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T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비 ICT 산업과 비교해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이 크지 않게 나타남
- ICT 산업은 코로나19 이후 침체기의 기간이 짧고, 회복 속도가 빨랐음
● ICT 산업 내 세부 산업 간의 이질성이 뚜렷하게 나타남
- 코로나19 이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산업은 반도체제조업,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 방송업, 정보서비스업
- 코로나19 이후 부정적인 영향이 큰 ICT 세부 산업은 영상, 음향기기 제조업과 영상, 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 ICT 뉴스심리지수에서도 ICT 산업은 코로나19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생산지수와는 다르게 최근 상승 패턴을
보이지 않고, ICT BSI와 유사하게 2018년 이후 하향하는 추세를 보임
- ICT 뉴스심리지수는 생산지수와는 다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ICT BSI와 동행하면서도 더 짧은 주기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활용 가치가 높음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정부 디지털자산 정책...위기일까 기회일까(22-5-13)/신석영.하나금융경영연구소 (0) | 2022.05.20 |
---|---|
워렌 버핏의 손해보험회사 인수 배경 및 의의(22-5-16)/강윤지.KIRI (0) | 2022.05.20 |
자산 불평등도 결정요인 분석 연구: 자산 불평등도 기여도 및 영향 분석(22-5-18)오민준.국토연구원 (0) | 2022.05.19 |
기술거래 활성화를 통한 국내 공급망 강화 방안(22-4-27)/이규석.KERI (0) | 2022.05.19 |
대외 불확실성이 환율 및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22-5-12)/최우진.KDI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