 최한기의
기철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사람의 기 가운데 흥으로 발현되는 것을 신명
이라 하고 이때의 선은 귀신이 아니라 정신으로 봄이 옳을 것이라고 하
였다
한국춤의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한국춤이 굿에서 나왔음을 알 수 있
9) 김열규(1 985).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7b. 자유문학사. p.63 참조-
10) 조동일(1997). ~카타르시스, 리사, 신명풀이~ . 지식산업사. p.105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19
으며 굿이야말로 한국인의 일상적 삶이 녹아있는 놀이요 근원적 예술임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춤을 직접 폼으로 추면서 느끼는 ‘선명’을 놀
이 속에서의 흥으로 표현하거나 한국춤 동작속에서의 홍으로 표현함은
같은 맥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밀양 백중놀이 예능 보유자인 하용부는
“신명은 그냥 흥이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느낌이다 선명은 자신의 틀
안에서 노는 것이 아니고 틀 밖에서 노는 것이다 언제든지 변화시킬 수
있는 자신의 흥이 바로 신명이다’ 11) 라고 춤을 추면서 느끼는 선명의 감
정을 말함으로써 흥과 신명이 별 차이없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김헌선 12) 에 의하면 홍이라는 말이 집단적인 차원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
는다고 한다. 홍풀이는 개인적인 차원일 뿐 집단적인 차원으로 보기는
어렵고 따라서 흥은 실제의 용례로 볼 때 개인적 신명풀이와 겹쳐진다고
해도 괜찮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연구참여자들이 몸으로 느끼는 신명
은 개인적인 즐거움, 재미 등의 정서를 홍으로 현상한 것으로 신명과 같
은 개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2) 멋
한국인의 정서로 ‘한’과 더불어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이 ‘멋’이다. 한
국춤에 있어서도 ‘멋’은 중요한 미감을 가진 춤의 정서로 춤을 출 때 ‘멋
있게, 멋있게’라는 말로 강조한다. 앞의 《손을 들면 홍이요 발을 들면
멋이라》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흥과 멋은 함께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신명’과 ‘멋’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조통일에 의하면 ‘멋’은 ‘한’보다 긍정적인 개념이어서 환영할 만하다.
‘한’ 타령은 그만 두어도 ‘멋. 타령은 그만 두어야 할 이유가 없다. 그런데
11) 한앨챙 (2000), r 민속예술을 통해 본 산병풀이의 존재양상과 성격 J ,비교민속학』
22집, p.292 참조
12) 김헌선 (2001) , ~한국예술의 미학적 범주, 성콕논총 32~ , 성독학솔문화재단, p.86
87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20 우리춤 연구 【제 11 집 3
‘한’ 과 ‘멋’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 승}는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한’타령을 그만둘 수 있고, ‘멋’이 지닌 특징과 의의를 좀 더 명
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멋이란 한국인이 살아온 삶 전체에 관한
말은 아니다 예술창작을 하거나 여가생활을 하는 등의 ‘멋’을 찾았다고
하자, 일을 할 때에는 어떻게 했는가? 이런 문제가 다시 제기된다13) 라
며 놀이 속에서의 ‘멋’과 ‘신명’의 관계를 언급하였다. 즉 신명이 일의 영
역이 아년 놀이의 영역에서 가시적인 형태로 표출된 것을 ‘멋’으로 규정
한것이다.
춤을 출 때 느껴지는 흥과 한, 멋의 표현, 작품에 몰입되어졌을 때 느껴질
수 있는 것으로 특히나 한국춤의 정서에서 표출되어진 상태로써 무아경이라
고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PSA)
신명이란 선체를 움직임에 있어서의 최고의 정점으로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춤을 추면서 느끼는 만감의 교차, 즉 희노애략이 아닐까? 춤을 추
면서 내면의 잠재된 감정을 끌어내었을 때 오는 것이 신명이라 생각한다. 운
동선수가 자신의 기량을 좀 더 올렸을 때 오는 것이 성취감이라면 무용수가
자신의 신체를 움직여서 내재된 잠재의식을 끌어내는 것이야말로 신명이다
하여 예술적인 가치로 인정받는 것이 아닐까? 그 신명이 기쁨일 수 있고, 슬
픔일 수 있고 분노일 수도 있고 사랑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에 따
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 그래서 신명은 저마다의 느낌을 갖는 멋이라고
생각한다 (PJM)
신명이란 ...... 춤을 추면서 느껴지는 흥과 멋을 펼}는 것 같다. 의도하거
나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끌어져 나오는 흥, 한, 멋 ...... 을
선명이라 생각한다. (KJH)
신명이 무엇일까라는 명증적 체험을 통해 표현되는 무용수의 경험은
13) 조통일(1 997) , r 한국인의 신명, 신바람, 신명풀이 J ,민족문화연구』 제 30집, p.
