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쟁군사이야기

한국 육군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향:다영역작전과 MDTF 적용을 중심으로/장재규.영남대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Ⅲ. 관찰과 영향평가: 다영역작전과 MDTF

Ⅳ. 적용: 한국 육군의 사단급 제대 군사혁신 방향

Ⅴ. 결론

국문 초록

▶ 한국 육군은 안보 및 작전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군사혁 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Army TIGER 여단 사업에서는 가시적인 성과를 공개하 여 국민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의 완전 성을 위해 여단을 넘어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군사혁신 이론을 고찰하여 군사혁신의 추격형 모델을 분석의 틀 로 적용하였다.

따라서 선도형 국가의 관찰 대상으로 미국의 다영역작전과 MDTF를 설정하여 분석하고 한국 육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 탕으로 한국 육군에의 적용 방향과 한국 육군의 사단급 제대(Army TIGER 사단) 의 발전방안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주제어 : 군사혁신, 다영역작전, MDTF, 사단, 전투수행기능

Ⅰ. 서 론

한국 육군이 추진 중인 군사혁신의 명칭은 Army TIGER(Transformative Innovation of Ground forces Enhanced by the 4th generation Revolution technology, 4차 산업혁명 기술로 강화된 지상군의 변혁적 혁신)이다.1)

Army TIGER가 추구하는 미래의 육군 모습은 다영역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육군이다.

이를 위해 Army TIGER 가 설정한 작전수행개념은 다영역동시통합작전이며, 부대구조는 유무인 복합체계와 모 듈화 부대로 설정하였다.

Army TIGER의 전력체계는 기동화, 지능화, 네트워크화에 중점을 둔 기반전투체계와 드론봇 전투체계, 그리고 워리어플랫폼 등으로 하고 있다.2)

한국 육군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Army TIGER 보병여단 플랫폼 시범부대를 창설하여 전투실험 단계에 있으며, 2030년에 1개 사단을 Army TIGER 보병여단으로 구성하고, 2040년에는 보병여단뿐 아니라 모든 형태의 여단 플랫폼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군 사혁신을 추진하고 있다.3)

1) 유용원의 군사세계 국방세미나 자료실. “아미타이거 설명 자료… 미래 다영역작전을 주도하는 첨단과학기술 군!” (2022. 6. 10).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83&branch=& pn=2&num=12(검색일: 2023. 8. 16); 김한경. (2022. 9. 23). “육군·KRINS, ‘유무인 복합체계’ 및 ‘다영 역 작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20923500057(검색일: 2023.8.16.). 유용원의 군사세계 국방세미나 자료실의 내용은 육군본부가 공식적으로 제공한 자료임.

2) 앞의 자료.

3) 앞의 자료.

한국 육군이 미래형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보병여단은 근접전투를 수행하는 최 상위 부대이면서 제병협동전투를 수행하는 부대이므로 보병여단 플랫폼에 우선순위를 둔 군사혁신은 합리적 선택이며, 한국 육군의 전투능력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다.

그러나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이 포괄적이면서 완전한 모습으로 가기 위해서는 여 단급 부대의 군사혁신과 동시에 사단급 이상 부대의 군사혁신도 동시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30년 1개 사단에 Army TIGER 보병여단 플랫폼을 갖춘 여단이 예하 부대로 편성될 때 사단의 모습이 현재와 같다면 절름발이 군사혁신이라는 비판에 직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의 완전성을 위해 사단급 제대의 군 사혁신의 방향성과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와 직접적 관련성을 가진 공개된 선행연구는 찾기 어렵지만, 간접적 관련성을 가진 선행연구로는,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위기의식, 잠재적 핵심역량, 변혁적 리더십을 활용해야 한다는 연구4), 군사혁신의 성공 요건이 과학기술의 군사적 활용, 혁신적 아이디어, 조 직의 적응력이라고 제시한 연구5), 군사혁신의 성공은 독자적인 군사전략개념에서 출발한다는 연구6), 군사혁신의 사고과정을 도입 가능한 과학기술 식별-새로운 전투체계 개 발-전투개념 혁신-구조(지휘·부대·전력·병력) 혁신 등으로 제시한 연구7), 군사혁신을 위한 한국 육군의 새로운 전투개념을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융·복합 개념으로 제시한 연구8) 등이 있다

 

4) 정연봉, “베트남전 이후 미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군사연구』, Vol.- No. 147, 2019.

5) 구혜정,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군의 군사혁신 발전방향,” 『군사연구』, Vol.- No. 148, 2019.

6) 이수형,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과 발전방향,” 『글로벌정치연구』, Vol. 9 No. 2, 2016.

7) 조상근, 이광운, 민철기, 예병익, 최현규, 박상혁, “육군의 미래 핵심역량 창출을 위한 군사혁신 사고과정 정 립,”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8, No. 5, 2022.

8) 정민섭, 이웅, 박상혁, “미래 육군의 전투개념 혁신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투개념 변화를 중 심으로,” 『군사연구』, Vol.- No. 150, 2020

이러한 선행연구는 본 연구에 직접적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군 사혁신에 대한 개념과 성공 요건 등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과 사단급 제대로 국한하였고,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에 기초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고, 부족한 정보는 분석 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2장에서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3장에서는 관찰 대상을 분석하여 한국 육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4장 에서는 한국 육군에의 적용 방향과 사단급 제대의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의 틀

1. 군사혁신 주기

군사혁신은 군사적 능력의 획기적 변화를 의미하며, 군사혁신의 성공은 성공한 국가 의 군에게 일정 기간 군사적 우위를 제공한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군사적 성 공은 전차와 공격기의 발전, 그것의 통합적 운용 개념인 전격전이라는 혁신적인 작전 개념의 산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쟁 말기 핵폭탄의 개발은 미국에 압도적 군 사적 우위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군사적 우위는 <그림 1>과 같이 일정 기간 유 지되지만, 지속되기는 쉽지 않다.

전격전(또는 기동전, 마비전) 개념은 새로운 군사적 표준이 되어 대부분 국가의 군이 이를 도입하여 자국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였고, 핵폭 탄 역시 미국에 이어 강대국들이 그 능력을 갖추게 되었기 때문이다.

타국의 성공적인 군사혁신에 대응하는 방식은 <그림 1>에서 보여주듯이 대칭적 접근과 비대칭적 접근이 가능하다.

대칭적 접근은 성공한 군사혁신을 모방하는 것이며, 대칭적 접근이 어려운 여건을 가진 국가는 비대칭적 접근9)을 선택하여 군사혁신 선도국의 군사적 우위를 무 효하게 만든다.

9) 예) 전차에 대응하여 전차를 개발 또는 획득하는 대칭적 노력 대신 비교적 값싼 대전차 무기를 개발하거나 획득하는 방법, 항공모함에 대응하여 항공모함을 개발 및 획득하는 노력 대신 잠수함에 집중하는 방법 등.

따라서 군사혁신은 그것의 성공이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는 본질적 한 계를 갖고 있으며, 이를 극복해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군사혁신을 끊임없이 추구해 야 군사적 우위를 지속 ‧ 유지할 수 있다.

<그림1> 군사혁신의 주기 : 생략 (첨부 논문 파일 참조)

2. 군사혁신 방법

군사혁신을 이루는 방법은 개념 중심의 접근법과 과학기술 중심의 접근법 등 2가지 로 구분된다.

개념 중심의 접근법은 어떻게 싸울 것인가를 먼저 설정한 후 이를 구현하 기 위한 제반 전투체계를 구축하여 군사혁신을 달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미국, 한국 등 의 국가는 미래의 안보 및 작전환경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한 군의 전략과 작전수행개 념을 우선 설정한 후, 이에 필요한 군의 능력을 구축하는 전투발전 체계를 갖고 있는 데, 이러한 방식이 개념 중심의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과학기술 중심의 접근법은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군사적 목적의 새로운 능력으 로 활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과거 비행기의 발명으로 전투기가 출현하여 공중 공간 을 군사적 영역으로 활용하게 되었고, 잠수정의 발명으로 잠수함이 등장하여 수중 공 간을 군사적으로 활용한 것이 대표적 예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작금의 과학기술 발전 환경에서 각국이 이를 군사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2가지의 접근법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보 완적인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과학기술의 발전이 제공하는 새로운 군사적 능 력은 개념의 발전을 요구하고, 새로운 개념의 등장은 군사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 로운 과학기술의 발전 또는 접목을 촉진한다.

