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봄날
―김형영 시 (장사익 노래)
어머니, 꽃구경 가요.
제 등에 업히어 꽃구경 가요.
세상이 온통 꽃 핀 봄 날
어머니 좋아라고 아들 등에 업혔네.
마을을 지나고 들을 지나고
산자락에 휘감겨 숲길이 짙어지자
아이구머니나
어머니는 그만 말을 잃었네.
봄구경 꽃구경 눈 감아버리더니
한 움큼 한 움큼 솔잎을 따서
가는 길바닥에 뿌리며 가네.
어머니, 지금 뭐하시나요.
꽃구경은 안 하시고 뭐하시나요.
솔잎은 뿌려서 뭐하시나요.
아들아, 아들아, 내 아들아
너 혼자 돌아갈 길 걱정이구나.
산길 잃고 헤맬까 걱정이구나.
<단상>
내리사랑은 하나님 사랑과 같을까. 자식은 내리사랑을 모른다. 어른이 되면 조금 알기나 할까 모르겠다. 자식을 위해 목 놓아 운 적이 얼마나 많았던가. 자식은 부모의 사랑과 염려를 모르리라. 어찌 자식을 원망하랴. 자식이 덜 고생하는 세상이기를 바라며 기도하는 분이 어버이라는 것을 자식은 모르리. 치사랑 바라지 말고 내리사랑이라도 제대로 해야 하리. 김형영 시인의 시에서 고려장이 떠오른다. 어머니는 다 알고 있지만, 아무 말 없이 자식이 집에 잘 돌아갈 것을 더 걱정하신다. - 이기호 시인
이맘때쯤이면 장사익의 ‘봄날은 간다’가 가슴이 저려온다. 그의 리메이크 노래 ‘봄비’가 이어지고, 피를 토하듯 ‘찔레꽃’ 노래가 울려 퍼진다. 왜 그는 찔레꽃을 별처럼 슬프고, 달처럼 서럽다고 했을까. 광대 같은 그의 지나온 밑바닥 삶이 두고두고 서러웠을까.
아직 그의 봄 노래는 내 가슴속에 끝나지 않았다. 가슴속 깊은 곳에서 퍼 올린 듯한 말간 슬픔은 ‘꽃구경’에서야 비로소 끈적끈적한 진액으로 배어 나온다. 김형영 시인의 ‘따뜻한 봄날’이라는 시를 제목만 ‘꽃구경’으로 바꿔 불렀다. 그 옛날 부모가 늙고 병들면 깊은 산속에 버리던 풍습 고려장(高麗葬)을 애틋하게 그렸다. 산길 잃고 헤맬까 걱정이구나. 명치 아래에 뜨거운 뭔가가 후욱 올라온다. - 홍창보, 제주新보
'시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 다 꽃이야/류형선 (0) | 2022.06.28 |
---|---|
어머니 詩/cafe.daum.net/creativeessay (0) | 2022.06.26 |
향수/정지용 (0) | 2022.06.25 |
명태/양영문 (0) | 2022.06.25 |
마음은 헤아릴 수 없이 /이성복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