69-70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21
‘신명’이 대체로 춤으로의 몰입의 과정속에 느껴지는 혹은 춤을 통한 최
고의 정점에서 느끼는 감정으로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그때의 느
낌을 한국춤의 ‘멋’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누군가가 어떤 일
에 몰입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멋있다’ 라고 느끼는 것
처럼 춤이라는 장르의 영역에 몰입했을 때 느끼는 여러 가지의 감정을
신명이고 ‘멋’이라고 느끼는 것이다. 조동일 역시 열심히 무엇인가를 한
다는 것은 신명이 있어야 열심히 볼두할 수 있는 것임으로 신명을 갖고
열심히 춤출 때 그것이 멋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3) 호홉의 일체감
신명은 한자로 神明으로 동양종교에서 하늘과 땅의 신령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제의에서 ‘천지신명께 비나이다 고 함과 같이 하늘과 땅의
초자연적인 신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명이란 일반적으로
소박한 선 관념을 통칭한 용어이며 동양에서 공통된 용어 14) 로 보여진
다. 그러나 한국춤을 전공한 무용수들의 몸체험을 통해 본 신명은 신명
이 신이나 선령스러운 인간의 힘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춤을 출 때 숨을
들이 쉬고 내 쉬는 호흡의 일체감에서 신명을 느낀다고 진술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신명연구를 보면 김열규는 신령과 인간의 일체감이 불러일으
키는 영적인, 감정적인 상태를 신명이라고 하였고 채희완은 접신을 통한
신비체험, 신령과의 일체감, 굴절되고 억압된 생명력을 한꺼번에 풀어헤
쳐 돋우는 창조적 체험을 신명으로 보았다15)
장하나는 그의 연구논문에서 ‘미치려는 의식과 푸는 의식’을 신명의 2
가지특성으로 제시하였는데 미치려는 의식은 현상학적으로 자기의 모든
의식을 하나로 쏟아 넣는 의식의 현행을 뜻하며, 신이 내릴 수 있게 자
14) 류병덕 (1974) , r한국신홍종교J , 원광대종교문제연구소, p.94 참조.
15) 한뺑 (2000) , r 민속예술을 통해 본 신명풀이의 존재양상과 성격 J ,비교민속학J
22집 , p.280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22 우리춤 연구 【제 11 집 1
신의 의식을 전부 부어 넣는 것을 말한다. 이는 대상에의 몰입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푸는 위식은 몰입이후에 일어나는 ‘대상에의 용해’라는 특
징을 안고 있는 것으로 강신한 신과 홍용일체 하는 의식의 지향적인 체
험이다16) 라고 서술하고 있다.
