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371)
[스크랩] 人物性同異論 人性 物性의 同異論 퇴계, 율곡 이래 사단칠정의 논변이 1세기 정도 전개되었을 무렵 사람의 性과 동물의 性이 같은가 다른가를 놓고 논변이 시작되었다. 보통 이것을 人物性同異論이라고 부른다. 淸風의 黃江(堤川 寒水)에 살던 權尙夏의 문인 李柬과 韓元震 사이에서 인물성에 대한 논..
[스크랩] 율곡의 사단칠정설 율곡의 사단칠정설 율곡의 사단칠정설은 氣發理乘一途說로 집약되어 표현된다. 이는 퇴계의 호발설의 전제위에서 제기된 것으로, 그에 대한 반론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율곡은 주로 理氣의 특성과 관계에 중심을 두고 호발설을 비판하면서, 선악의 문제는 결국 기질의 변화에 따라 나타..
[스크랩] 唐宋代 유학자들의 排佛意識--한유와 주희를 중심으로(5) 3. 배불의식의 사상사적 의의 주희에 의해 새로운 옷을 입었던 송대의 유학은 다시 사상사의 전면으로 나설 수 있는 힘을 갖게 되었다. '불교에서 유교로!'란 '당에서 송으로!'라는 역사의 발전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사상의 역사는 이전 시대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극..
[스크랩] 唐宋代 유학자들의 排佛意識--한유와 주희를 중심으로(4) 2-3 청년기의 불교이해 주희의 부친인 주송을 비롯하여 건안의 세 선생들은 북송에서 남송으로의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주장을 접지 않고 중앙무대로부터 축출 당한 사람들이었다. 주희는 부친의 유지에 따라 소흥13년(1143)부터 세 선생에게 사사하게 되었다. 특히 유자휘를 통..
[스크랩] 唐宋代 유학자들의 排佛意識--한유와 주희를 중심으로(3) 2. 주희의 배불 의식과 이기론 2-1. 장재의 배불의식과 기론 송대의 유학자들은 자신들이 공맹의 정통 유학을 직접 계승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송대의 새로운 유학은 당대의 불교시대를 거치고 당말 오대의 혼란기를 지나면서 새로운 왕조와 조응하는 이론으로 정립된 체계이다. 유학이 ..
[스크랩] 唐宋代 유학자들의 排佛意識--한유와 주희를 중심으로(2) 1-2 한유의 배불 의식 1-2-1 배불의식의 근거 한나라 이후 불교와 도교는 이전에 유가가 점하고 있던 사상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그런데 유불도 삼교가 표면적으로는 서로 대결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 사실이지만 내용적으로는 상호영향 아래 자신들의 체계를 재구성하는 형태였다. 도가는 ..
[스크랩] 唐宋代 유학자들의 排佛意識--한유와 주희를 중심으로(1) * 당송대 유학자들의 排佛 의식 -한유와 주희를 중심으로 1. 한유의 적극적 배불 의식 1-1 당대의 불교 1-2 한유의 배불 의식 1-2-1 배불 의식의 근거 1-2-2 배불의 몇 가지 논점 1-2-3 이고의 소극적 배불 의식 2. 주희의 배불론과 이기론 2-1 장재의 배불 의식과 기론 2-2 교양으로서의 불교 2-3 청..
[스크랩] 한국의 유학 : 조선시대(후기) 한국의 유학 : 조선시대(후기) 조선 후기는 밖으로부터 새로운 문물을 접하고 정치*문화적으로 변화와 충격을 받으면서 근대로 접어드는 복잡한 시대였다. 영*정조시대는 침체했던 국운을 쇄신해 융성을 도모했던 문예 부흥기였다. 영조는 탕평책을 써서 당쟁을 완화시켰고, 정조는 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