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풍경예술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얼 연구/유 혜 경.서울예술대



1. 서론
2. 예술성 발달에 대한 제 관점
1) 제 관점의 대비
2)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
3. 무용에 대한 예술성 발달단계의 적용
1) 전상징기
2) 형상기
3) 도식기
4) 규칙체계기
5) 후인지기
4. 결론 및 제언


1. 서론
무용은 전인적 인간, 조화롭고 균형 잡힌 인격 형성을 위해서도 중요
하지만, 아울러 근자에 많은 연구가 보고하듯이 무용은 청소년 뿐 아니
라 주부,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아동 등 다양한 사회 집단에 있어서 정
서나 창의성, 사회성 발달을 비롯해 청소년 비행 방지, 자아존중감의 증
진 및 우울증 해소 등 실제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
져 왔다. 이렇게 본다면 무용이야말로 오늘날과 같이 스트레스가 많은


10 우리춤 연구 <제 12 집 >


현대인에게 예술의 향유와 정신적 · 신체적 건강을 모두 제공하는 활동이
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익한 무용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것
은 무엇보다 기초연구의 활성화라 하겠다.
모든 학문에 있어서 기초연구는 한 학문 분야의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된다. 무용에 있어서 기초연구 분야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무용의 발
달에 관한 연구는 특히 중시되어 마땅하다. 그런데 지금까지 무용 발달
에 관한 연구는 체육과의 신체운동 발달에 기준한 연구1)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성장 또는 발달과업 2) 심리적 · 사회적 특정 또는 인지적 · 정의
적 · 심동적 영역의 특징에 준한 연구가 몇몇 있으며 3) 대부분의 무용프
로그램이나 교육과정 개발도 여기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무용이 예술이니만몸 무용의 발달을 신체 발달이나 동작에 기
준을 두는 것은 무용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예술성 그 자체를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경희도 체육교과에 기준한 선체 발달을
무용에 적용하는 것은 무용에 적합하지 않다고 비판하였다 4) 무용 발달
이 신체 동작 위주로 다루어져 온 이유로는 최경희, 김화숙, 신은경 등
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처럼, 90년대에 이후 세계적 무용교육의 추세
가 예술무용교육으로 변화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무용이 체육교과의
한 영역에 포함되어 예술로서의 무용은 경홀히 여겨진 것이 하나의 큰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 또 Sparshott가 지적한 바와 같이 무용에


1) 강유정 (200 1). r 아동의 신체적 • 인지적 발달단계에 맞는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J.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등 다수가 있다.
2) 김미숙(1997). r여자 초중생의 발달단계별 무용 지도내용에 관한 연구'J. 스포츠과
학연구j. 3. RISS database.
3) 이러한관점의 연구로는이명진 (2000) , r초등학교학생들의 성장발달과정에 따른무
용교육프로그램 연구'J. 한국학교체육학회지.1. 10. pp.25-34. ; 문명(1999). r무용심
리학.1. 보경문화사 ; 김두련 .l::f품이 역(1998). r댐활동과 무용:n (J. P. Bennett &
P. Coughemour. Rhythmic activities and dance). 금강출판사 등이 있다.
4) 최경희 (2002). r무용교육뀌용선정을위한기초연구j. 한국무용교육학회지.1. 13(1).
pp.15-52.
5) 이러한 관점의 연구로는 최경희 (2002) . 상게서. pp.15-52 ; 김화숙 (200 1) .
「중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창작무용학습의 내용과 지도모형 J ,한국무용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11


대한 이론적 논의를 위한 기초의 부족과 참고 준거의 부족이 원인이 될
수도 있고, 6) 또는 김말복이 주장하는 것처럼 비언어 예술인 무용의 특
성이 언어 예술 중심의 전통적인 예술 분류 체계와 맞지 않기 때문일 수
도 있다 7)
상기한 이유를 포함한 제반 사회적 인식이나 여건으로 인해 무용 발달
관련 연구에 있어서 예술성의 발달은 그 중요성 또는 비중에 비해 소홀
히 여겨진 감이 없지 않다. 뿐만 아니라, 미술이나 음악 분야의 발달 관
련연구들이 개별 분야의 발달에 관한 연구를 비롯해서 인지 발달이나 도
덕성 발달 등과 접목 또는 관련시킨 연구라든가 예술성이라는 큰 맥락
내에서의 접근 등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반면 무용의 경
우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개별 영역내의 발달 연구, 그것도 신체 발달에
기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으로, 타 예술 분야의 발달
관련 연구와 같이 다양한 관점에서 무용 발달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또 하나의 문제는 이제까지 무용에 있어서 인지적 측면 역시 제대로
평가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타 예술 분야에서는 ‘예술적 인지’라는 개념
이 생소하지 않은데 비해 무용과 관련해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인간의 모든 학습 결과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의 세
가지로 구분할 때, 무용은 신체로 표현하는 예술이기 때문에 심동적 영
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인지적 영역이나 정의
적 영역도 분명히 존재한다. Goodman이 무용의 구성요소를 인간의 사
고와 그것을 표현하는 신체, 어휘로서의 동작이라 했을 때, 8) 여기에는


육학회지Jl, 12( 1). PP.l9-44; 선은경(1 996). r 학분기반 예술교육(DBAE) 에 기
초한 중학교 무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J , 이회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ι 논문 등이
있다.
6) Sparshott, F. (1988). Off the grozmd " First step to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the dance. Princeton Univ. Press.
7) 김말복(2003). Ii무용 예술의 이해Jl. 이회여자대학교 출판부. pp.37-38.
