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이야기

예수의 종말론과 헬레니즘의 역사관/송창현.대구가톨릭대,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수의 종말론과 헬레니즘의 역사관에 관한 고찰이다. 이 고찰을 통해 우리는 성경의 시간관은 직선적 구조를 가지고, 헬레니즘의 시간관은 순환적 구조를 가진다는 기존의 명제에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는 역사적 예수 연구의 역사와 쟁점들을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왜냐하면 역사적 고찰은 우리 연구의 주제가 가지는 배경을 이해하고 엄밀한 방법론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헬레니즘, 즉 그리스-로마 세계의 여러 저술가들의 작품들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헤시오도스, 폴리비우스, 수라,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의 문헌들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헬레니즘의 시간관은 순환적 구조를 가질 뿐 아니라 직선적 구조도 가진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특히 베르길리우스는 황금시대의 재림인 아우구스투스의 통치 시대를 현재 안에 실현된 종말이라고 제시한다. 이러한 종말론적이고 목적론적인 역사관은 직선적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우리는 베르길리우스에게서 실현된 종말론을 발견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하느님 나라와 관련된 예수의 말과 활동을 비평적으로 분석한다. 예수는 구약성경과 제2성전 유다이즘의 묵시문학 전승과의 연속성 안에 위치한다. 동시에 예수의 종말 사상에는 그의 독창성이 제시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예수의 주된 관심과 강조는 현재 안에 실현하는 종말론 이라는 사실을 제시한다. 베르길리우스의 현재 안에 실현된 종말론이 정적이라면 예수의 현재 안에 실현하는 종말론은 역동적이다.

 

주제어 : 역사적 예수,종말론, 헬레니즘, 하나님의 나라,베르길리우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chatology of Jesus and the Hellenistic view of history. Through this examination we would like to question the existing proposition that the Bible"s view of time has a linear structure, and that the Hellenistic view of time has a cyclical structure. This research begins by examining the history and issues of historical Jesus research. This is because historical review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our research topic and applying strict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works of several writers from the Hellenistic, namely Greco-Roman, world. Specifically, we examine the texts of Hesiod, Polybius, Sura, Ovid, and Virgil. This reveals that the Hellenistic view of time not only has a cyclical structure, but also a linear structure. In particular, Virgil presents the reign of Augustus, the second coming of the Golden Age, as the end realized within the present. This eschatological and teleological view of history has a linear structure. Here we discover ‘realized eschatology’ in Virgil.
And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Jesus" words and actions related to the Kingdom of God. Jesus is located in continuity with the Old Testament and the apocalyptic tradition of the Second Temple Judaism. At the same time, Jesus"s originality is presented in his eschatological thoughts. Through this analysis, we suggest that Jesus" main concern and emphasis is on ‘realizing eschatology’ in the present. If the ‘realized eschatology’ in the present of Virgil is static, the ‘realizing eschatology’ in the present of Jesus is dynamic.

 

▶ Key Words: Historical Jesus, Eschatology, Hellenism, Kingdom of God, Virgil

 

 

투고 접수 일  : 2023.10.31.  심사 수정 일  : 2023.11.14.   게재 확정일: 2023.12.26.

신학과 사상 89호

https://www.dbpia.co.kr/journal/voisDetail?voisId=VOIS0074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