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gumentation Ethics, Hans-Hermann Hoppe's "Argumentation Ethics" (1988) is a foundational defense of libertarian rights. Many modern libertarian scholars have accepted Hoppe's argument, among them Murray Rothbard, Walter Block, David Gordon, and Stephan Kinsella.
논증윤리(Argumentation Ethics)는 한스-헤르만 호페(Hans-Hermann Hoppe)가 1988년에 처음 제시한 '자유주의 권리(libertarian rights)'의 '근본적 방어(foundational defense)'이다. 수 많은 자유주의 학자가 논증윤리를 받아들였는데, 머레이 라스바드(Murray N. Rothbard), 월터 블락(Walter Block), 데이비드 고든(David Gordon), 그리고 스테판 킨젤라(Stephan Kinsella) 등이 대표적이다.
Argumentation Ethics relies on the work of philosophers Jürgen Habermas and Karl-Otto Apel's concept of Discourse Ethics, and further on the deontological ethics of economist Murray Rothbard. Hoppe asserts that since verbal argumentation aims to resolve conflicts in a non-violent way, only the Non-aggression principle is consistent with that aim and therefore only it can be justified without contradiction. Hoppe's approach is a praxeological examination of the act of discourse.
논증윤리는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와 칼-오토 아펠(Karl-Otto Apel)의 '담론윤리(Discourse Ethics)', 라스바드의 '목적론적 윤리(deontological ethics)'에 기초하고 있다. 호페는 '언어적 논쟁(verbal argumentation)'은 '비폭력적(non-violent)'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비-침해성의 원칙(Non-aggression principle)' 만이 그 목표와 일치하는 윤리적 입장이므로, 유일하게―언어적―'모순(contradiction)' 없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호페의 접근법은 '담론행위(act of discourse)'를 '인간행동학적 고찰(praxeological examination)'이다.
The argument by Hans-Hermann Hoppe, a modern proponent of argumentation ethics, goes that an individual cannot consistently logically deny, in the course of argumentation, any of those things which the argument, or discourse, presupposes; doing so is to perform a performative contradiction.
구체적으로, 호페는 '논쟁 과정(the course of argumentation)'에서 그 누구도 자신이 스스로 '상정하고 있는(presupposes)' 그 어떤 전제도 일관되게, 논리성을 갖추면서 부정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그렇게 한다면, 그는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수행모순(performative contradiction)'을 범하는 것이고, 논리가 없으므로 설득력을 갖출 수 없다.
The rationale on behalf of argumentation ethics is found on page 334 of Hoppe's book The Economics and Ethics of Private Property.
'사유재산의 경제학과 윤리학(The Economics and Ethics of Private Property, 1993/2005)'의 334 페이지에서, 호페는 논증윤리가 '사실일 수 밖에 없는 근본적 이유(the rationale on behalf)'를 제시한다.
Argumentation does not consist of free-floating propositions but is a form of action requiring the employment of scarce means; and that the means which a person demonstrates as preferring by engaging in propositional exchanges are those of private property. For one thing, no one could possibly propose anything, and no one could become convinced of any proposition by argumentative means, if a person’s right to make exclusive use of his physical body were not already presupposed. It is this recognition of each other’s mutually exclusive control over one’s own body which explains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propositional exchanges that, while one may disagree about what has been said, it is still possible to agree at least on the fact that there is disagreement. It is also obvious that such a property right to one’s own body must be said to be justified a priori, for anyone who tried to justify any norm whatsoever would already have to presuppose the exclusive right of control over his body as a valid norm simply in order to say, “I propose such and such.” Anyone disputing such a right would become caught up in a practical contradiction since arguing so would already imply acceptance of the very norm which he was disputing.