군사혁신을 추진하는 국가의 관점에서 보면 선도형과 추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도형은 군사혁신을 최초로 이룩한 국가를 말하고, 추격형은 이외의 국가를 의미한다.

선도형 국가는 2차 세계대전의 독일군DLSK 걸프전의 미군 등 군사혁신의 성공으로 그렇지 못한 국가를 대상으로 압도적인 군사적 우위를 가질 수 있었던 국가이다.

군사 혁신을 이루는 과정에서 성공을 보장하는 두 가지 핵심 요인으로 과학기술의 발전과 국가가 처한 도전 요소이다.

즉, 국가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안보 위협이 존재하고, 그 국가의 과학기술이 높은 수준에 있다면 해당 국가의 군사혁신은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는 것을 의미한다.

선도형 국가가 누리는 군사적 이점은 매우 크지만, 모든 국가가 선 도형 국가가 될 수는 없으므로 추격형 국가로서의 군사혁신 역시 중요하다.

<그림 2> 선도형 국가의 군사혁신 관찰 : 생략 (첨부 논문 파일 참조)

<그림 2>와 같이 선도형 국가의 군사혁신을 설명하는 것으로, 첫 번째 단계는 신기 술이 새로운 무기와 작전개념, 체계 개념으로 전환되는 단계이며, 이 단계는 보안이 철 저히 유지되어 추격형 국가의 관찰이 쉽지 않다.

반면, 두 번째 단계는 새로운 교리와 부대의 구조로 전환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비교적 관찰이 쉽다.

따라서 추격형 군사혁신의 첫 번째 요건은 타국 특히, 군사 선진국의 군사혁신에 깊은 관심을 갖고 세 밀히 관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림 2>의 첫 번째 단계의 군사혁신까지 식별할 수 있 는 노력이 요구된다.

두 번째 요건은 타국의 군사혁신이 추격형 국가의 군사혁신에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 번째 요건은 선도형 국가의 군사혁신을 자 국의 안보 및 작전환경에 부합하도록 적용하여 군사혁신을 달성하는 것이다.

3. 연구의 틀

한국 육군의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본 연구의 이론적 접근 법은 추격형 군사혁신의 틀을 활용하고자 하며, 추격의 대상인 선도형 국가는 미국으 로 선정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한국 육군이 추진하고 있는 군사혁신(Army TIGER) 의 최종목표가 다영역작전 수행능력을 보유하는 것이며, 이는 한국 육군보다 앞서 군 사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미 육군의 군사혁신 목표와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다.10)

10) U.S. Army. Army Modernization Strategy: Investing in the Future (2021). p. 2. 장 재 규

미 육군의 군사혁신의 주요 관찰 내용으로는 미 육군 사단의 혁신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유용하겠지만 <그림 2>의 첫 번째 단계처럼 관찰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두 번 째 단계라고 볼 수 있는 공개된 자료 중 미 육군의 군사혁신을 가잘 잘 관찰할 수 있는 내용은 다영역작전과 다영역과업부대(이후 MDTF: Multi-Domain Task Force)라고 할 수 있다.

다영역작전은 미 육군의 미래와 현재 싸우는 방법이며, MDTF는 이러한 다영역작전 수행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의 틀은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연구의 틀

선도형국가의 국가혁신관찰 → 추격형국가의 군사혁신 영향평가 → 추격형국가의 군사혁신적용

미육군다영역작전/MDTF 한국육군의 안보 작전환경 한국육군의 사단급 제대 혁신방향

1단계 관찰에서는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과 MDTF를 세밀하게 고찰하여 미 육군의 군사혁신을 파악한다.

2단계 영향평가에서는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과 MDTF가 한국의 안보 및 작전환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있는지 그것의 영향 요소를 평가한다.

3단계 적용에서는 추격형 국가인 한국의 육군, 특히 육군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향을 모색한다.

Ⅲ. 관찰과 영향평가: 다영역작전과 MDTF

1.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 관찰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은 1970년대 미 육군이 공지전투 개념으로 군사혁신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설정한 개념이다.

미 육군은 탈냉전 이 후 20여 년간 수행하였던 소규모의 대분란전에서 탈피하여 중국과 러시아 등의 위협에 대응한 대규모 전투작전으로 작전의 중점을 전환하면서, 2017년 말 다영역작전 초기 버전인 다영역전투(multi domain battle) 개념을 발표하였고11), 2018년 말 다영역작 전 개념을 발표하였다.12)

미 육군은 다영역작전을 “작전적·전술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정된 부대 태세, 다영역부대의 운용, 모든 영역·환경·기능에 걸친 시·공간적 능력의 융합 등 3가지를 조합적으로 적용하여, 적대국(또는 적)에 작전적(그리고/또는 전술적) 딜레마를 제공함 으로써 그들의 강점을 극복하는, 다중영역과 경쟁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전”13)으로 정의 하였다.

다영역작전은 안보환경의 평가를 통해 위협을 명확히 설정하였고, 새로운 전 장편성의 틀을 제시하였으며,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3가지의 핵심요건 (tenets)14)과 경쟁의 연속체(competition continuum)의 틀에서 제대의 역할을 제시 하였다.

11) U.S. Army, 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Version 1.0. (2017).

12) U.S. Army, The US Army in Multi-Domain Operations 2028 (2018a).

13) 원문은 다음과 같다. “Operations conducted across multiple domains and contested spaces to overcome an adversary’s (or enemy’s) strengths by presenting them with several operational and/or tactical dilemmas through the combined application of calibrated force posture; employment of multi-domain formations; and convergence of capabilities across domains, environments, and functions in time and spaces to achieve operational and tactical objectives.” 출처: U.S. Army, 2018a, p. GL-7.

14) tenets은 모든 계획과 작전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망되는 속성이며, 이는 미 육군의 작전적 개념에 직접적 으로 관련된다(U.S. Army 2018b, pp. 1-96). 논문에서는 tenets을 핵심요건으로 번역한다.

1.1. 위협15)

15) U.S. Army, 앞의 책, pp. 9~15.

다영역작전DPTJ의 위협은 “2+3”(러시아, 중국+이란, 북한, 극단주의 세력)이지만, “2(러시아, 중국)”로 제시되었다.

위협의 초점은 러시아와 중국의 A2AD이다.

다영역 작전은 중국과 러시아가 A2AD 체계를 활용하여 미국을 대상으로 다층적 교착상태 (stand off)를 형성하여 미군의 접근을 차단 또는 거부한 상태에서 그들의 정치적 목표 를 신속하게 달성할 것으로 평가한다.

즉, 중국과 러시아는 정보전과 비군사적 요소를 포함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활용한 하이브리드전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의 개입이 제한되는 회색지대를 조성하여 행동의 자유를 확보하면서, 기정사실화 공격을 수행하여 정치적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1.2. 전장편성16)

16) 앞의 책, pp. 6~8.

다영역작전의 전장은 우주와 사이버공간을 포함하는 5차원으로 확장되고, 지리적 범 위는 분쟁이 발생한 지역에만 국한하지 않고 전 지구적으로 확장된다.

