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거미는 사마귀와 더불어 익충임에도 불구하고 상위 포식자라는 점, 징그러운외형과 독을 가졌다는 점, 거기다 특유의 거미줄로 먹이를 꼼짝 못 하게해놓고먹는다는 특성 탓에 거미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과거부터 오늘날까지 수많은민담, 영화나 매체에서 악역으로 등장하며 인간을 공격한다.
대부분 거미는 거미줄을생산하며 때로는 사람도 잡을 정도로 강력한 거미줄을 쓰고, 거미줄이 없다면그냥달려들어 물어버리곤 한다. 그래서 정주성 거미는 통상 거미줄을 치고그물에걸린 먹이를 잡아먹으며, 배회성 거미는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먹잇감을찾아배회하고 신체 능력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먹잇감을 사냥한다.
또는 땅굴에숨어있다거나 거미줄에 페로몬을 묻혀 철퇴처럼 먹이를 낚아채거나 투망처럼 자기다리에거미줄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먹이 활동 방식으로 인해 창의적이고도 민첩함과교활함을 떠오르게 한다.
거미는 오랫동안 신화를 비롯한 민속, 문학, 예술 등 역사적으로 문화전반에걸쳐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생명체로 보인다.
우선 거미는 복잡한거미줄을짜내는 능력으로 창의성과 연결되고, 많은 원주민 문화에서 인내심을 가지며섬세한 거미줄을 짜는 직공 또는 재단의 대가로 꼽히기도 한다.
거미줄의 상징성은모든 존재의 상호 연결과 우주 질서의 은유적인 의미로도 확대된다.
또 많은곤충처럼 탈피를 거치는 속성으로 인해 거미는 변형, 성장, 갱신, 재생의 이미지를지니며 특히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전쟁, 사냥꾼, 직조의 여신 네이트(Neith)는삶과죽음의 순환을 감독하여 거미를 연상하게 한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여성아라크네(Arachne)는 베 짜는 기술이 탁월하여 아테나 여신에게 도전하였다가여신의 미움을 사서 거미로 변하는데, 아라크네 이름 자체가 거미를 뜻하며신화속에서 지혜, 기술, 신성한 개입 등과 연관이 있다.
아프리카나 원주민 전통에서거미는 행운을 불러오고 악령을 물리치는 수호자로도 여겨진다. 보통 거미의먹이는의심 없이 거미줄에 다가가다가 잡히기에 거미는 가끔 교활함과 속임수의이미지로도 묘사된다. “거미 공포증”(Arachnophobia)이라는 용어가 있을 정도로거미관련 이미지에는 인간에게 뿌리 깊은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며 강렬한 감정과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생명체다.
로라 개리슨(Laura Garrison)은 거미 시학: 미국 문학적 상상력에서거미와거미줄(Arachnopoetics: Spiders and Webs in the American Literary Imagination)에서 아동 작가인 프랭크 바움(L. Frank Baum), E. B. 화이트(E. B. White), 셸 실버스타인(Shel Silverstein)에서 유명 소설가인 마크 트웨인(Mark Twain),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 그리고 에드워드 테일러(Edward Taylor),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 로버트프로스트(Robert Frost)까지 거미와 거미줄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작가들로간주하여 분석한다(i).
거미는 포식자와 피식자(먹이), 창조자와 파괴자, 영웅과악당등양립할 수 없는 존재로 지능과 무지, 야생성과 길들임, 친절함과 잔인함등의특성이 독특하게 내재하며, 친밀한 자아와 낯선 타자와의 관계망 속에서 경이로움과두려움이 모두 구현된다. 기괴한 외형이지만 섬세하게 실을 생산하는 능력으로인해 거미는 공포와 혐오감을 초래하면서도 감탄과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희귀한생명체다.
이에 본 논문은 디킨슨, 월트 휘트먼(Walt Whitman), 프로스트, 로버트로웰(Robert Lowell) 그리고 실비아 플라스(Sylvia Plath)의 거미 시를중심으로거미의 생태적 습성, 창조적 시인의 표상, 자연계 속 상호 작용, 만물 설계의절대자, 불가피한 죽음 또는 악의 근원 등 거미 시학의 스펙트럼을 비춰보고자한다.
우선 식물과 어울리며 생태계를 유지하는 벌레에 상당히 주목한 디킨슨을필두로 미시적인 거미의 속성과 이미지를 추적하고 광활한 공간에서 우주의 본질을꿈꾸는 거미를 그리는 휘트먼의 시를 살펴본다.
이어 거미가 살아가는 환경을보며자연법칙을 규정한 절대자의 의도를 고민하다가도 인간의 전쟁에 영향받는거미의환경에도 오히려 냉혹하게 생존과 죽음의 자연원리를 따르는 거미의 불가사의함을그려내는 프로스트의 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죄와 악, 신의 분노, 불가피한 죽음 등을 종교적이고 신화적인 거미의 인유를 통해 철학적 사유를시도하는로웰과 플라스의 시를 탐구한다.
Ⅱ. 디킨슨, 휘트먼, 프로스트의 거미
디킨슨은 거미를 예술가의 표상으로, 나비를 아름다움이나 인간적열망으로, 벌을 성적인 포식자 또는 신성한 수정 매개체로 보는 경향이 있다.
특히그녀는거미줄을 복잡한 창조의 그물망으로 간주하면서 생태계 내에서 거미의위치를포함하여 거미에 대한 인식과 인정을 표명한다.
전통적인 서정시 또는 낭만시는곤충, 벌레 등이 인간의 관심사나 욕망을 투영하는 경향이 강하다면, 디킨슨을비롯한 생태 시인들은 해당 생명체도 스스로 이를 충분히 드러낸다고 믿는다.
디킨슨은 독서를 통한 배경 지식과 학문적 지식, 자연사 학자와 동료 시인과의개인적관계 그리고 정원의 유지 관리와 상호 작용 등을 통해 자연에서 복잡한과정과영원한 순환 그리고 섬세한 균형을 족히 깨닫는다.