8) Goodman. N. (1976). Language of aπ. Indianapolis : Hackett. p.32.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12 우리춤 연구 【제 12 집 1


분명히 인간의 사고라는 인지적 특성이 포함된다. 또 인간의 학습결과
분류 중 심동적 영역 (psychomotor domain) 역시 단순히 운동 영역이라
하지 않고 인간 정신과 관련되기 때문에 심동적 영역이라고 지칭하는 것
이다. 심동적 영역은 보통 표현 기술이나 기능을 의미하지만, 무용에 있
어서의 신체 표현은 단순한 운동이나 신체 동작이 아니라, 정신과 밀접
히 관련되기 때문에 무용의 동작은 심동적 영역의 다섯 하위분류 중에서
도 가장 상위 단계인 동작적 의사소통으로 분류되어 있다 9) 더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예술이 인간의 인지와 정서를 포함한 정신의 총화 또는
극대화라는 점에서 생각할 때, 예술로서의 무용 역사 발달 관련 연구는
신체 운동 발달을 중심으로 다루는 시각에서 벗어나 예술성이라는 무용
의 본질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의 예술성 발달이 타 예술 분야의 예술성 발달과
유사한 단계를 밟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타 예술 분야의 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구축된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 10) 를 무용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 예술적 인지 및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
다. 본 연구는 무용 발달 연구에 있어서 무용의 본질인 예술성 발달에 주
안점을 두는 동시에, 이제까지 무용의 발달을 개별 영역 내에서만 생각해
왔던 시각을 확장하여 음악이나 미술과 같은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 속에
서 무용 발달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으며, 나아
가 무용 발달 연구에 있어서 무엇보다 예술성이 주안점이 되어야 한디는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9) Krathwohl. D. R.. Bloom. D. S .. :Masia B. B. (1964). Taxonomy of educationa1
objectives. 유혜경 (2006). ~예술교육J. 학연사. p.160.
10) 1-눔rgreaves. D. J. & Galton. M J. (1992). ""Aesthetic learning : Psychological
theory and educational practice." in B. Reimer & R. A. Smith(eds). 돼e
arts. education and aesthetic knowing. Chicago. III: Univ. of Chicago
Press. NSSE. pp.124-150.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13


1.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 별 발달 사항은 무엇인가?
2. 예술 전반에 걸친 상징의 공통적 특성인 ‘예술적 인지’가 신체동작
으로 표현되는 무용에도 존재하는가?
3. 발달적 측면에서 무용은 음악, 미술 등 타 예술 분야와 어떻게 관
련되는가?
본 연구는 예술성이라는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개념을 다루는데 있
어서 하나의 실증적 연구가 갖는 여러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 선행
연구 결과를 기초로 발달단계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무
용, 예술성, 발달을 국문, 영문으로 다양하게 키워드를 조합하여 8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관련 선행 연구를 교육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
스, 대학도서관 등에서 검색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는 국내외 학술지 논
문과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준거로 채택된 예술성 발
달단계를 무용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연령 단계
별로 무용 고유의 발달 사항과 예술적 인지에 관련된 사항, 타 예술 분
야와 관련된 사항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무용 분야에 있어서는 예술성 발달을 주안점으
로 한 실증적 연구가 타 예술 분야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문헌에 기초
한 본 연구를 위해 충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없었다.


2. 예술성 발달에 대한 제 관점
예술성 발달에 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개략적으로
나마 먼저 살펴보고, 그 다음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
계를 제시하기로 한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14 우리춤 연구 【제 12 집 x


1) 제 관점의 대비
예술성 발달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예술성과 타 분야(과학·도덕 · 언어 등)의 발달 간 관련성에 대
한 인정 여부에 따라 나누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예술이라고 할 때 여
러 분야가 있는데,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발달 원리가 있다고 보는
입장과 이와 상반되게 각 예술 분야별로 발달이 다르다고 보는 입장의
차이에 따른구별이다.


(1 ) 예술성과 타 영역 발달 간 관련성
예술성과 타 영역의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한 관점은 다시 상반된 두 견
해로 나쉰다. 우선 Hirst와 Peters는 예술적 경험이 과학이나 도덕 등의
타 경험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양식을 취한다고 주장하여 1 1) 예술과 타
영역의 발달 과정이 다르다고 보고 있다. 반면에 Parsons는 Kohlberg
의 도덕성 발달단계에 기초하여 예술성 발달단계를 전개함으로써 예술성
을 도덕성 발달과 관련시켰다 12) 그러나 양자 모두 경험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는 못하고 있다.
(2) 보편적 예술성에 대한 인정
각 예술 분야별로 발달이 개별적인가 또는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예술성이 존재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 Evans는 음악, 미술, 문학 등
예술 분야가 다르면 발달 유형도 매우 다를 수 있으며, 오히려 가치관과
정서의 연관성으로 인해 예술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의 경험 -예를 들
11) Hirst. P. H. & Peters. R. S. (1970). 깐Je 10밍c of education. 1ρdon:
Rout1edge & Kegan Pa띠.
12) Parsons. M. J.(1987). How we understand 따ts. C없nbridge : Cambridge
Univ. Press.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15
면 도덕성 발달- 과 많은 공통점을 보일 수도 있다고 주장하여 13) 각
예술 분야 별로 발달이 다르다는 견해를 내세웠다.
반면, 예술성을 인간 발달의 한 보편적인 요인으로 생각하는 학자들은
대체로 인지적 관점에서 예술성을 접근하는데, 예를 들어 Heid는 예술
성 발달을 인지적 경험으로 보고 있으며. Best 역시 예술도 과학과 마찬
가지로 이성과 이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든 예술은 인지적이라고 주
장한다 14) 본 연구의 준거로 채택된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는 여기에 속한다.
2) 뻐rgreavl얹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
예술성을 인간 발달의 한 보편적인 요인으로 보는 연구자들 중 Hargreaves와
Galton은 그들 자신이 비록 무용을 연구 대상으로 하지 않았
지만. SmithLi- Parsons 등의 연구들과 달리 관념적 수준의 언급에 그
치지 않고 15)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 음악, 글짓기와 같은 다양한
예술 분야의 제 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예술성 발달단계를 구축했기 때문
에 무용의 예술성 발달을 고찰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기준으로 채택하였
다. Hargreaves와 Galton은 예술성 발달을 각 예술분야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과 ‘예술적 인지 (aesthetic cognition) 의 발달을 통합하
13) Ev,때s , D. H. (1980) , Beyond universals in cognitive development, Norwood,
N. J. : Avlex Publishing Co.
14) Heid, K. (2005) , “Aesthetic development : A cognitive experience.", in Art
Education, 58(5) , pp.48-53. Best, D. (1992) , The rationa1ity of feeling :
Understanding the arts in education. New York : 돼e Falmer Press.