다영역작전은 종 심지역, 근접지역, 후방지역으로 구분되는 전통적 전장편성 개념은 유지하되, 종심지역 및 후방지역을 각각 3개 지역으로 세분화하여 7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종심지역은 전략적 종심화력지역(strategic deep fires area), 작전적 종심화력지역(operational fires area), 종심기동지역(deep maneuver area) 등 3개 지역으로, 후방지역은 전략적(strategic), 작전적(operational), 전술적 지원지역(tactical support area) 등 3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근접지역과 종심기동지역은 우군 지역이면서 적과 국경을 인접 한 지역으로 규정하여, 다영역작전의 대규모 전투작전은 적국의 본토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적국과 인접한 우군 지역에서 수행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1.3. 핵심요건17)

17) 앞의 책, pp. 17~23. 장 재 규

다영역작전의 핵심요건은 조정된 부대 태세(calibrated force posture), 다영역부 대(multi-domain formations), 융합(convergence) 등 3개 요소이다.

조정된 부대 태세는 해외주둔군(forward presence forces), 원정군, 국가 차원의 사이버 역량・우 주 기반 플랫폼・타격 능력 등을 동적으로 결합할 때 달성된다. 이러한 조정된 부대 태세는 적의 기정사실화 공격을 억제하고, 아군의 신속한 전개를 보장하며, 대규모 전투 작전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한다.

다영역부대는 우주와 사이버 공간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역량, 지속성을 가진 부대 이다.

또한, 독립적으로 기동하고, 교차영역 화력을 운용하며, 방호체계와 네트워크, 기 동지원 능력과 역량, 다층의 방공·정찰 능력을 보유한다.

융합은 모든 영역과 전자기스 펙트럼, 정보환경에서의 역량을 신속하고 지속해서 통합하는 것이다.

융합은 다중옵션 (multiple options)과 시너지(synergy)의 형태18)로 달성되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적보다 우위의 상태를 만들 수 있다.

18) 시너지는 다영역의 다양한 역량의 최적 조합을 의미하고, 다중옵션은 다영역의 역량이 다양한 형태로 조합 되는 것으로, 적이 아군의 행동을 미리 예측할 수 없도록 하여 딜레마를 부여할 수 있다.

1.4. 작전수행과정19)

다영역작전의 작전수행과정은 경쟁의 연속체(competition continuum)를 적용하 였다.

즉, 다영역작전은 경쟁(compete)과 무력 분쟁(armed conflict), 재경쟁(recompete)의 연속적이고 순환적 과정이다.

그리고 무력 분쟁은 침투(penetrate)20)와 와해(dis-integrate), 그리고 전과확대(exploit)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19) 앞의 책, pp. 24~31.

20) 군사적으로 penetrate는 ‘돌파’로 번역되지만, 문맥상 어색하여 ‘침투’로 번역한다.

경쟁 단계는 분쟁을 억제하고, 무력 분쟁하에서 이점을 확대하고자 하는 적의 노력을 저지한다. 또 한, 무력 분쟁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적의 정보전과 비정 규전을 무력화하고, 파트너국과 동맹이 신뢰할 수 있는 억제대책을 시행한다.

무력 분 쟁 단계는 적의 침략을 신속하게 격퇴하기 위해 적의 A2AD를 침투 및 와해하고, 나아 가 기동의 자유를 확대함으로써 전략적 목표를 달성한다.

재경쟁 단계는 지역과 주민 을 확보 및 보호하고, 지속적 억제를 위해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며, 작전환경에 부합하 는 부대 태세로 전환한다.

1.5. 제대별 역할21)

21) 앞의 책, p. 26.

다영역작전은 전구 육군(theater army), 야전군(field army), 군단(corps), 사단 (division), 여단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전구 육군은 전방 배치 부대(forward presence forces)로서, 전구를 준비하고 정부 기관과 협조하며, 원정군의 기동을 보장하고, 합동 기지・노드・네트워크를 방호한다.

전구 육군은 공세적 우주통제 역량과 합동·연합 정보환경 작전능력을 통합한다.

야전군은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이 있는 지역에 사전 배 치된 부대이며, 2개 이상의 군단을 지휘통제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장거리 화력을 운 용한다.

군단은 유사시 출동하는 원정군으로 2개 이상의 사단을 지휘하며, 사단은 전 방 전개 또는 원정군으로서독립 기동과 원정 기동을 수행하고, 여단전투단과 작전보장 여단을 지휘한다.

여단은 자체 ISR 자산과 기동 및 화력 능력을 항공, 전자전, 기동지 원, 합동화력, 공세적 우주 능력과 통합한다.

2. 미 육군의 MDTF 관찰

미 육군의 MDTF는 다영역전투(multi-domain battle)가 발표되었던 2017년에, 미 육군참모총장의 지시에 따라 다영역작전 개념을 검증하고 구현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 그램(pilot program)으로 만들어졌다.22)

첫 번째 MDTF는 인도-태평양사령부 지역에 서 다양한 합동 및 연합훈련에 참여하였고, 도출된 교훈을 바탕으로 편성과 운영 개념 을 발전시켰다.

두 번째 MDTF는 독일에서 2021년에 창설되어 2022년에 완전운영능 력(FOC: Full Operating Capability)을 갖추었고,

세 번째 MDTF는 하와이에서 2022년에 창설되어 2023년 5월에 완전운용능력을 갖추었다.23)

미 육군은 향후 2개의 MDTF를 더 창설하여 총 5개의 MDTF를 운용할 예정이다.24)

2021년에 발간된 미 육 군참모총장 백서#1은 MDTF를 “적의 A2AD을 격퇴할 수 있는 새로운 능력을 합동군 과 동맹에 제공하기 위해, 경쟁과 무력 분쟁에서 장거리 정밀합동화력을 운용하고, 대 공 및 미사일 방어와 전자전, 사이버, 정보작전을 통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다영역 작전을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부대”로 설명하였다.25)

22) 앞의 책, p. F-1.

23) Heckmann, Laura, “JUST IN: Army's Third Multi-Domain Task Force Fully Operational by May, Official Says,” 2023. 3. 6. https://www.nationaldefensemagazine.org/articles/2023/3/6/third-multi-domain-task– force-will-be-fully-operational-by-may-army-official-says (검색일: 2023. 7.1).

24) Judson, Jen, “Army sets sights on 2024 for next Project Convergence,” 2023. 2. 8. https://www.defensenews.com/land/2023/02/07/army-sets-sights-on-2024-for-next-project-c onvergence/ (검색일: 2023. 7.1).

25) U.S. Army. Chief of Staff Paper #1: Army Multi-Domain Transformation, 2021, p. 32. 장 재 규

2.1. 편성과 능력

미 육군의 MDTF는 <그림 4>와 같이 다영역효과대대(MDEB), 전략화력대대(SFB), 방공대대(ADB), 지속지원대대(BSB) 등 4개의 대대로 구성된다.

다영역효과대대는 MDTF의 핵심부대(centerpiece)로서,26) 우주(space), 정보통신 (signal), 정보(intelligence), 전자전(electronic warfare), 사이버(cyber)를 나타내는 5개 중대로 편성된다.

26) Brading, Thomas, “Talent Management Key to Filling Future Specialized MDO Units,” 『Army News Service』, 2020. 5. 21. https://www.army.mil/article/235813/talent_management_key_to_filling_future_ specialized_mdo_units (검색일: 2023. 7. 1).

우주중대는 우주작전의 역량을 가진 부대로 정보수집을 주 임무로 하며, 정보통신중대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분산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MDTF에 네크 워크를 보장하는 역할을 하고, 정보중대는 정보수집에만 그치지 않고 분석업무까지 수 행한다.

확장감지효과(ERSE: Extended Range Sensing and Effect)중대는 전자전부대이면서 감지와 재밍 기능을 보유하며, 정보방어중대는 사이버부대로서 주 임무는 방어적 정보작전이다.

<그림 4> MDTF 편성 : 생략 (첨부 논문 파일 참조)

전략화력대대는 고기동 로켓시스템(HIMARS: High Mobility Artillery Rocket System) 포대, 중거리(MRC: Mid-Range Capability) 포대, 장거리극초음속(LRHW: Long Range Hypersonic Weapon) 포대 등 3개의 포대로 구성된다.

HIMARS 포대는 사거리 300km의 육군전술미사일(ATACMS: Army TACtical Missile System)을 대체하여 정밀타격미사일(PrSM: Precision Strike Missile)를 개발하여 전력화하고 있다.