그녀의 시는 정원과 같이의도적으로 설계한 유기적 공간과 이에 감사하고 즐거운 주민들로 구성된 지역사회그리고 자연에서 조화와 균형을 추구한다.
또 그녀는 자연에서 발견한 기쁨과평형에감탄하고 때로는 위로받으며 창조물에서 연상되는 신성한 존재에 대해 믿으며, 자연계를 지상의 에덴처럼 천국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자연 속 상호 연결된존재와생명체의 생존 과정을 관찰하며 모든 생명은 존재할 권리가 있어서 「살아있다는것은 힘」(“To be alive is Power”)이며 작고 하찮은 벌레나 고독한 거미의삶도필수적인 한 가닥으로서 자연의 태피스트리 구성에 공헌한다(677).
디킨슨 시학의 자연은 장엄한 풍경이나 경치라기보다 자신이 자주목격하고관리하는 정원을 포함한 익숙한 자연환경에서 동식물의 관계 또는 인간과비인간의 관계로 미시적이다.
그녀는 “자연 현상 사이의 관계”(the relationships among natural phenomena)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며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과정에관한눈”(an eye for ecologically significant processes)을 드러내서, 그녀의 시야는“식물, 토양, 기후, 동물 사이의 연결고리가 불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각부분이 하나 이상의 단위로 연결되어 있어 그 관계가 놀라울 정도로다차원적(multidimensional)”이라 볼 수 있다(Gerhardt 57).
그래서 디킨슨은 정원과온실을계획, 관리, 재배, 관찰하면서 원예 및 생태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동식물을유지하려 애쓴다. 또 식물 생장에 필요한 빛, 온도, 토양 및 퇴비뿐만 아니라곤충과벌레를 통제하고 실험하며, 동식물의 공존에 필요한 여러 조건의 섬세한균형을직접 목격하며 체험한다.
생태계와의 유기적 연결 관계는 디킨슨의 시 「울새는나의조율 기준」(“The Robin’s my Criterion for Tune”)에서 반영된다(285).
이시에서그녀는 “식물과 새들이 그러하듯 자신도 이 지역에서 육체적으로 영양을공급받고, 함께 흙에서 자라며, 집단적인 ‘우리’(collective ‘we.’)를 통해 그들과 연결”된다고표명한다(285).
연약한 동식물을 가꾸고 보살피는, 디킨슨의 인식과 신념은“자연의 작은 요소와 큰 요소나 과거와 현재 요소의 예상치 못한 상호 관련성에관한시대적 인식을 공명”한다고 볼 수 있다(Gerhardt 68).
그녀가 자연 세계와 친밀한 관계를 인식하는 원동력은 정원의 동식물을이웃으로 표현하며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려 열망하고 꾸준한 관심을 둔 탓으로보인다.
특히 “정원의 작은 우주, 그 입주자들과 방문자들”(the little cosmos of her garden, its tenants and visitors)이 꽃 사이를 날아다니고 풀들이 찬양을부르는모습은 그녀의 많은 관심을 사로잡아 감상을 촉발하고, 그녀는 “각다귀의우월성”(The gnat’s supremacy)에서 창조세계에서의 위치나 생존권이 자신보다크지는않더라도 “큰” 존재로 믿기 시작한다(583).
디킨슨은 “꽃이 마치 사람인것처럼”(as if they[flowers] were human) 사랑했고, 그녀의 정원에 있는 곤충들은뚜렷한 개성을 지니며 “머릿속 꽃”(Blossoms of Brain)에 수분 공급에 필연적인 존재가 된다(945, Gerhardt 57). 루이스 루틀리지(Louis C. Rutledge)의 「에밀리디킨슨의 절지동물」(“Emily Dickinson’s Arthropods”)에 따르면 디킨슨의1,775편의시 중 180편에서 절지동물을 하나 이상 언급하며, 실제로 곤충, 거미, 갑각류를포함하는 절지동물은 동물계에서 75% 이상을 차지하고 약 100만 종 이상이다(72).
디킨슨이 언급한 이 동물에는 벌, 딱정벌레, 나무좀(borer), 호박벌(bumble bee), 나비, 나비 유충(caterpillar), 지네, 귀뚜라미, 파리, 반딧불이(glowworm), 각다귀(gnat), 곤충, 깔따구(midge), 왕나비(monarch), 나방 그리고 거미가 포함되며, 이동물과 관련된 소재로 번데기(chrysalis), 거미줄(cobweb, gossamer), 연지벌레(cochineal), 고치(cocoon), 곤충학(entomology), 벌집, 꿀 그리고 말라리아도보인다. 그러나 말라리아의 경우는 디킨슨이 살던 시대에 말라리아의 전염원인이모기임을 알지 못했으므로 디킨슨의 우연적인 시어 선택으로 판단된다(Philip & Rozeboom 335).
벌, 꿀벌, 땅벌, 벌집, 꿀이 등장하는 시가 93편이며 애벌레, 번데기, 고치, 왕나비가 등장하는 시가 47편이고, 파리, 각다귀, 깔따구, 구더기(maggot), 말라리아가 21편에 등장하며 거미와 거미줄 관련 표현이 10편의시에등장한다(Rutledge 72).
디킨슨의 작은 체구, 흰 드레스와 섬세한 분위기로 그녀를 본 사람들은연약하고 창백한 나방을 떠오르게 한다.
아울러 그녀는 타인들이 자신을 “애머스트의흰나방”(The White Moth of Amherst)으로 불리기를 원해서 “그녀 자신의개인적신화화”(private mythologizing of herself)를 시도한다(Armand 80).
또그녀를만났던 시인 헬렌 헌트 잭슨(Helen Hunt Jackson)은 디킨슨의 낯을 가리며은둔형의성향에 관해 “흰 나방과 대화하는 큰 황소처럼”(like a great ox talking to a white moth) 느꼈다고 회상한다(Bianchi 86).
