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들어가는 말
AD 600년에 이르러 기독교회는 북아프리카 서쪽 지역을 포함한 지금의 중동지역에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이슬람교의 등 장으로 이 지역의 종교적 상황은 급변하게 되었다.
아라비아 반도에 국한되었던 이슬람교는 무함마드의 사후 정통 칼리프 왕조 시대(AD 632-661)에 주변국들로 교세를 급속히 확장해 나갔다.
이슬람 세력 은 AD 640년에는 메소포타미아 지역, 642년에는 이집트, 643년에 는 페르시아 제국까지 진출하였다.
이로써 기독교회의 ‘5대 교구’ 중 예루살렘 교구, 알렉산드리아 교구, 안디옥 교구의 세 교구가 이슬람 에게 넘어갔다.1
1 Alister E. McGrath, Christian History, 박규태 역, 『기독교의 역사』 (서울: 포이에마, 2019), 168.
뒤이어 등장한 우마이야 왕조(AD 661경-750) 시대에 이슬람은 다마스쿠스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교세를 확장하였다.
이슬람 군대는 서쪽으로 방향을 잡아 에스파냐를 침범하며 프랑스까지 위협했지만 투르 전투(Battle of Tours, 732년)에서 패하며 물러 섰다.
우마이야 왕조를 무너뜨리고 세워진 아바스 왕조 시대는 이슬 람 역사의 ‘황금시대’로 여겨지며 과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들이 발전 하였다.
이슬람의 등장은 중세 기독교 제국의 정치적 위협이 되었지 만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지적 자극을 제공하기도 했다.2
Ⅱ.다메섹 요한(John of Damascus, 676-749)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은 이슬람을 단순한 외부의 위협이자 군사 적 대립 대상으로만 본 것이 아니라, 종교적 이단으로 규정하며 신 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들 중 다메섹 요한(John of Damascus, 676-749)은 이슬람에 대한 최초의 기독교 신학적 비판을 제시한 인 물이다.
그의 저서 『이단에 관하여』(De Haeresibus)를 통해 이슬람 을 “이스마엘 족속의 이단”(Heresy of the Ishmaelites)으로 규정한 것은 중세 기독교가 이슬람을 이해하는 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 다.
다메섹 요한은 이슬람을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성경의 배경과 연관지으며 이에 근거해 이슬람의 기원과 가르침을 분석하여 이슬 람을 이단으로 규정하는 신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는 또한 이슬 람이 유일신 신앙을 내세우면서도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고 성 경과 다른 가르침을 주장하는 점에 주목하였다.3
2 McGrath, 『기독교의 역사』, 169.
3 St. John of Damascus, trans. Frederic H. Chase Jr. Fathers of the Church Vol. 37 (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58), 153.
그의 분석은 단순히 신학적 비판을 넘어, 7세기와 8세기 초 아랍의 급속한 정복과 그 로 인한 기독교 세계의 위기감 속에서 이루어졌다.4
당시 이슬람이 기독교 세계에 미친 사회적, 정치적 충격은 기독교 신학자들로 하여 금 이슬람에 대해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분석을 시도하게 만드는 촉매가 되었다.5
4 유해석, “이슬람의 확장과 비잔틴 제국이 이슬람화 된 원인에 대한 고찰”, 「복음과 선 교」 63(2023): 97-101.
5 Daniel J.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The “Heresy of the Ishmaelites” (Leiden: Brill, 1972), 45.
1. 다메섹 요한의 생애
다메섹 요한의 생애는 비잔틴 기독교 전통과 초기 이슬람 세계 의 경계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러한 독특한 성장 환경은 그의 신학 과 철학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6
6 유해석, 『기독교는 이슬람을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8), 114- 116.
그는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이슬람 통치하에서 성장하였다.
다메섹 요한이 살았던 시대는 이슬 람의 급격한 확장이 일어나면서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요 한이 태어난 시기에는 역대 이슬람 영역 중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한 우마이야 왕조(Umawiyyah)가 다메섹을 수도로 삼아 비잔틴 제국의 영토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의 가문은 원래 시리아의 기 독교 귀족 가문에 속하였고, 아버지 사르준 이븐 만수르(Ṣarjun ibn Mansur)는 비잔틴 제국에서 유서 깊은 가문의 일원이었다.
사르준 이븐 만수르는 우마이야 칼리프 왕조에서 재정 및 행정을 담당하는 고위 관직을 맡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이슬람 통치자들이 기독교인 을 행정에 적극 기용한 사례였다.7
그의 가문은 그리스 교육과 기독 교 신앙을 계승하였고, 요한은 어린 시절부터 그리스 철학, 수사학, 문법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이탈리아 남부 칼라브리아(Calabria) 수 도원 출신의 유능한 비잔틴 학자인 코스마스(Cosmas)가 요한에게 철학과 신학뿐 아니라 논리학적 사고와 기독교의 교리적 체계를 가 르쳤다.8
요한의 가문은 이슬람 통치 하에서 높은 사회적 지위를 유 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기독교 신앙을 지속적으로 고수하면서도 행정 적 경험을 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압둘 알 말릭(Abd al-Malik, 685-705 년 재위) 하에 예루살렘에 황금돔 사원이 세워지고, 아랍 화폐가 표 준화되며 아랍어가 공식 언어로 제정된 이 시기에 다메섹 요한은 왕 조의 고위직에 있었다.10
요셉 나스랄라(Joseph Nasrallah)의 연구 에 따르면, 요한은 압둘 알 말릭(Abd al-Malik) 칼리프 하의 통치부 터 왈리드 1세(Walid Ⅰ, 705-715년 재위)와 슐레이만(Sulayman, 715-717년 재위) 칼리프의 통치 시기까지 우마이야 왕조에 속했으 며, 우상 파괴주의자였던 야지드 2세(Yazid Ⅱ, 720-724년 재위)가 칼리프에 즉위하기 전인 718년에 고위 공직을 사임하고 다메섹을 떠 나 예루살렘 근처의 마르 사바(Mar Saba) 수도원으로 향했다.11
7 Sidney H. Griffith,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29-30.
8 Andrew Louth, St John Damascene: Tradition and Originality in Byzantine The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18.
