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371)
[스크랩] 조선후기 호락논쟁의 교육사적 의의 /정덕희(4) Ⅳ. 도덕규범에 대한 접근방식의 대립 호락논쟁에서 인물성동이론과 더불어 가장 치열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미발심체본선유선악(未發心體本善有善惡)이다. 이것은 “미발시 마음의 본체가 본래 순선(純善)한 것인가 아니면 선과 악의 가능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인가?”라는 문제로..
[스크랩] 조선후기 호락논쟁의 교육사적 의의 / 정덕희(3) Ⅲ. 인간형성에 대한 이해방식의 대립 호락논쟁에서 제기되는 인물성동이론은 표면적으로 인간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또는 다른가의 문제로 전개되지만, 그 궁극적 이면에는 인간형성을 둘러싼 이해방식의 대립이 깊숙이 내재되어 있다. 외암이 인간과 동물의 본성을 관통하는 보편적..
[스크랩] 조선후기 호락논쟁의 교육사적 의의 / 정덕희(2) Ⅱ. 호락논쟁의 발단과 쟁점 호락논쟁은 호학(湖學)과 낙학(洛學)의 학파적 대립에서 비롯된다. 󰡔조선왕조실록󰡕은 이들 학파의 연원(淵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외암 이간(巍巖 李柬, 1677~1727)은 남당 한원진(南塘 韓元震, 1682~1751)과 함께 동문 수학하였는데, ..
[스크랩] 조선후기 호락논쟁의 교육사적 의의 /정덕희(1) 조선 후기 호락논쟁(湖洛論爭)의 교육사적 의의 / 정 덕 희(성균관대) Ⅰ. 들어가는 말 회암 주희(晦庵 朱熹, 1130~1200)에 의하여 집대성된 성리학은 교육과 숙명적인 관계를 가진다. 그것은 성리학 자신이 교육을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성리학의 사상적 강령을 대표하..
[스크랩] 다산 실학의 서학적 배경--나일수 다산 실학의 西學的 배경-- 나일수(서울대 강사) 1. 서론 다산 사상은 성리학과 비교해 볼 때 분명하게 근대성을 띠고 있다. 다산의 성리학적 세계관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과 전면적인 비판은 바로 성리학의 중세적 관념체계를 넘어서서 근대의 징후를 드러내고 있다. 다산은 여타 다른 실..
[스크랩] Re: 주를 따로 붙입니다. 주 1) 李乙浩, 『茶山經學思想硏究』, 乙酉文化社, 1966. 2) 尹絲淳, 『韓國儒學論究』, 玄岩社, 169쪽., 1980. 3) 西學이란 용어는 明淸代에 中國에서 활동했던 천주교 선교사들이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李元淳, 『朝鮮西學史硏究』, 一志社, 1986, 36쪽.). 實學이란 용어가 후대 연구자들..
[스크랩] 茶山 經學의 脫朱子學的 世界觀/ 금장태 茶山經學의 脫朱子學的 世界觀 1. 茶山經學의 체계와 과제 다산은 자신의 학문체계를 “六經四書로써 修己하고 一表二書로써 天下.國家를 위하니, 本末을 갖추었다.”1)고 하였지만, 그의 경학저술이 걸치는 범위는 ‘六經四書’를 중심축으로 삼아, 小學‧修養論‧禮學&#..
[스크랩] 한국 성리학의 특징 한국 성리학의 특징 1. 정주학의 절대 우위 : 정주학 계통의 성리학은 처음에는 불교의 비인륜성을 비판하였고 나중에는 육상산·왕양명 계통의 심학을 이단시하면서 절대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일부 少論 계통의 학자들이 양명학에 개방적 태도를 보인 적도 있었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