주로 전통춤을 출 때 많이 느껴지는데 빠른 장뺀1 맞춰 흥을 느낄 때나
진양조나 굿거리 등의 느린 가빽1서 많은 움직임이 없이 호홉을 머금고 몸
을 어룰 때, 나도 모르게 빠져드는 상태를 느꼈을 때 그것이 신명이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8따1)
신명이란 춤을 출 때 느끼는 몰입에서부터 출발한다. 춤을 출 때 호흡과
벅이 일치를 하고 그 일치가 리듬을 만들어 고조되는 감정을 이끌어 낼 때
몰아의 감정을 갖게 된다. 이 때 때로는 흥으로 신나게 때로는 격정적인 감
정의 일탈을 경험한다. 이때의 감정을 신명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신명의 상
태일 때 나는 내 이상의 능력을 갖는다. 좀 더 빠랙l 혹은 더 높은 점프와
다양한 리듬 등을 펼친다. 이러한 나의 신병은 호흡에 있는 것 같다. 가장
기본적인 숨의 들이쉽과 내쉽은 나에게 리듬을 만든다. 이때 나의 호흡과 음
악의 리듬이 만들어 내는 호흡의 일체는 소스라치는 신체의 전율을 만들어
낸다 또한 나의 신체의 열림과 닫힘이 극한으후 갈 때 나는 고른 호홉의 주
기를 갖는다.(KKH)
사전적 의미의 신명은 흥겨운 선이나 멋이라고 풀이한다. 제가 생각하는
신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뒤어지는데 ...... 타인을 보면서 본인이 느끼는 선
명과 본인이 직접 느끼는 신명 ! 예를 들어 무대 위의 무용수를 보면서 관객
이 절로 흥이나 장댄l 맞추어 박수를 치는 ...... 군무를 할 경우 서로 다른
무용수들이 하나의 호흡으로 일치되는 순간처럼 타인을 보면서 본인이 느끼
는 신명 !! 무용수 본인이 극중 인물과 일치되는 순간! 극장의 분위기가 너무
좋아 무용수 본인이 무대에서 완전한 집중이나 몰입을 느낀 순간! 무용수 본
인의 성취감 혹은 편안함?? 등 ...... 무대위에서 무용수 본인이 직접 느끼는
16) 징하나(2007). r 양주별산돼놀이에 내재된 신명에 관한연구J , 이회여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 lO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23
신명이 있을 것입니다. 선명이 언제 느껴질까? 하고 여러 경우를 생각하면
서 적어봤지만 ...... 창피하게도 저는 무대위에서 항상 긴장하는 편이라 。F직
선명을 느껴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KJH)
신명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 이 없는 것 같다. 춤을 춘지 20
년이 지났는데도 신명이 무엇일까 생각하면서 춤을 추어본 적이 없는 것 같
다. 그러나 지난 시간 춤에서의 경험을 되짚어 보면 사전적 의미의 신명과
춤꾼으로서 느끼는 나의 신명은 조금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무엇을 풀어준
다는 감정을 느끼기보다는 오히려 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미묘 복잡한 감정
을 더 많이 느끼면서 춤을 추었는데 ...... 호흡은 늘 염두에 두었던 것이다.
굳이 선명을 말하라면 춤을 출 때 보다는 끝내고 나서 오는 허탈감과 함께
느껴지는 긴 호흡의 희열이랄까? ..... 즉 공허한 느낌 반면에 갖는 안도감,
희열 ...... 이런 마음들이 신명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나의 경험에 의하면
이런 기분이 신명이지 않을까 히는 생각을 갖고 있다(LJG)
위 연구 참여자들은 신명을 하나의 일체감에서 느낀다고 했다. 나도
모르게 춤에 빠져드는 상태, 감정의 일탈, 몰아의 경험, 무대 위에서 집
중이나 몰입 등 ...... 그러나 그러한 일체감의 느낌을 한국춤의 호흡에서
느껴진다고 진술하고 있다. 호흡은 춤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호흡과
춤동작이 일치가 되었을 때 점프나 도는 동작 혹은 뛰는 동작 등의 최고
의 기량을 펼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 무속이나 민속
예술로서의 신명의 본질적 개넘을 접신의 상태 혹은 신령과의 일체감이
라고 한 의미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된다 ‘신명’이 ‘한’과 더불
어 ‘맺고 푸는 것’이라는 혹은 ‘맺힌 것을 풀어내는 것’ 이라는 통속적 개
념이 지금 한국춤을 전공하고 있는 무용수들에게는 ‘맺고 푸는 것’ 과는
전혀 상관없이 자신의 호흡의 일치감으로 최고의 기량을 펼칠 때 신명이
발현된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호흡도 자신의 신체리듬인 호
흡. 군무일 경우 여러 다른 무용수와의 호흡, 더 나아가 춤을 보고 있는
관객과의 호흡이 맞아 떨어 졌을 때 느껴지는 감정을 ‘선명’으로 표현했
음을알수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24 우리춤 연구 <제 11 집 I
IV. 나오는말
지금까지 ‘신명’에 관한 연구는 김열규17) 이래 채희완18) 황정희 19)
오율자20) 조동일2 1l 이성천22) 김원호23) 한양명 24) 허원기 25) 김
헌선26) 장하나27)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었다 전통 굿을 대상으로 하거
나 한국춤을 대상으로 혹은 탈춤이나 풍물, 판소리, 심지어 축제를 대상
으로 까지 한국인의 신명에 관해 연구가 이루어 졌다. 그 결과 신명이라
는 개념과 본질, 신명의 풀이과정과 신명의 다양한 면모 등 전반적인 조
망은 밝혀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신명’은 한국인의 대표적인 정서라 불
리우는 ‘한’과 함께 예술표현에 있어서 중요한 표현의미를 지니므로 몇
번의 연구로 끝날 일은 아니라고 보며 또한 그러한 정서적 개념이 시대
에 따라 변할 수 있음으로 꾸준히 연구됨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신명에 관한 의미를 염두에 두고 ‘그렇다면
한국춤을 전공하는 무용수들이 직접 느끼는 ’선명‘은 어떠한 차이점이 있
는가 등}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현상학적 체험 연구를 시작하였고 그 결
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신명은 흥이다. 신명이 흥이라고 느끼는 무용수들은 신명자체를
17) 김열규(1982). w한국언의 신명~ . 주류.