디킨슨은 곤충을 “가장 중요한개체”(The most important population)로 이미 천명하며 사람들의 눈에 띄지않고잊힌 채 살기에 곤충 집단은 “여름날의 성찬식”(Sacrament of summer days)을거행해서 “그들(곤충)은 매 순간 천국이 있고/ 그 어떤 지옥이 없다”(They have a heaven each instant/ Not any hell)고 묘사한다(130).
또 「새들보다 여름에더」(“Further in Summer than the Birds”)에서 귀뚜라미의 “작은 나라”(A minor Nation)가 “애처롭고”(Pathetic) “눈에 거슬리지 않는 미사”(unobtrusive Mass)를거행한다고 표현하여 곤충 소리의 신성함을 부여한다(1068). 이에 관해“귀뚜라미음악에 내재한 힘은 숨겨짐과 풀 속 ‘작음’”(the power implicit in the crickets’ music/ resides in its hiddenness/ its ‘littleness’ in the grass)에 있다고지적하는평이 있다(Barker 132). 그래서 그녀는 귀뚜라미와 다른 「작은 피조물」(“Miniature Creatures”)에서 창조의 가장 중요한 덕목인 「자연은 천국」(“Nature is Heaven”)임을 깨닫게 되며 곤충이나 벌레 같은 미물도 우주의 조화와 균형에 필연적존재임을 무의식적으로 수긍하게 된다(606, 668).
거미와 꽃의 관계에서 자연의 질서를 의식하고 “가장 공정한 집”(The fairest Home)이라 묘사하는 디킨슨은 안식처를 발견하는 듯하다(1423). 이 집은“한시간 만에 세워졌다/ 내가 거미와 꽃이라/ 아는 당사자들로”(Was founded in an Hour/ By Parties also that I knew/ A spider and a Flower)라고 표명하여그어떤 인간의 구조물보다 매력적인 거미줄의 집과 창조의 토대를 형성하는꽃을이미지와 그려낸다.
또 거미가 첫 행에 등장하는 디킨슨의 시 2편인 「거미는은빛공을 쥐다」(“The Spider holds a Silver Ball”)와 「거미가 밤에 바느질했네」(“A Spider sewed at Night”)에서 거미줄을 치는 생태에 여성 시인의 이미지구현을빗대어 표현한다(605, 1138).
전자의 거미는 예술가처럼 천상의 아름다움을상징하는 “은빛 공”을 쥐고 “스스로 부드럽게 춤추며”(dancing softly to Himself) “진주로 된 그의 실타래를 풀고”(His Yarn of Pearl-unwinds-) “무에서 무로왕복한다(He plies from Nought to Nought-).” ‘yarn’이란 단어는 거미가 생산하는“실”이자 시인이 풀어내는 “이야기” 모두 함의하기에 적절한 어휘로 보인다(605).
거미가익숙한 공간에서 거미줄을 엮는 행위는 “실체 없는 거래”(unsubstantial Trade)이며“우리의 태피스트리를 자신의 것으로 대체”(Supplants our Tapestries with His-)한다는 표현은 평범한 주변 환경에도 불구하고 거미의 예술적 창작의 힘그리고역설적으로 취약성까지도 내포할 수 있다(605).
거미를 통해 디킨슨은 예술적가치와인간의 덧없는 성취에 양립을 깨닫는 듯하며 둘 사이의 “경계를 잊어버리게”(His Boundaries-forgot-) 된다(605).
후자의 거미는 밤에 일하는 모습에서 존재의불가사의한 본질을 탐구하며 소박한 시적 언어를 통해 탐험의 느낌을 전달한다.
그녀의 간결한 형식과 고독은 끊임없는 자아 성찰과 미지의 공간에 대한 집요한탐색을 반영한다.
한 거미가 밤에 바느질하네.
빛없이 흰색의 호 위에 그 주름 장식이 귀부인의 것이라면
또는 땅속 요정의 수의라면 스스로 자신을 알리네.
불멸의 전략은 관상학이었네.
A Spider sewed at Night Without a Light
Upon an Arc of White.
If Ruff it was of Dame Or
Shroud of Gnome Himself himself inform.
Of Immortality His Strategy Was Physiognomy. (Dickinson 1138)
“빛없이 밤에 바느질”하는 거미는 외부 세계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방식으로 세상을 탐색하는 모양새를 취한다. 거미줄 생산은 창조의 과정임과동시에다른 곤충의 “수의”로서 죽음을 상징할 수 있다.
여기서 디킨슨은 거미를자신이개발하려는 “자율적이고 예술적인 자아 정체성”(autonomous, artistic self-identity) 의 상징으로 보며, 거미는 때때로 타인의 고통스러운 판단에 관해 관심없이“단순히 자신의 기술을 추구”(simply pursue its craft)하는 생명체다(Williams 26).
또“스스로 자신을 알리네”라는 표현에서 거미 자신을 강조하여 자아에게충실할것을 권한다. 이는 신이 창조하며 설계한 거미의 거미줄을 엮는 임무에 소임을다하듯이, 시인도 자신에게 주어진 재능을 활용하여 자신에게 충실하다면 구원에이를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하여 거미의 “불멸”은 자신의 본성으로 있는그대로자신을 꾸준히 표현하고 특화하며 자신을 알리는 노력으로 완성된다고 볼수있다.
디킨슨이 거미줄을 생산하는 독특한 능력으로 자아 성찰에 가깝게거미의이미지를 그린다면, 휘트먼은 광활한 공간에서 연결점과 확신을 찾으려 애쓰는인간의 영혼으로 거미를 비유한다. 두 시인의 거미에서 고독 또는 고립감은필연적인분위기로도 읽힌다.
휘트먼의 시 「소리 없고 끈기 있는 거미 한마리」(“A Noiseless Patient Spider”)의 배경은 디킨슨의 정원 또는 숲과는 달리 바다로서광활한 우주로 확대하는 방향성을 띤다.
