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이야기

침례교 관점에서 본 선교적 해석학의 평가와 적용/박명화.한국침례신학大

 

 

Ⅰ.들어가는 말

 

침례교는 출발부터 교회는 신자가 회중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모 든 신자가 복음전파의 사명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해 왔으며, ‘신자’ 개념의 독특성은 침례교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이기도 하다. 선교적 해석학 역시 성경해석을 통해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구속받은 백성을 강조하며, 그들의 실천적 참여를 강조한다. 이 둘은 교회와 선교의 관계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 논지를 바탕으로 선교적 해석학이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살 펴보고, 선교적 해석학의 분류를 침례교 관점에서 선교적 해석학을 평가하고, 교회의 본질인 선교적 사명에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 회가 ‘신자의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Ⅱ.선교적 해석학의 배경과 이해

 

선교적 해석학은 서구 교회 쇠퇴 가운데 영국에서 시작된 선교 적 교회론의 발전 과정에서 등장한 선교신학으로 하나님의 선교 관 점에서 성경을 해석하는 해석학 방법론이다.

선교적 해석학이 새로 운 성경해석학의 방법론 같으나, 성경을 선교 관점에서 해석하는 방 식은 성경해석학의 발전과정에서 이미 시작된 선교신학으로, 이 성 경 해석 방식은 선교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성경 해석의 결과 가 다양하게 도출된다.

 

1. 선교적 해석학의 배경

 

1) 선교사상의 변화

 

1910년 ‘이 세대 안에 세계 복음화’(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라는 주제로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The World Missional Conference at Edinburgh)가 열렸다.1

 

   1 에딘버러 선교대회는 선교 동원가이면서 정치가인 존 R. 모트(John R. Mott)의 주도 하에 일어난 운동이다. 모트의 저서 『이 세대 안에 세계 복음화』(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의 전문을 보면 첫째, 복음 전도는 개인적 의미가 있 다. 둘째, 성경 번역이 중요하다. 셋째, 모든 사람, 모든 장소, 모든 세대에 걸쳐 복음 이 전해져야 한다. 넷째, 현지 그리스도인에게 선교정신이 심어져야 한다. 다섯째, 세 계 복음화를 위한 연합과 협력이 강조되어야 한다. 여섯째, 복음의 구두적 선포가 중요 성을 강조한다. John R. Mott,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 (New York: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 1900).

 

당시 분위 기는 20세기 안에 세계가 복음화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세계 복 음화를 위해 신학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교회와 선교 단체 가 연합해야 한다고 여겼다. 1952년 빌링겐(Willingen) 회의에서는 Missio Dei 개념이 등장하면서, 선교를 교회의 사역이 아닌 Missio Dei 관점에서 생각하기 시작했다.2

시간이 지나면서 Missio Dei 개 념이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교회의 선교는 영혼구원을 위한 사역에 서 인간의 샬롬을 위한 사회적 참여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 에 WCC(World Council of Churches)는 1968년 4차 웁살라 총회 (Uppsala)에서 선교를 모든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도록 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며 선교 개념을 확대해석하였지만, 복음전도의 필 요성이 논의되면서, 1975년 5차 나이로비 총회(Nairobi)에서 선교 의 통전성(Holistic Mission)이 강조되었다.3

 

   2. Missio Dei 개념은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자 신의 Summa Theologica 제1부(43번) ‘신성한 인격들의 사명’(The Mission of the Divine Persons)에서 ‘하나님의 사명’을 다룬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각 위격이 다 른 위격과 분리되지 않고 상호 내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은 하나의 사명이 다른 사명 없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 하나님의 위격은 분리가 없으며, 단지 발출의 구별만 있을 뿐이다. 성부로부터 성자 파송되었으며, 성부와 성자에게서 성령이 발출 된다. 하나님의 내재적이고 경륜적 삼위일체의 사명 목적은 세상의 구속에 있다. 자세 한 내용은 다음 책을 참고하라.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ca Vol. 1 (New York: Benziger Bros, 1948), 219-26; Lesslie Newbigin, One Body One Gospel One World (Lodon & New york: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1958), 25-38; David J. Bosch, Transforming Mission, 김병길, 장훈태 역, 『변화하고있는 선교』 (서 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550.

   3 .World Council of Churches, Assembly 1968, The Uppsala Report 1968, ed. Nor man Norman Goodall (Geneva: World Council of Churches, 1968), 105; David M. Paton ed., Breaking Barriers, Nairbi 1975 (Grand Rapids: Eerdmans, 1976), 52.  

 

복음주의는 하나님의 선교를 인정하지만 WCC에서 말하는 Missio Dei와는 신학적 차이점이 있다.

WCC는 하나님의 선교에 대 해 세상 가운데 행하시는 다양한 사역으로 보고, 영혼구원은 하나님 의 사역으로, 교회의 사역을 사회적 참여로 축소 시켰다.

복음주의 는 선교의 핵심을 복음전파에 두며, 영혼구원을 위한 활동을 교회 의 핵심 사역으로 본다.

이러한 차이는 교회의 복음 전도 책임과 예 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강조한 1966년 휘튼 선언문(The Wheaton Declaration)과 베를린 대회(The World Congress of Evangelism, 1966)에서 나타난다.4

이후 1974년에 열린 로잔 대회는 복음전파와 사회봉사가 분리될 수 없음을 천명하고, 복음의 우선성을 유지하는 선교의 총체성(Intergral Mission)을 제시한다.5

로잔은 제2차 대회 (1989)와 제3차 대회(2000)를 거치면서 점차 선교 개념을 확장해 왔 다.6

특히, 제2차 대회에서는 사회적 책임과 복음전파를 동반자 관계 로 이해하고, 제3차 대회에서는 피조 세계 전체를 복음의 대상으로 삼는 방향으로 발전했다.7

 

      4 Harold Lindsell ed., The Church’s Worldwide Mission: Proceeding of the Congress on the Church’s Worldwide Mission (Wheaton: Word Books, 1966), 9-16; Johnston, 『세계 복음화를 위한 투쟁』, 175-6, 180-1.

      5 Lausanne Movement, The Cape Town Commitment, 최형근 역, 『케이프타운 서약』 (서울: IVP, 2014), 219.

      6 Lausanne Movement, 『케이프타운 서약』, 240-2.

      7 Lausanne Movement, 『케이프타운 서약』, 240-2.

 

복음주의와 WCC 사이에는 Missio Dei에 대한 신학적 차이가 존 재하지만 확대된 선교 개념은 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복음주의 는 복음전파가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적 사명이며, 사역의 중심적 역 할은 신자와 신자 공동체에게 있음을 분명히 해야 한다.

즉, 교회는 하나님 사역의 주변부 역할이 아니라, 복음을 증거하고 확장하는 중 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2) 성경해석학의 흐름

 

성경해석은 1세기 신약교회에서부터 존재해 왔다.

이는 신약에 서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구약을 인용해 가르쳤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다.

후스토스 곤잘레스(Justo L. Gonzalez)에 따르면 2-3세 기 교부 시대의 성경해석은 각 지역의 철학사상과 연결되어 나타난 다.8

중세 종교개혁가들의 성경해석은 성경 본문에 대한 명확한 주석 과 신학적 기반을 확립하는 데 주력했다.

