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유교 : 삼국시대(백제)
삼국 이전에도 한사군에 근접한 지역은 중국의 유교 윤리와 흡사한 예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삼한시대에는 외부의 영향이 적었으며, 읍락(邑落)이 잡거(雜居)하였다.
비록 국읍에 통치자가 있었을지라도 통치 기구의 지배적 기능이나 예의 규범이 보편화되지
못해 각기 독립된 토속 생활을 하고 있었다.
백제시대에 이르면 통치력이 널리 미쳤을 뿐 아니라, 유교적 체제가 갖추어졌다. 국가의 금령
(禁令)과 법제가 뚜렷하게 되고, 중국과 비슷한 혼상례(婚喪禮)가 있었다. 재래의 소도*천신신앙
*귀신숭배 등의 법속은 유교에서 말하는 교사지례(郊祀之禮)와 종묘제도의 방식으로 형태화
하는 등 국가적 규모에서 유교 문화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정부 조직*행정 관서 및 행정 구역 등을 제정함에 있어도 유교의 영향을 받았다. 고이왕시대
(234~286)에 중앙 관제를 육좌평(六佐平) 16관계(十六官階)로 제정한 것은 ≪주례周禮≫의
6관제(六官制)에 상응하는 것이다. 고이왕이 ‘남당(南堂)’에서 정사를 보았다고 하는데,
남당제도는 임금이 신하들과 의논하고 정사를 펴는 장소로서 ≪예기≫명당편(明堂篇)에 나오는
명당과 관계 있는 듯하다.
근초고왕(346~375)이 고흥(高興)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한 ≪서기 書記≫나 중국으로부터
모시박사(毛詩博士)와 강례박사(講禮博士)를 청해오기도 했다는 등 사서 편찬과
학술 사상에서도 유교사상과의 관련성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송의 가원력(嘉元曆)을 써서 인월(寅月)로 세수(歲首)를 한 것, 의약*복서(卜筮)*
점상(占相)의 술을 해독한 것, 놀이로서 투호(投壺)*저포(樗蒲)*악삭(握鷺)*농주(弄珠) 등을
쓴 것, 두 손으로 땅을 짚어 경의를 표한 것 등은 중국 문화와 유교 문화를 일상 생활에 활용했던
사례들이다.
백제의 해상 진출은 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학술사에서 후세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근초고왕
시대에는 왕자 아직기(阿直岐)와 박사 왕인(王仁)을 일본에 보내 유교 경전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를 전달함으로써 왕실의 스승이 되고 일본의 학문적 시조가 되었다.
삼국 이전에도 한사군에 근접한 지역은 중국의 유교 윤리와 흡사한 예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삼한시대에는 외부의 영향이 적었으며, 읍락(邑落)이 잡거(雜居)하였다.
비록 국읍에 통치자가 있었을지라도 통치 기구의 지배적 기능이나 예의 규범이 보편화되지
못해 각기 독립된 토속 생활을 하고 있었다.
백제시대에 이르면 통치력이 널리 미쳤을 뿐 아니라, 유교적 체제가 갖추어졌다. 국가의 금령
(禁令)과 법제가 뚜렷하게 되고, 중국과 비슷한 혼상례(婚喪禮)가 있었다. 재래의 소도*천신신앙
*귀신숭배 등의 법속은 유교에서 말하는 교사지례(郊祀之禮)와 종묘제도의 방식으로 형태화
하는 등 국가적 규모에서 유교 문화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정부 조직*행정 관서 및 행정 구역 등을 제정함에 있어도 유교의 영향을 받았다. 고이왕시대
(234~286)에 중앙 관제를 육좌평(六佐平) 16관계(十六官階)로 제정한 것은 ≪주례周禮≫의
6관제(六官制)에 상응하는 것이다. 고이왕이 ‘남당(南堂)’에서 정사를 보았다고 하는데,
남당제도는 임금이 신하들과 의논하고 정사를 펴는 장소로서 ≪예기≫명당편(明堂篇)에 나오는
명당과 관계 있는 듯하다.
근초고왕(346~375)이 고흥(高興)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한 ≪서기 書記≫나 중국으로부터
모시박사(毛詩博士)와 강례박사(講禮博士)를 청해오기도 했다는 등 사서 편찬과
학술 사상에서도 유교사상과의 관련성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송의 가원력(嘉元曆)을 써서 인월(寅月)로 세수(歲首)를 한 것, 의약*복서(卜筮)*
점상(占相)의 술을 해독한 것, 놀이로서 투호(投壺)*저포(樗蒲)*악삭(握鷺)*농주(弄珠) 등을
쓴 것, 두 손으로 땅을 짚어 경의를 표한 것 등은 중국 문화와 유교 문화를 일상 생활에 활용했던
사례들이다.
백제의 해상 진출은 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학술사에서 후세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근초고왕
시대에는 왕자 아직기(阿直岐)와 박사 왕인(王仁)을 일본에 보내 유교 경전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를 전달함으로써 왕실의 스승이 되고 일본의 학문적 시조가 되었다.
출처 : 동양철학 나눔터 - 동인문화원 강의실
글쓴이 : 권경자 원글보기
메모 :
'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의 유교 : 고려시대 (0) | 2014.03.25 |
---|---|
[스크랩] 한국의 유교 : 삼국시대(신라) (0) | 2014.03.25 |
[스크랩] 한국의 유교 : 삼국시대(고구려) (0) | 2014.03.25 |
[스크랩] 한국의 유교 : 상고시대 (0) | 2014.03.25 |
[스크랩] 함석헌과 노장사상--김성수 (0) | 201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