또 휘트먼의 거미가 있는 위치는“작은곶”(little promontory)으로서 높은 바위 꼭대기나 절벽이 연상되는 고지대에있어외롭지만 고상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그래서 성찰이나 내적 탐구의 성질을띠는디킨슨의 거미와는 달리 “광막한 허공의 주변을 탐색”(explore the vacant vast surrounding)하는 휘트먼의 거미는 주변 환경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디킨슨의거미가 거미줄이자 이야기를 고요하게 풀어낸다면, 휘트먼의 거미는 끊임없이전기나열을 방출하는 뜻의 거미줄(filament)을 뽑아내어 시적 자아의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너, 오 나의 영혼이여,
네가 서 있는 그곳에서,
무한한 공간의 바다에,
둘러싸여, 고립되어, 연결할 천체들을 찾아
끊임없이 사색하고 탐험하고 내던지고;
네게 필요한 다리가 생길 때까지,
연성의 닻이 내려질 때까지;
네가 던지는 가느다란 거미줄이,
어딘가에 닿을 때까지,
오 나의 영혼이여
And you O my soul
where you stand,
Surrounded, detached, in measureless oceans of space,
Ceaselessly musing, venturing, throwing, seeking the spheres to connect them,
Till the bridge you will need be form’d, till the ductile anchor hold,
Till the gossamer thread you fling catch somewhere,
O my soul. (Whitman 406)
거미 앞에 펼쳐진 환경 또는 공간은 “끊임없이 사색하고 탐험하고 내던”져영혼의 천체로 구현할 대상이다
물, 흙, 공기의 원소 이미지가 떠오르는바다, 땅, 하늘의 공간을 거미는 거미줄을 통해 연결하며 빛 또는 불의 이미지가있는거미줄이 만물 구성의 4대 원소를 완성한다.
또 이 시는 시어의 배치에 있어서“음운론적 활동에서 구문론적 활동으로”(from phonological to syntactic activities) 변화를 보인다(Hollis 5).
즉 특정 단어나 현재분사의 반복이 진행되다가 느닷없는구걸치기(enjambment) 또는 중간휴지(caesura)로 시각적으로 행간을 강제적으로끊음으로써 거미로 비유되는 인간의 노력, 성취의 불확실성, 실패한 시도나단절의느낌을 전달하는 시도를 보인다.
그러나 시적 화자는 대화를 건네며 독자에게시의 그물 속으로 끌어들이는 매력을 생성한다. 시 자체는 온전한 창작 행위로서거미와 화자 그리고 독자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거미줄 또는 그물망으로작동한다.
또 개인이 세상을 이해하고 낭패를 겪더라도 의미를 찾으려는 끝없는 열망은거미든 인간이든 우주의 모든 존재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속성으로도 읽힌다. 프로스트의 시 「설계」(“Design”)에 등장하는 거미는 포식자로서 나방을움켜쥔 모습으로 시작하며 이들을 설계한 절대자의 힘과 의도에 의문을 제기한다.
거미가 나방을 잡는 행위는 자연스럽지만, 이들은 “흰색 만병초”(a white heal-all)에그려진 상황이라 우연이라고 하기엔 자연계의 원리로는 어울리지 않으며부조리하다(Frost 275).
프로스트의 또 다른 시 「눈 내리는 저녁 숲에 멈춰서며」(“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에서 흰색은 어두운 밤을배경으로평온하고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내지만(Frost 207), 「설계」에서 거미, 나방, 만병초는 모두 흰색을 지니고 있고 자연계의 냉혹함과 무자비함을 돋보이게한다.
즉“눈송이 같은 거미, 거품 같은 꽃 그리고 종이연처럼 날아간 죽은날개”(A snow-drop spider, a flower like a froth,/ And dead wings carried like a paper kite)를 열거하며 화자는 이들의 관계에 절대자의 의도가 있는지 자문한다(Frost 275).
프로스트는 흰색에 항복, 죽음의 이미지를 주목하며 이들을 설계한절대자의의도가 어둡고 위협적임을 암시한다.
이 꽃은 흰 것과 무슨 상관이었나?
길가에 파랗고 순수한 만병초에서 무엇이 동족 거미를
그 높이까지 데려와서 흰 나방을 밤에 그쪽으로 유인했는가?
소름 끼치는 어둠의 설계 외에 무엇인가?
설계가 이 작은 것에 지배한다면
What had that flower to do with being white,
The wayside blue and innocent heal-all?
What brought the kindred spider to that height,
Then steered the white moth thither in the night?
What but design of darkness to appall?― If design govern in a thing so small. (Frost 275)
설계는 사전에 계획 또는 약속을 함의하기에 거미, 나방, 꽃의 부조리한공존이 누군가에 의해 설계되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디킨슨은세상을 설계하는 존재로 거미-시인-신을 포괄 또는 병치하는 이미지라면 프로스트는생태적 거미 세계와 이를 창조한 신의 세계 그리고 시로 승화하는 화자의세계가층위 또는 중첩하는 모양새다.
시적 화자는 설계에 의한 결과 또는 거미를포함한여러 존재의 스펙트럼을 보면서 우주 전체의 운명도 계획된다는 가능성을제시하며, 흰색 생명체와 어둠의 대비처럼 포식자 거미의 생존과 권력 또는 악의개입가능성 역시 암시한다. 흰색이 이들을 창조한 신의 손길로 순수함과 신성함을상징한다면 화자에게 신의 힘은 “어둠의 설계”로도 읽혀 거미와 나방의 관계가고통, 잔인함, 죽음으로도 다가올 수 있다.
이렇게 프로스트는 거미 시를 바탕으로설계, 흰색, 어둠의 이미지를 폭넓게 펼쳐 독자들에게 다양한 읽기와 감상을유도한다.
이는 이어지는 프로스트, 로웰, 플라스의 거미 관련 시에서 다루는 죽음과권력과악 그리고 절망과 두려움과 공포 등과 연계된다.