PrSM은 최초 사거리를 500km로 늘리고 발사속도를 2배로 증가시키는 것이었으나, 해상 표적을 타격할 수 있는 다중모드 탐지기(multimode seeker)를 추가 탑재 하고, 살상 능력을 증가시킨 탄두와 추진체계를 개발하여 사거리를 1,000km 이상으로 늘리는 방향으로 개발하고 있다.27)

MRC 포대는 SM-6와 토마호크 미사일을 지상용으로 개조한 것으로 PrSM과 LRHW의 중간 사거리 표적을 타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2023년 말부터 시작하여 총 4개의 포대를 차례로 MDTF에 제공할 계획이다.28)

LRHW 포대는 1,725마일(2,875km)을 초과하는 사거리를 가지며, 음속의 17배 속도로 비행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이다.

미 육군은 총 8개의 LRHW 포대를 전력화할 예정 이며, 최근 첫 번째 포대를 인수하여 장거리 전개 훈련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29)

방공대대는 미사일방어(MD) 2개 포대와 직접 에너지 1개 포대로 구성된다.

대대의 주 임무는 적의 순항미사일, 탄도미사일, 전투기, 로켓, 무인기, 포병 공격 등에 대응하는 다층 방호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사일방어포대는 미 육군의 패트리어트 포대와 고고 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일 것으로 추정된 다.

그리고 직접 에너지 포대는 미 육군이 개발하고 있는 직접에너지-단거리기동대공무 기(DE-MSHORAD: Directed Energy Maneuver SHOrt Range Air Defense)와 간접 화력방호-고에너지레이저(IFPC-HEL, Indirect Fire Protection Capability-High Energy Laser), 그리고 간접화력방호-고출력마이크로웨이브(IFPC- HPM, High Power Microwave) 등 3가지 무기체계가 구성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DE-MSHORAD는 50kW급 레이저를 활용한 단거리 방공무기로서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하고, HEL과 HPM은 모두 300kW급 에너지를 활용한 방공무기로서, HEL은 레이저로 표적을 요격 하며, HPM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군집 무인기 공격에 효과적이다.30)

27) Roque, Aslley, “Army taps teams to build new Precision Strike Missile for targets beyond 1,000 km,” 2023. 3. 27. https://breakingdefense.com/2023/03/army-taps-teams-to-build-new-precision– strike-missile-for-targets-beyond-1000-km/ (검색일: 2023. 7. 1).

28) CRS Report, “The U.S. Army’s Mid-Range Capability (MRC) Weapon System,” 2022. 12. 6. https://crsreports.congress.gov/product/pdf/IF/IF12135/5 (검색일: 2023. 7. 1).

29) Parlato, Richard, “1st Multi-Domain Task Force deploys the Army’s First Long-Range hypersonic Weapon System,” 2023. 3. 30. https://www.army.mil/article/265349/1st_multi_domain_task_force_deploys_the_armys_ first_long_range_hypersonic_weapon_system (검색일: 2023. 7. 1).

30) Skelley, Katie Davis,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Points toward the Future of Warfare,” 2022. 10. 26. https://www.army.mil/article/260538/directed_energy_weapon_system_points_toward_ the_future_of_warfare (검색일: 2023. 7. 1).

지속지원대대는 사령부를 군수 지원하는 대대이고, 수송, 정비, 의무 중대로 구성된 다.

지속지원대대는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하여 수행하는 MDTF의 작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 역할을 한다.

또한, MDTF는 전영역작전본부(ADOC: All Domain Operation Center)를 본부에 편성하여 24시간 운용한다.31)

ADOC은 MDTF 자체 정보자산 외 해군과 공군 등 다출처의 첩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전투사령관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행동을 MDTF의 하부조직에 지시한다.32)

2.2. 임무와 역할

MDTF는 미군의 지역전투사령부나 지상군구성군사령부의 역할을 하는 전구 육군의 직할 부대이다.

따라서 MDTF는 지역전투사령관의 합동작전을 지원하고, 상황에 따라 예하 합동작전사령부(Joint Task Forces)를 직접 지원할 수도 있다.33)

즉, 분쟁 발생 지역에 합동작전사령부가 설치된다면 해당 사령부의 지상군구성군사령부에 MDTF가 할당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한반도에 상황 발생 시 주한미군사령부의 지상 군구성군사령부인 미8군에 MDTF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쟁 단계에서 MDTF는 위기와 분쟁 단계로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적과의 접촉을 획득 및 유지하며, 상대적 이점을 확보한다.

MDTF는 필요한 권한이 부 여될 경우, 사이버나 우주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기동하여 적을 거부, 지연, 약화, 교 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지점을 확보한다.34)

이를 위해 MDTF는 적의 A2AD 위협 내에 위치하는 전방전개부대가 되어야 하며,35) 동맹 및 파트너국의 기지 사용 협 조가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36)

31) U.S. Army, Chief of Staff # 1: Army Multi-Domain Transformation, p. 11.

32) McEnany, Charles. “Multi-Domain Task Forces: A Glimpse at the Army of 2035.” SPOTLIGHT 22-2(2022), p. 4.

33) U.S. Army, FM 3-0 Operations (2022), pp. 4-18.

34) U.S. Army, Chief of Staff # 1: Army Multi-Domain Transformation, p. 12.

35) McEnany, “Multi-Domain Task Forces: A Glimpse at the Army of 2035,” p. 6.

36) CRS Report, “The U.S. Army’s Mid-Range Capability (MRC) Weapon System,” 2022. 12. 6.

위기 단계에서 MDTF는 전투사령관에게 신축대응옵션(FRO: Flexible Response Options) 을 제공하여 적을 억제하고, 유리한 전략적 ․ 작전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 한다.

MDTF는 경쟁 단계에서 확보된 상대적 이점을 활용하여 물리적․비물리적 기동을 통합적으로 수행하여 아군의 단호한 결의를 보여주고, 적에게는 비용을 강요하여 적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위기를 완화하며, 아군에게 유리한 조건에서 경쟁 단계로의 회복에 기여한다.37)

위기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경쟁 단계의 활동이 중요하 다.

특히, 적의 정치적 목표와 의도에 대한 파악은 아군의 행동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다.

그리고 적의 행동을 아군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강요할 수 있는 군사적 대응 옵션은 경쟁 단계에서의 부대 배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력 분쟁 단계에서 MDTF는 전투사령관의 합동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물리적․비물리 적 효과를 조합하여 적의 A2AD 능력을 교란, 격퇴, 파괴한다.

무력 분쟁의 침투 (penetrate) 단계에서는 전략적, 작전적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적의 장거리 화력 체계를 무력화하며, 와해(disintegrate) 및 전과확대(exploit) 단계에서는 전투부대를 지원하는 목적에서 적의 장거리․중거리․단거리 화력 체계를 파괴 및 무력화하는 데 기여한다.38)

37) U.S. Army, Chief of Staff # 1: Army Multi-Domain Transformation, p. 12.

38) 앞의 책, p. 12.

3. 한국 육군에 미치는 영향 평가

3.1.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이 한국 육군에 미치는 영향은 다영역작전의 한국 육군DP의 적용 측면과 미 육군의 한반도 전구에서 다영역작전의 적용 측면 등 2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첫째, 다영역작전의 한국 육군에의 적용 면에서 볼 때,

① 다영역작전의 위협 은 한국 육군에의 적용이 곤란하다.

즉, 다영역작전의 주 위협은 중국의 A2AD이지만, 한국 육군의 주 위협은 북한의 대칭 및 비대칭 위협이기 때문이다.

② 다영역작전의 전장편성 역시 한국 육군 적용이 어렵다.

다영역작전은 전 세계를 전장으로 설정하지만, 한국 육군의 전장은 한반도작전전구(KTO)로 국한되기 때문이다. ③ 다영역작전의 핵 심요건 중 조정된 부대 태세는 북한군과 대치하고 있는 한국 육군의 상황에서는 부합 하지 않으나, 융합과 다영역부대는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적용할 수 있다.