15) Smith, R. A. (1992) , Toward percipience : A humanistic curriculum for
arts education, in B. Reimer & R. A. Smith(eds). πìe arts, education,
and aesthetic knowing, Chicago, m: Univ. of Chicago Press. Parsons,
M. J. (1991), “Aesthetic development", in R. A. Smith, & A. Simpson
(eds) , Aesthetics and arts education, Univ. of Illinois, 1991. pp. 367-
372 등의 연구가 실증적 연구에 의해 지지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16 우리춤 연구 【제 12 집〕
여 다섯 단계로 제시했다 16) 여기서 ‘예술적 인지’란 예술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상징의 공통적 특성을 뜻하는 것으로 Hargreaves와 Galton
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 예술적 인지의 발달
@ 전상정기 (presymbolic phase : O~2세) :-(언급 없음)
@ 형상기 (figural phase : 2~5세) : 구체적
@ 도식기 (schematic phase : 5~8세) : 사실성과 주제에 대한 강조
@ 규칙체계기 (rule system phase : 8~ 15세) : 예술적 관습과 스타일
민감성의 발달
@ 후인久171 (metacognitive phase: 15세 이후) : 문화적 스타일과 맥
락으로부터의 독립
3. 무용에 대한 예술성 발달단계의 적용
Hargreaves와 Galton은 미술, 음악, 문학 등 여러 예술 영역을 아
우르는 보편적인 예술성 발달단계를 구축하고자 했지만 무용에 관한 언
급은 없다. 그러나 무용의 발달 역시 단순한 선체 운동기능의 발달이 아
년 예술성의 발달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타 예술 분
야의 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구축된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
달단계가 무용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전상징기(presymbolic phase : 0-2세)
인생 최초의 시기인 O~2세 사이에는 개념적 상징체계가 아직 발달되
16) Hargreaves. D. J. & Galton. M. J.(1992). op. cited. pp.124-150.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17
지 않는다. 신체적 동작이나 감각적 협응이 발달의 주를 이루며, 2세경
이 되어서야 관념적 상징의 사용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Piaget의 인지
발달이론에서는 이 시기 유아가 감각운동적 차원의 도식을 주로 사용한
다고 하고, 또 Hargreaves와 Galton은 O~2세 사이에는 신체적 동작
이나 감각적 협응이 발달의 주릎 이룬다고 하는데 17) 이는 모두 O~2세
사이의 유아는 주변 환경에 반응하고 상호작용 할 때 자신이 속한 문화
와 관계없이 보편적 양식을 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달리 말하
면 어느 문화권에 속한 유아든지 별 차이 없이 주된 발달 사항은 선체
동작과 감각적 협응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Hargreaves와 Galton도 전
상징기에 있어서는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상징인 ‘예술적 인지’에 관
한언급이 없다.
유아기 아동은 계속 근육을 움직이기 때문에 미술성 발달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도 이 시기를 난화가(亂畵期)라 칭하듯이, 유아는 단지 손 근
육의 움직임에 따른 자취 그 자체를 즐긴디는 것이다. 무용에 있어서도
유아기의 주된 발달 사항은 신제 동작이며, 특히 O~2세 사이는 유아가
근육 관절과 신경기관의 기능을 습득하는 시기로, 움직임의 특성은 빠르
고 리드미컬하며 연속적이고 급하고 강하다. 또한 유아는 주위 여러 자
극에 대하여 국부적으로가 아니라 전선으로 반응한다. Laban은 무용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사실로서 “인간 최초의 몸의 움직임은 원시무용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리로 차고 팔로 뻗는 등의 기초적 동작원리를
보여 주며, 이 때 유아는 많은 근육과 관절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동시에
소리를 내는데, 이것은 마치 원시적인 민속에서 볼 수 있는 춤과 노래의
혼합과 유사하다~'18) 고 말한다.
O~2세 사이에는 신체적 행위가 타 분야의 발달과 관련된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아의 노래 부르기나 음악에 대한 반응에서 신
17) Hargyeaves, D. J. & Ga1ton, M. J. (1992) , op. cited, pp.124-150.
18) Laban, R. (1993) , Modern educationa1 dance, 김주자 역현대의 무용교육J ,
해외미학선 4, 현대미학사, p.28에서 인용.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18 우리춤 연구 <제 12 집 3
체적 행위가 특징으로 나타난다 19) 는 것은 무용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사실이라 하겠다. Moog는 50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개월
에서 6개월 정도 밖에 되지 않은 유이들도 음악에 반응하여 폼을 흔드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2세경이 되면 한층 더 정확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0) 한편 음악성의 발달에 관한 한 연구도 유아가 음에 대한 즐
거움을 느끼게 되면서 가락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는 춤이 나타나며 .2세
경에는 음악과 율동행위와의 협응이 훨씬 더 정교해진다는 결과를 제시
하여 무용과 음악의 관련성을 지지해주고 있다 2 1)
2) 형상기(fìgural phase : 2~5세)
신체 발달에 있어서 2~5세 사이는 걷고 달리고 뛰는 등의 기본 운동
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3세부터는 어른의 지시에 따를 수 있으며 .4세가
되면 신체 여러 부분의 협응이 더 잘 이루어진다 22) 이와 같은 발전은
이 단계부터 무용을 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무용 발달과 관련하여. Laban은 아동들이 춤추고 싶은 무의식적 충
동을 느끼는 듯하며, 이와 같은 초기의 신체 활동은 어떤 목적이나 유용
성이 없는 자신의 내부에 있는 에너지의 표현이고, 에포트를 발산하려는
일종의 본능적 욕구 23) 이며, 이 때 무용의 움직임은 강하고 직선적이며
빠른 유형으로부터 시작하여 이후 가볍고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발전한다
고 말한 것은 이 시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드물게 무용의
예술성을 언급한 연구로. Rubidge는 시차적 순서에 따라 발달 사항을 논
19) Hargreaves. D. J. & Galton. M. J. (1992). op. cited. p.130.