Ⅲ. 프로스트, 로웰, 플라스의 거미
디킨슨과 휘트먼이 거미줄의 생산과 시 창작을 겹쳐둔다면 프로스트, 로웰그리고 플라스는 포식자, 죽음, 전쟁, 신화적 이미지 등의 공격적이고 소멸을염두에둔 거미를 표현한다.
우선 프로스트의 또 다른 거미 시 「거리측정」(“RangeFinding”)은 인간의 투쟁 공간인 전쟁터와 동식물의 자연 세계를 다루는소네트로거미를 포함하여 새와 나비, 꽃과 목초지가 등장한다(Frost 122).
시 제목자체도거리에 따른 총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한 추측 사격 뜻의 군사 용어이며프로스트는 자연의 관점에서 인간 전쟁의 폭력성을 묘사하며 전쟁이 자연을 포함한모든존재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화두를 던진다. 이 시는 한 병사가사거리측정을 위해 발사한 총알 한 발의 이야기로 볼 수 있는데, 총알이 공중을날아가는 동안 동식물의 다양한 반응이 흥미롭다.
전쟁에서 총알의 목표는 “한인간의가슴을 얼룩지게 하는 것”(it stained a single human breast)으로, 그 전에“땅새의 둥지 옆 꽃을 자르기”(cut a flower beside a ground bird’s nest)도 하고“맞은꽃은 두 번 구부러져 매달려 있기”(stricken flower bent double and so hung)도하다(Frost 122).
그래도 “새는 자신의 새끼를 다시 찾았고”(the bird revisited her young) 나비는 “휴식의 꽃을 공중에서 찾는 순간에/ 가볍게 몸을 굽혀펄럭이며매달려”(A moment sought in air his flower of rest,/ Then lightly stooped to it and fluttering clung) 생명을 유지한다(Frost 122).
즉 총알이 공중을 날아가는동안 새는 전처럼 자신의 새끼를 양육하는 모습은 전쟁 중에 보통 사람들에게도일어날 법하다.
나비는 총알로 인해 부서진 꽃임에도 휴식을 취하고 또는수분을위해 제 할 일을 수행하는 모습도 역시 전쟁 통에 몇몇 사람들이 보일 수있는태도로 연상된다.
거미의 경우 지나가는 총알에 대한 반응이 흥미롭다.
벌거벗은 고지대에 목초지가 펼쳐져 있었고 밤새 뮬레인 사이에 실 바퀴가 몰래 접근한다.
리고 은빛 이슬에 젖은 케이블을 긴장시키며 갑자기 지나가는 총알이 그것을 말리며 흔들었다.
그 안에 사는 거미는 파리를 맞이하러 달려갔으나 아무것도 찾지 못하고 시무룩하게 물러났다.
On the bare upland pasture there had spread O’ernight ‘twixt mullein stalks a wheel of thread And straining cables wet with silver dew. A sudden passing bullet shook it dry. The indwelling spider ran to greet the fly, But finding nothing, sullenly withdrew. (Frost 122)
꽃과 새와 나비는 인간이 들판을 가로질러 총을 쏘는 우발적인 결과로의인화되어 공감이 가는 생태를 보여주는데, 거미는 지나가는 총알이 거미줄을흔들자자신의 본능에 의한 먹이 반응으로 “파리를 맞이하러 달려”간다. 거미나인간모두 포식 활동과 전투에서 살해 의도가 있기에 거미는 다른 생명체와는달리공격성이 도드라진다.
그러나 거미의 포식성은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가 “하늘이 허용하는 끊임없는 비극”(those incessant tragedies that heaven allows)이라 지적하듯,
또 다른 생명을 생성하기 위해 희생되는자연계의필연 과정이기에 무고하나, 인간의 무분별한 “거리측정”은 파괴적이고폭력적인의도가 다분하다(293). 인용된 6행은 잘 제작된 거미줄에서 약간의 진동을느끼고먹이 활동을 하려는 거미의 모습이지만, 안타깝게도 거미가 파리라고 생각한건누군가를 죽이려고 지나가던 총알이다. 이 시의 첫 행이 “전투가 다이아몬드로묶인 거미줄을 찢었고”(The battle rent a cobweb diamond-strung)라는 표현으로, 다이아몬드는 거미가 만든 햇빛에 반짝이는 물방울이 연상되며 인간의 전쟁으로파괴됨을 뜻한다(Frost 122).
전쟁처럼 치열하게 사는 거미는 치밀하고도꾸준한먹이 활동 전략 또는 습성은 인간 중심의 대의명분을 불식시키고 고상하고숭고해야할 창작의 고민에 근거를 마련한다. 로웰의 「에드워즈 씨와 거미」(“Mr. Edwards And The Spider”)는죽음의불가피함과 인간 저항의 한계를 탐구하는 성찰 시로 보이며 작성된 때를고려하면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시대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반영한다(Lowell 15).
여기서에드워즈는 18세기에 미국의 유명한 목사인 조너선 에드워즈(Jonathan Edwards)로 로웰이 그의 삶을 연구했던 적이 있었다.
9행짜리 5연으로 구성된 이 시는거미와관련된 설교 내용이나 목사의 경험을 에드워즈의 목소리로 은유한다. 1741년“대각성 운동”(The Great Awakening) 때 에드워즈의 유명한 설교인 「분노한신의손안에 죄인들」(“Sinners in the hands of an Angry God”)의 내용을 반영하여신의뜻을 거역하는 타락한 인간을 불에 던져진 거미로 비유한다.
정원이나바다의거미가 아니라 불의 이미지가 보이며 “거미나 몇몇 역겨운 벌레를 불 위에잡은이처럼 지옥 불에 당신을 잡는 신은 당신을 멸시”(The God that holds you over the fire of hell, much as one holds a spider or some loathsome insect over the fire, abhors you)한다는 에드워즈의 언급을 로웰은 눈여겨본다(Edwards 43).