④ 다영역 작전의 작전수행 과정은 한국 육군에 적용할 수 있으나, 무력분쟁의 침투 단계는 적용이 제한된다.

⑤ 다영역작전의 제대별 역할은 미 육군의 전구육군을 제외하고 한국 육 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미 육군이 유사시 한반도에서 다영역작전을 수행할 때 미치는 영향 요소로서,

① 유사시 중국이 한반도에 군사적으로 개입할 경우, 미 육군은 중국을 대상으로 다영 역작전을 수행할 것이며, 이런 상황에서는 한 ‧ 미 연합의 다영역작전 수행이 요구될 수 있다.

② 미 육군이 한반도에서 다영역작전 수행 시 한반도에 전개해 있는 미 8군을 야 전군으로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한 ‧ 미 연합지상작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2. 미 육군의 MDTF

미 육군의 MDTF가 한국 육군에 미치는 영향은 MDTF의 한국 육군에의 적용 측면 과 미 육군 MDTF의 한반도 전개 측면 등 2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첫째, MDTF의 한 국 육군에의 적용 면에서 볼 때,

① 미 육군의 MDTF가 민간의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 을 군사적으로 접목하고 다영역작전 개념 구현을 위한 부대라는 측면에서 한국 육군도 한국적 상황에 부합하는 MDTF를 창설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다.

② 미 육군 MDTF의 편성 측면에서 다영역효과대대와 전략화력대대, 방공대대의 편성은 다영역작전 수행을 위한 필수적 조직으로서 한국 육군이 한국적 MDTF 창설 시 반드시 포함할 필요가 있 다.

③ 미 육군 MDTF의 임무와 역할은 한국 육군 적용에 큰 의미를 주지 않는다.

한 국 육군은 이미 북한군의 국지도발과 침략에 대비하여 접촉을 유지하고 있으며, 즉각 적인 대응을 위한 태세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미 육군 MDTF의 한반도 전개 시 미치는 영향 요소로서,

① 미 육군이 다영역 작전 수행을 위해 MDTF의 전략자산을 한반도에 전개할 때 과거 사드 사태처럼 중국 의 강경한 대응이 예상된다.

따라서 MDTF가 한반도에 전개하는 경우 외교적 검토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② 평시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MDTF가 한반도에 전개될 경우, 북한의 국지도발에 대응한 한국 육군과의 연합작전 능력이 요구된다.

한국의 MDTF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창설될 필요가 있다.

③ 위기 또는 유사시 미 육군의 MDTF는 한 ‧ 미 연합작전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MDTF는 북한의 침략을 억제하고, 억제 실패 시 군사적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중국의 개입을 억제하거나 대응하 는 실질적인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

4. 한국 육군의 적용 방향

4.1. 다영역작전

한국 육군이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에서 적용할 핵심 요소는 융합과 다영역부대이다.

융합과 다영역부대는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갖는다. 융합은 다영역의 역량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다영역부대를 필요로 하고, 다영역부대의 전투력 운용 원리는 융합이 기 때문이다.

한국 육군이 적용할 수 있는 융합은 2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첫 번째 유 형은 다영역작전 개념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융합39)이고,

두 번째 유형은 미 육군의 2022년 판 기준교범(FM 3-0)에서 제시하고 있는 융합40)이다.

39) U.S. Army, The U.S. Army in Multi-Domain Operations 2018, p. 21.

40) U.S. Army, FM3-0 Operations, pp. 3-4.

전자는 2028년 미 육 군의 다영역작전 능력이 완성될 때 적용하는 개념이고, 후자는 2022년 미 육군의 능력 을 기초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의 융합을 의미한다.

2가지의 융합 유형은 한국 육군에게 유용한 선택지를 제공하지만, 미 육군의 방식처럼 능력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적 용할 필요가 있다.

다영역부대는 다영역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부대를 의미하며, 이는 MDTF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 육군의 다영역작전은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의 요소뿐 아니라 한반도에서 미 육 군의 다영역작전 수행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유사시 한반도에 중국 등 주변국이 개입 할 경우, 미 육군은 다영역작전을 수행하게 될 것이고, 한국 육군도 미 육군과 함께 연 합작전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한국 육군의 다영역작전은 <표 1>과 같이 작 전의 단계별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즉, 평시 경쟁 단계와 위기의 초기 단계에서는 북한 위협에 대응한 다영역작전을 한국 육군이 수행한다.

그리고 위기가 고조되거나 북한의 침공에 대응한 다영역작전은 한미연합군이 수행하되 한국 육군이 주도하며, 중국의 개 입으로 북・중 연합군의 위협에 대응한 다영역작전은 미 육군이 주도할 필요가 있다.

<표 1> 한반도의 위협과 다영역작전 수행

 

위기 초기 위기고조 무력 분쟁

위협 북한 북한 북중 연합

수행 주체(주도) 한국 육군 한미동맹(한국 육군) 한미동맹(미 육군)

4.2. MDTF

한국 육군이 미 육군의 MDTF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판단 된다.

첫째, 육군의 혁신과 다영역부대의 발전이다.

한국 육군은 Army TIGER 여단을창설하여 혁신을 추진하고 있지만, 사단급 이상 부대의 발전에 대한 구체적 그림이 없 는 상태이므로 지속적인 혁신의 추진과 사단급 이상 부대의 발전을 위해 미 육군의 MDTF 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밀타격 능력이다.

제대 수준에 따라 능력 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사단급 이상의 모두 부대는 북한의 국지도발과 전면전 침략 에 대응한 작전을 위해서는 정밀타격 능력이 요구된다.

셋째, 우주작전 능력이다.

한국 군의 우주작전 능력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지만, 한국 육군은 우주작전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넷째, 사이버작전 능력이다.

한국 육군은 합동 차원의 공격적 사이버작전 능력을 유사시 작전적, 전술적 수준에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가 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자전 능력이다.

한국 육군은 적의 C4I 체계를 무력화하고, 정보수집을 위한 전자전 능력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방호능력이다.

한국 육군 은 아군의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해 북한의 로켓, 포병, 미사일로부터 중요시설을 방호 할 수 있는 다층적 방호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 육군은 미 육군과의 안보 및 작전환경의 차이로 인해 미 육군의 MDTF 와는 다른 임무와 역할의 설정이 요구된다.

평시 한국 육군의 MDTF는 북한의 국지도발에 효과적이어야 한다.

즉, 한국 육군의 MDTF는 지상, 해상, 공중, 사이버, 전자기 스펙트럼 등 전 영역에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감시하고 분석하며, 실시한 표적 정보를 생산하고, 살상 및 비살상 화력을 적시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전시에는 북한의 침략에 대응하여 적의 공격을 격퇴하는 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특히 MDTF는 북한군의 단거리 미사일 체계와 장사정 포병을 포함한 화력 체계, 아군의 근접항공지 원을 방해하는 방공체계를 무력화하거나 파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평시부터 북한 과 대치하고 있으므로 한국 육군의 MDTF는 미 육군의 MDTF처럼 전략적・작전적 수 준에만 국한하지 않고, 전술적 수준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Ⅳ. 적용: 한국 육군의 사단급 제대 군사혁신 방향

1. 다영역작전 수행개념

사단급 제대는 전술적 수준이며, 전술적 수준은 작전적 수준과 비교하여 고려할 변 수가 적고, 작전의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한국 육군의 사단은 작전지역이 이미 지 정되어 있고, 작전지역 내 위치하는 북한군 사단과 대치하고 있으므로 위협의 대상은 대치하고 있는 북한군 사단이 될 수 있다.

평시 북한군 사단의 주된 위협은 도발과 침략을 위한 정보수집 활동, 다양한 형태의 훈련 등이 될 수 있다.

