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이야기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22. 불교와 아쇼카왕


 
22. 불교와 아쇼카왕 전륜성왕 이상 구현한 '法의 대왕' 佛法에 바탕 둔 통치이념 전파 불교의 세계종교화 기틀 마련 불교는 종교문화현상으로 사회의 한 구성요소인 이상,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곧 사회를 변화시키고 움직이는 중요한 요소로서 세속적인 힘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세계의 거대종교가 세속의 정치적인 힘과 관련을 맺었듯, 불교 또한 아쇼카왕이라는 대군주와의 관계 속에서 인도를 벗어나 세계종교로 발돋움하는 기틀을 마련한다. 아쇼카왕은 인도 최초의 통일왕조인 마우리야 왕조 제3대 왕이다. 할아버지인 찬드라굽타는 마케도니아 알렉산더왕의 인도 진입을 저지한 왕으로, 헬레니즘의 조류가 인도에 들어오는 것을 막아냈다. 이 찬드라굽타의 손자에 해당하는 아쇼카왕은 조부와 아버지가 이룬 통일과업을 완성시켜, 인도최대의 통일제국을 마련하였다. 아쇼카왕은 젊어서부터 불교와 관계가 깊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 성격 역시 부드럽고 온화한 것과는 거리가 멀고 잔혹하고 냉정한 성격이었던 것 같다. 이러한 잔혹하고 냉정한 성격이 천성적인 것인지, 왕위 계승과 통일을 위한 정복의 과정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왕위에 올라 8년째 '법(法)의 대왕(大王)' 으로 불리게 된 이후로는 자애와 대비심에 충만한 자비의 왕으로 탈바꿈한다. 아쇼카왕은 최후의 통일과업을 위한 정복전쟁 후 '다르마라자' 즉 '법의 대왕' 으로 바뀌었다. 전쟁의 참상과 비참함에서 더 이상 전쟁이 없이 평화롭고 화목하게 사는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는 전륜성왕으로 바뀐 것이다. 법의 대왕으로 바뀐 아쇼카왕은 35년여에 걸친 재위기간 동안 불교의 진리로서 정법(正法)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인도사회를 구현하기위해 그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법의 대왕' 으로서 아쇼카왕이 인도사회에 실현한 큰 공적은 살아있는 것에 대한 존중과 평화의 정신을 뿌리내린 것이다. 곧 사람은 물론 동물이나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자애와 존중을 강조하였고, 이러한 강조를 석주(石柱)나 바위벽 등에 기록하여 잊지 않도록 조치하였다. 또 그것을 위해 당시 동물들을 위한 병원이나 노약자, 보호받지 못하는 자들을 위한 시설 등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평화와 존중의 근본이념은 불교의 정법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정법에 의거하여 타종교나 사상 등에 대해서도 관용과 포용의 정책이 실시되었다. 아쇼카왕은 자신의 법이념을 알리기 위해 법의 전도사로서 법의 대관(大官)이라 일컬어지는 사절단을 인도 국내는 물론 인도 이외의 지역에 파견시켰다. 이 법의 대관이 파견된 지역으로는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그리스인의 통치지역이나 간다라 등의 북인도와 버마 등의 인도 동부지역, 스리랑카 등 인도 남부 지역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법의 대관이 파견됨으로써 불교의 정법에 입각한 아쇼카왕의 정치이념이 각 지역으로 전해졌다. 아쇼카왕은 부처님의 생애와 관련된 지역을 방문하였고, 또한 부처님의 사리를 재분배해 인도 각 지역에 다수의 탑을 건립하였다. 제3 불전결집도 거행되었다. 고승을 스승으로 모시며 정법의 이념을 배웠음은 물론 당시 승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고 불전결집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불교의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정신을 석주나 바위에 새겨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따르게 하였다. 아쇼카왕의 석주나 마애법칙 등은 역사학이나 고고학 분야에서 인도의 고대사를 복원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불교의 법의 이념은 아쇼카왕을 통해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곧 불교의 이념이 인도 국내외 각 지역으로 전파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간다라 등의 북인도를 통해 중국불교로 이어지는 경로가 구축되고,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한 남방불교가 형성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북인도 마가다국을 중심으로 한 종교문화현상인 불교가 그 진리성과 도덕성을 통치의 이념으로 삼은 아쇼카왕의 정치이념과 맞물려 세계종교로서 발돋움하는 터전을 마련한 것이다. [글 : 이태승 위덕대 불교문화학부 교수 / 불교신문 기사 발췌] ☞ 이태승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목차目次 바로가기 : 관세음보살 ☜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가장 행복한 공부' 無量光明 합장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無量光明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