9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5-6.
10 787년에 개최된 제7차 공의회인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기록에 의하면 다메섹 요한은 국가행정직의 “수석 고문(Head advisor)”으로 있었다. 오늘날 이 단어가 의미하는 정 확한 직위를 알 수는 없지만 그는 우마이야 왕조 조정에서 중요한 직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조.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42.
11 718년에 마르 사바(Mar Saba)수도원으로 향했다는 것은 데이비드의 연구 또한 이 를 뒷받침하고 있다. 참조 David Thomas, “Christian Theologians and New Questions,” in The Encounter of Eastern Christianity with Early Islam, eds. E. Grypeou, M. Awanson and D. Thomas (Boston: Brill, 2006), 258.
이는 아랍화 되어가는 왕조에서의 세속적 삶을 버리고 수도사로서의 삶을 선택했음을 시사한다.
수도사로서 그는 신학적 및 철학적 저작 을 집필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당시 이슬람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을 정리하고 이슬람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표명하였다.
그가 활동한 정치적 배경은 비잔틴 제국과 이슬람 왕조 간의 지속적인 갈등을 반영 하며, 이러한 상황은 그의 저술에서 이슬람을 비판적으로 다루는 중 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12
12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6-7.
다메섹 요한은 동방 교회의 신학을 깊이 연구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교부 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의 대표작인 『정통 신앙에 대한 논고』(Exposition of the Orthodox Faith)와 『이단 에 관하여』는 기독교 교리를 방어하고 이단적 사상을 체계적으로 비 판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정통 신앙에 대한 논고』에서는 삼위일체와 성육신 교리에 대해 철저히 설명하고, 성경적 교리와 철학적 논거를 결합하여 기독교 진리를 설파하였다.13
『이단들에 관하여』에서는 이 슬람을 ‘이스마엘 족속의 이단’으로 간주하며, 이슬람을 기독교 진리 를 왜곡한 사상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무함마드를 거짓 예언자로 규정하고, 이슬람의 교리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를 기독교의 정통 신 앙과 대조하였다.
그의 이러한 견해는 중세 기독교가 이슬람을 이해 하고 반응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으며, 이후 서유럽에서 요한의 저술은 중세 기독교의 이슬람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4
13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72-8.
14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17-21.
2. 이슬람에 대한 요한의 견해와 변증
이슬람에 대한 요한의 견해가 가장 잘 표현된 그의 저서 『지식 의 샘』(Fount of Knowledge)에서 그는 과거의 위대한 사상가들과 기독교 학자들의 저서를 인용하며, 자신의 연구 목적이 새로운 이론 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정통 기독교 신앙을 명확히 요약하는 것임 을 분명히 밝힌다.
그는 책의 서론에서 “나는 나의 것은 아무것도 첨 가하지 않고 가장 탁월한 학자들에 의해 연구된 내용들을 수집하여 기독교 신앙에 대한 개요서를 만들 것이다”15라고 명시하였다.
15 D. Bryan Rhodes, “John Damascene in Context: An Examination of ‘The Heresy of the Ishmaelites’ with Special Consideration Given to the Religious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during the Seventh and Eighth Century Arab Conquests,” St Francis Magazine 7/2 (April 2011): 152.
『지식 의 샘』은 모두 세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장은 철학적인 분 류(Dialectica)를 소개하고, 두 번째 장은 다메섹 요한의 시대에 활 동한 기독교 이단들(Da Haeresibus)에 대해 설명하며, 마지막 장은 기독교의 정통 신학(De Orthodoxa Fide)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에 대한 다메섹 요한의 견해가 주를 이루고 있 기에 두 번째 장을 주로 살펴볼 것이다.
두 번째 장은 요한의 시대에 활동하고 있는 100개가 넘은 이단들에 대한 설명서로서 각 이단들 의 뿌리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그들의 오류들과 기독교 세 계에 대한 그들을 영향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슬람에 대해서는 꾸란 을 인용하면서 명확하게 이단성을 알리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기 독교 관점에서 시도한 최초의 꾸란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여기에 서 요한은 무슬림에 대한 용어들로 “이스마엘인”(Ishmaelite), “하갈 인”(Hagarenes), 그리고 “사라센인”(Saracen)을 사용하는데 이 세 용어들은 모두 이슬람 신앙의 유산과 관계되어 있다.16
“하갈인”은 이스마엘의 어머니 하갈에서, “사라센인”은 아브라함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사라의 후손임을 자처한 데서 유래했다.17
요한은 사라센이라는 명칭을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말한다.18
16 Sahas, John of Damascus, 70.
17 Adam S. Francisco, Martin Luther and Islam: A Study in Sixteenth-Century Polemics and Apologetics (Leiden: Brill, 2007), 54.
18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71.
“이스마엘인”이라는 용어는 기독교와 이슬람의 기록에 따르면 무슬림 들이 만든 용어이며, 이스마엘인에 관한 부분은 『이단에 관하여』에 서 가장 길게 다루어진다.
요한은 여기에서 이스마엘인의 신론과 기독론, 우상, 무함마드의 사도성과 꾸란의 계시의 진위여부에 관한 것 을 다음과 같이 다룬다.
1) 이슬람의 신론과 기독론에 대한 요한의 변증
이스마엘인의 신론은 이슬람을 형성하는 교리에 대한 논의로 시 작된다.
즉, 이 논의는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의 가르침을 중심으 로 전개된다.
무함마드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문서의 초반에 등장하 며, 그 이후 무함마드(또는 마메드)라는 거짓 선지자가 이들 가운데 등장하였다.
그는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을 접하게 되었고, 아리우스파 수도사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이단 사조를 날조해 냈다.19
19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3.
아리우스파 수도사에 대한 언급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무함마드의 선지자 신분에 대한 증인으로, 무함마드의 언행록인 하디스(Hadith)에서 선지자로서의 사역을 예언한 바히라(Bahira)에 관해 서술한다.
바히라는 무함마드에게 유일신론을 가르쳤고, “아랍인들에게 수용 가능한 신앙의 관습과 그들의 역량에 맞는 것들”을 전했다고 한다.