1연은 어린 시절의 에드워즈가 아버지에게 쓴 편지 내용의 일부로거미를관찰하고 습성을 기록한 내용을 요약한다.
거미는 “공중을 행진”(marching through the air)하고 “나무에서 나무로 헤엄치고”(Swimming from tree to tree) “하늘의환영 속으로 날아가는”(fly/ Into the apparitions of the sky) 모습에서, 아이의눈임에도 불구하고 거미는 사실상 고요한 죽음을 추구한다는 성숙한 추론을내놓는다(Lowell 15).
그래서 “그들[거미]은 오직 편안함과 죽음을 꾀한다/ 해돋이와바다의 동쪽을 절박하게 향하며”(They purpose nothing but their ease and die/ Urgently beating east to sunrise and the sea;)라고 단언한다(Lowell 15).
2~3연은에드워즈의 설교 내용이 연상되는 부분으로 전쟁을 일으키고 신에게서죄인이된인간을 지옥에 매달린 혐오스러운 거미에 비유한다.
종교적인 주제에서 거미는물, 흙, 공기보다 불의 이미지가 종종 등장하며 지옥, 처벌, 죽음 등의 소재와결합한다. 인간은 신의 지옥 또는 불에 대항하여 전쟁이나 증오가 떠오르는 “가시와찔레”(thorn and briar)로 “반역”(treason)을 준비하나 소용없다고 설득한다(Lowell 15).
인간끼리의 분쟁으로 인해 “당신의 자상은 패배한 경기를 말하며”(Your lacerations tell the losing game) “당신은 치료할 수 없는 질병에 맞서는것”(You play against a sickness past your cure)이라며 신의 분노를 정당화한다. 거미와죽음 이미지는 3연에서 절정을 이룬다(Lowell 15).
아주 작은 것, 작은 벌레 또는 모래시계로 새긴 거미라도 호랑이를 죽일 수 있다고 한다.
죽은 자가 거울을 들고 사방으로 그의 권위의 향기와 섬광을 단언할까?
당신을 지옥 구덩이에 가두는 신이 거미를 붙잡고 있듯,
당신의 영혼을 멸하시고 당황케 하시며 멸절시킬 수도 있다.
A very little thing, a little worm, Or hourglass-blazoned spider, it is said,
Can kill a tiger.
Will the dead Hold up his mirror and affirm To the four winds the smell And flash of his authority? It’s well If God who holds you to the pit of hell,
Much as one holds a spider, will destroy, Baffle and dissipate your soul. (Lowell 15)
인간에게 미물인 거미처럼 신에게 인간은 미천한 존재라는 종교적시각과더불어 거미는 작은 존재임에도 “호랑이를 죽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존재이며시의 마지막 연에 등장하는 “검은과부거미”(Black Widow)로 이어져 역설적인이미지로 도드라진다. 성경에는 거미가 2번 등장하는데, 거미줄과 연관되어대체로부정적 의미로 쓰인다. 욥기에 등장하는 거미는 신을 버리고 다른 데에의지하는자로서 거미가 거미줄을 잃어버린 것에 비유된다(8:13-15). 이사야에 소개되는거미줄은 “독사의 알을 품으며 거미줄을 짜나니”라 표현되어 거미줄을 치는행위를죄악으로 규정한다(59:5-6).
이어서 알이 밟혀 터져서 악의 근원인 독사가나오고, 거미줄로는 옷을 만들지 못하고 몸을 가릴 수 없어서 포악한 죄악의 행위로황폐와 파멸적 소재로 간주한다.
4연에서 시인은 어린 소년이던 에드워즈가거미한마리를 불 속에 던져도 거의 저항하지 않는 장면을 본 기억을 떠올리며, 거미는“발을 뻗고 죽는다. 이것이 죄인의 마지막 피난처”(It stretches out its feet/ And 46 성 창 규 dies. This is the sinner’s last retreat)라고 선언한다(Lowell 15).
5연에는에드워즈의 삼촌이자 “대각성 운동” 때 자살한 조시아 홀리(Josiah Hawley)를언급하며죽음이 영원한 저주의 전조일 수 있지만, 불의 이미지와 결합하며 “불꽃은무한하고 영원하다; 죽어서 그것을 아는 게 죽음이다. 이것은 검은과부거미, 죽음”(the blaze/ Is infinite, eternal: this is death,/ To die and know it. This is the Black Widow, death)이라고 표명한다(Lowell 15).
검은과부거미는 미국 남부에서식하며사마귀처럼 교미 후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점 때문에 사악한 여인이나요부를부르는 별칭으로도 쓰이며, 시에서 언급된 것처럼 새까맣고 조그만 몸통에특유의붉은색 모래시계 무늬가 있다. 또 강력한 독을 지녀 몸길이가 2~3cm에불과하나자신보다 큰 먹이도 쉽게 사냥한다.
설교 내용을 따와 성경 속 거미를죄와악으로 그리지만, 로웰은 자연 속 거미를 관찰한다기보다 독특하게 불과 지옥그리고죽음의 이미지로 치환하면서도 궁극적인 죽음으로 무한성과 영원에 도달하려긴박감과 절망감을 유지한다. 고백적 시 쓰기로 로웰과 교류했던 플라스는 「거미」(“Spider”)를 통해아프리카 민담에 등장하는 거미 신 아난시(Anansi)를 소환한다(Plath 34).
그녀도로웰처럼 거미를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착취하는 존재로 상징하여 권력의악의적인성격을 은유한다. 아난시는 지식의 신이며 아프리카에서 하늘의 신 은야메(Nyame) 와 인간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인간에게 비와 밤을 제공하도록 설득하기도한다.
아난시는 윤리적 기준이 거의 없이 묘사되어 재치와 교활함을 이용하여자신보다 더 크고 강한 동물보다 우위를 점하기도 하고 종종 이기적이고잔인한사기꾼의 모습으로도 보인다.
