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 약>
□ 트럼프 정부는 미국의 국익 및 달러화의 기축통화 지위 유지를 위해 원칙적으로 CBDC 발행을 금지할 것을 밝힘
□ 이전 바이든 정부에서 민간 디지털자산 시장의 급성장이 미국 경제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추진했던 기존 CBDC 정책에 영향이 불가피
□ 최근까지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BIS와 기관용 CBDC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프 로젝트를 수행 중
□ 특히 글로벌 금융중심지로서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 도입에 적극적인 싱가포르는 CBDC를 통한 글로벌 결제시스템 효율성 등에 관한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
□ 홍콩 또한 수년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토큰화된 자산, CBDC와 토큰화된 자산의 결합 등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였고, 최근 기관용 CBDC를 활용한 기관 간 결제시스템의 표준 정립 등을 테스트하며 관련 시스템의 고도화에 힘씀
□ 개별 국가의 경제주체를 대상으로 한 범용 CBDC 연구에서는 중국이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
□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미국의 영향력 및 달러화의 위상을 고려할 때, 향후 국경간 거래에서 CBDC 기반 플랫폼 제약 및 실제 도입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
'정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장되는 BRICS 및 공급망(25-2-10)/스즈키 사오리.Mizuho Research & Technologies (0) | 2025.02.11 |
---|---|
산업정책과 통상규칙: 중국의 '과잉생산' 현상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평가와 정책적 시사(25-2-25)/와타나베 마리코(學習院大).RIETI (0) | 2025.02.11 |
미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반독점규제 및 전망(25-2-3)/홍지연.자본시장연구원 (0) | 2025.02.08 |
반복되는 실패를 딛고 조직문화 혁신에 성공하는 법(25-2-4)/방상진.포스코경영연구원 (0) | 2025.02.08 |
코로나19 이후 용도별 수입물량 추이 분석(24.12月)/송민기.금융연구원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