이는 요한이 이슬람에 대한 지식에 정통하였음을 증명하는 대목이다.
아리우스 수도사에 대한 요한의 강조는 이슬람을 아리우스주의의 영향을 받은 이단과 동일 선상에 놓는다.
요한은 유일신에 대한 주제 를 다룬다.
당시 기독교 세계에서 이슬람은 유일신을 인정하면서도 예수의 인성과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종교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요한은 이보다 더 나아가 무함마드가 아랍인들을 이슬람 이전의 이교도와 다신론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유일신론을 제시했다는 점 을 인정하였다.
요한은 무함마드가 주장한 유일성을 자세히 설명한 다.
“그는 하나의 신이 있다고 한다. 그는 모든 것이 창조주이시며, 아들을 낳지도, 아들로서 낳음을 받지도 않았다고 한다.”20
이는 꾸 란 112장의 내용을 언급한 것이다.
꾸란의 구절들은
“알라의 한 분 인 것을 강조하고, 유일하고, 영원하고 절대적이다.”
요한이 꾸란을 적극적으로 인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이슬람에 정통했기 때문이 었다.
이에 대해 요한은 『정통신학』(De Orthodoxa Fida)에서 다음 과 같이 반증한다.
“그러기에 하나님께서는 한 분으로 완벽하시고, 자존하시며, 전 우주의 창조자이시고, 질서를 유지하시는 이로써 통 치자이시며 모든 완벽보다 앞에서 달리시고 초월하신다.”21
요한은 하나님의 유일성을 다른 종교에서 내릴 설명이 아니라는 것을 명백 하게 밝힌다.22
20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3. 21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73.
22 Rhodes, “John Damascene in Context,” 152.
요한은 다음 주제로 이슬람의 기독론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함 마드는 예수가 하나님의 말씀이고 그의 영이라고 말하지만, 예수는 인간이며 종으로서 모세와 아론의 여동생인 마리아에게서 출생하였 다고 주장한다.
또한 유대인들은 불법적으로 그분을 십자가에 못 박 기로 결정하였으나 그들은 단지 외관상 같은 자를 십자가에 못박았 다.23
하나님께서 그를 사랑하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가 하 늘에 올라왔을 때 그에게 질문하셨다.
예수여, 그대가 “나는 알라의 아들이며 알라라고 했는가?”
예수께서 답변하기를 “주여 나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제가 그런 말을 하지 않았 다는 것을 아시고, 당신의 종이 되는 것을 업신여기지 않았다는 것을 주께서 아시나이다. 그러나 죄가 많은 이들이 내가 이런 선언을 했다 고 글을 썼고 그들은 나에 대해서 거짓말을 하고 오류에 빠졌나이다.”
알라는 그에게 답하며 말했다.
“나는 그대가 이런 말을 안 했다는 것 을 알고 있다.”24
이슬람에서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시지 않았으며 하나 님의 아들이 아니라고 믿는다.25
요한은 이러한 꾸란의 개념에 대하 여 잘 알고 있었다.
요한은 꾸란 4장 171절을 언급하면서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말씀이자 영”이라고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꾸란이 예수를 하나님의 말씀이자 영으로 부른다고 설명한다.
그는 예수가 하 나님의 말씀이자 영이라면 그가 창조되지 않았고 영원할 것이라고 주장한다.26
23 정승현, “꾸란의 예수 이해와 하나님의 선교”, 「복음과 선교」 38(2017): 332-336.
24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4.
25 김은홍, “이슬람 선교 기독교 선교와 이슬람 장벽 - 성경과 꾸란의 구원관 비교”, 「복 음과 선교」 10(2008): 86-87.
26 Keith E. Swartley, “Qur’an, Hadith, and Shari’a,” in Keith Swartley, ed.,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Atlanta: Authentic Media, 2005), 83.
요한은 꾸란을 이용해 기독교를 가르쳤다.
이에 대해 그리피스(Griffith)는 “다메섹 요한 이후 이슬람 세계의 모든 기독교 변 증가들은 이 꾸란 구절을 인용하거나 암시한다”27고 하였다.
27 Mark Ivor Beaumont, “Early Christian Interpretation of the Qur’an,” Transformation 22/4 (October 2005): 199.
2) 이슬람의 우상숭배에 대한 요한의 반론
이슬람에서는 기독교인들이 우상을 섬긴다고 믿는다.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야지드 2세(Yazid Ⅱ)가 721년에 이슬람 신앙에 대한 우상파괴를 지지하는 칙령을 선포하며, 모스크 안에 인간을 대표하는 상을 금지하였다.
이 칙령은 제국 전체에 걸쳐서 시행되었고 기독교 교회에서도 집행되었다.
역사가 세베루스(Severus)에 의하면 이 집트 총독은 “이집트 전역에 있는 모든 십자가를 파괴하고, 금과 은 으로 되어 있는 것까지 파괴하라”28고 명령하였다.
이에 대해 요한은 이슬람이 기독교인들이 우상을 숭배한다고 비난하는 것에 반박하며, 이슬람 자체가 가지고 있는 우상숭배에 대해 변론하라고 도전한다.
카바신전에 대하여 요한은
“이슬람은 기독교인들을 우상숭배자들이 라고 비난한다. 그 이유는 그들이 혐오하는 십자가를 우리가 공경하 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우리가 답한다.”29 이에 대한 우리의 답변은 성경에 아브라함이 장작 위에 올려놓고 제물 을 드렸는데 카바신전 근처에는 나무도 많지 않고 당나귀를 위한 길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돌이 아브라함의 돌이라고 주장한다. 그 렇다면 아브라함과 하갈과의 관계가 있고 그 돌에 낙타를 묶었다는 그 단순한 이유 때문에 거기에 입 맞추고 숭배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면서 우리가 사탄의 권세와 사탄의 계획이 파멸된 십자가를 공경하 는 것을 비난한다.30
28 Rhodes, “John Damascene in Context,” 157.
29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6.
30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7.
당시 카바신전에 대한 비판은 드문 것은 아니었다.
기독교는 카바신전이 거룩함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이교도의 신전이라고 여겼 다.
요한은 카바신전을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Aphrodite) 신전이라고 보았다.