7행짜리 5연으로 구성된 일종의 설화 시로플라스의「거미」도 로웰의 거미처럼 교활함과 악의 상징으로 두드러지며, 시가 쓰인1950년대의 정치 사회의 격변과 많은 이들의 불안과 절망이 반영된 작품으로 보인다.
첫연에서 화자는 거미를 “설화의 검은 참견쟁이”(black busybody of the folktales)로표현하며 “충동적으로 달려들고 사리사욕에 무뚝뚝한”(scuttle out on impulse/ Blunt in self-interest) 모습으로 그려낸다(Plath 34).
무엇보다 “우주의거미줄을뽑고 가운데 들판에서 눈을 가늘게 뜬”(You spun the cosmic web: you squintfrom center field) 거미는 거미줄에 묶인 개미에게 절대자이며, 거미는거미줄을펼쳐놓고 혼돈을 관찰하고 증폭시키므로 악의 중심이 된다(Plath 34).
2연에서거미는 “스페인 사촌”(Spanish cousin), “유명한 강도 남작”(Notable robber baron)으로 은유되며, 겉보기에 개미에게 걱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멀리 있는듯하나실제로는 위협적인 존재이며 무자비하고 권력욕이 강한 모습으로도 보인다(Plath 34).
거미는 “거의 보이지 않는 줄로 개미를 넘어뜨림”(He tripped an ant with a rope/ Scarcely visible)으로써 화자는 교활한 습성으로 간주한다(Plath 34).
또거미가 있는 주변을 “염소 치기의 오두막 뒤”(Behind a goatherd’s hut)와“개미길위에 작은 스톤헨지 근처”(Near his small stonehenge above the ants’ route)로설명하는데, 염소는 종종 죄가 많은 사람이나 악마로 비유되며 스톤헨지는억압의희생자들에게 항상 악이 다가오고 있는 분위기를 연출한다(Plath 34).
3~4연은거미가 거미줄에 걸린 개미를 잡아 먹이로 치환하는 과정을 치밀하게 표현한다. 거미집을 “요새”(redoubt)에서 “제단”(altar)으로 은유하여 전쟁의 폭력성과폭압적인권력자를 떠오르게 하며, 거미는 “야만적인 전망”(barbarous outlook)과“탐욕의총체적 명분”(gross cause/ Of concupiscence)으로 “순교자”(martyr)와 같은개미를“죄수”(his prisoner) 취급하며 “날렵한 필라멘트”(nimble filament)와 “검은민첩함”(With black alacrity)으로 결박한다(Plath 34).
마지막 5연에서 거미와개미의관계는 다음과 같다.
개미들 — 한 조의 오는 자들, 한 조의 가는 자들 — 정해진 과정을 고집하며 어떤 양심의 가책도 지장 없이 본능의 명령에 복종하며 무대 밖으로 휩쓸려 재빠르고 검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의해 악명높게 마무리된다.
또 그들은 이로 인해 단념하는 것 같지도 않았다.
The ants—a file of comers, a file of goers— Persevered on a set course No scruple could disrupt, 48 성 창 규 Obeying orders of instinct till swept Off-stage and infamously wrapped Up by a spry black deus Ex machina. Nor did they seem deterred by this. (Plath 34)
사로잡힌 개미나 사로잡는 거미 모두 생태적 본능에 따르는 행동 결과를보여주며 어떤 양심의 가책도 없기에 윤리적인 판단이나 옳은 일에 관한 우선순위가없다.
“신의 개입”으로 보통 표현되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축어적으로‘기계장치로 무대에서 내려온 신’ 또는 ‘신을 연출하는 장치’로 풀이되며, 그리스연극에서 쓰인 무대 기법의 하나로 초자연적인 힘을 이용하여 극의 긴박한국면을타개하고 결말로 이끌어 가는 기법이다.
이는 긍정적인 의미에서 절대적존재가모든 갈등을 해결하지만, 부정적인 의미에서 개연성이나 일관성의 고민 없이중재하고 정리해서 편안한 결말로 유도하는, 편의주의적 발상이다.
플라스는 “검은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거미를 지배한다고 보고, 거미에게 부정적이고 사악한의미의검은색을 “검은 민첩함”과 함께 부여한다.
물론 검은색이 문화적으로 고귀함, 엄숙함, 우아함, 권위 등을 상징할 수 있으나, 플라스에게는 암흑에서 출발하여죽음, 상실, 슬픔, 공포, 증오나 암울함, 사악함에 이르는, 부정적인 요소들로치닫는다.
플라스의 생애와 시학 모두 우울 또는 멜랑콜리가 깃들며, ‘melancholy’의어원도“검은 담즙”을 뜻하는 단어이므로, 포식자로서 검은 거미는 플라스에게폭력, 권위, 세상의 이치, 죽음 등 다양한 시적 주제를 고민케 하는 촉매로 작동한다.
Ⅳ. 결론
이렇게 거미는 여러 시인의 작품에서 단순한 생명체를 넘어 인간의내면과우주의 본질을 탐구하는 중요한 상징체로 보인다.
단지 거미줄을 생산하여먹이를잡는 습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거미와 거미줄은 생명체 간, 인간과의 관계그리고신과 우주의 질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은유로 확장하며 변형과 재생을상징하는이미지로도 보인다.
거미가 신화와 종교를 포함한 문학과 예술에서 인간의상상력을 유독 자극하는 매개체임을 적지 않은 시인들이 묘득한 듯하다.
디킨슨의거미는 미시적 자연 공간에 섬세한 균형과 상호관계를 염두에 둔 예술가의표상으로드러난다.
그녀 스스로 “애머스트의 흰 나방”임을 자처하며 작은 생명체들이자연의 태피스트리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며, 거미는 창조와 생명의복잡한과정에 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휘트먼의 거미는 광활한 허공과 바다에서지점들을 탐색하고 연결하려는 거시적 탐험가의 상징으로 읽힌다.