20) Moog. H(1992). The musica1 experience of the preschool children. Hargreaves.
D. J. & Galton. M. J .. op. cited. p.130에서 재인용.
21) 성경희(1988). IT"음악과 교육론:JJ. 갑을출판사.
22) Rowen. B. (1994). Dance and grow: Developmenta1 dance activities
forthree- throu,힘1 eight-year olds. Pennington. N. J. : Princeton Books.
23) Laban. R.(1993). op. cited. p.29에서 인용.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19
한 타 연구들과는 달리, 무용의 예술성을 감각적 반응(sensuous response) ,
지각적 반응(perceptual response) , 성숙된 반응ümaginal response) 이 라는
세 국면으로 나누고, 이 중 ‘감각적 반응’을 “예술적 이해라고 하기에 충
분하지는 않지만 필요한 상태로, 거칠고 아직 분화되지는 않았지만 개인
의 특정한 직접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무정형의 정서적 동요"24) 라고 말
할 때, 이는 의미상으로 상기한 Laban이 말하는 춤을 추고 싶은 무의식
적 충동과 유사하다. 여기서 Laban과 Rubidge가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바는 이 시기에 발현되는 춤추그l자 하는 인간 본연의 욕구로 이는 무용에
있어서 형상기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 시기로부터 인
간의 무용 욕구가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Hargreaves와 Galton은 형상기에 속한 아동이 예술을 접할 때 전
형적으로 나타나는 상징적 사고 양식인 ‘예술적 인지’의 특성을 ‘구체적’
이라고 지칭했는데, 이는 전상징기 아동이 예술을 접할 때 관념적인 것
이 아닌 구체적인 면에 관심을 쏟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이 시기 아동의
사고 수준에 맞는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명진이 어린 아동의 심리적 특
정을 고려하여 무용의 내용과 소재로 주위 환경에 있는 사물의 모방을
권장25) 하는 것은 ‘구체적’이라는 특성과 잘 부합된다 하겠다.
또 Hargreaves와 Galton은- 이 시기 아동의 노래 부르기나 그림, 이
야기하기 등에서 공통적으로 ‘총체적’ 또는 ‘개략적’ 개념을 사용한다고
지적했는데, 이는 형상기 아동이 사용하는 개념은 전체적 형상이나 윤곽
은 분명히 식별될 수 있지만 세부사항은 부정확하거나 결여된다는 의미
이다. 그렇다면 형상기의 주된 특성인 ‘개략적 처리 양상’이 무용에 있어
서는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 2~5세경의 아동은 신
24) Rubidge, S. (1982) , “Aesthetic development in dance", in M. Ross(ed) ,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Oxford : Pergamon Press , pp.
124-136.
25) 이명진 (200 1), r초등학교성장발달단계별 무용교육콘텐츠표준화J. 한국학교체육
학회지.n. 11(2). pp.1-7.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20 우리춤 연구 【제 12 집〕
체 발달에 있어서 소근육의 협응이 아직 완전치는 못하다는 점, 그리고
최근 인지신경학적인 연구에서 두뇌와 선체, 정서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보고를 연관시켜 보면, 26) 형상기 아동의 무용 표현에 있어서도
전체적 윤곽은 나타나지만 세부적으로는 불완전한 개략적 처리 ‘t상이
나타나게 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음악과 관련하여 Hargreaves와 Galton은 2~5세 사이의 아동이 음
악을 들을 때 그 분위기를 신체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고 하였는
데, 조용하고 느린 리듬보다는 크고 빠른 리듬에 더 잘 반응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27) 2~5세 사이 아동의 무용은 빠른 리듬으로 구성하고, 음
악을 사용할 경우에도 리듬이 빠른 편이 더 적합할 것이다.
3) 도식기(schematic phase : 5~8세)
만 5서l 이후 아동은 점차 더 넓은 사회로 나아가게 되면서 인류 보편
적 환경 요인에 의한 지배로부터 벗어나 점차 자신이 속해 있는 특정한
문화의 요꿔l 부응해 가게 된다. 자신이 속한 문화권의 지배적 체제에
대해 기초적으로 파악하게 될 뿐 아니라 상징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이 사기의 아동들이 예술행위에 참여할 때 일어나는 중요한 발달 사항
중의 하나는 ‘도식적 이 된다는 것인데, ‘도식’이란 해당 문화권의 규칙을
제법 많이 습득하고 사용하며, 또한 사물에 대한 지각 경험이 누적되어
제 개념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이 시기 아동의 그림
이나 노래 부르기, 작곡 등에서 문화권 특유의 보편적 · 관습적 양식에
따르는 것이 그 예가 된다. Hargreaves와 Galton은 이러한 도식적 표
현이 이 시기 아동들이 그들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나 표준에
26) Heid, K. (2005) , “Aesthetic development: A cOgnÍtive experience", Art
Education, 58(5) , pp.48-53.
27) Laban, R. (1993). op. cited, p.32.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21
일치하게 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28) 무용 분야에는 이와 관
련된 실증적 연구가 없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비교가 불가능하지만, ‘도
식’이 자신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적 관습에 대한 접촉 경험의 누적으로
부터 형성되는 것이라면, 이는 무용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나타날 것이
다. 즉 무용에 있어서도 이 시기 아동이 춤을 출 때는 자신이 주변에서
익히 보아온 동작들을 ‘도식적 으로 재현할 것이다.