아프로디테는 풍요와 다산의 상징인 동방의 신 이슈타르(Ishtar)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수메르 신화 의 인안나(Inanna)에서 시작하는 이슈타르계의 신은 동방에 널리 퍼 져 있었다.
이슈타르 신이 해상무역을 통해서 그리스에 전래되어 그 리스 여신이 되었다.
카바신전에 대한 요한의 비판은 역사적 기록들과 당시 기독교 논쟁자들의 주장과 일관되지만, 요한이 지적한 것은 음란함이 아니라 위선이었다.
요한은 이슬람이 카바신전을 우상숭 배하는 것에 비하면, 기독교인들이 십자가를 숭배한다고 비판할 근 거가 없다고 비판했다.31
31 Sahas, John of Damascus on Islam, 88-9.
3) 무함마드의 사도성과 꾸란의 계시 진위여부
요한은 먼저 무함마드가 일어날 것이라고 예언한 선지자가 누구 인지 묻는다.
이슬람은 구약과 신약에 무함마드가 예언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요한은 이에 반론을 제기한다.
그의 반론은 선지자라는 직분의 신빙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 이전의 선지자들 가운데 누구 도 무함마드의 출현을 예언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어째서 그대들이 참고하는 경전에 그대들의 선지자에 대하여 알라께 서 말씀하지 않았고, 모세에게 율법을 주셨는가?
모세가 율법을 받을 때에는 알라께서 구름 가운데 강림하셔서 사람들로 하여금 율법이 알 라로부터 온 것임을 확신케 하셨는데, 왜 무함마드에게는 이러한 모습 이 나타나지 않는가?32
요한은 계속하여
“먼저 당신이 선지자라는 것을 증인을 통해서 보여주고, 알라로부터 내려왔다는 것을 보여달라.
그리고 성경 말씀 어디에 당신에 대하여 증언하고 있는지 알려 달라”33
고 반문한다.
요 한은 꾸란에 나타난 구절에 대하여 의문을 갖고 무함마드가 받은 계 시의 진위성에 도전한다.
그는 결혼과 이혼에 대한 꾸란의 계시를 시 작으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무함마드는 어리석은 책들을 기록하였다. 꾸란 4장 여인 의 장을 통해서 4명의 부인들과 1,000명의 첩을 거느릴 수 있는 법적인 제도를 만들었다… 그리고 자신이 원치 않는 부인과 이혼하는 것을 합 법적으로 만들고 또한 다른 여자들과 결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함마 드에게는 자이드라는 친구가 있었다. 그에게는 아름다운 부인이 있었는 데 무함마드는 그녀와 사랑에 빠졌다. 무함마드가 말하기를 “알라께서 너의 부인과 내가 결혼하라고 했다”고 하자 그가 말하기를 “당신은 선 지자이므로 알라께서 말씀하신대로 나의 부인과 결혼하라”고 하였다.34
32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4-155.
33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5.
34 이에 대한 꾸란 구절은 다음과 같다. “알라께서 은혜를 베푸셨고 그대가 은혜를 베풀 었던 그에게 너희 아내를 네 곁에 간직하라 그리고 알라를 두려워하라고 그대가 말한 것을 상기하라 그때 그대는 알라께서 밝히려 했는 것을 그대 마음속에 숨기었고 사람 들을 두려워하였으나 그대가 더욱 두려워할 것은 알라였노라 자이드가 그녀와의 결혼 생활을 끝냈을 때 알라는 필요한 절차와 함께 그녀를 그대의 아내로 하였으니 이는 양 자의 아들들이 그녀와 이혼했을 때 장래에 믿는 사람들이 그 아내들과 결혼함에 어려 움이 없게 하려 함이라” (꾸란 33:37).
무함마드에 대한 요한의 비판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요한의 시 대에 살았던 기독교인들은 구약성경에서 일부다처제의 관습이 신약 성경에서 폐기되었다고 이해했다.
따라서
“일부다처를 허용하고 많 은 아내를 둔 무함마드의 욕망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지 못한 증 거”35로 간주되었다.
요한은 꾸란 4장, 여성의 장(al-Nisa)을 언급하 며, 네 명의 부인에 관한 구절을 인용한다. “만약 너희가 고아들을 공 정하게 대우할 수 없다는 두려움이 있다면, 좋은 여성과 결혼하라. 두 번, 세 번 또는 네 번도 좋으니라…” (꾸란 4:3-4).
요한이 꾸란 4장의 결혼, 이혼, 그리고 자이드(Zaid)의 아내에 관한 내용을 언급 한 것은 무함마드의 사도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요 한은 꾸란 5장 114절의 식탁에 대해 언급했다.
“마리아의 아들인 예 수가 말하기를: 오 알라여! 저희에게 음식이 마련된 식탁을 주어 우 리에게 처음과 끝이 축제가 되게 하여 주시며 당신으로부터 예증을 주소서, 그리고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소서. 당신은 가장 훌 륭한 양식의 주인입니다.”
무함마드는 예수님의 성만찬을 천국에서 음식을 차린 상이 내려와서 식사를 준 것으로 이해하였다.36
35 Beaumont, “Early Christian Interpretation of the Qur’an,” 195.
36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159.
요한은 이슬람이 이단임을 확증하기 위해 성만찬을 언급한 것이다.
『이스마 엘 이단』(The Heresy of the Ishmaelites)은 시리아와 그 외 지역을 통치하고 있는 무슬림들의 신앙에 관해 기독교인들을 교육하기 위 해 저술되었다.
요한은 이슬람을 아리우스파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 의 이단으로 분류하였다.
3. 다메섹 요한의 공헌
요한의 저술에 나타난 이슬람에 대한 그의 관점과 주장들은 다음 과 같은 업적들을 남겼다.
첫째, 요한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우마이야 왕조의 고위관리로 있었기에 아랍어에도 능통하였다.
또한 그는 꾸 란에 대해서는 높은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가 쓴 『이스마엘 이 단』은 당시 기독교인들에게 분별력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이슬람이 이교도인지 기독교 이단인지 분별하기 어려웠을 비잔틴 제국의 기독 교인들로 하여금 이슬람은 기독교에서 파생된 기독교 이단으로 정의 를 내림으로서 분별할 수 있는 척도가 되었다. 다메섹 요한의 저서는 기독교인으로 하여금 분별의 척도를 제공하였다.
