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로 주식 및 채권시장 동반약세 심화
■ 스태그플레이션은 공급 충격이나 불합리한 정책조합 등에 의해 발생
■ 1970년대식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낮지만, 체감되는 압력은 높은 상황
■ 부채 의존적 신흥국과 가격결정권이 낮은 기업에게 부정적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OECD, 제조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사용과 확산' 주요내용 및 시사점(22-6-24) /권태균.NIA (0) | 2022.07.01 |
---|---|
상속세 과세방식과 세율의 합리적 개편방안 검토(22-6-21)/임동원.KERI (0) | 2022.07.01 |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2-6-30)/문진영 外.KIEP (0) | 2022.07.01 |
지역혁신성장계획의 주요 이슈와 개선 방향(22-6-27)/김찬준 外.KIET (0) | 2022.07.01 |
농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요 대응정책과 향후과제 - 농업 인력 부족과 농촌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중심으로 -(22-6-29)/편지은.국회입법조사처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