엔서니 티슬턴(Anthony C. Thiselton)은 해석학이 교부 시대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주해를 위 한 규칙이었으나, 19세기 초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 E. Schleiemacher)와 20세기 한스-게오르크 가더머(Hans-Georg Gadamer)의 등장으로 실천적인 학문이 되었다고 주장한다.9

슐라이어마허 이후 성경해석학에서는 다양한 영역을 사용하게 되는데, 슐라이어마허는 해석학을 개인의 사유 기술의 일부로 이해 했다면, 가다머는 해석학을 합리주의적인 것과 분리하여 하나의 실천 학문이자 이해의 기술로 접근하면서, ‘경청’의 중요성을 강조했 다.10

 

     8 Justo L. Gonzalez, Christian Thought Revisited: Three Types of Theology, 이후정 역, 『기독교 사상사』 (서울: 컨콜디아사, 1991), 30-43, 104-7.

     9 Anthony C. Thiselton, Hermeneutics: An Introduction, 김동규 역, 『성경해석학 개 론』 (서울: 새물결플러스, 2009), 14-15.

    10 Schleiemacher, Hermeneutics: The Handwritten Manuscripts, 97; Hans-Georg Gadamer, “Reflections on My Philosophical Journey,” The Philosophy of HansGeorg Gadamer, ed. Lewis Edwin Hahn (Chicago and La Salle, Ill.: Open Court, 1997), 3-63.

 

이해의 기술로서의 해석학은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 이해, 전달, 그리고 전유되는 전체의 과정을 겪으면서 실천적 과제를 제공한다.

실천적 과제를 강조하는 해석학의 대표적인 예는 해방신학이다.

이 해석학은 출애굽과 포로기의 이스라엘을 해방의 주제로 삼고, 사회 구조의 변화를 통해 약자들의 해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해석학은 사회, 경제, 정치 등에서의 혁명, 투쟁, 인권 등의 다양한 참여를 촉 구한다.11

이들의 성경해석은 인간의 영적 구원보다 그들이 처한 상 황 속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공의를 강조한다(암 5:21-25).

이후 등장한 독자반응이론은 텍스트의 의미 완성이 독자와 독 자공동체에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 해석학은 독자는 텍스트 를 해석하는 능동적 주체로, 독자의 반응이 곧 저자의 의미 자체라 고 본다.12

독자는 텍스트를 자신이 가진 전이해를 통해 해석함으로 자신만의 해석과 실천을 만든다.13

이 과정에서 텍스트는 독자가 가 진 관심과 목적에 따라 해석의 의미가 다양해질 수 있다.14

 

       11 Thiselton, 『성경해석학 개론』, 399.

       12 Stanley Fish, “Introduction, or How I Stopped Worrying and Learned to Love Interpretation,” Is There a Text in This Class? The Authority of Interpretive Communiti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3.

      13 Fish, “Introduction, or How I Stopped Worrying and Learned to Love Interpretation,” 3; Thiselton, 『성경해석학 개론』, 469; Anthony C. Thiselton, New Horizons in Hermeneutics, 최승락 역, 『해석의 새로운 지평』 (서울: SFC, 2015), 707.   

       14 Narman Holland, Five Readers Read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5), 117.

 

이러한 해석학은 성경 해석의 주체인 독자와 공동체의 상황을 중심으로 본 문의 의미를 재구성하면서, 독자 중심의 상황화된 성경해석의 적용 을 등장시켰다.

성경해석학의 발전은 선교학에 영향을 주면서 성경의 선교적 해 석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오랫동안 선교는 성경에서 선교와 연관된 일부 구절만을 취택하여 선교의 근거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 법은 하나님의 선교 목적과 무관한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선교 전략이나 방법에 과오를 범할 위험이 있다.

성경해석학의 발전 은 성경 전체를 구속이라는 하나 관점에서 성경을 해석하기 시작했 다.

이러한 발전은 성경 전체에서 선교의 근거를 발견하고자 하는 성 경 해석학의 발판이 되었다.

 

2. 선교적 해석학의 이해

 

1) 선교적 해석학과 교회 본질

 

선교적 해석학은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성경적 근거를 제시하고 자 등장한 해석학적 방법론으로 교회 본질과 하나님의 선교에 관한 연구를 위해 성경학자와 선교학자가 함께 모이면서 시작되어 현재는 교회 본질을 재고하고 정립하는 중요한 학문적 흐름으로 자리 잡았 다.15

선교적 해석학에 대한 논의는 오랜 시간 서구사회에서 주도적 으로 문화적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던 기독교가 근대 이후 급변한 사 회와 문화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쇠퇴하는 상황에서, 서 구교회의 교회론적 반성, 선교적 성찰, 그리고 교회가 속한 문화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성찰의 필요성에 의해 등장했다.16

 

   15 2002년 SBL(th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1월 모임과 AAR(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모임에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사적 본질에 대한 관점 을 성경에서 접근한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라는 질문이 있어왔다. 비공식적인 조 찬모임에서 시작된 논의는 2005년 GOCN의 후원으로 AAR/SBL 부가모임으로 발 전하였으며, 2009년에는 공식적인 연대모임(affiliate organization)으로 공식화되었 고, 매년 ‘선교적 해석학 GOCN 포럼’으로 선교적 해석학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George R. Hunsberger, “Proposals for Missional Hermeneutic: Mapping a Conversation,” Missiology 39/3(July 2011): 309.

    16 한국일,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으로 한국사회의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목회와 신 학』 (2013년 3월): 28.

 

교회는 역사적으로 성경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며, 그에 따른 적용을 해왔다.17

교회의 역사적 다양성은 교회에 대한 이 해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맞 춰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교회 본질에 대한 이해는 교회 사역의 방향 과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주 침례교 신학자 마 이클 프로스트(Michael Frost)는 크리스텐덤 교회가 성경적 양식이 아닌, 교회 자신을 이해해 온 한 가지 방식일 뿐인데, 이를 유일한 모 습으로 생각하고, 역사적이고 문화적으로 하나의 양식으로 속박하 며, 우상화했다고 지적한다.18

교회는 조직이나 제도가 아닌 선교적 운동으로 재규정한다.19

이를 위해 교회는 성경의 원리를 따라 교회 존재 방식과 사명의 변혁이 필요하다.20

크레이그 벤 겔더(Craig Van Gelder)는 교회는 하나님 나라 이 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구속적 통치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존재에서 시작된다는 선언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

레슬레 뉴비긴(Lesslie Newbigin)은 교회는 인간이 모 인 사회로서 여러 인간 공동체 가운데 존재하는 하나의 가시적 공동 체라고 정의한다.22

 

     17 Craig Van Gelder, The Essence of the Church : A Community Created by the Spirit, 최동규 역, 『교회의 본질』 (서울: CLC, 2015), 74-75.

    18 Michael Frost and Alan Hirsch, 지성근 역, 『새로운 교회가 온다』 (서울: IVP, 2009), 38.

    19 Frost and Hirsch, 『새로운 교회가 온다』, 39-40.

    20 Frost and Hirsch, 『새로운 교회가 온다』, 40.

    21 Gelder, 『교회의 본질』, 119-20.

    22 Lesslie Newbigin, The Household of God, 홍병룡 역, 『교회란 무엇인가?』 (서울: IVP, 2010), 30-31.

 

학자들이 제시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교회의 본질을 수행할 의무와 능력을 부여받은 신자들이 교회 회중이 되어 야 한다.

