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飮中八仙歌(음중팔선가)/杜甫


知章騎馬似乘船
眼花落井水底眠

술 취한 하지장의 말 탄 모습은 마치 배를 탄 듯
게슴츠레한 눈으로 우물에 빠지면 물 밑에서 그냥 잠든다.


汝陽三斗始朝天
道逢麴車口流涎
恨不移封向酒泉

여양왕 이진은 세 말 술을 마시고 나서야 비로소 천자께 아침조회하고
길에서 누룩 수레를 보면 군침을 흘리고
주천으로 옮기지 못한 것을 한탄한다.


左相日興費萬錢
飮如長鯨吸百川
銜杯樂聖稱避賢

좌상 이적지는 하루 술값이 만전
큰 고래가 냇물을 들이켜듯
잔을 들면 청주를 마시고 탁주를 싫어하기로 유명하다.


宗之瀟灑美少年
擧觴白眼望靑天
皎如玉樹臨風前

최종지는 인품이 훌륭한 미소년이라
잔을 들고 눈을 흘겨 푸른 하늘을 바라보면
바람 앞에 옥나무인 양 밝다.


蘇晉長齋繡佛前
醉中往往愛逃禪

불자인 소진은 항상 수놓은 불상 앞에서 재계하다가
종종 술에 취하면 참선을 핑계하고 잠을 잔다.


李白一斗詩百篇
長安市上酒家眠
天子呼來不上船
自稱臣是酒中仙

이백은 말술에 백 편의 시를 짓고
장안 거리 술집에서 잠을 자며
천자가 불러도 배에 오르지 않고
술 속의 신선이라 스스로 자랑한다.


張旭三杯草聖傳
脫帽露頂王公前
揮毫落紙如雲煙

장욱은 술 석 잔이면 초서의 성인이 되는데
갓을 벗고 맨머리로 왕공 앞에 나아가
붓을 들어 글씨를 쓰면 구림 같고 안개 같았다.


焦遂五斗方卓然
高談雄辯驚四筵

초수는 다섯 말 술이라야 비로소 입을 열며
웅장한 말솜씨와 고담준론에 주위 사람이 모두 놀란다.



해설
이 시는 두보가 이백, 고적 등과 어울려 양(梁), 송(宋) 지역을 여행하고 장안으
로 돌아온 이듬해인 746년에 쓴 작품으로 주선 여덞 명을 한 사람당 2,3구 또는
4구로 읊어 그 취한 상태와 개성을 교묘하게 노래하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이
백에게만 4구가 할애되었는데, 여기서 이백에 대한 두보의 존경과 사모의 정을
알 수 있다.

작품 속의 팔선
지장(知章) : 하지장(賀知章). 자는 계진(季眞). 호는 사명광객(四明狂客)
여양(汝陽) : 여양왕 이진(李璡). 현종의 사촌으로 하지장과 시와 술로 교유했
으며 두보를 알아주었다.
좌상(左相) : 좌승상 이적지(李適之). 황족 출신으로 이임보(李林甫) 일당의 모
략으로 746년에 파면되고 747년에 자결했다. 시를 잘 지었고 밤
마다 시우(詩友)들과 주연을 베풀었다고 한다.
종지(宗之) : 최종지(崔宗之). 시어사(侍御史)를 지냈으며 술잔이 늘 비었으므로
하늘을 흘겨보았다고 한다.
소진(蘇晉) : 벼슬은 호부시랑(戶部侍郞). 734년에 죽었다. 이 문장가는 수놓은
불상을 모셔 놓고 "이 부처는 곡차를 좋아하니 내 마음에 든다"고
농을 했다고 한다.
장욱(張旭) : 초서의 성인. 머리털에 먹물을 묻혀 쓰기도 했다 한다.
초수(焦遂) : 벼슬에 오르지 않은 평민이었으므로 당서(唐書)에 전기가 없다.



*소설에 나오는 부분은 장욱에 대한 구절인데 신조협려에서 황용이 곽도와
싸우는 주자류에게 삼배를 권하는 장면에서 나오며 소오강호에서는 매장에서
독필옹이 장욱의 솔의첩을 보고 혼자 중얼거릴 때 언급된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삿갓  (0) 2020.06.22
雜體詩의 실험정신 한시미학 /http://cafe.daum.net/jangdalsoo/jd3u/177  (0) 2020.06.13
금강산  (0) 2020.06.12
김수영 -풀  (0) 2020.05.29
침어낙안(沈魚落雁) 폐월수화(閉月羞花)  (0) 20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