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신기독

 『대학장구(大學章句)』전(傳) 6장 「성의(誠意)」
 
 所謂誠其意者는 毋自欺也니 如惡惡臭하며 如好好色을 此之謂自謙이니라.
 소위성기의자 무자기야 여오악취 여호호색 차지위자겸
 이른바 그 뜻을 정성되게 한다는 것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니,
 나쁜 냄새를 싫어함과 같으며 좋은 빛깔을 좋아함 같은 것,
 이러한 것을 일러 스스로 만족함이라 하니라.
 
 故로 君子는 必愼其獨也니라.
 고 군자 필신기독야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를 삼가는 것이니라.
 (군자는 남이 보지 않는 데서도 조심을 한다.)
 
 小人閒居엔 爲不善하야 無所不至니라
 소인한거 위불선 무소부지
 소인은 혼자 있게 되면 선하지 못한 일을 하되 이르지 않는 바가 없느니라.
 (남이 안보면 못된 짓을 많이 한다는 뜻)
 
 見君子而后엔 厭然蓂其不善하고 而著其善하니라 (중략)
 견군자이후 엄연엄기불선 이저기선
 군자를 본 뒤엔 슬며시 그 선하지 못함을 가리고, 그 선함을 드러내려 하니라.
 
 曾子曰 十目所視하며 十手所指니 其嚴乎인저.
 증자왈 십목소시 십수소지 기엄호
 증자가 말하기를 열 눈이 보는 바이며
 열 손가락이 가리키는 바이니 그 엄함이여.
 
 富潤屋이오 德潤身이니 心廣體獨하니라.
 부윤옥 덕윤신 심광체반
 故로 君子는 必誠其意니라.
 고 군자 필성기의
 부유함은 집을 윤택하게 하고 덕성은 몸을 윤택하게 하니,
 마음이 넓어지고 몸도 편안해진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뜻을 정성되게 하느니라.
 

 

신기독.hwp
0.30MB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心廣體胖(심광체반 )  (0) 2021.03.14
君子豹變  (0) 2021.03.14
淸夜吟/邵雍(康節)  (0) 2021.03.09
可憐관련  (0) 2021.03.01
紅梅花/cafe.daum.net/jangdalsoo/ZAtL/1351  (0) 2021.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