‘예술적 인지’와 관련하여 이 단계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표
현에 있어서 주제의 사실성의 정도를 매우 중시한다는 점인데, Parsons
는 단계별 연령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아동 미술 발달의
둘째 단계에서 아동은 그림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을수록 잘된 그림으로
생각한다고 기술하였다 29) 또 인지발달에 있어서도 아직 추상적 사고가
불가능한 시기이다. 무용에 있어서 이 시기 아동이 사물의 특징이나 움
직임을 모방할 수 있다는 견해나 동물 이야기와 같은 모방 표현을 좋아
한다는 보고는 사실성을 중시하는 경향과 부합된다 30)
한편 무용과 음악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이명진은 “ .. " ... 놀이를 할 경우
선체 표현과 음악 활동을 관련시킬 수 있다고 말했는데, 3 1) 전술한 바와
연관시켜 볼 때, 음악과 무용의 상호 관련성은 유아기인 전상징기 (O~2
세)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형상기 (2~5세)와 도식기 (5~8세까지 계속 이
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Laban은 “어린이들이 속도에 가장 관심이
있으며, 빠른 행동을 즐기고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점차 배우게 된
다:'32) 고 한 바, 이렇게 볼 때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은 빠른 리듬의 무
28) Hargreaves, D. J. & Galton, M. J. (1992) , op. cited.
29) Wolf, D. P. (1989) , “와tistic leaming as conversatiori’, in D. 1-궐rgreaves(ed) ,
Children and the arts.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와
Parsons, M. J.(1987) , op. cited 등은 이 시기 아·동들이 주제의 사실성을 중시
한다고기술했다.
30) 교육인적자원부 a(2009) , IT'초등학교 3학년 체육과 교사용 지도서.!l, 교육인적자원
부 ; 이명진 (2002) , r초등학교 무용교육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J ,한국무용교육학
회지.!l, 13( 1), PP.108-118.
31) 이명진 (2002) , 전게서, p.113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22 우리춤 연구 <제 12 집 3
용에 더 잘 반응할 것이라는 알 수 있다.
4) 규칙체계기(rule system phase : 8-15세)
아동이 8~9세가 되면 이미 충분히 사회화된 개체로서 그들을 둘러싼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Ross는 이 시기를 관습의 단계 (8~13
세)라 칭하고, Ives와 Gardner는 문화적 영향의 절정기 (7~12서1]) 라 부
른다 33) 해당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를 점차 더 풍부하게 사용하게 되
는 시기로, 15세경이 되면 예술 규칙체계가 전반적으로 정확해진다. 그
럼에서는 시각적으로 사실적이 되며, 음악에 있어서는 음계나 음역이 안
정된다. 자신이 속한 문화권의 관습적 스타일을 충분히 인식하게 되고,
해당 문화권의 시각으로 예술작품을 해석할 수 있게 된다. 한마디로 이
단계는 ‘예술적 인지 의 특성인 ‘예술적 관습의 발달’이 주가 된다.
8세부터 15세 사이는 급격한 신체 성장에 따라 무용과 관련된 신체기
능도 급격히 발전하는 시기이다. 8세경이 되면 사물의 특징이나 움직임
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 그 느낌을 선체 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표현에 있어서도 개성이 나타나게 된다 34) Laban은
구체적 연령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어린이들이 시간, 중력, 공간 및 동
작의 흐름과 같은 제 요인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하며 35) 교육인적자원부
는 10세 전후 어린이들이 움직임에 있어서의 공간과 힘의 세기를 감각
적으로 느낄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36) 이러한 제 특징은 규칙체계
32) Laban, R. 김주자 역 (1993) , 전게서, p.34.
33) Ross, M. (1984) , The aesthetic impulse, Oxford : Pergamon. Ives, S. &
Gardner, H. (1984) , “Cultural inf1uences on children’s drawing: A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R. W. Ott , & A. Hurwitz(eds) , Art education
: An intemational perspectives, Pennsylvania : Pennsylvania State
Univ. Press.
34) 교휩l적자원부 b(2009) , u"초등학교 4핸년 체육과교사용지도서Jl, 교휩l적자원부.
35) Laban, R. 김주자 역 (1993) , 전게서, p.3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23
기 아동들이 움직임의 여러 요소를 질적 관점에서 고려하고 이해할 수
있음을 뜻한다. 뿐만 아니라 10세 전후로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및 주
제를 표현하기 위해 움직임의 제 요소를 사용하는 법을 인식할 수 있
다 37) 이와 같이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에는 기초 기능과 복합 기능이
발달하여 특수한 운동 기능도 습득할 수 있지만, 이명진은 더 중요한 것
으로 감정과 사상을 사실적으로 뿐 아니라 추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의 발현을 지적한다 38) 또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Rubidge는 무용
발달의 세 국면 중 두 번째 ‘지각적 반응을 “무용의 예술적 속성(공간적
구조, 리듬의 구조, 동작의 질적 요소, 공간의 사용, 긴장과 유연, 에너지의 방출과
봉쇄 등)에 대한 인식과 그것들의 표현에 대한 반응:'39) 이라 말한다 이렇
게 볼 때 양자가 공히 의미하는 바는 움직임에 대한 지적 접근이나 분위
기의 세밀한 차이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4이 규칙체계기의 특성인 자신
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의 풍부한 사용을 기초로 한다고 볼 수
있다.
15세경에 이르면 근육의 유연성과 신체 균형의 발달이 정점에 이르러
18세경까지 지속된다. 유의할 점은 8세경부터는 무용을 싫어하고 어른
의 지시만을 따르려 하거나 창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날 수도 있다
는 것과, 4 1) 어른들의 고정된 개념을 모방하고 습득하면서 신체나 동작
을 균형 있게 사용하지 않고 분리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이 굳어지면 신체
를 사용할 때 균형을 즐기는 취미를 앓게 되고 나아가 예술적 취향도 사
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42)
상기한 바와 같이 넷째 단계인 규칙체계기는 미술이나 음악 뿐 아니라
36) 교휩l적자원부 c(2009) , ú"초등학교 5핸년 체육과 교사용 지도서dJ, 교휩1적지원부.
37) 교육인적지원부 c(2009) , 상게서.
