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이야기

한국 지장신앙과 무속의 역동적 변용에 관한 연구: 죽음의례를 중심으로/루타나도미닉.한국학중앙연구원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대승불교의 보살신앙 가운데 관음신앙과 함께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장신앙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하여 한국인의 죽음관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었는지를 해명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지장보살은 불교의 신격이지만 그 신격의 기원, 그리고 보살에 관련된 신앙체계의 전개와 발전은 불교만 아니라 고대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의 고유한 또 다른 신앙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연구해야 하는 대상이다. 또한 똑같은 이유로 각 나라의 지장신앙은 조금씩 다르게 나타기도 한다. 따라서 이 주제가 포괄하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장신앙에 관련된 세 가지의 죽음의례, 말하자면 49재와 수륙재, 그리고 생전예수재를 선택하여 이것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 과정을 중심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한국의 경우는 본 의례들의 전개와 발전 과정에 있어서 특히 조선시대에 집중하였다. 그 이유는 바로 오늘날 한국 불교의 죽음문화에서 중심을 이루는 지장신앙과 죽음의례가 조선시대 때 한반도에 정착되고 구체화된 후 현재까지 전달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렇게 연구함으로써 한국 지장신앙의 특징뿐만 아니라 본신앙이 한국인의 세계관 속에서 어떻게 정착되었는지,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우선 본 연구의 제1장의 연구 방법 부분에서는 지장신앙에 관련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습합이라는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개념 장치로서 융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지장신앙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종교 전통에서 비롯된 요소들의 조화로운 보완과 변형 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종교 현상은 융화란 개념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지장신앙의 형성과 변화만 아니라 지장신앙과 무속의 결합 등을 설명하는 것에 있어서 융화의 관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우선 인간 삶에 있어서 죽음, 그리고 죽음의례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죽음이란 것은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결코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심리학적 측면에서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된다. 이 문제를 극복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죽음의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 장에서 지정하였다. 또한 각 죽음의례는 어떤 특정한 죽음관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불교와 무속의 죽음의례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전 그것들의 기반이 된 각 죽음관을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2장에서는 한국인의 전통적 죽음관과 무속신앙에 나타난 죽음관을 설명한 다음 불교의 죽음관을 형성하는 원시불교를 비롯한 육도와 윤회사상과 중유 관념 등을 설명하고 대승불교의 내세와 죽음관을 제시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장신앙의 기원과 중국적 전개에 집중하였다. 우선 지장신앙의 기원을 설명한 다음 지장신앙의 중국적 전개와 변화에 집중하였는데 이것을 49재와 수륙재, 그리고 생전예수재를 중심으로 검토해보았다. 이 세 가지의 의례를 선택한 이유는 이것들이 지장신앙에 관련된 불교의 대표적인 죽음의례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죽음의례의 역사에 있어서 이 세 가지의 의례들은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4장에서는 지장신앙의 한국적 수용과 변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장신앙은 삼국시대에 한국에 도입되자마자 한국인의 생사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것을 특히 죽음의례의 역사를 검토하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장에서도 역시 위에 언급한 세 가지의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한국 지장신앙의 전개를 고찰하였으며, 지장신앙이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된 조선 사회에서조차 왜 살아남을 수 있었는 지를 밝혔다. 그 이유는 조선의 왕실이 지장신앙과 본 신앙을 바탕으로 형성된 의례 들을 조상에 대한 효도를 다하는 것과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혼을 달래는 것, 따라서 현세에 이익을 얻고자하는 것 등을 보장하는 의례로 간조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에 이르러 조선조의 지속적인 승유억불정책이 일어나고 그러한 상황의 결과로 불교가 또한 변화를 겪고 소위 신행불교를 중심으로 전달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불교는 국가의 공식적인 차원으로부터 완전히 배제되었고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신행불교와 같은 형태로 자리를 잡았다. 그 신행불교의 핵심에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지장시왕신앙이나 아미타정토신앙, 그리고 이 신앙체 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각종 불교의례들이었다. 이러한 변화가 완전히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은 조선 후기에 가서의 일이었다. 그 때에야 비로소 지장시왕신앙의 죽음관이 무속의 세계관 속에 전면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고 추측된다.