둘째, 비잔틴 제국이 쇠퇴하고 급속히 성장하는 이슬람의 성공 앞에서, 교회는 내부적인 순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저술한 『지식의 샘』은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당시의 이단들을 정의할 수 있 는 능력을 갖추게 하고, 정통 기독교 신앙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재확 인시켰다.
요한의 관심은 기독교 제국의 회복이 아니라 교회의 순결 함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이단을 제거하고 기독교 신앙에 대한 정확 한 설명이 필요했다.37
37 Rhodes, “John Damascene in Context,” 129.
요한의 연구가 교회에 끼친 공헌은 어려운 시 기에 신앙을 포기하지 않도록 이론적 기초를 쌓은 것이다.
셋째, 이슬람 군대의 비잔틴 정복 직후 이슬람과 기독교는 대등 한 종교로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우마이야 왕조에 협조하며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슬람은 더욱 강성해 졌다.
칼리프 압둘 알 말릭 당시에 제조된 동전에는 “알라 외에 다 른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라는 문구가 새겨 있었 고, 동전의 뒷면에는 꾸란 112장 26절과 9장 33절이 적혀 있었다. 이러한 문구들은 이슬람이 참 종교임을 주장한 것이다. 요한은 이러 한 도전에 대한 답변을 시도한 최초의 기독교인 중 한 명이었다. 이 슬람의 신학적 도전 앞에서 잘 준비된 기독교 변증서를 제공한 것 은 그의 중요한 공헌이었고 이로써 그는 기독교인들에게 중요한 교 훈을 남겼다.
Ⅲ.클뤼니의 베드로(Peter the Venerable, 1092- 1156)
중세시대 전반에 걸쳐서 이슬람과 기독교가 많은 접촉이 있었 음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에 대한 연구는 주변 학문에 머물고 있었다. 유럽에서 이슬람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클뤼니 베 네딕트 수도원 원장이었던 클뤼니의 베드로(Peter the Venerable, 1092-1156)가 1140년에 이슬람 자체의 자료를 연구하도록 제안하 면서부터였다.
그는 방대한 이슬람 관련 자료들의 번역을 의뢰하였 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는 아랍어로 된 꾸란을 라틴어로 번역하는 일이었다.
이 번역은 1143년 7월에 아랍어를 할 수 있었 던 영국인 수도사 케튼의 로버트(Robert of Ketton)에 의해 완성되 었다.38
38 R. W. Southern, Western Views of Islam in the Middle Age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2), 37.
이 번역은 서양에서 최초로 번역된 꾸란으로 이슬람에 대한 믿을 만한 자료를 얻게 된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했다.
라틴어로 번역된 꾸란은 이슬람에 대한 중요한 연구 지표가 되었고, 이로써 이 슬람의 주장에 대한 연구와 변증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클뤼니 의 베드로도 이슬람에 관한 글을 쓸 때 번역된 꾸란을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하였다.
1. 클뤼니의 베드로의 생애
클뤼니의 베드로는 1092년 프랑스 오베르뉴(Auvergne)에서 출 생하여 소실랑(Sauxillanges)의 수도원에서 성장하여 수도사가 되 었다.
이후 1122년 클뤼니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어 34년 동안 수도원 의 발전과 기독교 발전에 기여하였다.
중세 중기 수도원의 중심지 중 하나인 프랑스 클뤼니는 위그 1세(Hugues Ⅰ, 재위 987-996) 시대 까지 스페인을 비롯한 유럽 전역에 1,000개 이상의 클뤼니파 수도원 (Cluniac houses)을 보유하고 있었다.39
베드로는 체력적으로는 연 약한 편이었지만 활기가 넘치는 인물이었다.
그는 클뤼니 수도원의 지도자로서 매일 전례와 강론, 교육 등 고된 일정들을 소화하며 광범 위한 지역을 순회했다.
또한 교회와 세속 정치에 모두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수도원의 중요한 교육적 및 재정적 개혁을 입안하고 실행 하였다.40
39 Neil Elliot, “The Heresy of the Saracens” to “The War against the Turk,” Center for the Study of Islam and Christian-Muslims Relations, Department of Theology, Occasional paper, University of Birmingham, 4.
40 “Peter the Venerable” in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ed. Andrew Louth (Oxford: Oxford University, 2022), 1268.
무엇보다도 그는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이슬람을 연구한 선 구자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연구는 단순한 지적 호기심이 아닌 이슬 람에 대한 신학적 반박과 기독교의 선교적 사명을 실행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의도는 이슬람 경전 꾸란을 라틴어로 번역 하는데서 명확히 드러난다.
베드로는 꾸란의 번역을 통해 이슬람에 대한 서유럽 기독교인들의 오해를 줄이고, 동시에 이슬람의 신학적 주장에 대한 기독교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41
그의 번역은 중세 기독교 세계에서 행해진 최초의 체계적인 이슬람 연구로 평가 된다. 그는 번역 작업을 위해 무슬림 학자들과의 대화와 논쟁을 피하 지 않았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슬람의 교리 를 면밀히 분석하였다.42
베드로의 연구는 중세 기독교 사회가 이슬 람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갖도록 유도했는데 이는 이후의 기독교이슬람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43
베드로의 이슬람 연구는 기독교인들에게 ‘이방인’ 종교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촉구하였으며, 이슬람과의 대화를 통해 신학적 논쟁을 발전시키려는 의도를 가지 고 있었다.
그의 접근 방식은 단순히 반이슬람적 공격이 아니라 학문 적이고 신학적인 논쟁의 장을 마련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44
41 John Tolan, Saracens: Islam in the Medieval European Imagination (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145.
42 Daniel, Norman, Islam and the West: The Making of an Image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60), 98. 43 James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4), 73.
