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 인도는 최근 우주 산업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글로벌 우주 경쟁(Space Race)에서 주요 행 위자로 급부상하고 있음.
-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2023년 달 남극 착륙, △2024년 태양 관측 위성 발사, △2025년 우주 도킹 성공 등 주요 탐사 프로젝트를 연이어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위성통신·발사체 등 상업 부문에서도 빠르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 2020년 이후 인도는 우주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정부 주도에서 민간·시장 중심 구조 로 전환하고 있음.
- 「인도우주정책 2023」을 통해 민간의 우주 산업 참여를 공식화하고, 거버넌스 체계를 전면 개편하여 연구 개발(ISRO), 사업 승인 및 진흥(IN-SPACe), 상업화(NSIL)로 주요 기구의 기능을 분리함.
- 아울러 해외직접투자(FDI) 규제 완화, 벤처펀드 조성 등 글로벌 자본 유입과 민간 주도 산업 생태계 활 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있음.
▶ 또한 인도는 국제정세 변화와 시장 수요에 대응해 대외협력 방식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으며, 정부 간 탐사 협력과 민간과의 산업 협력을 함께 추진하고 있음.
- 2022년 이후 러시아와의 협력이 중단되자, 인도는 미국(NASA)과의 공동 유인 비행·위성 개발 협력을 확대하고 프랑스·일본·ESA(유럽우주기구) 등과의 전략적 협력도 강화하고 있음.
- 민간 부문에서도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협력, 투자 유치 등 실질적 산업 협력이 확대되는 추세임.
▶ 인도가 민간 주도 산업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우주 부문의 기술혁신과 산업역량을 강화한 사례는 한국의 정책 방향 설정에 유의미한 참고가 될 수 있음.
▶ 아울러 한국은 인도와 상호보완적이고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여 국내 우주 산업의 글로벌 네트워 크 확대를 위한 전략적 기반을 마련해나가야 함.
- 발사체·탐사·관측 등 인도와의 기술 격차가 존재하는 분야에서는 상호보완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양 자 및 다자 협의 채널을 통해 실질적 협력을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음.
KIEP 세계경제 포커스 8-14
'외교안보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EU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 계획의주요 내용 및 시사점(25-4-22)/오태현.KIEP (0) | 2025.04.25 |
---|---|
북한 ‘지방발전 20×10 정책’ 2차년도 사업 분석 및 시사점(25-4-18)/강성현外.현대경제연구원 (0) | 2025.04.25 |
2025년 중국 양회(兩會) 주요 내용과 한·중 협력 방안(25-4-14)/김예경.국회입법조사처 (0) | 2025.04.16 |
신영역 작전개념과 연계한 한반도 미사일 전략 연구(25.4月)/김기원.국방연구원 (0) | 2025.04.12 |
대만 해협 사태와 한국의 역할(25-3-28)/앤드류 요外.브루킹스 연구소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