이는 신자만이 복음의 증거를 가지고 있으며, 구속의 복음 을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학적 기초는 침례교의 교회론에 서 발견할 수 있다.

침례교의 교회론은 ‘신자의 교회’를 강조하는데, 이는 선교적 해석학이 하나님의 백성, 구속받은 공동체가 해석의 주 요 요소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2) 선교적 해석학과 성경의 선교적 기초

 

1960년대부터 개혁주의 신학자인 J. H. 바빙크(J. H. Bavinck) 를 비롯한 다양한 선교학자들이 성경 전체를 선교적 관점에서 해석 하기 시작했다.

바빙크는 성경의 선교 해석을 통해 학자들의 관점 에 따라 하나님의 영광, 선교문서, 하나님 나라, 하나님 백성의 사 역, 언약과 성취 등이 선교목적이 된다고 설명했다.23

요하네스 블 라우(Johannes Blauw)는 성경전체가 하나님의 구속적 활동으로, 구약에서부터 구속의 보편성이 출발한다고 보았다.24

허버트 케인 (Hervert Kane)은 성경 전체가 기독교 선교의 기초가 되며, 하나님 이 선교하시는 분이기 때문에 구약도 선교적 책에 포함되고, 하나님 말씀 없이는 어떤 선교활동도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는 점을 강조 한다.25

 

    23 J. H. Vavinck,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issions, 전호진 역, 『선교학개론』 (서울: 성광문화사, 1980), 164-5.   

   24 Johannes Blauw, The Missionary Nature of the Church, 채은수 역, 『구원사속의 선 교』 (서울: 한국로고스연구원, 1987), 12, 61.

   25 Herbert Kane, Christian Missions in Biblical Perspective, 이재범 역,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88), 16, 18-9; 케인은 ‘선교’를 어떻게 정의하 느냐에 따라 구약에 선교 목적, 메시지, 활동을 발견할 수도 있고,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이야기한다. Herbert Kane,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18.

 

그리고 그는 “선교가 그리스도의 선교의 연장”이라면, 예수 님으로부터 선교의 모범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동일시(성육신), 사역 (선포, 교육, 치유), 성령의 능력 나타남’이 그리스도인에게 적용되 어야 한다고 역설한다.26

도날드 시니어(Donald Senoer)와 캐럴 슈툴뮐러(Carroll Stuhlmueller)는 구약은 하나님이 창조주이자 구세주인 것과 이스라엘 의 선택이 하나님의 보편적 구원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면, 신약은 예수님을 통해 구원 대상의 확대를 보여준다고 설명한 다.27

이 두 사람은 선교의 성경적 틀이 선교 사역의 절대적 규범은 아니지만, 성경에 나타난 선교전략에 대한 고찰은 필요하다고 강조 한다.28

데이비드 보쉬(David J. Bosch)는 선교의 성경적 기초를 찾 는 방법을 벗어나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변화의 특징을 발견하고 분 석하는 방법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성경을 해석하고, 그 해석 에 의해 새로운 자기이해(self-definition)를 형성할 때 교회가 역동 적 선교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교회의 역동적 활동 이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근거하고 있다고 본다.

요하네스 니센(Johannes Nissen)은 선교의 성경적 기초 연구에 서 성경학자와 선교학자가 상호 보완적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제시 한다.29

성경학자는 성경 본문의 역사적 배경과 다양한 의미를 강조 하고, 선교학자는 선교 활동의 근거를 성경에서 발견하는데, 이러한 두 지평의 융합적 선교가 필요함을 강조한다.30

 

    26 Herbert Kane,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61-62.

    27 Donald Senior and Carroll Stuhlmueller, The Biblical Foundations for Mission, 최 성일 역, 『선교의 성서적 기초』 (서울: 다산글방, 2003), 541-53.

   28 Senoer and Stuhlmueller, 『선교의 성서적 기초』, 572-73.

   29 Johannes Nissen, New Testament and Mission, 최동규 역, 『신약성경과 선교』 (서 울: CLC, 2005), 20-21. 30 Nissen, 『신약성경과 선교』, 19, 28.  

 

그러나 어느 하나의 지평만으로 선교의 성경적 기초를 연구하는 것은 왜곡된 결과를 초 래할 수 있다.31

성경 전체의 궁극적 목적은 복음선포를 통해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것으로, 성경해석은 해석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32

 

    31 Daivd J. Bosch, “Towards a Hermeneutic for Bible Studies and Mission,” Mission Studies Ⅲ/2 (1986): 67-68.

    32 D. A. Carson,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 Church, 김은우 역, 『성경해석과 교회』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9-10. 

 

Ⅲ.선교적 해석학의 분류와 평가

 

북미 선교학자들에 의해 등장한 선교적 해석학은 해석자의 선 교와 교회의 이해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도출한다.

헌스버거는 선교적 해석학이 하나님의 선교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해석학 요소 의 강조점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강조점에 따라 네 가지 유형 으로 분류한다.33

 

     33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0-9. 34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1.

 

1. 선교적 해석학의 유형

 

첫째 유형은 ‘이야기(성경)의 선교적 방향성’을 강조하는 것으 로, 성경을 하나님 선교와 하나님 선교에 참여하기 위해 부름받고 보냄받은 하나님 백성에 관한 기록으로 보는 것이다.34

대표적인 학 자로는 크리스토퍼 라이트(Christopher J. H. Wright)가 있다.

그 는 성경 전체의 핵심이 하나님이 선교하시는 활동이기 때문에 성경 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해석해야 한다고 본다.35

또한, 성경은 하 나님의 선교에 참여하기 위해 부름 받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이야 기이며, 하나님 선교의 산물이고 증거라는 점을 강조한다.36

  둘째 유 형은 ‘(성경)기록들의 선교적 목적’을 강조하는 것으로, 성경의 저작 목적, 목표, 형성에 대한 정경적 권위와 연결된다.37

대표적인 학자 로는 데릴 구더(Darrel L. Guder)와 마이클 고힌(Micael Goheen)이 있다.

구더는 성경이 지속적인 공동체 형성과 선교사 양성을 위해 기 록된 책으로 보고, 신약을 중심으로 선교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면, 고힌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 선교를 기록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선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도 구이므로, 성경에서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 백성의 역할 그리고 교 회의 정체성을 찾아야 한다고 본다.38

  셋째 유형은 ‘독자들의 선교적 위치’를 강조하며, 기독교 공동체 가 위치한 사회 상황을 중요한 요소로 본다.39

대표적 학자로는 마이 클 바람(Michael Barram)이 있다.

그는 하나님의 선교는 세상에 보 냄받은 하나님의 백성의 정체성과 소명으로 연결되며, 사회적 위치 는 선교적 해석학의 열쇠라고 설명한다.40

 

    35 Christopher J. H. Wright, Mission of God, 한화룡 역, 『하나님의 선교』 (서울: IVP, 2010), 24-5.

    36 Wright, 『하나님의 선교』, 24.

    37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3.

    38 Michael W. Goheen, “Continuing Steps Towards a Missional Hermeneutic,” Fideles: A Journal of Redeemer Pacific College 3 (2008): 49-99.