논증은 '아무 맥락과 근거가 없는 명제(free-floating propositions)'로 구성되지 않는다. 그것은 '희소한 수단(scarce means)'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행동의 한 형태이다. 그리고 한 개인이 논증이라는 '명제적 교환(propositional exchanges)에 참여함으로써 '입증(demonstrates)'하는 '선호(prefer)'가 곧 사유재산임이 나타난다. 첫째로, 만약 우리가 '자신의 물리적 신체(his physical body)'를 '독점적으로 이용할 권리(right to make exclusive use)'가 이미 전제되지 않았다면, 그 누구도 어떤 것도 제안할 수 없었을 것이며, '논쟁의 수단에 의해 제시된 어떤 명제(any proposition by argumentative means)'에도 확신할 수 없었을 것이다. 논쟁은 서로가 '자신의 신체(one's own body)'에 대한 '상호 배타적 통제(mutually exclusive control)'를 '인정(recognition)'하는 행위로, 이는 말해진 명제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적어도 '의견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at least on the fact that there is disagreement)' 라는 사실 자체에 대해서는 언제나 동의가 가능하다는 '명제적 교환으로서의 논쟁의 특색(the distinctive character of propositional exchanges)'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어떤 '규범(norm)'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기소유권(property right to one’s own body, self-ownership)'이 '선험적(a priori)'으로 정당함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정말로, "나는 이러이러한 것을 제안한다.(I propose such and such.)"를 말하기 위해서는, '자기 신체에 대한 배타적 통제권(the exclusive right of control over his body)'이 '정당하다는 규범(a valid norm)'을 전제 했어야만 했다. 자기소유권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누구나 '실행모순(practical contradiction)'에 직면하게 된다. 그렇게 주장하는 그 순간, 그는 이미 반대하고자 했던 바로 그 규범, 자기소유권은 암시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Axiomatic Foundation
공리적 기초
Hoppe notes that since scarcity exists, conflicts arise over the use of rivalrous goods between different agents. Agents can then choose to resolve their conflicts in a non violent way by engaging in argumentation. Therefore presupposed in the act of argumentation are norms contingent with the goal of non-violent conflict resolution. Among these are "language has objective meaning", "Truth claims are preferable to false claims" and "claims must be justified". These norms Hoppe terms the apriori of argumentation (APoA). The denial of norms presupposed in the act of argumentation constitutes a performative contradiction, thereby voiding the argument of meaning. Hoppe shows that any moral justification for rules of human conduct must take place in an argument, as the very act of the denial of this assertion implies the denier is engaged in an argument.
호페에 따르면, '희소성(scarc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행위자(agents)' 사이에서 '경합적인 재화(rivalrous goods)'의 사용을 두고 갈등이 생긴다는 점을 지적한다. 행위자들은 논쟁에 참여함으로써,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충돌을 해결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폭력적 분쟁해결(non-violent conflict resolution)'을 목표로 부합하는 규범이 미리 논쟁 행위에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언어는 객관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language has objective meaning)", "진실 주장은 거짓 주장보다 바람직하다.(Truth claims are preferable to false claims)", 그리고 "주장은 정당화되어야 한다.(claims must be justified)" 등이 예시이다. 이러한 일군의 규범을 호페는 '논쟁의 아프리오리/선험(apriori of argumentation, APoA)'라고 명명한다. 논쟁의 아프리오리를 부정하는 것은 곧 '수행모순'에 직면한다. 따라서 그 주장은 '무효화(void)'된다. 즉, 호페는 논쟁의 아프리오리를 부정하는 그 행위자가 이미 그 규범에 입각하여 논쟁을 벌이고 있음에 주목하며, '인간행동의 규칙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moral justification for rules of human conduct)' 역시 논쟁의 차원에서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Non-Aggression Principle
비-침해성의 원칙
Hoppe argues that only universal norms are consistent with the APoA, as arbitrary categorical distinctions, are not objectively justifiable. Hoppe then argues that since argumentation requires the active use of one's body, all universal norms for resolving conflicts over the human body aside from full self-ownership are inconsistent with argumentation. Hoppe then shows that since the resolution of conflicts over external resources must also be objectively justifiable in a conflict avoiding way, only the establishment of an original objective link vis a vis original appropriation (i.e. homesteading) is consistent with argumentation. From these Hoppe concludes that only the non aggression principle of self ownership and Lockean homesteading can be justified in an argument without an implied performative contradiction.
호페는 오직 '보편적 규범(universal norms)'만이 논쟁의 아프리오리와 부합할 수 있으며, '자의적인 범주적 구분(arbitrary categorical distinctions)'은 객관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논쟁은 신체의 적극적인 사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간 신체에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면서도, 완전한 자기소유권을 제쳐두고 진행되는 모든 보편적 규범 설립 시도는 논쟁 행위 그 자체와 모순된다. 이어서 호페는 '외부 자원(external resources)'에 대한 갈등의 해결 역시, 분쟁의 회피라는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정당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초의 전용(original appropriation)', 즉 '홈스테딩(homesteading)'과 자기소유권의 '본래적-객관적 연결(original objective link)' 형성 만이 논쟁 행위와 일치함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호페는 자기소유와 '로크주의(lockean)' 홈스테딩의 '비-침해성의 원칙(non-aggression principle)' 만이, 암시적인 수행모순 없이 논쟁 행위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고 결론 짓는다.
출처 : https://wiki.mises.org/wiki/Argumentation_ethics
'사회·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기업원칼럼/김경훈 (0) | 2020.06.22 |
---|---|
왜 사회주의는 언제나 불가능한가/Trieu Nguyen.베트남경제연구소 (0) | 2020.06.21 |
후생경제학/blog.naver.com/czech_love (0) | 2020.06.21 |
로버트 노직의 '아나키,국가,그리고 유토피아':자유지상주의를 위한 유토피아를 위하여(2012.3,목광수/경상대) (0) | 2020.06.20 |
신자유주의와 실질적 자유지상주의의 경제철학-하이에크의 시장중심주의와 판 빠레이스의 기본소득논의를 중심으로-(2009.10/곽노완.서울시립대) (0) | 202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