18) 채희완(1985). w공동제의 춤, 신명의 춤J. 한길사.
19) 황정희 (1992). r 한국춤에 나타난한과신명에 관한연구J. 경남대학교대학원석사
학위논문
20) 오율자(1994). r춤에서의 신명체험에 대한 연구J.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조동일(1 997). r 한국인의 신명, 신바람, 신명풀이 J. 민족문화연구』 제 30집.
(1997). w카타르시스, 리사, 신병풀이~ . 지식산업사.
22) 이성천 (1997). r한국, 한국인, 한국음악~, 풍남.
23) 김원호(1999) , r풍물굿 연구J. 학민사
24) 한양명 (1999) , 전게서 참조-
--• (2000) , 전게서 참조.
25) 허원기 (200 1), r판소리의 신명풀이미학J , 빅이정.
26) 김헌선 (200 1) , 전게서 참조.
27) 조L하나(2007). 전게서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25
어떤 놀이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재미있는 것, 신나는 것, 즐거운 것 등
으로 느끼고 있다. 그러나 신명과 홍이 다름을 논한 연구를 보면 흥이
신명의 앞 단계로 존재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집단속에서의 흥은 곧잘 동적으로 변화한다. 홀로 있을 때 흥은 개별
적이고 정적이기 십상이지만 집단 속에서 흥은 동적으로 변하면서 신명
풀이의 정점을 향해 나아간다 이렇게 본다면 재미와 흥은 집단의 신명
풀이가 절정에 도달하기 이전에 각자가 체험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발생
과 움직임은 신명이 나는 단계와 상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28)
라고 함으로써 홍이 신명의 앞 단계로 존재함을 서술하고 있다. 모여든
사람이 누구든지 군무에 참여해 “ 3, 4시간 기(氣)가 진(盡)하도록 난무
(亂舞)하여 홍이 하강할 때쯤 되면 후편인 가면무극으로 넘어간다’'29) 고
한 말이나, 재미를 신명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보는 견해는 타당하다고
한 말30) 그리고 김헌선이 흥과 신명의 차이가 개인성과 집단성에 있음
을 논한 점 3 1) 등을 볼 때, 결국 이들의 논문은 흥은 신명으로 가기위한
전단계이지만 개인이 느끼는 것이냐 혹은 집단이 느끼는 것이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본 것이다. 즉 개인이 느끼는 흥은 선명이고 집단이
느끼는 흥은 선명의 전 단계라고 보았는데,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춤 참여의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현상한 것임으로 ‘흥’이 바로 ‘신
명’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본다. 또한 한국춤 자체를 선나는 한바탕 놀이
로 생각하며 춤을 춤으로써 우리춤의 ‘신명’이 바로 ‘흥’이라는 본질적 개
념을 갖는 것이 아년가 하는 생각이다. 왜냐하면 한국춤 속에 신명이 있
다고 생각하는 춤 대부분을 연구 참여자들은 민속춤이나 사물 등의 악기
를 들고 하는 한국춤을 꼽았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춤 속의 ‘신명’의 본
28) 한$변 (2000), 전게서, p.293 참조
29) 강용권 (1997) , r야류, 오광대~ , 형셜출판사, p.38 참조.
30) 정경수(2000) , r실제와은유의 재미론: 놀이의 메타민속지 J ,문화시대의 문화학~ ,
일지사, p.147 참조.
31) 김헌선. 전게서, p.86 참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26 우리춤 연구 【제 11 집]
질적 의미는 개인적 체혐의 ‘흥’ 인 것이다.
