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범미전 (荊凡未全)
형나라와 범나라의 존망을 말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있어도 있는 것이 아니고 잃었어도 그걸로 끝이 아니다는 말이다.
荊 : 가시나무 형(艹/6)
凡 : 무릇 범(几/1)
未 : 아닐 미(木/1)
全 : 온전할 전(入/4)
출전 : 장자(莊子)의 전자방(田子方)
서주(西周) 시절 이야기다. 초왕(楚王)과 범군(凡君)이 마주 앉았다. 초왕의 신하들이 자꾸 말했다. "범은 망했습니다." 망한 나라 임금하고 대화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었다.
세 번을 거듭 얘기하자 범군이 말했다. '범나라는 망했어도 내가 있지 않소. 범나라가 망해도 나의 실존을 어쩌지 못한다면 초나라가 존재함도 그 존재를 장담치 못할 것이오. 이렇게 보면 범은 망한 적이 없고, 초도 있은 적이 없었소.'
장자(莊子)의 전자방(田子方)에 나온다.
있고 없고, 얻고 잃고는 허망한 것이다. 있다가 없고, 잃었다가 얻는 것이 세상 이치다. 있어도 있는 것이 아니고, 잃었어도 그걸로 끝이 아니다. 사람들은 잠깐의 존망에 안절부절 못하며, 옳고 그름보다 득실만 따진다.
송준길(宋浚吉)이 유계(兪棨)의 만사에서 말했다.
存沒幾人常在念
살고 죽음, 그 누가 늘 마음에 두겠는가.
升沈從古孰非天
오르내림 예로부터 하늘 뜻 아님 없네.
堪嗟毅豹均爲死
의화(毅和) 선표(單豹) 모두 다 죽은 것 탄식하니,
定識荊凡各未全
형(荊)과 범(凡)이 보전치 못했음을 내가 아네.
죽고 살고가 무슨 큰 문제며, 오르고 내림을 내 뜻으로 어이 하리. 선표는 제 힘을 믿고 험한 길을 가다가 주린 범에 물려 죽었고, 장의는 평생을 삼갔어도 열병에 걸려 방안에서 죽었다.
형(荊)과 범(凡), 즉 초나라와 범나라도 결국은 다 망했다. "왜 저런 것과 상대합니까?"하며 대놓고 무시하던 그 신하들도 흙이 된 지 오래다.
고려 때 이인로(李仁老)는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에서 노래한다.
纔握手而相誓, 未轉頭而皆非
손을 마주 잡고서 맹세를 하자마자 머리도 돌리기 전 모두 틀어지누나.
(…)
臧穀俱亡, 荊凡孰存.
장(藏)과 곡(穀)은 다 잃었고, 형과 범은 다 망했지.
以神爲馬, 破瓠爲樽.
정신으로 말을 삼고, 박을 갈라 술잔 하리.
변치 말자고 웃으며 맹세하고는 돌아서서 서로를 비난한다. 장은 책을 읽다 양을 잃었고, 곡은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지만, 잃은 것은 똑같다.
잘나가던 초나라나 이미 망한 범나라나 지금은 다 사라졌다. 허망한 것에 마음 쓰지 않겠다. 덧없는 것들에 줄 시간이 없다. 광대무변한 정신의 세계에서 신마(神馬)를 타고 노닐리라.
▶ 荊(가시나무 형)은 형성문자로 荆(형)과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刑(형)이 합(合)하여 가시나무를 뜻한다. 그래서 荊(형)은 성(姓)의 하나로 ①가시나무 ②곤장(棍杖) ③아내 ④땅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가시 극(棘)이다. 용례로는 나무의 가시를 형극(荊棘), 가시밭 길을 형로(荊路), 가시 나무로 짜 만든 문짝을 형비(荊扉),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을 형처(荊妻), 남과 처음으로 면회함을 식형(識荊), 땔나무를 진다는 뜻으로 사죄의 뜻을 나타내는 말을 부형(負荊), 구리 낙타가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다는 뜻으로 궁전이나 후원이 황폐함을 형용하는 형극동타(荊棘銅駝),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어질고 착한 사람을 이르는 형산지옥(荊山之玉), 처자를 겸손하게 부르는 말을 형처돈아(荊妻豚兒), 가시 나무를 등에 지고 때려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것을 부형청죄(負荊請罪), 가시를 헤치며 벤다는 뜻으로 고생스럽게 살아 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을 피형전극(披荊翦棘), 웃옷 한쪽을 벗고 가시 나무를 짐 곧 잘못을 크게 뉘우침을 육단부형(肉袒負荊), 옛 친구를 만나 정을 나누는 것을 이르는 말을 반형도고(班荊道故) 등에 쓰인다.