구 분 경쟁 단계 위기 단계 무력 분쟁 단계 위협 북한군 사단의 도발 또는 공격 준비 북한군 사단의 국지도발 북한군 사단의 공격 <표 2> 사단급 제대의 다영역작전 수행개념

따라서 평시 경쟁 단 계에서 사단의 다영역작전은 대치하고 있는 북한군 사단의 국지도발 및 침략 징후를 실시간 파악하는 것과 유사시 대응 화력 운용을 위해 북한군 사단의 부대와 시설, 장비 등을 표적화해야 한다.

이는 북한군의 활동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능력에 크게 의 존하지만, 사실상 완전한 실현이 어려운 도전적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전지역에 대한 사단의 감시정찰은 상급 부대의 공중 감시정찰 능력, 전자기환경과 사이버공간에 서의 감시정찰 활동이 사단의 정보활동에 통합되어야 한다.

위기 단계에서 북한군 사단의 위협은 국지적 도발이다. 북한군 사단의 능력을 고려 할 때, 기습적인 포격 도발이나 은밀침투식 기습공격, 무인기 정찰과 자폭형 공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위기 단계에서 사단의 다영역작전은 북한군 사단이 국지도발 을 감행하려는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여 도발을 억제하거나, 적의 국지도발을 허용한 경우는 이에 대응한 신속하고 정확한 조치로 적의 도발을 격퇴하고, 추가적인 도발 의 지를 분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군 사단에 대한 감시정찰 능력뿐 아니라, 지 상, 공중, 해상의 적 목표물을 정밀하게 타격할 수 있는 화력이 요구된다.

무력분쟁 단계에서 북한군 사단이 가할 수 있는 위협은 아군을 공격하는 행동이다.

기동부대에 의한 직접적인 공격행동, 경보병부대의 침투 공격, 포병에 의한 포격과 화 학탄 공격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무력분쟁 단계에서 사단의 다영역작전은 북한군 사 단의 공격을 철책선 이북에서 격퇴하여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을 조기에 격퇴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장의 편성은 전통적인 방법인 종심지역, 근접지역(경계지역, 주방어지역), 후방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주요 전장은 철책선 전방의 경계지역과 그 이북의 종심지역이 되어야 한다.

경계지역과 종심지역에서 북한군의 공격을 격퇴하 기 위해서는 압도적인 감시정찰 능력과 정밀타격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적의 공격이 임박한 상황 또는 적이 공격을 개시한 시점에서 적의 공격 능력을 최대한 무력화할 필 요가 있다.

이때 북한군 사단의 지휘통제체계, 화력체계, 방공체계 등을 무력화할 수 있는 사이버 및 전자기 능력이 사단에 포함될 때 그 효과는 증대할 것이다.

이를 정리 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사단급 제대의 다영역작전 수행개념

구 분 경쟁 단계 위기 단계 무력 분쟁 단계

위협 북한군 사단의 도발 또는 북한군 사단의 국지도발 북한군 사단의 공격

공격 준비

중점 북한군 사단의 도발 북한군 사단의 국지도발 격퇴 북한군 사단의 공격을

및 공격 징후 파악, 표적화 철책선 전방에서 격퇴

전장 편성 ・ ・ 종심지역, 근접지역, 후방지역

작전 개념 사단과 상급부대의 다영역 감시정찰 능력 + 사단의 감시정찰 및 타격 능력 + 상급 부대

(융합) 감시정찰 능력 통합 다영역 정밀타격 능력 통합 의 우주, 사이버, 전자전 능력 통합

 

2. MDTF 편성방안

전략적․작전적 수준에서 한국 육군의 MDTF 편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전술 적 수준까지 확장하는 것은 미 육군도 적용하지 않는, 한국 육군만의 선택이어서 추가 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사단급 제대에 MDTF를 편성한다고 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방안 은 3가지 정도가 될 것이다.

첫째는 포병여단 예하의 포병대대를 모체로 하여, 우주 및 사이버 등 다영역효과대대의 작전 요소를 보강하여 편성하는 방안이며,

둘째는 포병여 단과 정보대대를 통합하여 편성하는 방안이고,

셋째는 별도의 MDTF를 편성하지 않고 사단 자체가 MDTF가 되는 방안이다.

첫 번째 방안은 포병대대를 모체로 하므로 규모 면에서 미 육군의 MDTF보다 작다.

그러나 MDTF의 작전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치하고 있는 북한군의 국지도발 징후를 감시하고 표적화하며, 의명 도발의 원점과 지원 및 지휘 세력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전시에는 사단 종심작전 체계 내에서 적의 사단 지휘소나 화력부대 등 고가치 표적을 전담하여 추적 감시 및 타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방안은 MDTF 편성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면서 사단장에게 높은 수준의 작전적 융통 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규모가 작아서 그 효과성이 제한된다는 한계점과 사단의 작전이 사단의 직할부대에 불과한 소규모의 MDTF에 지나치게 의존 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는 사단 편성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안은 포병여단과 정보대대를 통합한 형태이므로 미 육군의 MDTF와 유사 한 편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방안의 MDTF는 적의 국지적 도발 징후의 탐지와 추적, 그리고 유사시 타격까지 포함하여, 북한의 국지도발에 대응한 작전에 매우 효과적이며, 전시에는 사단 종심작전을 전담하고, 여단 작전을 지원하는 역할까지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방안은 첫 번째 방안보다 규모가 크기 때문에 사단의 다영역작전 수행 능력 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평시 사단의 국지도발 대비작전과 전시 작전에 대한 사단장의 역할이 MDTF 지휘관에게 과도히 전환되어 지휘통제의 효율 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사단의 정보와 화력, 기동 등 제반 전투수행기능을 통합하는 역할은 참모의 지원을 받는 사단장의 고유 역할에 속하지만, MDTF 지휘관이 이 중 정 보와 화력, 방호 등의 전투수행기능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게 되면 사단장의 역할이 대 폭 축소될 수 있다.

이러한 지휘체계는 전술적 수준의 부대인 사단급 부대에 적합한 방 식이라고 볼 수 없다.

세 번째 방안은 사단 예하에 MDTF를 편성하지 않고, 사단 자체가 MDTF가 되는 방안이다.

즉, 미 육군의 MDTF로부터 한국 육군이 적용해야 하는 정밀타격 능력, 우 주작전 능력, 사이버작전 능력, 전자전 능력, 방호능력을 사단이 갖는다는 것이다.

이 방안은 사단 자체가 MDTF의 능력을 갖기 때문에 사단의 편성과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단 이하의 전술적 수준의 부대는 그 자체가 MDTF가 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만들게 되어 개념적으로 혼란스러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사단 이하의 전술적 수준의 부대가 다영역부대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일면 타당성이 있다.

세 가지 방안을 비교할 때, <표 3>에서 제시하듯이 사단의 MDTF는 사단 자체가 되 는 세 번째 방안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사단의 MDTF 편성방안

구 분 방안 #1 방안 #2 방안 #3

편성 방식 포병대대를 모체로 편성 포병여단과 정보대대 통합 사단 자체

장점 편성 용이, 국지도발 대비작전 미 육군의 MDTF와 유사,

또는 종심작전 전담부대로 운용 국지도발대비작전 및 전시작전에 다영역부대로 전환

주도 사단 능력의 획기적 향상

단점 작은 규모, 사단 편성의 사단장의 역할 축소/ 지휘 사단 = MDTF / 개념적

불균형 발생 통제의 비효율성 발생 모호함발생

결론 △ △ ○

3. 요구되는 능력과 실현 전략

한국 육군 사단의 다영역작전 수행개념과 MDTF 편성방안을 고려할 때, 미래 한국 육군의 사단(Army TIGER 사단41))은 다영역의 역량을 융합하여 북한군에 압도적 우위를 달성하는 다영역작전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사단은 그 자체가 MDTF가 되는 다영역부대로 전환되어야 한다.

41) 한국 육군이 추진하고 있는 군사혁신의 핵심 요소가 Army TIGER 여단이므로, 미래 사단은 Army TIGER 사단으로 호칭한다.

