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에 코로나19를 경험한 세대는 기존 세대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삶을 살아갈 것으로 보인다. 알파 세대와 후기 Z세대를 아우르는 이 신세대의 특징으로는 어려서부터 AI와 친숙하게 소통 및 교감한다는 점과 현실과 가상 세계를 자유자재로 오가며 생활 공간이 확장된다는 점이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사례로서 아마존의 알렉사는 AI-Native인 신세대가 친숙하게 활용하는 음성 인터페이스로 궁금한 것들에 대한 답변, 음악 재생, 영상 통화 등 어렸을 적부터 아이들의 친구로 시간을 함께 해오고 있고, 나이키는 신세대를 공략한 로블록스 입성을 공식화하며 스포츠와 놀이를 통해 이들의 라이프스타일로 스며들 수 있도록 메타버스 시대를 선언했다.
이러한 특징과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사례를 통해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출현한 신세대에게 어떻게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배출권, '감축'에서 '발굴'로의 진화? - 자발적 탄소시장의 부상과 금융회사의 신규 사업기회 검토(22-3-24)/성지영.우리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4.01 |
---|---|
서비스산업의 비대면화에 따른 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방향(21-10-20)/성열용 외.KIET (0) | 2022.04.01 |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22-3-30)/김경민.중소벤쳐기업연구원 (0) | 2022.04.01 |
이차전지 글로벌 시장동향 보고서(22-3-29)/이태훈 외.KOTRA (0) | 2022.04.01 |
블록체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기여도 분석 연구(22-3-24)/매그틴글로블.한국인터넷진흥원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