▶️ 凡(무릇 범)은 상형문자로 凣(범)은 통자(通字), 几(범)은 동자(同字)이다. 토담틀을 본뜬 것으로, 음(音) 빌어 대체로의 뜻(汎)으로 쓰며 전(轉)하여 범상, 보통(普通)의 뜻이 있다. 그래서 凡(범)은 (1)무릇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무릇, 대체로 보아 ②모두, 다, 전부(全部) ③보통(普通), 보통(普通)의, 예사(例事)로운 ④대강(大綱), 개요(槪要) ⑤상도(常度), 관습(慣習), 관례(慣例) ⑥평범(平凡)하다 ⑦범상(凡常)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평범한 사람을 범인(凡人), 대수롭지 않고 예사로움을 범상(凡常), 일이나 물건이 지닌 모든 질서와 절차를 범절(凡節), 평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범우(凡愚), 수많은 범부 곧 중생을 일컫는 말을 범수(凡數), 평범한 사람이나 번뇌에 얽매어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을 범부(凡夫), 평범한 재주 또는 평범한 재주를 가진 사람을 범재(凡才), 뛰어나지 못하고 평범한 사람들의 부류를 범류(凡類), 특별한 재주나 능력이 없는 평범한 사람을 범골(凡骨),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물건 뜨는 평범한 물건이나 사람을 범물(凡物), 중류 이하의 넉넉하지 못한 백성을 범민(凡民), 예사로운 일을 범사(凡事), 평범한 책을 범서(凡書), 됨됨이가 평범하고 작음을 범소(凡小), 평범하고 속됨을 범속(凡俗), 평범한 재주나 기술을 범수(凡手), 야구에서 보통 잘 저지르는 평범한 실책을 범실(凡失), 보통 아이를 범아(凡兒), 보통 사람의 안목을 범안(凡眼), 평범하고 나약함을 범약(凡弱), 평범한 작품을 범작(凡作), 평범한 인재를 범재(凡材), 평범하고 변변하지 못한 사람을 범조(凡鳥), 뛰어난 점이 없이 보통임을 평범(平凡), 보통이 아니고 아주 뛰어남을 비범(非凡), 무릇이나 종합적으로 살펴 보건대 또는 대체로 보아를 대범(大凡),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말을 범성불이(凡聖不二),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범인의 몸을 범태육신(凡胎肉身), 갖가지의 모든 사물을 범백사물(凡百事物),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을 범수상초(凡樹常草), 보통 사람의 눈으로 보아서도 알 수 있을 만큼 선악이 환함을 불출범안(不出凡眼), 별로 다른 데가 없이 보통 사람과 같음을 여범인동(與凡人同) 등에 쓰인다.
▶ 未(아직 미)는 ❶상형문자로 나무끝의 가느다란 작은 가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중에 분명하지 않다, 희미한 모양, 아직 ~하지 않다란 뜻에 쓰인다. 음(音) 빌어 십이지(十二支)의 여덟째 글자로 쓴다. ❷지사문자로 未자는 ‘아니다’나 ‘아직~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未자의 갑골문을 보면 木(나무 목)자의 윗부분에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다. 이것은 나뭇잎이 ‘무성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未자의 본래 의미는 ‘(나뭇잎이)무성하다’였다. 그러나 지금은 본래의 의미는 사라지고 ‘아직’이나 ‘없다’의 뜻으로 가차(假借)되어 쓰이고 있다. 未자는 ‘끝부분’을 뜻하는 末(끝 말)자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다만 末자는 끝부분의 획이 긴 반면 未자는 짧게 되어 있으니 이러한 차이점으로 구분해야 한다. 그래서 未(미)는 (1)십이지(十二支)의 하나. 그 여덟째임. 양을 상징함 (2)미방(未方) (3)미시(未時) (4)어떤 명사(名詞) 앞에 쓰이어 아직 다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냄 등의 뜻으로 ①아니다, 못하다 ②아직 ~하지 못하다 ③아니냐? 못하느냐? ④여덟째 지지(地支) ⑤미래(未來), 장차(將次)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닐 부(不), 아닐 부(否), 아닐 불(弗), 아닐 비(非),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옳을 시(是)이다. 