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칼럼

한국 여성의 취업과 출산율(24-10-18)/최선용外.OECD

본 연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의 출산율 감소를 조사하여 여성의 고용, 출산율 및 관련 정책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한국어 문헌의 결과를 국제 독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출산율 감소의 인구 통계적 과정, 여성 노동 공급, 성 차별 및 여성의 고용과 출산을 결합하기 쉽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 가족 정책의 효과를 다루는 연구를 검토한다.

여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가지 사이에서 갈등에 직면했을 때 가족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점차 이동했다. 2010년경까지 수십 년 동안 여성은 점점 더 결혼과 출산을 미루고 평생 동안 자녀 수를 줄였지만 거의 모든 여성이 결국 결혼하여 적어도 한 명의 자녀를 가졌다.

2010년대부터 더 많은 여성이 미혼 또는 기혼이지만 자녀 없이 지내는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육아 및 육아 휴가와 같은 가족 정책은 일반적으로 일과 양육을 양립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출산율과 여성 고용에 원하는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정책 개입의 효과는 여성의 노동 시장 지위와 양질의 육아와 같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다르다.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여성에게 고용과 모성이 합리적인 방식으로 결합될 때까지 모성의 대체 비용은 높게 유지되고 출산율은 낮게 유지되거나 더욱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ac53879e-en.pdf
1.2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