    39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4.

   40 Michael Barram, “The Bible, Mission, and Social Location-Toward a Missional Hermeneutic,” Interpretation 61/1(2007 January): 42-58; Michael Barram, “‘Located’ Questions for Missional Hermeneutic,” [온라인 자료] https://gocn.org/ library/95/, 2023년 9월 4일 접속.

 

그리고 선교적 해석학을 “하나님이 세상에 선교적 사명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도 공동체는  하나님의 목적에 부름받고 공동체로 성경을 읽는다는 기본적 신념에 뿌리를 둔 성경 본문에 대한 접근법”이라고 정의한다.41

  넷째 유형은 ‘선교적인 문화참여’를 강조하는 것으로, 복음이 전 달되어온 사회의 종교적 전통과 인간의 상황과의 비평적 대화를 해 석학의 모체(matrix)로 보는 관점이다.42

대표적 학자는 제임스 브론슨(James Brownson)으로, 그는 전통과 상황의 역동적 상호작용 을 일으키는 중요 요소인 복음이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킨다고 역설한다.43

헌스버거는 네 가지 유형의 강조점과 독특성이 상호 배 타적이거나 경쟁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유형 간 상호 대 화를 통해 선교적 해석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된다고 주 장한다.44

 

    41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4.

    42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7.

   43 James V. Brownson, Speaking the Truth in Love: New Testament Resource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Harrisbur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8), 42-3, 50-1.

    44 Hunsberger, “Proposal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318-9.

 

2. 선교적 해석학에 대한 평가

 

선교적 해석학의 분류를 통해 성경 전체를 하나님의 선교라는 관 점에서 해석함에도 각기 다른 해석의 강조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선교 이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선교 를 복음전파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과 사회 참여로 이해하느냐에 따른 것이다.

연구자는 헌스버거의 네 가지 분류를 ‘성경 중심 해석’ 과 ‘상황 중심 해석’이라는 두 가지 유형을 재 분류하고자 한다.

   첫 번째, ‘성경 중심 해석’에는 헌스버거의 첫째와 둘째 유형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유형은 구약과 신약 전체에 걸쳐 나타나있는 하나님의 백성을 선교의 주체로 보고, 이들이 세상 가운데 윤리적 실천을 감당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두 번째는 ‘상황 중심 해석’으로 셋째와 넷째 유형이 여기에 해 당된다.

이 해석은 복음이 전달되는 사회문화 상황을 강조한다.

셋 째 유형인 독자들의 선교적 위치 강조는 독자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 한다.45

이때 성경본문이 의도한 의미와 ‘원 독자-현 독자’간의 간극 을 파악하고, 성경의 신학적 원리를 찾아 현 상황에 창의적으로 적용 할 때 자유주의적 성경해석의 태도를 벗어날 수 있다.46

 

    45 Thiselton, 『성경해석학 개론』, 464.

    46 J. Scott Duvall and J. Daniel Hays, 류호영 역, 『성경해석』 (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2009), 26-31.

    47 Thiselton, 『성경해석학 개론』, 420.

 

 넷째 유형인 선교적 문화참여의 강조는 문화상황에서 제기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성경에서 찾는다.47

그러나 성경 해석의 기준을 사회문화 상황에 두 는 해석은 선교의 핵심을 벗어나 인본주의적이거나 문화인류학적 원 칙을 우선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기독교 역사 가운데 일어난 제국주의 선교, 강제 개종, 자문화 우월주의와 같은 과오를 반복할 수 있다.

선교적 해석학은 선교와 선교 사명의 위임을 받은 존재인 공동 체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침례교 교회론의 강조점과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침례교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는 신자의 개념에 있다.

침례 교는 역사적으로 처음부터 신자의 교회와 모든 신자가 복음전파의 사명을 받은 존재라는 점을 강조해 왔다.

침례교 관점에서 개인의 신앙고백과 중생의 증거를 가진 신자가 교회 회중이 될 때 교회는 선교 적 공동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역교회 회중이 된 신자는 복음전 파의 사명을 위해 지역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선교 는 누군가에 의해 수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신자가 자기이 해를 통해 자발적이고 참여적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선교는 교회의 일부 프로그램이나 사회 활동이 아니라, 신자들이 복음의 증거를 가 지고 세상을 향해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다.

 

Ⅳ.선교적 해석학의 적용

 

보쉬는 성경 저자들과 그들이 속한 공동체의 자기이해를 발견 할 때 성경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선교를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48

그가 말하는 자기이해는 저자들이 갖는 본래적 성격과 사 회문화적 상황 등을 포함된 포괄적 이해로, 마태는 유대공동체를 위 해, 누가는 이방인 출신 공동체를 위해, 바울은 종말론적 공동체를 위한 글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49

 

    48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41.

    49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142, 199, 270.

 

성경은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구 속 성취를 위해 세상에 보내심을 받은 분이며, 십자가의 죽음과 부 활을 통해 하나님과 세상 사이의 깨어진 관계를 회복시키셨을 뿐 아 니라, 무지, 차별, 가난, 질병, 고통, 소외 등으로부터 자유를 주신 분으로 묘사한다.

그리스도의 사역은 표면적으로 인간이 가진 사회 적, 육체적, 경제적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궁극 적 목적은 세상을 구속하는 것이다.

그분의 사역은 성경 저자들의 자 기이해와도 연결되며, 그들의 글을 통해 드러난 선교적 목적을 이해 하는데 도움을 준다. 

 

1. 성경에 나타난 신자의 자기이해

 

성경적 자기이해를 통해 선교적 해석학을 적용하는 것은 신약 교회의 사명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제자들은 복음의 증거 를 가지고 신앙과 생활에서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구체화함으로 써 세상을 그리스도 안으로 초대했다.

그들의 자기이해는 그리스도 에 대한 이해와 연결된다.

그리스도는 자신을 소개할 때 구약을 사 용하셨으며, 신약의 저자들도 구약의 해석을 통해 그리스도를 구약 의 완성이며, 약속하신 구세주 되심을 믿었다.50

 

    50 예수님의 가르침과 사명은 구약성경이 기초가 된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계명에 대하 여 물어오는 사람들에게 쉐마의 말씀을 사용하셔서(신 6:4-5),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실천을 말씀하신다(마 23:37-40; 막 12:28-31). 예수님은 자신이 광야에서 사단의 유혹 가운데 있을 때도 구약 말씀을 사용하여 하나님을 의지하고, 신뢰하며, 그분만을 예배해야 할 것을 강조하셨다(신 6:13, 16; 8:3; 마 4:1-11).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57, 65.

 

그리스도에 대한 이 해는 신자의 자기이해로 이어져, 세상의 세계관과 가치관 속에서도 신자의 정체성을 지키는 기반이 된다.

또한 신자의 자기이해는 교회 가 선교적 공동체로서 기능하도록 이끄는 원동력이 되어 선교 사명 을 실천할 동기를 제공하여 하나님의 선교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선교는 신자의 자기이해를 통해 발현되는 실천 적 행위로, 신자의 자기 이해는 복음을 실천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신약교회의 자기이해는 구약의 인용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약은 구약을 통해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자 언약의 성취자로서 구속 을 완성할 분임을 강조한다(마 11:27; 16:16-17; 17:5; 마 1:1- 17, 눅 4:18-21; 요 1:29).

