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황제의 권학문>
) -->
내가 배움 없는 사람을 보니
견줄 만한 것이 없어 보이네
만약 풀과 나무에 견준다면
풀에는 영지(靈芝)가 있고 나무에는 대춘이 있으며
만약 새와 짐승에 견준다면
새에는 봉황이 있고 짐승에는 기린이 있으며
만약 똥과 흙에 견준다면
똥은 오곡을 살찌게 하고 흙은 백성을 기른다네
세상의 무한한 것들 중에
배움이 없는 사람에 견줄 만한 것은 없느니라
) -->
朕觀無學人(짐관무학인) 無物堪比倫(무물감비륜)
若比於草木(약비어초목) 草有靈芝木有椿(초유영지목유춘)
若比於禽獸(약비어금수) 禽有鸞鳳獸有麟(금유란봉수유린)
若比於糞土(약비어분토) 糞滋五穀土養民(분자오곡토양민)
世間無限物(세간무한물) 無比無學人(무비무학인)
) -->
--------------------------
) -->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초목과 금수와 흙덩이만도 못함을 말한 것이다.
) -->
○ 比倫(비륜) : 비교(比較)하여 같은 또래나 종류(種類)가 될 만 함
) -->
○ 난봉[鸞鳳] : 난조(鸞鳥)와 봉황(鳳凰).
) -->
○ 대춘[大椿] : 큰 나무 이름. 남의 장수를 축하할 때 쓰는 말. 대춘지수(大椿之壽). 대춘은 상고(上古) 때 큰 나무로 인간의 3만 6천 년을 1년으로 한다 함.
上古有大椿者 以八千歲爲春 以八千歲爲秋(상고유대춘자 이팔천세위춘 이팔천세위추 ; 먼 옛날 대춘이 있었는데 8천 살을 봄으로, 8천 살을 가을로 하였다 한다.)<장자莊子 내편 소요유內篇逍遙遊> [네이버 지식백과] 대춘 [大椿] (한시어사전, 2007. 7. 9., 국학자료원)
) -->
○ 린(麟): 세상이 태평할 때만 나온다는 전설상의 어진 짐승 기린. 사슴의 몸, 말의 발, 소의 꼬리를 가지며, 빛깔은 황색이고, 발굽은 둥글며 살로 된 뿔이 머리 위에 하나 돋아 있는데, 왕자가 출현하여 인의 도를 펴면 나타난다고 한다. 암컷을 기(麒), 수컷을 린이라 하며, 날짐승 중에는 봉황, 털짐승 중에는 기린을 으뜸으로 여겼다.
) -->
○ 五穀 : 벼[稻], 기장[黍], 피[稷], 콩[菽], 보리[麥]의 다섯 가지 곡식을 이른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柳屯田勸學文(유둔전권학문) (0) | 2017.01.11 |
---|---|
司馬溫公勸學歌(사마온공 권학가) (0) | 2017.01.11 |
眞宗皇帝勸學 (0) | 2017.01.11 |
曲江(곡강1-2)/-杜甫(두보) (0) | 2017.01.11 |
鳥之將死, 其鳴也哀; 人之將死, 其言也善 (0) | 2016.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