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발달에 의한 원격 서비스 공급의 혁신과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한 수요 증가로 비대면 경제활동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인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라 비대면 방식이 새로운 거래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기준이 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현황을 제시하고 비대면 서비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종식 이후에 경제적 활동이 정상화되어 단기적인 수요가 감소하더라도 비대면 서비스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BB2021-18_서비스산업의+비대면화에+따른+변화와+지속가능한+발전방향(송영진_성열용_구진경_길은선).pdf
2.63MB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평가정보를 활용한 투자성과 분석(22-3-25)/안현미.한국기업지배구조원 (0) | 2022.04.01 |
---|---|
탄소배출권, '감축'에서 '발굴'로의 진화? - 자발적 탄소시장의 부상과 금융회사의 신규 사업기회 검토(22-3-24)/성지영.우리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4.01 |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新세대(22-3-29)/문수지 外.LGERI (0) | 2022.04.01 |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22-3-30)/김경민.중소벤쳐기업연구원 (0) | 2022.04.01 |
이차전지 글로벌 시장동향 보고서(22-3-29)/이태훈 외.KOTRA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