3.1. 요구되는 능력 지휘통제: 전투수행기능 측면에서

Army TIGER 사단은 다영역의 역량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사단은 사단의 능력뿐 아니라 상급 부대의 지상, 해상, 공중, 우주, 사이버, 전자기 등의 영역에서의 역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상황과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융합의 지휘통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융합의 지휘통제 시스템은 사단 및 상급부대 역량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조합을 결정하며 신속하게 시행하도록 하는 사단의 지휘통제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능력은 AI, 네트워크 등 과학기술 발전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정보:

전투수행기능 측면에서 Army TIGER 사단은 대치하고 있는 북한군의 국지도 발 징후를 파악하여 이를 억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하고, 도발 원점에 대한 정확 한 표적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여 타격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나아가 전시에는 적 의 핵심표적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단의 정보는 지상 감시의 한계를 벗어나 공중, 우주, 전자전, 사이버 영역의 정보 능력을 통합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정보의 수집뿐 아니라, 수집된 정보를 전투에 유용한 정보로 전환하기 위한 분석체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보 시스템도 AI 와 네트워크 등 발전하는 과학기술의 효과적인 접목을 요구한다.

기동:

전투수행기능 측면에서 Army TIGER 사단은 Army TIGER 여단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지상 영역의 기동뿐 아니라 공중 영역의 기동 능력을 필요로 한다.

지형적 마찰을 회피할 수 있는 공중 기동은 유용성이 매우 뛰어나며 신속한 작전 종결에 기여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육군 항공부대의 사단 편성이 요구된다.

화력:

전투수행기능 측면에서 Army TIGER 사단은 교차화력의 정밀타격 능력이 요 구된다.

이러한 능력은 정보 능력과 함께 적의 도발과 침략을 억제하고 유사시 작전을 조기에 종결할 수 있는 핵심 능력이다.

교차화력 정밀타격 능력은 포병과 미사일, 항공 근접지원, 해상화력지원 등의 살상 화력뿐 아니라 적 지휘통제체계, 대공방어체계, 화 력체계 등을 무력화할 수 있는 전자전 공격 능력, 우주작전 능력, 사이버작전 능력 등 비살상 화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는 포병 중심의 사단 화력 편성에서 전술지대지 미사일과 포병이 균형을 이룬 편성, 또는 전술지대지미사일 중심의 편성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으며, 합동 차원의 살상 및 비살상 화력 협조시스템이 정교하게 발전되어야 한다.

공군 및 해군의 지원화력이 적시에 정확히 요망하는 표적을 타격할 수 있어야 하 고, 합동의 우주 및 사이버작전 능력은 사단의 작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요망한 시간에 발생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방호:

전투수행기능 측면에서 Army TIGER 사단은 적의 포병, 로켓, 화학 및 생물 학탄, 무인기, 사이버, 전자전 공격으로부터 아군을 방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 다.

사단의 교차화력 정밀타격 능력은 적의 공격 능력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적의 기습 공격은 아군에게 피해를 강요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단 은 미 육군의 MDTF가 적용하고 있는 직접 에너지 무기체계를 활용하여 적의 포병과 로켓 공격, 무인기 공격을 요격할 수 있는 방공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적의 전자기 및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아군의 지휘통제체계를 방호할 수 있는 체계를 구비해야 한다.

지속지원:

전투수행기능 측면에서 Army TIGER 사단은 장기간 독립작전이 가능한 지속지원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

앞서 논의된 지휘통제, 정보, 기동, 화력, 방호 기능 측면에서 획기적으로 향상된 사단의 능력은 지속지원 능력을 기반으로 한다.

사단의 지속지원은 지상 수송 중심의 보급체계에서 공중 및 항공 수송을 포함한 균형된 보급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으며, 3D 프린팅 형태의 원격 정비체계를 발전시켜 근접지원 정 비체계와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표 4> 요구되는 능력

지휘통제 사단 및 상급부대 역량과 상황 파악 능력, 역량의 최적 조합 결정 능력

정보 지상 감시뿐 아니라 공중, 우주, 전자전, 사이버 영역의 정보 능력 통합 능력, 수집된 정보의 신속

정확한 분석 능력

기동 지상 기동에 추가하여 공중 영역에서 기동 능력

화력 교차화력 정밀타격 능력(포병과 미사일, 항공근접지원, 해상화력지원 등의 살상 화력뿐 아니라 적 지휘 통제체계, 대공방어체계, 화력체계 등을 무력화할 수 있는 전자전 공격 능력, 우주작전 능력,

사이버작 전 능력 등 비살상 화력)

방호 적의 포병, 로켓, 화학 및 생물학탄, 무인기, 사이버, 전자전 공격으로부터 아군을 방호할 수 있는 능력

지속지원 장기간 독립작전을 지속지원할 수 있는 능력

3.2. 실현 전략

한국 육군의 사단을 Army TIGER 사단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은 현재 작동하고 있는 Army TIGER 여단 추진전략과 연계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Army TIGER 여단은 시범부대 운영을 거쳐 2030년에 1개 사단의 Army TIGER 여단을 편성하고, 2040년 에는 모든 여단을 Army TIGER 여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Army TIGER 사 단 추진전략도 Army TIGER 여단 추진전략과 연계하여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Army TIGER 사단 1단계는 Army TIGER 사단의 운용과 편성 개념을 완성하 는 단계이고, 2단계는 1개의 시범사단을 지정하여 초기 편성 수준의 Army TIGER 사 단을 운영하여 2030년에는 Army TIGER 여단과 발맞추어 1개 사단의 Army TIGER 사단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3단계는 2040년까지 전 사단을 Army TIGER 사 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Army TIGER 사단의 초기 편성은 현 사단의 편성을 골격으로 다영역작전 수행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보강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

지휘통제 면에서 사단의 지휘통제본 부에 공중 및 해상화력 협조팀에 추가하여 CEMA(Cyber Electro-Magnetic Activity, 사이버전자기활동)팀, 우주작전팀을 편성하여 다영역의 역량과 능력을 융합할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또한 24시간 운용되는 사단의 지휘통제실을 상황 유지와 대응 개념에서 벗어나 실제 작전을 수행하는 MDTF의 전영역작전본부(ADOC) 형태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정보 면에서 사단의 지휘통제본부에 지상, 해상, 공중, 우주, 사이버, 전자기 등 전 영역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정보대대는 전 자전 공격 능력과 전자전 감지(sensing) 능력이 대폭 확대되어야 한다.

기동 면에서 사 단에 육군 항공부대의 편성이 필요하다.

육군 항공부대는 공중 정밀타격 능력뿐 아니 라 공중수송 능력을 제공하며, 적에게는 아군의 비대칭무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국의 지형은 산지가 많아서 신속한 기동을 위해서는 육군항공에 의한 공중 기동이 필 요하며, 적의 은밀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서도 공중 타격 능력이 필수적이다.

또한 육군 항공부대는 무인기와 협력하는 유 ‧ 무인 복합체계로 발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화력 면에서 포병여단은 명칭을 포괄적 의미의 화력여단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여단의 편성은 자주포 중심에서 자주포와 로켓, 지대지 미사일 화력을 균형 있게 편성 할 필요가 있다.

미 육군의 MDTF는 사거리를 중심으로 3개의 포대를 편성하였지만, 사단의 화력여단은 유형별로 구분하여 편성할 필요가 있다.

즉, 자주포 1개 대대, 다련장 로켓 1개 대대, 미사일 1개 대대 등으로 화력여단을 편성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최적의 편성을 위해서는 워게임이나 시물레이션 등의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 된다.

방호 면에서 사단은 저고도 항공기를 요격하는 현 체계에 추가하여 적의 포병과 로켓을 요격하고, 군집 무인기를 무력화할 수 있는 방공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 서 현 저고도 항공기 탐지 및 요격을 담당하는 방공중대에 추가하여 적의 포병과 로켓, 무인기를 요격하는 방공중대의 편성이 요구된다.

지속지원 면에서 사단은 편성의 변화 보다는 공중 또는 해상 수송체계, 원격 정비체계 등을 갖추고 작동시킬 수 있는 능력의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 5>와 같다.