근대에 이르러 불교는 조선 후기 때 현성된 신행불교를 중심으로 전달되었으며, 당시의 많은 승려들은 이것을 매우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았고 불교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불교의 개혁 운동이 벌어지게 되었지만 특히 의례 차원에서는 큰 성과를 얻지 못하여 불교의 죽음의례는 조선시대 때 형성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의 제5장에서는 지장신앙과 무속신앙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이것을 밝히기 위해 우선 무속 죽음의례의 역사와 특징을 언급한 뒤 무속의 많은 죽음의례 가운데 서울 진오기굿과 전라도의 씻김굿, 그리고 제주도의 시왕맞이굿을 대표적인 사례로 삼아 이 의례들에서 나타나는 지장신앙을 비롯한 모티브를 검토하였다. 무속은 무당 들이 갖고 있는 세계관과 이것을 바탕으로 형성된 신화 및 의례 등으로 이루어진 실천 중심의 신앙형태이다. 따라서 무속, 즉 무속의 세계관을 설명해주는 신화나 교리가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변성이 두드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불교에서 비롯한 지장보살이나 지옥관 념, 또는 시왕신앙은 무속의 세계관 속으로 들어와서 그 세계관을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무속이 여러 세계 종교들과 달리 기술화되고 고정된 교리 내용을 갖추지 않은 신앙체계여서 주로 무당들의 의식이나 사고 패턴에 의지하는 역동적인 신앙이라는 점에서 그 독특성을 찾고자 하였고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제시한 ‘브리콜라주’ 개념을 사용했다.

무당들은 자신의 브리콜라주적인 사고 패턴을 작동시키면서 언제든지 다른 신앙 체계를 비롯한 요소들을 자신의 세계관 속으로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항상 이미 주어진 패턴의 틀을 바탕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자면 본 연구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무당들이 지장시왕신앙을 비롯한 요소를 이승과 저승을 매개하는 또 다른 요소로 보았으며, 이미 주어진 세계관의 패턴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신앙의 요소를 자신의 세계관으로 수용하는 것은 그 세계관의 본래적인 모습을 어느 정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감내해야 하는데, 한국 무속의 경우에는 의례의 본래적인 모습과 구조까지 변화를 겪었다. 조선 시대 때에 이루어진 지장신앙과 무속의 만남이 그런 결과를 잘 보여준다. 그 때 형성된 무속의 죽음의례가 지닌 면모들을 오늘날에 와서는 무속의 고유한 전통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development of Kṣitigarbha belief(地藏信仰) and how it has changed through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Moreover, this study also aim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nfluence this belief had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afterlife by Korean people. On the one hand, bodhisattva Kṣitigarbha belongs to the pantheon of Buddhist deities. However, the origin of the deity, as well as the origin of all the beliefs linked to Kṣitigarbha should be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many different beliefs of ancient India, China, and Korea. Therefore Kṣitigarbha belief is very complex in its scope and it is very hard to fully cover this subject in a single study. For that reason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ree death rituals – 49jae(49齋), Yesujae(預修齋), Suryukjae(水陸齋), and traced their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In terms of Korea, I mainly focused on Jeoson period, which was decisive in shaping the Kṣitigarbha belief in Korea and above mentioned rituals associated with it.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spec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Kṣitigarbha belief, as well as to define of how and why the belief penetrated Korean people consciousness, precisely speaking, how the perception of death and afterlife amongst Korean had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Kṣitigarbha belief.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I focused on the existing research about the Ksitigarbha belief in Korea, and pointed out that most of the Korean scholars use the term syncretism while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lief, which in my opinion is not correct. Therefore I looked upon the critical reviews of the term by religious scholars, especially in context of the naturalistic religions and proposed the term ‘amalgamation’ as an alternative to syncretism. According to this, I concluded that religious phenomenons like belief in bodhisattva Kṣitigarbha in Korea, which is the result of a long-term process of harmonious complementation and transformation of various elements derived from different naturalistic religions, should be therefore analyzed in context of amalgamation, not syncretism as it has taken place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I traced the development of Kṣitigarbha belief and its connection with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such as shamanism, in terms of amalgamation.

In the second chapter, firstly I focused on the meaning of death and importance of death rituals in the life of human being. Noticeable the biological aspect of the death can’t be overcome, however, at the same time every death can be overcome on the psychological level, where death rituals play a decisive role.

