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司馬溫公勸學歌(사마온공 권학가)

司馬溫公勸學歌(사마온공 권학가)

司馬光(사마광)


) --> 

養子不敎父之過(양자불교부지과) 訓導不嚴師之惰(훈도불엄사지타)

父敎師嚴兩無外(부교사엄양무외) 學問無成子之罪(학문무성자지죄)

飽食居人倫(난의포식거인륜) 視我笑談如土塊(시아소담여토괴)

攀高不及下品流(반고불급하품류) 稍遇賢才無與對(초우현재무여대)

勉後生力求誨(면후생력구회) 投明師莫自昧(투명사막자매)

一朝雲路果然登(일조운로과연등) 姓名亞等呼先輩(성명아등호선배)

室中若未結親姻(실중약미결친인) 自有佳人求匹配(자유가인구배필)

勉旃汝等各早脩(면전여등각조수) 莫待老來徒自悔(막대노내도자회)

) --> 

) --> 

자식을 기르면서 가르치지 않음은 아버지의 잘못이요

가르침을 엄하게 하지 않음은 스승의 게으름이네.


아버지는 가르치고 스승은 엄히 하여 양쪽 다 벗어남 없는데

학문을 이루지 못하면 자식의 죄라오.


의식이 풍족하고 인륜의 질서 속에 살면서도

나 같은 사람을 보고 웃으며 이야기하면 흙덩이 같은 하찮은 사람이네.


높은 지위 오르려다 미치지 못하면 하류의 무리가 되어

녹봉받는 어진 인재를 만나면 상대할 수가 없네.


후생들에게 권하노니 힘써 가르침을 구하고

현명한 스승에게 의지하여 스스로 어리석음에 빠지지 말라.


하루아침에 출세의 길에 오르기만 하면

이름이 드러나고 선배로 불려지리라.


집안에서 만약 아직 혼인하지 못했다면

저절로 가인이 배필을 구하여 오리니


그대들은 각자 일찍 수양하기에 힘써

늙어서 헛된 후회 찾아오게 하지 말라.


) -->  ----------------------------------------------

) --> 

) --> 

아버지와 스승은 엄하게 가르치고 배우는 자는 힘써 공부를 하면 출세를 하게 되고 명성을 떨치게 되면 미인도 찾아 올 것이니 늙어 후회하기 전에 배움에 힘쓰라는 권고의 노래이다.

  ---------------------------

) --> 

 

 

視我笑談如土塊(시아소담여토괴) : 賢者의 좋은 말을 들어도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하여 귀담아 듣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반고(攀高): 높은 곳에 오름, 크게 출세하는 것.

하품류(下品流): 하등의 무리에 낌.

(): 관리의 녹봉을 말한다.

雲路(운로) : 출세하여 높은 지위에 오름을 가리킨다.

(): 공연히

) -->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王荊公勸學文(왕형공권학문)  (0) 2017.01.11
柳屯田勸學文(유둔전권학문)  (0) 2017.01.11
<인종황제의 권학문>  (0) 2017.01.11
眞宗皇帝勸學  (0) 2017.01.11
曲江(곡강1-2)/-杜甫(두보)  (0) 2017.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