둘째, 신명은 멋이다. 연구 참여자들이 느끼는 ‘선명’은 ‘흥’이요‘ 멋’이
다. ‘흥’이 나야 춤을 추고 ‘흥’이 나야 노래를 한다. 그것도 ‘흥’이 나야
‘멋’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선’나게 노는 것도 ‘홍’ 이 나야 하고‘ 신’나
게 일 하는 것도 ‘홍’이 나야 õ}는 것이라면, 신명은 놀이의 개념뿐만 아
니라 일 이라는 노동의 개념에서도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의 ‘멋’
역사 집중했을 때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 참여자
들은 개개인이 느끼는 신명은 차이가 있다고 했다. 그리고 신명은 어디
서나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기쁨일 수 있고, 슬픔일 수 있고 분노일 수
도 있고 사랑일 수도 있다는 저마다의 느낌이라면, 그것이 바로 멋인 것
이다. 우리말에 ‘제멋대로’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이무 대책없이 자기
멋대로 일을 해서 그르친다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자기의 ‘멋’대로,
즉 자기의 ‘신명’대로 한다는 의미도 있는 것이다.
셋째, 신명은 호흡의 일치감이다. 어느 춤이나 마찬가지지만 한국춤에
있어서 호흡은 중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신명’의 본질적 개념을 ‘신’
이라는 주술종교적인 활동의 시원적 모습에서 모색하였지만. 연구참여자
들의 ‘신명’에 대한 인식은 춤을 출 때 숨을 들이 쉬고 내 쉬는 호흡의
일체감에서 신명을 느낀다고 진술하고 있다. 호흡과 춤동작이 일치가 되
었을 때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고 그때 느끼는 감정이 신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호흡의 일체감은 집중이나 몰입을 통해서 가능하
고 호흡도 자신의 신체리듬인 호흡. 군무일 경우 여러 다른 무용수와의
호흡, 더 나아가 춤을 보고 있는 관객과의 호흡이 맞아 떨어 졌을 때 느
껴지는 감정 역시 ‘신명’의 정서로 표현했다.
이상의 연구결괴를 보면 ‘신명’은 다양한 개념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을 알 수 있었고 신명의 체험 역시 제각각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본 한국춤에서의 ‘신명’의 본질이 ‘홍’과 ‘멋’ 그리고‘
호흡의 일체감’ 이라면 이러한 요소를 어떻게 발현 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27
구도 필요하고 더 갚이 있는 지속적인 연구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신명’
의 본질적 개념의 변화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펼요하다고 본다*
* 논문투고일자 : 2010. 2. 28. / 심사일자 : 3. 11. / 심사완료일자 : 3. 2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28 우리춤 연구 【제 11 집 j
l 참고문헌
강용권(1 977). ~야류, 오광대~ . 형설출판사.
김열규(1 982). ~한국언의 신명~ . 주류
••(1 985). ~한국언 우뭐는 누구인깨, 자유문학사
김원호(1 999). ~풍물굿 연구] . 학민사,
김헌선 (200 1). ~한국예술의 미학적 범주, 성곡논총 32~. 성곡학술문화재단.
류병덕(1974). ~한국신홍종교J. 원광대종교문제연구소.
백현순(2009). r 살풀이춤과 한의 철학적 해석J. 한국무용연구3 제27권1호.
오율자(1994). r춤에서의 신명체험에 대한 연구J.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육정학(2009). r 영화〈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의 현상학적 접근을통한표현적 의미고찰J. 영
화연구』 제38호
이성천(1 997). ~한국, 한국인, 한국음악:J. 풍남
징P하나(2007). r 양주별산대 놀이에 내재된 신명에 관한 연구J. 이회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경수(2000). r실제와 은유의 재미론· 놀이의 메타민속지」, 『문화시대의 문화학~ .일지사
조광제 (2003). ~주름진 작은 봄틀로 된 몸· 몸 철학의 원리와 전개J. 철학과 현실사.
조통일 (1997). r 한국언의 신명, 신바람, 신명풀이 J. 민족문화연구미 제30집.
(1997). 덩따르시스, 라사, 선명풀이~ . 지식산엽사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α‘eswell. J.w. 著(2005). ~질적 연구방법촌다섯 가
지전통~ . 서울. 도서출판 학지사. 원전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채희완(1985). ~공동체의 춤, 선명의 춤~ . 한길사
한양정(1999). ~하회탈과 하회탈춤의 미학~ . 사계절.