프로스트의 시 2편 「설계」와 「거리측정」에 등장하는 거미는 절대자의힘과인간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 각각 읽힌다. 전자는 거미, 나방, 꽃의 부조리한공존과 이를 설계한 절대자의 힘과 어둠의 이미지를 역설적으로 배치한다면, 후자는날아가는 총알의 시야로 본 꽃, 새, 나비, 파리 그리고 거미를 그리며 인간의전쟁과 생태계의 생존을 병치하여 인간 중심의 명분을 해체한다.
로웰은 에드워즈의 유명한 설교 내용과 검은과부거미를 환유하여 인간이 거미를 멸하듯 신이 인간을처벌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불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분쟁, 질병에서지옥, 형벌, 죽음의 주제를 제언한다.
플라스는 거미의 신화 캐릭터인 아난시를초환하여간교한 악으로 상정하고 가혹한 신의 개입으로 세상에서 죽음으로 귀결되는상실감과 공포감을 자아내어 우울감을 누리는 듯하다.
주제어: 거미 시학, 에밀리 디킨슨, 로버트 프로스트, 로버트 로웰, 실비아플라스
참고문헌(Works Cited)
Armand, Barton Levi. Emily Dickinson and Her Culture. Cambridge: Cambridge UP Archive, 1986. Print. Bianchi, Martha Dickinson & Dickinson, Emily. The Life and Letters of Emily Dickinson. New York: Biblo & Tannen Publishers, 1972. Print. Choiński, Michał. The Rhetoric of the Revival: The Language of the Great Awakening Preachers. Vandenhoeck & Ruprecht, 2016. Print. Dickinson, Emily. The Complete Poems of Emily Dickinson. Ed. Thomas H. Johnson.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60. Print. Edwards, Jonathan. Jonathan Edwards’s Sinners in the Hands of an Angry God. Yale UP, 2010. Print. Farr, Judith. The Gardens of Emily Dickinson. Cambridge: Harvard UP, 2005. Print. Frost, Robert. Robert Frost: Collected Poems, Prose, & Plays. Library of America, 1995. Print. Garrison, Laura. Arachnopoetics: Spiders and Webs in the American Literary Imagination. The Catholic U of America, 2016. Print. Gerhardt, Christine. “‘Often seen - but seldom felt’: Emily Dickinson’s Reluctant Ecology of Place,” The Emily Dickinson Journal 15 (Spring 2006): 56-78. Print. Hollis, C. Carroll. Language and Style in Leaves of Grass. Baton Rouge: Louisiana State UP, 1983. Print. Lowell, Robert. New Selected Poems. Farrar, Straus and Giroux, 2017. Print. Philip, C. B. and Rozeboom, L. E. Medico-Veterinary Entomology: A Generation of Progress, Elsevier Science, 2002. Print. Plath, Sylvia. Collected Poems. Faber & Faber, 2015. Print.Rutledge, Louis C. “Emily Dickinson’s Anthropods,” American Entomologist 49 (Summer 2003): 70-74. Print. Thoreau, Henry David. The Writings of Henry David Thoreau. Houghton, Mifflin: California UP, 1893. Print. Wendy Barker, Lunacy of Light: Emily Dickinson and the Experience of Metaphor.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P 1987. Print. Whitman, Walt. The Works of Walt Whitman. Wordsworth Editions, 1995. Print. Williams, JoAnne De Lavan. “Spiders in the Attic: A Suggestion of Synthesis in the Poetry of Emily Dickinson,” Dickinson Studies 29 (1976): 21-29. Print. Notes on Contributors: Changgyu Seong is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dern British, Irish and American poetry and short stories. He runs a channel on Youtube called “Time to Study English Poems (영시할시).” Email: skepticism@naver.com
Abstract
Comparative Study for Spiders’ Arachnopoetics on Human, God andPoets: Focused on Dickinson, Whitman, Frost, Lowell and Plath
Changgyu Seong (Mokwon U)
The study aims to compare and explore the spider poems of Emily Dickinson, Walt Whitman, Robert Frost, Robert Lowell, and Sylvia Plath. Dickinson describes the spider as an artist’s representation, emphasizing the delicate balance and interconnectedness of nature. In her poetry, spiders provide deep insight into the complex processes of creation and life, with the tiny creatures appearing as important elements in the natural tapestry. Frost, on the other hand, uses spiders to explore nature’s inexorable cruelty and God’s mysterious design, and to question the uncertainty of human existence and the intentions of the Absolute. In his poetry, spiders are used as symbols of death, survival, and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Lowell uses spiders to emphasize human sin, divine wrath, and the inevitability of death. In his poetry, spiders appear as objects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combining with images of fire, hell, and death to explore the fragility and sinfulness of human existence. Plath depicts the spider as a symbol of evil, representing a deep reflection on power, violence, and death. In her poetry, spiders are used as selfish and cunning beings, an image that reflects social unrest and despair. As such, the spider as an important symbol, explores the nature of the human condition and the universe. Them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creation and destruction, solitude and introspection, etc. revealed through spiders provide poets and readers with deep insights.
Key Words: Arachnopoetics, Emily Dickinson, Robert Frost, Robert Lowell, Sylvia Plath
Received: May 28, 2024 / Reviewed: Jun 7, 2024 / Accepted: Jun 7, 2024
동서비교문학68호(24년6월)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노해 시의 변모와 항상(恒常)-‘反자본주의’를 중심으로-/최명국.대전대 (0) | 2024.10.10 |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나타난 신유물론 시대의 ‘되기’와 긍정적 니힐리즘/김대중.강원大 (0) | 2024.09.28 |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와 알랭 바디우의 ‘사랑 예찬’으로 읽는 ‘사랑’에 관한 소고/김진환.단국大 (0) | 2024.09.28 |
디지털 시대 종교예술과 기억의 서사:잃어버린 예수를 찾아서/김요섭.군산대 (0) | 2024.09.20 |
日本文化學報 第88-99輯(23-12-7)/한국일본문화학회 (0)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