44 R. W. Southern, Western Views of Islam in the Middle Age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2), 54.
2. 이슬람에 대한 베드로의 견해와 변증
베드로는 수도원장 임기 중반인 1142년, 황제 알폰소 7세(Alfonso Ⅶ)로부터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스페인을 방문하였다. 베드로가 기존의 번역 학파를 만나거나 알게 된 곳은 톨레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5
톨레도는 1085년에 무슬림으로 구성된 북부 아프 리카의 무어인들에 의해 함락되었으며, 1088년부터 스페인 교회의 대주교의 관할권에 속하게 되었다.
그곳에는 아랍어 서적들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고, 1125년부터 톨레도의 대주교 라이문도(Raimundo)는 방대한 저작물의 라틴어 번역을 위해 번역 학교를 지원하였다.
유럽 전역의 학자들이 이 학교를 방문하며 이곳은 12세기 르네상스 라 불리는 현상의 중심지가 되었다. 번역된 작품에는 수학, 과학, 철 학 등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중에는 그리스어에서 아랍어로 번역 된 책들이 많았다.
베드로는 1142년 살라망카에서 라이문도 대주교 를 만났고, 이곳에서 이슬람에 대한 정보들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주요 번역가 세 명은 모두 이 학교와 관련이 있 었으며, 달마티아의 아르만도(Herman of Dalmatia)는 주로 케튼의 로버트(Robert of Ketton)와 함께 번역 작업을 진행하였다.46
크리체 크(Kritzeck)에 의하면, 로버트는 베드로에게 보낸 편지에서 “앞서 언급한 내용들을 제 손으로 정리하여 아름다운 라틴어로 정리하였습 니다”라고 적었다.
이들은 주로 천문학과 기하학 분야의 작업을 번 역하고, 무슬림인 무함마드(Muhammad)는 번역의 정확성을 확인 했으나 그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47
45 “Compostella” in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ed. Andrew Louth (Oxford: Oxford University, 2022), 389.
46 크리체크(Kritzeck)에 의하면 로버트(Robert)가 베드로에게 보낸 편지에서 “앞서 언급 한 내용들을 제 손으로 정리하여 아름다운 라틴어로 정리하였습니다”라는 편지를 보 냈다.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63.
47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57.
푸아티에의 베드로(Peter of Poitiers)는 베드로의 공증인 또는 비서로서 아랍어는 할 줄 몰랐 지만 라틴어로 글을 잘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최종 번역본을 “정돈하고 정렬하는”(polish and set in order) 작업을 했다.48
번역 작업은 1142년과 1143년에 이루어졌으며, 톨레도 전집(Toledo Corpus) 7 편 중 5편으로 구성되었다.
『사라센의 우화(Fabulae Saracenorum)』 와 『무함마드 시대의 책(Liber Generationis Mahumet)』에는 이슬 람의 전설과 전통이 혼합되어 있다.49
『무함마드의 가르침(Doctrina Mahumet)』은 비록 신학적 가치는 불확실하지만 추적 가능한 이슬 람 작품으로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전집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케튼의 로버트(Robert of Ketton)가 번역한 꾸란의 최초 완역본이었 다.
마지막 번역 작업은 아랍 기독교 변증서인 알-킨디(Al-Kindi) 의 편지였다.50
48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60.
49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89.
50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100.
전집의 마지막 두 편은 베드로의 번역본에 대한 논평 이었다.
첫 번째는 기독교 성직자들을 위한 무슬림 신앙에 대한 요약 이었으며, 두 번째는 번역에 대한 논평으로 익명의 무슬림에게 보내 는 편지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베드로는 그의 저서에서 이슬람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 을 기울였다.
그는 이슬람을 단순히 배척하거나 악마화하지 않고, 기 독교적 신앙의 기준에 비추어 이슬람을 평가하며 그 본질을 파악하 고자 했다.
그의 이슬람에 대한 이해는 여러 주요 측면으로 구체화 되었고, 이를 통해 그는 이슬람을 기독교 세계에 보다 명확히 전달 하려 했다.
그의 저서에 나타난 이슬람에 대한 주요 견해와 변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드로는 꾸란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서구 기독교인들이 이슬람 교리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슬람에 대한
실질적 이해의 기초를 마련했다.
꾸란의 번역은 단순한 학술적 작업을 넘어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슬람의 신앙 체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되었다.51
베드로는 꾸란의 신(神)개념이 기독교의 삼위일체 신학과 상충된다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슬람의 유일신 개념을 반박하였다.
그는 꾸란이 기독교 신앙의 참된 이해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통해 이슬람이 신학적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려 했다.
베드로의 이러한 번역 작업은 중세 유럽에서 이슬람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접근으로 평가받으며, 기 독교인들이 이슬람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둘째, 베드로는 무함마드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면서도 동시에 그 의 가르침과 영향력에 대해 신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는 무함마 드를 ‘기만자’이자 ‘거짓 예언자’로 묘사하였으나, 그가 이슬람 세계 에서 가지는 정치적·종교적 권위와 영향력을 인정하며 이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자 했다.52
51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65.
52 Tolan, Saracens: Islam in the Medieval European Imagination, 150.
베드로는 무함마드의 교리가 기독교의 진 리를 왜곡하고, 신의 참된 계시를 혼란스럽게 만든다고 주장했으며, 동시에 무함마드의 가르침이 기독교 신앙의 순수성을 위협한다고 경 고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교리가 어떻게 중동 지역과 이슬람 세 계에서 강력한 지지를 얻었는지에 대해서도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 울였다.
베드로의 이러한 접근은 무함마드에 대한 일방적 비난에 그 치지 않고, 그의 역할과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려는 신중한 태 도를 보여준다.
셋째, 베드로는 이슬람이 기독교와의 신학적 논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보고, 기독교인들이 이를 이해하고 대응해야 한 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슬람을 ‘기독교적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신 학적 도전’으로 간주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가 이슬람에 대한 올바른 대응 논리를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53
베드로는 특 히 이슬람의 교리와 기독교 교리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며, 이러한 차이가 신학적 논쟁에서 기독교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슬람 연구가 기독교 신자들에게 신앙적 정 체성과 방어력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도구라고 강조하며, 이슬람에 대한 지식이 기독교 신앙을 방어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중세 기독교 사회에서 이슬람을 단순한 이 단으로만 취급하지 않고, 학문적이고 신학적인 반박을 위한 대상이 자 도전으로 간주한 독특한 시각을 보여준다.