38) 이명진(2002) , 전게서, p. 1l4.
39) Rubidge, S. (982) , op. cited, p.130.
40) Laban, R. 김주자 역 (993) , 전게서, p.36.
41) Rowen, B.(1994) , op. cited, p.53.
42) Laban, R. 김주자 역 (1993) , 전게서, PP.3o-3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24 우리춤 연구 【제 12 집〕
무용에 있어서도 청소년의 예술성이 급격히 발달하는 단계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제 발달을 기초로 ‘예술적 인지’와 관련해서는 무용 언어를 확
장할 수 있고, 무용에 대한 비판적 사고가 가능하며, 무용을 통해 자선
이 속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용을 문화유산 중의 하나
로 존중하게 된다 43) 여러 연구자들은 이 시기를 무용교육을 시작하기
에 적합한 시기라 하는데, 강유정, 김미숙은 8세에서 12세 사이를 그리
고 교육부는 13세경을 각각 추천하고 있다 44) 그러나 무용과 다른 예술
분야의 관련성에 관해서는 규칙체계기 이후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
증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5) 후인지기(metacognitive phase : 15세 이후)
무용 동작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인 유연성은 남성의 경우 14세경, 여
성은 15세경에 최고조에 이르러 그 이후로는 유연성이 점차 떨어지게
되므로, 무용을 전공하고자 하는 청년의 경우 퇴화 방지를 위한 노력이
이 시기부터 필요하다 45) 이처럼 신체가 유연성을 앓는 것은 김옥진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관절과 근육을 협응적으로 사용하는
자연스러운 기회가 줄어든 때문이라 할 수 있다 46)
어느 예술 분야이건 15세 이후까지 특정 예술 분야를 계속하는 청년
들은 관습으로부터 자유로운 시각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음악에
있어서는 친숙하지 않은 음악도 수용할 수 있으며, 47) 나아가 음악 고유
43) National Dance Assciation(1994) , Nationa1 standards for dance education
: VWlat every young americans shou1d know and be able to do in
d없lce, NDA. p.94.
44) 강유정 (200 1), 전게서. 김미숙(1 997) , r여자초중생의 발달단계별 무용지도내용
에 관한 연구J ,스포츠과학연구J , 3, 교육인적자원부.c( 2009) , 전게서.
45) 문영 (1999) , u"무용십리학.il, 보경문화사, p.136.
46) 김옥진 (1984) , u"무용개론J , 한양대학교 출판부.
47) Ross , M.(1984) , op. cited.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25
의 사상을 다른 부문의 경험에 관련사킬 수 있다 48) 또 미술 영역에 있
어서는 15세 이후까지 미술을 계속하는 청소년은 어떤 상징이든 객관적
사물을 실제로 의미하는가에 구애되지 않고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하며, 관습적 양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수준에 이르게 된다고 한
다. 이와 유사한 %탱은 무용에 있어서도 나타나는데, 청년기에는 “무용
동작이 추구하는 형식과 내용에 대한 비판적 인식"49) 이 가능하다는 점
이 이 단계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예술적 인지와 관련하여 청소년기에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무용의 역할과 의미를 깨달을 수 있고, 나아가 무용을 통해 다
른 문화권의 생활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50) 무용을 계속해온 청년들은
15세 이후 “예술적 관습에 대해 충분히 성숙한 이해를 기초로 자신과 작
품에 대해, 관습과 관련하여 또는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51 )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바로 이러한 사항은 무용에 있어서
도 타 예술 분야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문화적 스타일과 맥락으로부터의
독립’이라는 ‘예술적 인지’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어느 예술 분야이건 15세 이후까지 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을 계속하
는 경우는 전공자를 제외하고 극히 소수이기 때문에 15세 이후 청년기
의 예술성 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찾기 쉽지 않다. 청년기에도 계속 예술
활동을 지속할지는 제반 사회 여건이나 사회 구성원들의 예술에 대한 인
식, 직업적 장래 등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48) Swanwick. K. & Tillman. J. (1986). The sequence of musical development
: A study of children's composition. British Jr. of Music
Education. 3. PP.305-339.
49) 문영(1 999) . 전게서. p.141.
50) National Dance Assciation(1994). op. cited.
51) Hargreaves. D. J. & Galton. M. J. (1992). op. cited. p.l3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26 우리춤 연구 [ 제 12 집 x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무용 발달을 흔히 신체운동 발달에 의거하던 관행에서 탈피
하여 무용에 있어서 예술성 발달을 주안점으로 하는 시도로서 ,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를 무용에 적용하였다. 무용 고유
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과 예술 전반에 걸친 상징의 공통적 특징인 ‘예
술적 인지’, 및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이라는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무
용의 예술성 발달을 고찰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 별 발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전상징기 (O~2세)에는 모든 유아가 자신이 속한 문화와 관계없이 보편
적 양식을 취하며, 주된 발달 사항은 신체 동작과 감각적 협응이다. 또
유아는 자극에 대하여 전신으로 반응한다. 형상기 (2~5세) 아동은 무용의
내용과 소재에 있어서 관념적인 것이 아닌 구체적인 것에 관심을 쏟는
다. 도식기 (5~8 세) 아동들의 중요한 발달 사항은 ‘도식’의 사용으로, 이
단계 아동은 춤을 출 때는 관습의 영향이 누적되어 자신이 주변에서 익
히 보아온 동작들을 도식적 으로 재현할 것이다. 규칙체계기에는(8~15
세경)에는 소속된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의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토대로 무용에 있어서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사실적, 추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후인지기(1 5세 이후)에는 무용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비
판적 인식과 함께 지유로운 시각을 갖게 된다.
다만,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 구분에 있어서 규칙체계기는 청소년이 급
격히 발달하는 8~15세까지 7년이라는 긴 기간에 걸쳐 있는데, 이는 인
지발달 상 구체적 조작기 (7~11세)에서 형식적 조작기(1 1 세 이상)로 이행
되는 과정에 걸쳐 있음을52) 감안할 때 발달단계가 더 세분될 필요도 있
을것이다.