Every death ritual is formed based on a view of life and death, specific to each belief system or religious tradition. Therefore, in this chapter I focused on explanation of the elements such as ancestor worship, concept of death and afterlife in Korean shamanism, as well as Buddhist concepts such as saṃsāra(輪廻) and antarabhāva(中陰). I also aimed to present a view of afterlife in Mahāyāna Buddhism tradition, which plays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Buddhist death rituals introduced in this study.

In the first part of the chapter three of this study I focused on the origin of Kṣitigarbha belief in India. Then I described its development in China, mainly focusing on death rituals like 49jae, Yesujae, and Suryukjae. These three rituals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Kṣitigarbha belief, but the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religion since the Tang Dynasty until the present time.

In chapter four I focused on the accommodation and transition of Kṣitigarbha belief in Korea. The belief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mmediately affected the Korean consciousness. This could be seen,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history of death rituals. Moreover, by tracing the accommodation and transition process I was able to clarify why Kṣitigarbha belief and its rituals were in position to survive even in Joseon society, which was formed based on Neo-confucian thought and values. It can be assumed that Joseon court believed that by conducting 49jae or Suryukjae, could not only fulfill their obligation towards deceased ancestors, but also appease a revengeful spirits through which happiness in present life can be achieved. Nevertheles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is situation had changed.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Joseon, Buddhism was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court and state level and penetrated the lower strata of the society in the new form of a practical Buddhism. This new form of Buddhism was grounded on Kṣitigarbha and the Ten Kings of Hell belief (地藏十王信仰)along with associated death rituals. Furthermore, we can assume that it was not until the second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rules, when Kṣitigarbha and the Ten Kings of Hell belief had settled in the Korean shamanism and shaman’s consciousness.

Practical form of Buddhism that emerg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transmitted to modern times. However, many Korean monks criticized that form of Buddhism as a departure from the ‘tradition’ and claimed the necessity of reformation. As a result,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began, but especially in the sphere of rituals have not brought the intended results. Therefore, the transmission of death rituals based on Kṣitigarbha belief was maintained until present time.

In the chapter five of this study I focused on the connection in between Kṣitigarbha belief and shamanism. In order to reveal this connection, firstly I focused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shamanic death rituals. Then I focused on three examples of shamanic death ritual, precisely Jinogi-gut(진오기굿), Ssitgim-gut(씻김굿), and Siwangmaji-gut(시왕 맞이굿), and examined the motives derived from Kṣitigarbha belief which appears in these rituals.

Shamanism is a practice-centered form of belief based on myths and rituals formed on the basis of shamans worldview. However,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is that those myths and even rituals, are not fixed, rather their variability is remarkable in the content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ly to circumstances or people needs. Therefore, the elements derived from different beliefs, like those derived from Kṣitigarbha and Ten Kings of Hell belief can be easily accommodate in the shamanic worldview, and through that in myths and rituals. In other words, shamanism is a belief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many other so called ‘world religions’ in the way that it does not have written and fixed doctrine content. It is a dynamic system of beliefs which mainly depend on the consciousness and thought patterns of the shaman. To support this thesis I used the concept of ‘bricolage’ proposed by Claude Levi-Strauss.

According to Levi-Strauss, mythical thought, therefore also shamanic myths and based on it rituals, can be compared to ‘bricolage.’ Thus, shaman can accommodate elements derived from other belief systems into their worldview at any time, by using thinking patterns characteristic for ‘bricoleur.’ It has to be noted, however, that those elements should be fitted into already existing structure of the myth or ritual. For example, in this study I argued that Korean shamans viewed elements derived from Kṣitigarbha and Ten Kings of Hell belief, as a mediating factors between this world and the world of the dead, therefore they could easily adapt them to the already given pattern. Nonetheless, by accepting the elements derived from different beliefs bricoleur must reconcile with the fact, that his own worldview, precisely myths or rituals based on the view, may change to some extent. I believe that was the case with Korean shamanism and shamanic death rituals. The original form and structure of the those rituals hav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counter with the Kṣitigarbha and Ten Kings of Hell belief during the Joseon Dynasty. Shamanic tradition of death rituals formed as consequence of that encounter is still being present today.

한국 지장신앙과 무속의 역동적 변용에 관한 연구-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1).pdf
1.7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