베드로의 저서는 이슬 람을 반박하기 위한 자료와 논리로 가득 차 있었지만, 이러한 자료들 은 단순한 비난이 아니라 기독교와 이슬람의 교리적 차이점을 신중 히 이해하고 분석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이슬람을 기독 교적 신앙 체계와 대립하는 또 다른 종교로 인식하면서도, 이를 학문 적 접근을 통해 연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베드로는 “학식 있는 사람이나 교사는… 반드시 교회의 약한 자 를 돌보고 부양해야 한다”54고 언급하며 그가 이슬람을 연구한 주 된 이유를 설명한다.
53 Norman, Islam and the West, 72.
54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45.
베드로의 이슬람 연구는 교회 외부뿐만 아니 라 내부를 향한 것이기도 하다. 교회 내부에서 이슬람의 확산을 방 지하도록 도움을 주고, 이슬람을 접한 이들이 그 영향을 받지 않도 록 돕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베드로는 이슬람에 대한 무시 나 조롱보다는 더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택하였다.
그는 성직자들에 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무슬림들을 개종시키기 위해 글을 쓴 것이 아 니었다. 그의 목적은 이단인 이슬람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막을 제공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그의 저술과 접근은 후대 기독교 신학자들에 게 이슬람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고, 중세 유럽 에서 이슬람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초석을 마련한 중요한 기여로 평가된다.55
55 Southern, Western Views of Islam in the Middle Ages, 59.
3. 클뤼니 베드로의 공헌
베드로의 이슬람 연구는 중세 유럽의 학문적 지형에 여러 방면 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후대 학자들에게도 지속적인 영 향을 끼쳤다.
그의 연구와 번역은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학적 이해를 발전시키고, 서구 사회에서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데 기 여하였다.
중세 유럽에서 최초로 꾸란을 라틴어로 번역함으로써, 베 드로는 이슬람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초석을 놓았다.
이 번역 작업 은 학문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는 당시 서유럽의 기독교인 들에게 이슬람의 신학과 교리를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최초의 사례였기 때문이다.56
또한 베드로는 단순히 이슬람을 비판 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학적 차이를 체계적으 로 분석하려는 학문적 열망에서 번역을 시작했다.
이러한 번역은 중 세 유럽에서 이슬람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불식시키고, 보다 구체적 이고 객관적인 정보에 기반한 논쟁의 장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57
56 Kritzeck,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75.
57 Southern, Western Views of Islam in the Middle Ages, 61.
베드로의 이슬람 연구가 기독교 세계에 미친 영향은 상당했다.
그의 번역은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슬람의 교리와 본질을 비판 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기독교 내부에서 이슬람을 단순히 적대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이 작업은 중세 유럽의 지성사에서 중요 한 전환점으로 여겨지며, 후대 학자들이 이슬람에 대한 이해를 심화 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었다.
장기적으로 베드로의 번역과 저술은 중세 기독교-이슬람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이슬람을 단 순히 배척할 대상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대화할 수 있는 종 교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후대 학자들에게 이슬람 연구의 필요성 을 환기시켰으며, 그의 연구는 이후 기독교와 이슬람 사이의 학문적, 신학적 대화의 초석으로 작용했다.58
58 Norman, Islam and the West, 90.
Ⅳ.결론
중세 신학자들은 단순히 이슬람을 적대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대적 배경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슬람을 신학적으로 이해하고 자 했다.
다메섹 요한은 초기 기독교 이단에 대한 방어적 차원에서 이슬람을 ‘이단’으로 규정했으며, 이슬람이 기독교 신앙을 왜곡한 사 상임을 강조하였다.
이는 이슬람의 기독론과 신론에 대한 신학적 도전으로 작용했고, 기독교 내부에서 이슬람의 가르침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클뤼니의 베드로는 단순히 비난에 그 치지 않고 꾸란을 라틴어로 번역함으로써 이슬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학문적 태도를 제시했으며, 이는 서구 기독교 세계에서 최초 로 꾸란을 연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 이후 기독교의 이슬람 연 구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다메섹 요한과 클뤼니 베드로의 이 슬람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그들이 ‘이슬람’에 집중한 것이 아니라 바로 ‘교회’의 온전함을 추구했다는데 있다.
그들은 외 적인 기독교 제국의 회복을 추구하지 않고 대신 중세 가톨릭 교회와 이슬람의 왜곡된 신앙관에 정통 기독교 신앙으로 응전했다.
올바른 기독교 신앙이 교회를 견고하게 하며, 이로써 교회가 복음의 담지자 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즉, 다메섹 요한과 클뤼 니 베드로는 가장 본질적인 의미에서의 영적 전쟁을 수행하였던 것 이다.
이와 같은 대응 방식은 현대사회에서 교회의 대(對)이슬람 선 교방식에 교훈과 통찰을 준다.
그들은 교회와 제국의 커다란 위협인 이슬람의 흥왕기에 무모한 배척과 적대적 입장으로 맞서지 않았고, 이슬람 신앙과 타협하지도 않았다.
이슬람과의 공존의 시대에 그들 이 선택한 대응 방식은 기독교 신학의 입장에서 이슬람의 문제점을 신학적으로 변증하고 기독교회의 정통성을 옹호하여 이슬람에 대한 교회의 태도를 신학적·학문적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것이었다.
다메섹 요한과 클뤼니 베드로의 선례는 다문화 사회 직입 을 목전에 둔 현재의 한국교회가 이슬람과의 관계를 현대적으로 정 립함에 있어서 나아갈 방향과 길을 제시한다.
현대 기독교가 이슬람 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배척보다는 학문적 접근과 대화를 통한 관용 적 태도가 중요하며, 이는 상호 종교적 존중과 공존을 위한 길로 연 결된다.
결론적으로, 중세 신학자들이 이슬람을 이해하고 신학적으 로 대응한 방식은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현대 기독교가 이 슬람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학문적 자산이다.