(2000). r민속예술을 통해 본 신명풀이의 존재%빵과 성격 J. 비교민속학~ 22집
허원기 (2001). r판소리의 신명풀이미학~ . 벅이정.
황정희(1992). r 한국춤에 나타난 한과 신명에 관한 연구J. 경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Iincoln. Y. S & Guba. E. G. (1985). 1냉tura1istic InquiTY. Bevely Hills. CA: Sage
Ma따ice Merleau-Ponty(1964). πle Primacy of Perception. ed. James M. Edie.
North-Westem University Press.
Patton. M. Q. (1990). Qua1itative Eva1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Newbury Park CA: Sage.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쌍학적 접근 29
한국춤의 신명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백현순
본 연구는 한국춤을 전공한 무용수들이 직접 폼으로 체득히여 느끼는 ‘신명’에 대해
현상학적 의미를 고찰하여 ‘신명 의 본질적 의미를 구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국춤을 전공한 무용수 1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개개인의 체
험적 의미를 기술하여 ‘신명의 본질적 의미를 찾고자 질적연구방법 (qualitative
research methode) 중 하나인 현상학적 방법 (phenomenological methode)을 적
용하였으며 개방형 면담을 채택하여 ‘신명 에 관한 모든 의미와 다양한 관점들의 본질
적 개념을추론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면담방법으로 무용을 전공한 연구침여자에게
먼저 질문지를 보내 답변을 받았으며 그 후 비공식적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
음과같다
첫째, 선명은 흥이다. 신명이 흥이라고 느끼는 무용수들은 신명자체를 어떤 놀이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재미있는 것, 신나는 것, 즐거운 것 등으로 느끼고 있다
둘째, 신명은 멋이다 연구 참여지들은 개개인이 느끼는 신명에는 차이가 있으며
그 신명은 기쁨일 수도, 슬픔일 수도 분노일 수도 사랑일 수도 있다는 저마다의 느낌
을 갖으며 그것이 바로 멋으로 발현된다는 것이다
셋째, 신명은 호흡의 일치감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신명’에 대한 인식은 춤을 출 때
숨을 들이 쉬고 내 쉬는 호흡의 일처l김에서 신명을 느낀다고 진술하고 있다. 호흡과
춤동작이 일치가 되었음 때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고 그때 느끼는 감정이 신명이
라논것이다.
l 주제어 : 한국춤, 선명, 현상학적 의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9:52 AM
www.earticle.net
30 우리춤 연구 i 제 11 집]
l 샤 )"tIι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Sinmyung’ of Korean Dance
j n m
] n

R r k H
u
This 때cle 때ns to exarnine 빡nomenological rne뻐ing of ‘Sinr띠ung’ φncersg앉 by
theIIlSelves 없ld investigate its essenti려 signifìcance.
The research rnethods are as follow;:
First, description of experiξntial sense of 15 φncers rnajoring in Kor,얹n 따nce.
Seco떠, 야ljJlication of 빡nornenological rnethcd (one of 맹alitative rnecl뼈) in order to
discover 엉뚱nce of ‘Sinmyung’.
Finally, inference of essεntial concept of every rreanif\흉 따ld different poinrs of 찌ew of,
‘Sinr껴띠ng’ by dint of open interview.
Theres얹rclJ included the written 때~r of a questionnaire intended for sorne
participants and informal interview; with them The res내rs are as followin양 :
First, ‘Sinm껴ng’ is called pL얹sure; 얘ncers 얘10 consider ‘Sinr찌때19’ to be pleas띠e
think of it 잃 sorne 뼈ld of play complere with interest, 뼈ppi없s.
Second, ‘Sinmyung’ is compared to relish. People involved in the res얹rclJ have different
Sinmyung ; it cα.úd be delight, s때ness or 앙1ger.
Finally, ‘Sinmyung’ e빼1aS없 harIDJny of brearh. Their recognition of Sinmyung
deIDJnstrares that dancers get excit,벼, throu생1 뼈ty of breath. In other v.urds, it c따lbe
defined as feelir핑, showecl in agreernent of breath 따ld the rmvernent of 따nce.
I 1엠mαd :Kor,않n Dance, Sinn뻐ng, 뼈1Ornenological rreaαng
*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mailto:back1006@h없unail. net
[Prov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