용례로는 그 동안이 그리 오래지 아니함을 미구(未久), 아직 오지 않은 때를 미래(未來), 아직 다 갖추지 못함을 미비(未備), 편안하지 아니함을 미편(未便), 아직 끝마감을 하지 못함을 미감(未勘), 아직 미치지 못함을 미급(未及), 아직 도착하지 아니함을 미도(未到), 끝을 다 맺지 못함을 미완(未完), 아직 작정하지 못함을 미정(未定), 아직 결혼하지 아니함을 미혼(未婚), 돈이나 물건을 아직 다 거두어들이지 못함을 미수(未收), 아직 결정되거나 해결되지 아니함을 미결(未決), 열매가 채 익지 못함을 미숙(未熟), 정한 수효나 정도에 차지 못함을 미만(未滿), 아직 정하여지지 아니함을 미연(未然), 아직 넉넉하지 못함을 미흡(未洽), 아직 모름을 미지(未知), 아직 다하지 못함을 미진(未盡), 아직 내지 못함을 미납(未納), 그 동안이 오래되지 않고 가까움을 미구불원(未久不遠), 아직도 속된 습관을 버리지 못하였다는 미능면속(未能免俗), 모든 일에 밝아도 오직 한 부분만은 서투름을 미달일간(未達一間), 아직 듣지 못한 일을 미문지사(未聞之事), 그렇지 않은 바가 아님을 미상불연(未嘗不然), 아직 그렇게 되기 전을 미연지전(未然之前), 옳지 않다 할 것이 없음을 미위불가(未爲不可),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을 미증유(未曾有), 누가 옳은지 모름을 미지숙시(未知孰是), 겨우 목숨만 붙어 있는 송장이라는 미랭시(未冷尸), 남편과 함께 죽어야 할 것을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란 뜻으로 과부가 스스로를 겸손하며 일컫는 말 미망인(未亡人) 등에 쓰인다.
▶️ 全(온전할 전)은 ❶회의문자로 㒰(전)은 본자(本字)이다. 많이 모은(入) 구슬(王, 玉) 중에서 가장 빼어나고 예쁜 구슬로 온전하다, 완전하다를 뜻한다. 여기서 모은(入)은 完(완)의 갓머리(宀; 집, 집 안)部와 같아서 모든 것을 덮는 일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全자는 ‘온전하다’나 ‘갖추어지다’, ‘흠이 없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全자는 入(들 입)자와 玉(옥 옥)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入자는 무언가를 끼워 맞추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들이다’라는 뜻이 있다. 全자는 이렇게 ‘들이다’라는 뜻을 가진 入자에 玉자를 결합한 것으로 옥을 매입한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값비싼 옥을 사들일 때는 제품의 상태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全자에서 말하는 ‘온전하다’라는 것은 ‘흠이 없다’라는 뜻이다. 全자는 옥에 흠집이 전혀 없다는 의미에서 ‘완전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全(전)은 (1)한자(漢字)로 된 명사(名詞) 앞에 붙어 온 모든 전체(全體)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온전(穩全)하다 ②순전(純全)하다 ③무사(無事)하다 ④상처(傷處)가 없다, 흠이 없다 ⑤갖추다, 갖추어지다 ⑥온전(穩全)하게 하다 ⑦병이 낫다 ⑧완전히, 모두, 다 ⑨흠이 없는 옥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온몸 또는 전신을 전체(全體), 통틀어 모두를 전반(全般), 한 나라의 전체를 전국(全國), 어떤 범위의 전체를 전면(全面), 전체의 모양이나 형편을 전모(全貌), 사물의 모두를 전부(全部), 전체의 인원을 전원(全員), 액수의 전부를 전액(全額), 어떤 일의 전부를 맡는 것을 전담(全擔), 위임된 어떤 일을 처리하는 일체의 권한을 전권(全權), 편안하여 탈이나 위험성이 없음을 안전(安全), 본바탕대로 고스란히 있음을 온전(穩全), 부족이나 흠이 없음을 완전(完全), 건강하고 온전함 또는 튼튼하고 착실함을 건전(健全), 보호하여 유지함을 보전(保全), 완전하여 조금도 빠진 것이 없는 것 또는 아주 안전한 것을 만전(萬全), 온 마음과 온 힘을 다 기울임을 전심전력(全心全力), 어떤 일이나 다 알아 행하는 신불의 절대 지능을 전지전능(全知全能), 어떤 일에 모든 힘을 다 기울임을 전력투구(全力投球), 몸과 정신의 모든 것을 전신전령(全身全靈), 아주 돌보아 주지 아니함을 전불고견(全不顧見), 한 떼의 군사가 죄다 결단난다는 전군함몰(全軍陷沒) 등에 쓰인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유상제(剛柔相濟) (0) | 2019.12.17 |
---|---|
洗滌塵腸/정민.한양대 (0) | 2019.12.17 |
蘆野俠踪의 詩(2) (0) | 2019.12.15 |
蘆野俠踪(上官鼎)의 詩 (0) | 2019.12.15 |
이덕옥/음정사 (0) | 2019.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