이러한 이해와 교훈을 통해 현대 기독교는 신학적 관용과 평화의 길을 탐색하며, 이슬람과의 종교적 대화에 보다 개방적이고 진정성 있는 자세로 접 근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은홍. “이슬람 선교 기독교 선교와 이슬람 장벽 ―성경과 꾸란의 구원관 비교”. 「복음과 선교」 10(2008): 75-101. 유해석. “이슬람의 확장과 비잔틴 제국이 이슬람화 된 원인에 대한 고찰”. 「복음과 선교」 63(2023): 93-127. _____. 『기독교는 이슬람을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 생명의말씀 사, 2018. 정승현. “꾸란의 예수 이해와 하나님의 선교”. 「복음과 선교」 38 (2017): 311-345. Beaumont, Mark Ivor. “Early Christian Interpretation of the Qur’an.” Transformation 22/4 (October 2005): 195- 203. Daniel, Norman. Islam and the West: The Making of an Image.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60. Elliot, Neil. “The Heresy of the Saracens to ‘The War Against the Turk’.” Center for the Study of Islam and Christian-Muslim Relations, Department of Theology, Occasional Paper. University of Birmingham. Francisco, Adam S. Martin Luther and Islam: A Study in Sixteenth-Century Polemics and Apologetics. Leiden: Brill, 2007. Griffith, Sidney H.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Kritzeck, James. Peter the Venerable and Islam.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4. Louth, Andrew. St. John Damascene: Tradition and Originality in Byzantine The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Louth, Andrew. Ed.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McGrath, Alister E. Christian History. 박규태 역. 『기독교의 역 사』. 서울: 포이에마, 2019. Rhodes, D. Bryan. “John Damascene in Context: An Examination of ‘The Heresy of the Ishmaelites’ with Special Consideration Given to the Religious,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During the Seventh and Eighth Century Arab Conquests.” St. Francis Magazine 7/2 (April 2011): 96-173. Sahas, Daniel J. John of Damascus on Islam: The “Heresy of the Ishmaelites.” Leiden: Brill, 1972. Southern, R. W. Western Views of Islam in the Middle Age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2. St. John of Damascus. Writings. Trans. Frederic H. Chase Jr. Vol. 37. Fathers of the Church. 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58. Swartley, Keith E. Ed.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Atlanta: Authentic Media, 2005. Thomas, David. “Christian Theologians and New Questions.” in The Encounter of Eastern Christianity with Early Islam. Eds. E. Grypeou, M. Awanson, and D. Thomas. Boston: Brill, 2006. 257-276. Tolan, John. Saracens: Islam in the Medieval European Imagination. 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국문초록
본 논문은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슬람을 이해하고 대응한 방식을 분석하여, 이들의 관점으로부터 현대 기독교-이슬람 대화 에 필요한 신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세 기독 교 세계는 이슬람의 급속한 확장과 아랍의 군사적 정복에 직면하면 서 이슬람을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이슬 람을 신학적으로 다루는 독특한 관점들이 형성되었다.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인 다메섹 요한(John of Damascus, AD 675-749)과 클 뤼니의 베드로(Peter the Venerable, AD 1092-1156)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슬람을 평가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다메섹 요한은 초기 기독교 신학자 중에서 최초로 이슬람을 신학적 이단으로 규정 하며 아랍의 정복 전쟁과 이슬람 교리를 비판했으며, 클뤼니의 베 드로는 이슬람의 교리와 역사적 뿌리를 분석하여 유럽 기독교인들 에게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고는 다메섹 요한과 클 뤼니의 베드로의 저술을 중심으로 그들의 이슬람 비판의 신학적 근 거와 이슬람의 핵심 교리를 조명함으로써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슬람을 바라본 방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그들의 신학적 접 근 방식을 통해 중세 기독교가 당대의 이슬람을 어떤 시각으로 평 가하고 해석했는지를 검토하고, 중세 신학자들의 이슬람 이해를 통 해 현대 기독교가 이슬람과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할 수 있 을지에 대한 교훈을 도출고자 한다.
주제어: 다메섹 요한, 클뤼니 베드로, 이슬람, 중세, 기독교
Abstract
Medieval Christian Theologians Perceptions of Islam : Focusing on John of Damascus and Peter the Venerable
Yoo, Hae Seok (Chongshin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This paper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that the perspectives of medieval Christian theologians can offer for the theological direction in which modern Christianity can engage in dialogue with Isla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t will examine the manners in which they comprehended and responded to Islam. In response to the rapid expansion of Islam and Arab military conquests, the medieval Christian world sought to interpret Islam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which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distinctive theological perspectives ’ 162 l 복음과 선교 제69집 on Islam. Medieval Christian theologians John of Damascus and Peter the Venerable evaluated Islam in various ways and proposed response measures. John of Damascus was the first early Christian theologian to define Islam as a theological heresy and to critique Arab conquest and Islamic doctrine. Peter the Venerable endeavored to equip European Christian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slam by examining its doctrines and historical root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way in which medieval Christian theologians viewed Islam by focusing on the writings of John of Damascus and Peter the Venerable and illuminating the theological basis of their criticisms of Islam as well as the core Islamic doctrines. In particular, the paper will investigate how medieval Christianity evaluated and interpreted the Islam of the time through their theological approach and draw lessons from the medieval theologians’ perceptions of Islam for how modern Christianity views and approaches its relationship with Islam.
Key-words: John of Damascus, Peter the Venerable, Islam, Middle Age, Christianity
논문접수일: 2025/01/18 논문심사일: 2025/03/10 게재확정일: 2025/03/13
복음과 선교 제69집
'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언어 수행성을 고려한 강해설교 연구/김덕현.칼빈大 (0) | 2025.04.26 |
---|---|
헤르만 바빙크의 기독교 신앙 안내서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인 내용 연구/이상웅.총신大 (0) | 2025.04.25 |
헌법상 권리로서의 종교의 자유에 관한 선교신학적 고찰/유경하.총신대 (0) | 2025.04.22 |
침례교 관점에서 본 선교적 해석학의 평가와 적용/박명화.한국침례신학大 (0) | 2025.04.21 |
내부자운동은 포용주의인가?- 내부자운동의 신학에 대한 비평적 고찰/권효상.고려신학大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