52) Piaget. J(1935), πle ori밍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M. Cook(trans).
New York : lntemational Universities Press.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27
둘째, 예술 전반에 걸친 상징의 공통적 특성인 ‘예술적 인지’는 선체동
작으로 표현되는 무용에 있어서도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상징기(O ~2세)에는 타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보편적 상징체계로
서의 ‘예술적 인지’가 아직 발현되지 않으며, 형상기 (2~5세)에는 아동의
발달 미숙으로 인해 무용에 있어서도 타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예술
적 인지’에 있어서 형상기의 주된 특징인 전체적 윤곽은 나타나지만 세
부적으로는 불완전한 개략적 처리 ÖJ:상이 나타난다. 5~8세경의 아동을
위한 무용으로 구체적 주제나 내용이 더 적합하다는 것은 도식기의 ‘예
술적 인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주제의 사실성을 중시하는 경향에 부
합된다. 규칙체계기 (8~15세)는 예술 전반에 걸쳐 청소년의 예술성이 급
격히 발달하는 시기로 이 단계의 청소년이 무용을 통해 자신이 속한 문
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예술적 관습의 발달’이라는 ‘예술적 인지’의
특징이 구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후인지기(1 5세 이후)까지 무용을 계속
한 청소년은 예술적 관습에 대한 성숙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정 하나의
무용 작품을 대할 때 관습으로부터 독립적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셋째, 무용의 발달이 음악이나 미술 등 타 예술 분야와 관련되는가 하
는 문제에 있어서는 전상징기 (O~2세)에서 시작해서 도식기 (5~8세)에 이
르기까지 무용과 음악이 계속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상징기
(O~2세) 유아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 사항으로 음악에 반응하여 신체 동
작이 나타나는 것을 비롯하여, 형상기 (2~5세) , 도식기 (5~8세아동들은
크고 빠른 리듬에 더 잘 반응하며, 음악을 들을 때 그 분위기를 신체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외 무용과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실증적 연구는 거
의 없지만, 무용 분야의 발달 관련 연구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5~8
세 사이의 ‘도식’의 사용을 비롯해 규칙체계기 (8~15세)에 나타나는 자신
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를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
고 후인지기(1 5세 이후)의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 등은 타 예술 분야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28 우리춤 연구 <제 12 집 ]
와 마찬가지로 무용에 있어서도 발현됨으로써 무용과 타 예술 분야가 관
련펼 수 있음을 암묵적으로 시사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Hargreaves와 Galton (1 992) 의 예술성 발달단계
를 무용에 적용하여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과 예술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상징의 공통적 특성인 ‘예술적 인지’ 및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을 고찰한 결과, 예술성이라는 측면에서 무용도 타 예술 분야의
발달과 유사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무용 역
시 타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예술성을 중심으로 하는 발달단계의 구축
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무용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한 무용 발달 관련 연구에 있어서 무엇보다 예술성 발달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향후 한국에서 무용의
예술성 발달을 주안점으로 한 실증적 연구 및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활
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논문투고일자 : 2010. 6. 29. / 심사일자 : 7. 12. / 심사완료일자 : 7. 25.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29
• 참고문헌
강유정 (200 1), r 이동의 신체적 · 인지적 발달단계에 맞는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멜, 조선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교육인적자원부 a(2009) , IT'초등학교 3핸년 체육과 교시용 지도서JJ , 교육인적자원부.
교휩1적자원부 b(2009) , IT'초등학교 4핸건 체육과 교사용 지도서 JJ , 교육인적자원부.
교휩1적자원부 d2009) , IT'초등학교 5학년 체육과 교시용 지도서JJ , 교휩l적지원부.
김두련, 박순이 역(1998) , IT'리듬활동과 무용:](J. P. Bennett & P. Coughemour 많lYthmic
activities and dance) , 서울 : 금강출판사.
김말복(2003) , IT'무용 예술의 이해JJ , 이화여대출판부.
김미숙(1 997), r여자 초중생의 발달단계별 무용 지도내용에 관한 연구J ,스포츠과학연구J , 3 ,
RISS database.
김옥진(1 984), IT'무용개론:11, 한%꽤학교출판부.
김주자 역(1933) , IT'현대의 무용교육:] (Modem educationa1 d.킹lce) , 해외미학선 4, 현대미학사
김화숙(2001) , r중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칭작무용학습의· 내용과 지도모형 J ,한국
무용교육학회지 JJ , 12(1), pp.l9-44.
문영(1999), IT'무용십리학JJ , 보경문화사.
성경희(1 988) , IT'음악과 교육론'JJ , 갑을출판사.
신은경(1996), r학문기반예술교육(DBAE) 에 기초한중학교무용교육과정에 관한연구J , 이
회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혜경 (2006) , IT'예술교육J , 학연사.
이명진 (2000) , r 초등학교학생들의 성장발달과정에 따른무용교육프로그램 연구"J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JJ , 10, pp.25-34.
이명진 (2001) , r 초등학교 성장발달단계별 무용교육 콘텐츠 표준화J ,한국학교체육학회
지 JJ , 11(2) , pp.1-7.
이명진 (2002) , r초등학교 무용교육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J ,한국무용교육학회지 JJ , 13(1),
pp.108-118.
최경희 (2002) , r무용교왜용선정을위한기초연구'J ,한국무용교육학회지JJ , 13( 1), pp.15-52
Best, D. (1992), πle rationa1ity of feeling : Understanding the 없ts in education.
NewYork: 안1e Falmer Press.
Evans, D. H. (198이 , Beyond universa1s in cognitive development, Norwood, N.
J. : AvlexPublishing Co.
Goodman, N. (1976) , Language of art. Indianapolis : Hackett.
f꿇rgreaves , D. J. & Galton, M. J. (1992) , '"Aesthetic le없ning : Psycholo밍cal theory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30 우리춤 연구 〔제 12 집 I
Hargreaves. D. J. & Ga1ton. M. J. (1992). 'Aesthetic learning : Psychologica1 theory
andeducationa1 practice'. in B. Reimer & R. A. Smith(eds). π1e 없ts. education
and aesthetic lmowing. Chicago. III : Univ. of Chicago Press. NSSE.