<표 5> 초기 편성 보강 소요

지휘통제 전영역작전본부(ADOC), CEMA(Cyber Electro-Magnetic Activity, 사이버전자기활동)팀,

우주작전팀

정보 증강된 정보분석조직, 증강된 전자전 부대, 전자전 감지(sensing) 부대

기동 육군 항공부대(유‧ 무인 복합)

화력 화력여단으로 명칭 변경 검토, 화력여단의 편성을 자주포 중심에서 자주포와 로켓, 지대지 미사일

화력 을 균형 있게 편성, 예) 자주포 1개 대대, 다련장 로켓 1개 대대, 미사일 1개 대대 등

방호 증강된 방공부대(적 포병과 로켓, 무인기 요격)

지속지원 증강된 지속지원부대(공중 또는 해상 수송체계, 원격 정비체계 등)

Ⅴ. 결론

한국 육군은 안보환경과 작전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군사혁 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Army TIGER 여단 사업에서는 가시적인 성과가 만들어져 국민 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 정책 발전과 완전성 제고를 위해 여단을 넘어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군사혁신 이 론을 고찰하여 추격형 군사혁신 모델을 분석의 틀을 설정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선도형 국가로 미국을 선정하였고 주요 관찰 대상은 다영역작전과 MDTF로 하여 분석 하고 한국 육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어서 평가를 바탕으로 한국 육군에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한국 육군의 사단급 제대의 발전방안을 비교적 구체적 으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육군의 미래 사단(Army TIGER 사단)에 요구되는 능력은 다영역 의 역량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지휘통제), 접적하고 있는 북한군의 국지도발 징후를 파악하고 도발 원점에 대한 정확한 표적 정보를 제공하는 능력(정보), 지상 및 공중 영 역의 기동 능력(기동), 다영역 교차화력 운용 능력(화력), 포병, 로켓, 화학 및 생물학 탄, 무인기, 사이버, 전자전 공격으로부터 아군을 방호할 수 있는 능력(방호), 장기간 독립작전이 가능한 능력(지속지원) 등이었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Army TIGER 여단 추진전략과 연계하여 3단계로 추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1단계는 Army TIGER 사단의 운용과 편성 개념을 완성하고, 1개의 시범사단을 지정 하여 초기 편성 수준의 Army TIGER 사단을 운영하는 것이다.

2단계는 2030년에 Army TIGER 여단과 발맞추어 1개 사단의 Army TIGER 사단을 완성하고, 3단계로 2040년까지 전 사단을 Army TIGER 사단으로 전환한다.

본 연구는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의 방향을 사단급 제대에 맞추어 시도하였고, 다소 개념적이지만 연구의 목적을 달성한 것으로 스스로 평가한다.

그러나 요구되는 능력과 Army TIGER 편성을 위해서는 좀 더 세밀한 분석과 워게임, 시룰레이션 등의 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구체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저서

Richard O. Hundley, Past Revolutions Future Transformations: What can the History of Revolutions in Military Affairs Tell Us about Transforming the U.S. Military?, RAND, 1999. U.S. Army, The US Army in Multi-Domain Operations 2028, 2018a. U.S. Army, ADP 1-02 TERMS AND MILITARY SYMBOLS. 2018b. U.S. Army, Army Modernization Strategy: Investing in the Future, 2021. U.S. Army, Chief of Staff Paper #1: Army Multi-Domain Transformation, 2021. U.S. Army, FM 3-0 Operations. 2022. U.S. Army, 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Version 1.0, 2017.

2. 논문

구혜정,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군의 군사혁신 발전방향,” 『군사연구』, Vol.- No. 148, 2019. 이수형,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과 발전방향,” 『글로벌정치연구』, Vol. 9 No. 2, 2016. 정민섭, 이웅, 박상혁, “미래 육군의 전투개념 혁신에 관한 연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 투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군사연구』, Vol.- No. 150, 2020. 정연봉, “베트남전 이후 미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군사연구』, Vol.- No. 147, 2019. 조상근, 이광운, 민철기, 예병익, 최현규, 박상혁, “육군의 미래 핵심역량 창출을 위한 군사 혁신 사고과정 정립,”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8 No. 5, 2022. McEnany, Charles. “Multi-Domain Task Forces: A Glimpse at the Army of 2035,” SPOTLIGHT 22-2, 2022. Steven Metz and James Kievit, “Strategy an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from Theory to Policy,” Strategic Studies Institute, 1995. 3. 기타 자료 김한경, “육군·KRINS, ‘유무인 복합체계’ 및 ‘다영역 작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2022. 9. 23.).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20923500057(검색일: 2023. 8. 16). 장 재 규 장재규  한국 육군 사단급 제대의 군사혁신 방향: 다영역작전과 MDTF 적용을 중심으로 95 유용원의 군사세계 국방세미나 자료실. “아미타이거 설명 자료… 미래 다영역작전을 주도 하는 첨단과학기술군!” (2022. 6. 10.).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83&bra nch =&pn=2&num=12(검색일: 2023. 8. 16.). Brading, Thomas. “Talent Management Key to Filling Future Specialized MDO Units,” Army News Service. (2020. 5. 21.). https://www.army.mil/article/235813/talent_management_key_to_ filling_future_specialized_mdo_units (검색일: 2023. 7.1). CRS Report. “The U.S. Army’s Mid-Range Capability (MRC) Weapon System,” (2022. 12. 6.). https://crsreports.congress.gov/product/pdf/IF/IF12135/5 (검색일: 2023. 7. 1.). Heckmann, Laura. “JUST IN: Army's Third Multi-Domain Task Force Fully Operational by May, Official Says” (2023. 3. 6.). https://www.nationaldefensemagazine.org/articles/2023/3/6/third -multi-domain-task-force-will-be-fully-operational-by-may-army-o fficial-says(검색일: 2023. 7.1). Judson, Jen. “Army sets sights on 2024 for next Project Convergence.” (2023. 2. 8.). https://www.defensenews.com/land/2023/02/07/army-sets-sights -on-2024-for-next-project-convergence/ (검색일: 2023. 7. 1.). Parlato, Richard. “1st Multi-Domain Task Force Deploys the Army’s First Long-Range Hypersonic Weapon System.” (2023. 3. 30.). https://www.army.mil/article/265349/1st_multi_domain_task_ force_deploys_the_armys_first_long_range_hypersonic_weapon_syst em(검색일: 2023. 7. 1.). Roque, Aslley. “Army Taps Teams to Build New Precision Strike Missile for Targets Beyond 1,000 km.” (2023. 3. 27.). https://breakingdefense.com/2023/03/army-taps-teams-to-build -new-precision-strike-missile-for-targets-beyond-1000-km/(검색일: 2023. 7.1). Skelley, Katie Davis.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Points toward the Future of Warfare” (2022. 10. 26.). https://www.army.mil/article/260538/directed_energy_weapon_ system_points_toward_the_future_of_warfare (검색일: 2023. 7.1).

<Abstract>

The Study on Military Innovation at the Divisional Level of the Korean Army : based on MDO and MDTF

Jang, Jae Kyu (Yeungnam University)

The Korean Army is promoting systematic and active military innov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security and operational environment, and the Army TIGER Brigade project has revealed tangible results, raising public expec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ilitary innovation plan for division-level unit across the brigade for the completeness of the military innovation of the Korean Army.

To this end, the military innovation theory was considered and the pursuit type model of military innovation was appli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ccordingly, MDO and MDTF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as observation targets for leading countries, and the impact on the Korean Army was evaluated, and the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Army and the development of the Army TIGER Division were proposed in relative detail.

Key Words: military innovation, MDO, MDTF, division, warfighting function

한국군사 제14호, 2023. 12.

◆ 논 문 접 수 일: 2023.10.26 ◆ 논 문 2차 수정일: 2023.11.21 ◆ 논문게재확정일: 2023.12.29

 

3_편집_장재규(69-96) 완료.pdf
0.5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