마태는 그리스도의 유대적 뿌리와 이방 인을 향한 선교적 관점을 (마 1:1-17; 사 42:1-3; 마 12:15-21; 마 8:17; 사 53:4), 마가는 고난 속에서 소망을(막 1:9; 사 49:7), 누가는 참된 회복과 자유를(행 8:32-33; 사 53:7-8; 사 61:1-2; 58:6; 눅 4:18-21; 사 61:3), 요한은 하나님의 사랑과 희생을 강조 한다(요 1:29; 6:31; 출 16:4; 시 78:24-25; 느 9:15).51

이런 구약 인용은 성경의 역사성, 일관성, 통일성, 연속성에 대한 강조하며, 하 나님의 계시가 하나님의 때에 완성되었음을 증언한다.52

신약의 많은 부분을 기록한 바울은 자신이 이방인 선교를 위해 부름 받았다는 분 명한 자기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성경의 권위를 통해 신자들에 게 믿음과 삶의 기준을 제시하고(롬 3:1-31), 자신을 본받아 실천적 신앙을 가지라고 권면한다(고전 9:27; 빌 3:17).53

 

     51 BlomBerg and Watts, 『마태·마가복음』, 54-5; Luz, 『마태공동체의 예수이야기』, 130-131, 118-24, 143-9, 272; Beale and Cason, ed., 『누가·요한복음』, 159; William J. Larkin Jr. and Joel F. Williams, ed., Mission in the New Testament, 홍용표, 김성욱 역, 『성경의 선교신학』 (서울: 이레서원, 2021), 228, 238; Beale and Cason, ed., 『누가·요한복음』, 510-11, 560-8, 580-3, 635-51.

    52 신약의 구약사용의 주석으로 다음의 책들을 참고하라. Craig L. Blomberg and Rick E. Watts,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Matthew·Mark, 김용재, 우성훈 역, 『마태·마가복음』 (서울: CLC, 2010); G. K. Beale and D. A. Cason, ed.,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Luke·John, 우성훈, 배성진 역, 『누가·요한복음』 (서울: CLC, 2012); G. K. Beale and D. A. Cason, ed.,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Acts·Romans, 김현광, 배성진 역 『사도행전·로마서』 (서울: CLC, 2012); G. K. Beale and D. A. Cason, ed.,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이상규 역, 『바울서신』 (서울: CLC, 2012); G. K. Beale and D. A. Cason, ed.,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 Hebrews·James·1 Peter·2 Peter·1-3 John·Jude·Revelation, 왕성인 외 2인 역, 『일반 서신·요한계시록』 (서울: CLC, 2012). 복음서와 바울 서신에 나타난 구약의 반향에 관 해서는 다음의 책들을 참고하라 Richard B. Hays, Echoes of Scripture in the Letters of Paul, 이영욱 역, 『바울서신에 나타난 구약의 반향』 (서울: 여수룬, 2017); Richard B. Hays, Echoes of Scripture in the Gospel, 이영욱 역, 『복음서에 나타난 구약의 반 향』 (서울: 감은사, 2022).

    53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254-5.  

 

성경에 기반한 자 기이해는 신자들로 하여금 성경적 세계관과 가치관을 유지하며, 신 앙의 실천적 삶을 통해 그리스도를 증거하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자기이해를 가진 신자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여 그분의 인격과 사역을 닮아가는 신앙적 성숙을 추구해야 한다.

성경해석은 신자들 이 구원받은 정체성을 상기하고, 그들의 삶을 복음의 증거로 변화시 켜 세상 가운데 하나님의 선교 목적을 실현하도록 촉구한다.

신약교회는 신자로 구성되었으며, 신자들은 지역교회 회중으로 교회의 활동에 참여했고,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실천적 신앙을 통 해 복음을 삶에서 선포했다.

신약교회는 ‘신자’라는 자기이해를 기 초로 선교사명을 의무로 여겼다.

신자의 자기이해는 침례교의 교회 론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 침례교에서 ‘신자’는 그리스도를 믿고 참 된 회심과 순종을 결단한 사람이다.

‘신자’는 외적 신앙고백인 침례 (세례)를 통해 지역교회 회중이 되며,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세워 가는 일에 참여할 수 있는 교제권을 받는다.54

 

    54 허셀 홉스는 공동체의 회원권이 아니라 교제권이라는 표현이 지역교회에 속한 신자들 의 관계에 대한 적절하게 표현하는 신약성경의 용어라고 말한다. Herschel H. Hobbs,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 김용민, 임형모 역,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 (대전: 엘도론, 2011), 113.

 

교제권은 교회의 사명 과 연결되는 의무이며 책임이다(고전 11:27).

교제권의 목적은 하나 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회중이 함께 연합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리 스도의 몸을 이루는 지체로서 다른 지역교회와의 상호연합을 포함한 다.

또한 신자의 교제권에는 자신들의 잘못에 대한 회중의 치리에 순 종하는 것을 포함한다.

잘못을 깨달은 사람은 치리를 통해 회개함으 로 신자로 회복되며, 교제권을 다시 부여받게 된다.

치리는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주어지는 신자의 회복을 위한 방안 이다.

교회는 회중이 치리를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교육하고, 치리 받 은 사람이 회복될 수 있도록 기도와 사랑으로 돌봐야 한다. 이를 통 해 신자의 회복과 신자 교회의 순수성이 유지된다.

현대 사회에서 침 례교의 ‘신자’ 개념은 복음의 보편성을 실천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선교신학적 자산으로, 신자로 하여금 선교적 삶을 통해 하나님의 통 치를 드러내도록 이끄는 동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자의 교제권과 치리는 침례교 핵심 개념인 ‘신자의 교 회’라는 신학적 기초 위에 정립되었으며, 신자의 회복과 교회의 순 수성을 유지하는 원칙을 역사적으로 강조해왔다.

1656년 브리지워 터(Bridgewater) 모임에서 작성된 특수침례교 서머세트 신앙고백 서(The Somerset, Particular Baptist, Confession)는 가시적 교회 에 대해 “그리스도의 몸에 신자들을 심는” 것으로 정의하며, “중생 한 증거와 굳건한 신앙의 행위가 나타나는 사람”을 교회 구성원으 로 받아들여야 함을 강조한다.55

제2차 런던신앙고백서(The Baptist Confession of Faith, 1677, 1689) 역시 교회가 부르심을 받은 신자 로 구성되며, “이들은 그리스도의 부르심에 대한 순종을 보이게 드 러내고 입증한다”라고 진술한다(마 28:17-20; 행 14:22-23; 롬 1:7; 고전 1:2, 13-17; 살전 1:1, 2-10; 행 2:37-42; 4:5; 5:13- 14).56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 2000은 모든 신자가 자신이 속한 지역교회 안에서 그리스도의 통치를 받으며,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어 가야 한다고 명시한다.57

 

   55 William L. Lumpkin, Baptist Confessions of Faith, 김용복 외 2인, 『침례교 신앙고 백서』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8), 249-50.

  56 Samuel. Waldron, A Modern Exposition of the 1689 Baptist Confession of Faith, 김흥범, 박대일 역, 『제2차 런던신앙고백 해설』 (대전: 제5열람실, 2020), 444-5.