Heid. K(2005). “Aesthetic development : A cognitive experience". Art Education.
58(5). pp.48-53.
f표rst. P. H., & Peters. R. S. (1970). The logic of education. Lodon : Rout1edge &
KeganPa띠.
Ives. S. & Gardner. H. (1984). αlltural influences on children’s drawing:
Adevelopmenta1 perspectives". in R. W. Ott & A. Hurwitz(eds). Art education
: An internationa1 perspectives, Pennsylvania: Pennsylvania State
Univ. Press.
Krathwohl , D. R.. Bloom. D. S .. Masia B. B. (1964), Taxonomy of edu- cational
objectives. 유혜경 (2006). ú'예술교육Jl. 학연사. p.160.
Nationa1 Dance Assciation(1994). Nationa1 standards for dance education : VW!at
every young americans shou1d lmow and be able to do in dance. NDA.
Parsons. M. J.(1987), How we understand 없ts, Cambridge : Cambridge Univ. Press.
Parsons. M. J. (1991). 'Aesthetic development". in R. A. Smith & A. Simpson(eds).
Aesthetics and 따ts education. Univ. of Illinois. pp. 367-372.
Piaget. J (1935). πJe ori밍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M Cook(trans). New Yor
k : l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Ross. M. (1984). The aesthetic impu1se. Oxford : Pergamon.
Rowen, B. (1994). Dance and grow: Developmental dance activities for threethrou.
삶J eight-year 이ds. Penni많ton , N. J. : Princeton Books.
Rubidge. S. (1982). 'Aesthetic development in dance". in M. Ross(ed). πJ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Oxford : Pergamon 단ess.
Smith. R. A. (1992). Toward percipience: A humanistic curriculum for arts
education. in B. Reimer. and R. A. Smith(eds). πJe 따ts. education. and
aesthetic lmowing. Chicago. m: Univ. of Chicago Press.
Sparshott, F. (1988). αr the ground: First step to a philosophica1 consideration
of the dance. 안inceton Univ. Press.
Swanwick. K & ’TIllman. J. (1986). The sequence of musica1 development : A study
ofchildren's cOIIlPOsition. British Jr. of Music Education. 3. pp. 30ε339.
Wolf. D. P. (1989) , "Artistic learning as conversation'. in D. J. 많rgreaves(ed) .
Children and the 없ts. Milton. Keynes : Üpen University Press.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31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유혜경
이제까지 무용의 발댐l 관한 연구는 주로 신체 발햄1 기준히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무용도 예술이니만큼 무용의 발탤~1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술성의 발달
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 예술 분야의 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한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를 무용에 적용하여 무용도 유사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Hargreaves와 Galton은 예술성 발달 연구에 있어
서 각 예술분야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과 함께 연령 단계별로 예술 전반에 걸
쳐 나타나는 상징의 공통적 특성으로서 ‘예술적 인지 발달(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s) ’을 제 예술 분야와의 상호 관련 하에서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80
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무용 발댐l 관련된 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무용의 연령 단계
별로 고유한 상징적 사고 양식,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상징 양식으로서의 예술적
인지,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타 예술 분야와 같이 전상징
기 (0~2세) , 형상기 (2~5세) , 도식기 (5~8세) , 규칙체계기 (8~15세) , 후인지기(1 5
세 이상)에 걸쳐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헝어 존재하였으며, 아울러 ‘예술적
인지’에 있어서는 단계별로 타 예술 분야와 유사한 특성이 나타났다. 타 예술 분야와
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0~8세까지 무용과 음악어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규칙체계기 (8~15세)에 해당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를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
력과 함께 후인지기(1 5세 이후)의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과 같은 공통적 특징은
무용과 타 예술 분야의 관련성을 암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는 무용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용 역시 예술성을 중심으로 한
발달단계의 구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무용 교과과정이나 프로
그램 개발 시에는 예술성 발달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l 주제어 : 무용의 예술성, 무용 발달, 예술적 인지, 예술성 발달단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4.207.181.34 at Monday, August 12, 2019 10:38 AM
www.earticle.net
32 우리춤 연구 〔제 12 집】
l 상-),'“ racr I
A Study on Artistic Developmental Phases in Dance
Y∞, Hye-Kyung*
This srudy is an 없empt to a벼icate 뻐r~않:ves 없ldG려ton’s ‘artistic cbdφ뾰nt’ m
dance developrænt bringing the artistic 밍ality in dance into focus. 뻐rgreaves 따ld
Galton’S art업tic developrænt 뼈oty is con聊ed of 6ve 빼es; presymbolic p뼈se(a양
0-2), 6,맑ral 야뼈age 2-5), schermtic 야뼈age 5-8), 떼e system 빼ase(age 8-15),
ræcacognitive 아lase(age 15-). Each 야lase descri밟 don뻐n specifìc developrænts 뼈
cognitive aes바디c develop뾰nt(αgnitive aes此tic de‘reloprænt refers to general symbolic
developrænts 뼈sed on res않rch evidence in music, fine 없, writ띠g, 없ld ecc).
V뼈ous literacure related to dance developrænt ~re reviewed aαor이ng to five 야1aSes,
뼈 얹며 야ase W3S described in term; of dance-specifìc 故lop뾰nts, cognitive a엉뼈c
developrænt, 따x1 the relationship to music 따넙 fine 앙ts. As a res내t, it W3S fëωI념
많rgr'εaves ar닙 G에ton’s five 야ases of artistic de、reloprænt ~re applicable to 따nce
developrænt on the 얘101e.
1I쩍째αd : artistic quality 띠 때1Ce, dance develop뾰nt, aes산1etic co맹i디on, artistic
dev러oprænt
* Seoul Institute of the Arts / ninayoo@seoulart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