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2. 농가 인구구조 변화 추이
3. 농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문제점
(1) 농업 인력 문제
(2) 농촌 지방소멸 위기
4. 농림축산식품부의 대응정책 현황
(1) 농가 인구 증가 대책
(2) 농촌 공간 개선 대책
5. 향후과제
인구감소, 고령화 등 농가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농업 인력 부족, 농촌 지방소멸 등 우려가 커지면서 농가 인구 증가 대책, 농촌 공간 개선 대책 등이 추진되고 있다. 대응정책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역량 강화 및 정부와의 협력 확대가 필수적이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여타 부처 소관의 지역균형발전, 인구감소지역 지원, 고령화·저출산 대응 등 관련 정책에 ‘농촌’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슈와논점+1966호-20220629)농가+인구구조+변화에+따른+주요+대응정책과+향후과제+-+농업+인력+부족과+농촌+지방소멸+위기+대응을+중심으로+--복사.pdf
0.50MB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2-6-30)/문진영 外.KIEP (0) | 2022.07.01 |
---|---|
지역혁신성장계획의 주요 이슈와 개선 방향(22-6-27)/김찬준 外.KIET (0) | 2022.07.01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거위기가구 진단과 대응전략 (22-6-27)/박미선 外.국토연구원 (0) | 2022.07.01 |
최근 중국의 거시정책 대응 현황 및 영향 (22-6-28)/백진규 外.KCIF (0) | 2022.07.01 |
아픈 근로자를 위한 새로운 안전망 설계(22-6-28)/권정현.KDI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