   57 Morman H. Maring and Winthrop S. Hudson, A Baptist Manual of Polity and Practice (Valley Forge: Judson press, 1963), 14-5. 노먼 H. 마링(Morman H. Maring)과 윈드롭 S. 허드슨(Winthrop S. Hudson)은 역사적으로 “중생한 사람이 신 자의 침례로 이루어진 공동체와 연합 원칙과 결합된 회중 정치 그리고 국가와 교회의 분리”를 침례교의 특징적 표지로 본다.  

 

침례교에서 지역교회에 속한 모든 신자는 직분은 다르지만 위임 받은 사명에 동등한 책임을 갖는다.

모든 교회는 신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회중참여적 공동체이자, 하나님 은혜의 구속 을 위해 모든 지역교회가 함께 참여하는 연합적 공동체가 되어야 한 다.

이러한 침례교 교회론은 침례교 선교를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2. 성경에 나타난 선교이해

 

신약의 선교는 구약에 계시된 하나님의 선교 계획의 실현이다. 구약은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신약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언 약이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었음을 증언한다.

신약에서 그리스도 와 신약 저자들은 구약의 증거를 통해 복음을 증거하고 선포했다.

마태복음은 그리스도 사역의 시작을 유대인에게 초점을 두면서도 (마 10:5; 15:24, 26), 유대인의 불신과 이방인의 믿음을 대조함 으로 하나님 나라 백성이 순종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마 7:21-27; 16:18).58

28장에서는 그리스도가 부활 후 제자들에 게 모든 민족을 향해 복음을 선포할 것을 명령하는 장면이 나온다(마 28:18-20).59

 

    58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107;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108-13. 유대인의 선교와 모든 민족의 선교는 상호 의존적인 것이다. 마태에 의하면 이방인의 선교는 예 수님이 구속사 완성 이후 가능한 것이었다. 예수님은 부활 후 제자들에게 모든 민족을 제자를 삼고, 침례를 주고, 예수님이 가르치신 모든 것을 지키도록 가르치라고 명령하 셨다.

    59 Blomberg and Watts, 『마태·마가복음』, 173. 마태복음에 교회라는 단어가 복음서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마가복음은 성전정화 사건에서 그리스도가 이사야 56 장 7절과 예레미야 7장 11절을 인용하며, 하나님의 성전이 열방을 위한 공간임을 강조한다(마 11:17; 요 2:13-17).

이는 마가가 교회 를 복음을 전하는 공동체로 이해했음을 알 수 있다.

누가는 구약의 완성인 그리스도를 통해 유대인, 이방인 모두가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60

그는 선교에서 성령의 역할을 강조 하며, 성령이 모든 신자를 선교에 참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사 람이 그리스도의 구속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강조한 다.61

요한복음은 직접적인 선교명령이 없지만, 그리스도가 구속의 성취를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보냄받은 것과 같이 모든 신자도 그리 스도로부터 세상으로 보냄 받았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에 대하여 딘 플래밍(Dean Flemming)은 요한복음이 선교에 대한 “활동이라기보 다 정체성에 대한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킨다”고 설명한다.62

 

   60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160.

   61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187; Bosch, 『변화하고 있는 선교』, 185, 193; Flemming, 『신약을 선교적으로 어떻게 읽을 것인가』, 109.

  62 Flemming, 『신약을 선교적으로 어떻게 읽을 것인가』, 155-6.

 

이방인을 위해 부름받았다는 자기이해를 가진 바울은 호세아 2 장 23절과 1장 10절을 인용하여 이방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하나 님의 백성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신 32:43; 시 18:49; 117:1; 사 11:1; 롬 15:9-13; 갈 3:8; 4:26-28).

신약은 구약의 사용과 해석에 대한 모범적 예를 보여준다.

신약은 구약을 통해 첫째는 그 리스도를 증거하고, 둘째는 신자의 자기이해와 선교적 의무를 증언 한다.

신약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그리스도의 선교 명령을 받은 사 람들이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들이었으며(행 1:8; 2:1-47), 그들이 교회가 되었으며(마 16:16), 그들에 의해 복음전파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약의 원리는 침례교의 역사적 신학 자료들에게 발 견되어진다.

서머세트 신앙고백서(1656)는 교회의 선교적 역할을 명확히 하 며, 신자들이 선교 사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을 강조한다.63

제 2차 런던신앙고백서는 마태복음의 대위임령을 침례교 교회론의 핵 심 근거로 포함하며, 복음선포가 교회의 본질적 사명임을 분명히 한다.64

제2차 런던신앙고백서를 작성했던 벤자민 키치(Benjamin Keach)는 복음전파를 통해 사람들이 예수님의 구속사를 알고 믿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5

1833년 뉴햄프셔 침례교회 총회 서약은 복 음전파와 사회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신자의 필수적 행동이라는 점을 강조한다.66

이는 복음이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신앙의 실천 과 변화로 이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2000) 역시 선교가 모든 신자와 교회의 특권이자 의무임을 명 확히 한다.67

 

     63 서머세트 신앙고백서의 34조항은 “그리스도의 성령에 의해 세상에 복음을 전파하도록 적절한 은사와 자격을 부여받은 형제를 파견하는 일은 그리스도의 명령이며, 그의 권 위 안에 있는 교회의 의무이다”라고 진술한다. William L. Lumpkin, 『침례교 신앙고 백서』, 251-2, 249-50.

    64 제2차 런던 신앙고백서의 20조항은 복음 선포에 대해 “약속에 따른 그의 계시 혹은 복 음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구원하는 믿음 혹은 회개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움을 받 아야 한다…. 전 세대에 걸쳐서 복음은 많은 사람들과 민족들에게 선포되었는데, 그 정도와 강도는 하나님 의미의 계획에 따라 다양하다”라는 문구를 추가하여 선교를 더 욱 강조한다. Waldron, 『제2차 런던신앙고백 해설』, 357. 사무엘 E. 왈드론(Samuel E. Waldron)은 제2차 런던신앙고백서의 20조항을 “침례교 신앙고백서에 있는 완전히 새로운 장”이라고 소개한다.

    65 Benjamin Keach, The Display of Glorious Grace (Lodon: Printed by S. Bridge, 1698), 134.

    66 Charles W. Deweese, Baptist Church Covenants (Nashville: Broadman 1990), 157.

    67 남침례교 신앙고백서 1925년 첫판 23조항에는 전도와 선교가 모든 그리스도인과 교 회의 의무라는 것을 명확히 진술한다. 1963년 개정판 11조항은 전도와 선교가 모든 그리스도인과 교회의 특권이라고 표현하면서 거듭난 신자는 선교의 영적 필요를 느끼 며, 자신의 삶 전체를 복음을 증거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여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기 위 해 힘쓴다고 설명한다. 2000년 재개정판의 11조항은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민 족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명령하셨다. 그리스도의 생활 방식으로 뒷받침된 증언을 통 한 직접 전도와 그리스도의 복음에 적합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잃어버린 자들 을 지속적으로 주님께로 인도하는 것은 모든 하나님의 자녀의 의무”임을 강조한다. 이 내용을 구체화 하면, 신자의 삶이 복음의 구두적 전파의 핵심임을 분명하고, 그리스도 의 보혈에 의한 개인적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Baptist Confessions,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 [온라인자료] https://bfm.sbc.net/comparison-chart/, 2024 년 6월 26일 접속; 박명화, “침례교의 선교 이해를 통해 본 선교적 해석학 재고(再考)” (박사학위논문,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2024), 34-46, 77-8.

 

침례교 신앙고백서들은 교회와 선교가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교회가 복음전파의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는 근거 를 신학적으로 뒷받침한다.

침례교 전통은 침례교 신학자들의 신학적 논의에서도 동일하게 강조된다.68

18세기 말 현대 선교 운동 발전에 신학적 공헌을 한 앤 드류 풀러(Andrew Fuller)는 신자가 영적 행동에 대한 의무와 책임 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찰스 스펄전(Charles H. Spergen)은 선교가 교회의 절대적 의무이자 특권이며, 해외뿐만 아니라 자국내 에서도 일어나야하는 사역으로, 모든 신자에게 주어진 사명임을 강 조한다.69

 

    68 벤자민 키치는 그리스도의 사역자들은 윤리적인 설교가 아니라, 복음을 전파하여 사 람들이 예수님의 구속의 사건을 알고 믿게 하는 사명을 받았다고 말한다. Keach, The Display of Glorious Grace, 135.

    69 Andrew Fuller, The Gospel Worthy of All Acceptation (Philadelphia: Charles Cist, 1805), 46-53; Charles H. Spergen, Twelve Missionary Sermons (Grand Raids, Baker Book House, 1978), 5-20.

 

선교는 신자와 신자 공동체의 사명이다. 달리 말하면, 교 회의 본질이 신자의 본질이며, 교회의 회복이 곧 신자의 회복임을 의 미한다.

이는 교회와 선교가 불가분의 관계라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 서 교회가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한 자기 이해를 가진 신자가 회중이 되어야 하며, 이 신학적 기초위에 세워진 교회는 본질적 사명인 선교의 책임을 다할 수 있다.

 

Ⅴ.나가는 말

 

선교적 해석학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공동체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침례교 교회론의 신학적 특징인 신자가 회중이 되는 ‘신자의 교회’의 의미와 닮아있다.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백성인 신자들 에게 위임되었다.

이는 하나님의 선교에 신자만이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선교적 해석학의 강조점은 성경을 일관적이고 통일 된 해석학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 같다.

그러나 해석자 각자의 선교 이해와 해석학 방법론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해석의 결과는 각 공동체의 다양한 실천적 적용을 낳게 된다.

선교적 해석학이 근대 등장한 해석학 방법론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성경에 대한 선교적 해석의 예는 신약성경에서 발견되어 진다.

신약은 새로운 산물이 아니라 구약과 연속선상에서 나온 하나 님의 기록물이다.

구약은 그리스도를 증거했고, 신약교회는 이를 통 해 자신을 이해했다.

이러한 신자의 자기이해는 교회의 정체성을 형 성하고, 교회의 본질을 수행하게 한다.

침례교는 태동부터 ‘신자’ 개념의 신학적 기초위에 교회를 세웠 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선교하는 교단이 될 수 있었다. ‘신자’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로, 교회의 본질을 수행하는 존재이다.

인간의 약 함은 신자의 교회라는 순전함을 지키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이 되기 도 하지만, 교회는 순전함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점 에서 침례교의 신자 개념은 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적 해석학의 신학 적 이론의 기초가 되는 신학이 될 수 있다.

현대 교회가 외적 성장보 다 내적인 성장을 위해 힘쓰며, 신자의 교회가 되어 순전함을 유지 하기를 힘쓰며, 그리스도로 위임받은 복음전파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

박명화. “침례교의 선교 이해를 통해 본 선교적 해석학 재고(再 考)”. 박사학위논문,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2024. 한국일.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으로 한국사회의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목회와 신학』 285(2013년 3월호): 28-35. Aquinas, Thomas. Summa Theologica. Vol. 1. New York: Benziger Bros, 1948. Barram, Michael. “The Bible, Mission, and Social Location: Toward a Missional Hermeneutic.” Interpretation 61 (January 2007): 42-59. Beale, G. K. and D. A. Cason, Ed.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Luke·John. 우성 훈, 배성진 역. 『누가·요한복음』. 서울: CLC, 2012. _____.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Acts·Romans. 김현광, 배성진 역. 『사도행 전·로마서』. 서울: CLC, 2012. _____.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이상규 역. 『바울서신』. 서울: CLC, 2012. _____.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Hebrews·James·1 Peter·2 Peter·1-3 John ·Jude·Revelation. 왕성인 외 2인 역. 『일반서신·요한계시 록』. 서울: CLC, 2012. Blauw, Johannes. The Missionary Nature of the Church. 채은수 역. 『구원사속의 선교』. 서울: 한국로고스연구원, 1987.

Blomberg, Craig L. and Rick E. Watts.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Matthew·Mark. 김용재, 우성훈 역. 『마태·마가복음』. 서울: CLC, 2010. Bosch, David J. Transforming Mission. 김병길, 장훈태 역. 『변화 하고 있는 선교』.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_____. “Towards a Hermeneutic for Bible Studies and Mission.” Mission Studies Ⅲ/2 (1986): 65-79. _____. Transforming Mission: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Maryknoll, NY: Orbis book, 1991. Brownson, James V. Speaking the Truth in Love: New Testament Resources for a Missional Hermeneutic. Harrisbur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8. Carson, D. A.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 Church. 김은우 역. 『성경해석과 교회』.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Deweese, Charles W. Baptist Church Covenants. Nashville: Broadman 1990. Frost, Michael and Alan Hirsch. The Shaping of Things to Come. 지성근 역. 『새로운 교회가 온다』. 서울: IVP, 2009. Fuller, Andrew. The Gospel Worthy of All Acceptation. Philadelphia: Charles Cist, 1805. Gadamer, Hans-Georg. “Reflections on My Philosophical Journey.” The Philosophy of Hans-Georg Gadamer. Ed. Lewis Edwin Hahn. Chicago and La Salle, Ill.: Open Court, 1997. Goheen, Michael W. “Continuing Steps Towards a Missional Hermeneutic.” Fideles: A Journal of Redeemer Pacific College 3 (2008): 49-99. Gonzalez, Justo L. Christian Thought Revisited: Three Types of Theology. 이후정 역. 『기독교 사상사』. 서울: 컨콜디아 사, 1991. Hays, Richard B. Echoes of Scripture in the Gospels. 이영욱 역. 『복음서에 나타난 구약의 반향』. 서울: 감은사, 2022. _____. Echoes of Scripture in the Letters of Paul. 이영욱 역. 『바울서신에 구약의 반향』. 서울: 여수룬, 2017. Hobbs, Herschel H.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 김용민, 임 형모 역.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 대전: 엘도론, 2011. Holland, Narman. Five Readers Read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5. Hunsberger, George R. “Proposals for Missional Hermeneutic: Mapping a Conversation.” Missiology 39/3 (July 2011): 309-22. Johnston, Arthur P. The Battle for World Evangelism. 임홍빈 역. 『세계 복음화를 위한 투쟁』. 서울: 성광문화사, 1983. Kane, Herbert. Christian Missions in Biblical Perspective. 이재 범 역.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88. Keach, Benjamin. The Display of Glorious Grace. Lodon: Printed by S. Bridge, 1698. Larkin Jr. William J. and Williams, Joel F. Ed. Mission in the New Testament. 홍용표, 김성욱 역. 『성경의 선교신학』. 서울: 이레서원, 2021. Lausanne Movement. The Cape Town Commitment. 최형근 역. 『케이프타운 서약』. 서울: IVP, 2014. Lindsell, Harold. Ed. The Church’s Worldwide Mission: Proceeding of the Congress on the Church’s Worldwide Mission. Wheaton: Word Books, 1966. Lumpkin, William L. Baptist Confessions of Faith. 김용복 외 2 인 역. 『침례교 신앙고백서』.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 부, 2008. Maring, Morman H. and Winthrop S. Hudson. A Baptist Manual of Polity and Practice. Valley Forge: Judson press, 1963. Mott, John R.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 New York: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 1900. Newbigin, Lesslie. The Household of God. 홍병룡 역. 『교회란 무 엇인가?』. 서울: IVP, 2010. _____. One Body One Gospel One World. Lodon & New york: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1958. Nissen, Johannes. New Testament and Mission. 최동규 역. 『신 약성경과 선교』. 서울: CLC, 2005. Paton, David M. Ed. Breaking Barriers, Nairbi 1975. Grand Rapids: Eerdmans, 1976. Peters, George W. A Biblical Thelogy of Missions. Chicago: Moody Press, 1972. Roxburgh, Alan and Scott Boren. Introducing the Missional Church: Why it Matters, How to Become One. Grand Rapids, Mi: Baker Books, 2009. Thiselton, Anthony C. Hermeneutics: An Introduction. 김동규 역. 『성경해석학 개론』. 서울: 새물결플러스, 2009. Schleiemacher, Friedrich D. E. Hermeneutics: The Handwritten Manuscripts. Ed. Heinz Kimmerle. Trans. James Duke and Jack Forstman. Missoula: Scholars Press, 1977. Senior, Donald. and Carroll Stuhlmueller. The Biblical Foundations for Mission. 최성일 역. 『선교의 성서적 기초』. 서 울: 다산글방, 2003. Spergen, Charles H. Twelve Missionary Sermons. Grand Raids, Baker Book House, 1978. Van Gelder, Craig. The Essence of the Church : A Community Created by the Spirit. 최동규 역. 『교회의 본질』. 서 울: CLC, 2015. Vavinck, J. H.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issions. 전호 진 역. 『선교학개론』. 서울: 성광문화사, 1980. Waldron, Samuel. A Modern Exposition of the 1689 Baptist Confession of Faith. 김흥범, 박대일 역. 『제2차 런던신앙 고백 해설』. 대전: 제5열람실, 2020. World Council of Churches. Assembly 1968. The Uppsala Re port 1968. Edited by Norman Goodall. Geneva: World Council of Churches, 1968. Wright, Christopher J. H. Mission of God. 한화룡 역. 『하나님의 선교』. 서울: IVP, 2010. Baptist Confessions.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

[온라인 자료]

https://bfm.sbc.net/comparison-chart/, 2024 년 6월 26일 접속. Barram, Michael. “‘Located’ Questions for Missional Hermeneutic.” [온라인자료] https://gocn.org/library/95/, 2023년 9월 4일 접속.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Missio Dei 관점에서 성경을 해석하는 선교 적 해석학(missional hermeneutic)을 침례교 관점에서 평가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Missio Dei 개념은 하나님의 선교를 복음전파와 다양한 차원의 사회 활동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변화했다.

선교 개념 확장은 성경을 해석할 때 일관되고 통일된 기준을 제시 하지 못하며, 해석자마다 가지고 있는 각각의 선교 관점에 따라 다 양한 방식의 해석을 낳는다.

이런 변화는 20세기 선교신학의 변화 와 성경해석학의 흐름과도 연결된다.

선교신학은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 이후 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성경해석학은 20세기 다양 한 해석 방법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선교적 해석학은 이러한 변 화 가운데 나타난 것으로 각기 다른 해석학적 접근을 가지고 있다.

헌스버거는 이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본 논문은 선교적 해석학이 나타난 배경과 헌스버거(George R. Hunsberger)가 제시한 선교적 해석학의 네 가지 유형을 성경 중심해석과 상황중심해석으로 분류하고, 침례교 관점에서 평가하 고자 한다.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적 선교 사명을 수행하기 위한 성 경 해석 방법론이다. 특히, 선교적 해석학에서 강조하는 선교 공동 체로서의 교회 강조는 침례교 신학과 맞닿아 있다.

침례교의 교회 론은 ‘신자’ 개념을 중시한다.

신자는 성경을 기초로 그리스도인이 라는 자기이해(self-definition)를 통해 복음을 실천하는 주체가 되 며, 공동체 안에서 성경적 세계관과 가치관을 형성함으로 선교사명 의 책임을 감당할 수 있다.

이는 성경에서도 발견된다.

선교는 그리 스도를 믿는 신자들에게 주어진 사명이다. 신자는 그리스도를 통해 자기이해를 형성할 때 복음전파의 사명을 수행할 수 있다.

주제어: 선교적 해석학, 성경해석, 선교 개념, 교회의 본질, 침례교 선교신학, 신자의 교회

 

 

Abstract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Missional Hermeneutics from a Baptist Perspective

Park, Myoung Hwa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ssional hermeneutics which interpret the Bible in terms of Missio Dei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aptist theology. The common understanding on Missio Dei has been changed into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not just gospel dissemination but various social movements. This extension of the concept of mission has failed to make a united and consistent interpretation on the Bible that each interpreter has a separate missional point of view on his/her own. This is caused somewhat by the change of the mission theology and the Exegetics in the 20th century. Mission theology has had changes since 1910 Edinburgh Missionary Conference and the Exegetics has come to have a variety of methodologies in the 20th century. This kind of changes caused the missional hermeneutics. George R. Hunsberger introduces four different types of heremeneutical approaches on this kind of changes in the 20th century missional hermeneutics. First, I classify the settings where the missional heremeneutics began and Hunsberger’s four types of missional heremeneutics into the Bible-centered hermeneutics and the context-centered heremeneutics. Then I evaluate that from the Baptist point of view. Missional hermeneutics is a methodology to accomplish the Biblical mission. Especially, missional heremeneutics emphasizes that church is a missional community. This shows a strong connection to the Baptist theology. The Baptist’s ecclesiology take heed of the ‘believer’ concept. A believer becomes a subject who practices the gospel through the self-definition as Christian based on the Bible. In the community, he/she performs the biblical world view so that he/ she becomes able to fulfill the mission. The Bible shows this as well. The mission is a vocation given to believers. Believers are able to fulfill the mission of gospel dissemination when they build the self-definition through Christ.

Key-words: Missional Hermeneutics, Biblical Interpretation, Concept of Mission, Nature of the Church, Baptist Missional Theology, Believers’ Church 

 

 

논문접수일: 2025/02/21 논문심사일: 2025/03/10 게재확정일: 2025/03/13  

복음과 선교 제69집

침례교 관점에서 본 선교적 해석학의 평가와 적용.pdf
0.8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