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러시아의 불법적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째를 맞는다.
본고는 2023년 한 해 동안 러시아군 및 우크라이나군의 주요 무기체계별 피해율을 중심으로 전쟁의 교훈과 시사점을 도출했다.
통계적 기법인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모델을 활용해 양측의 피해율을 파악한 결과, 러시아 군의 피해율 순위는 포병, 무인기, 기갑 및 기계화, 헬기, 공중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크라이 나군의 피해율은 무인기, 포병, 기갑 및 기계화, 공중자산, 헬기 순으로 나타났다.
양측 공통적으로 무인기와 포병 피해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이 무인기와 포병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러시아군은 개전 이후 드론 및 무인기를 17배 이상 증산했고, 우크라이나군은 올해 백만 대 이상의 드론 및 무인기를 생산하여 열악한 제공작전 환경을 개선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나타난 양측의 피해율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한국 사회의 인구절벽 및 북한의 무인기 위협 고도화 등 미래 작전환경 변화에 대비해 드론 및 무인기 등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의 적극적인 전력화가 필요하다.
특히 드론 및 무인기를 별도의 무기체계로 분류하여 획득제도 초기 단계에서 소요군 간 합동성 및 상호운용성을 제고하고, 민관군 기술 수용성과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드론 및 대드론 체계 등 긴요 무기체계의 즉시 전력화 를 위해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획득제도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중・장기적으로 드론 관련 특수목 적 교육과정 신설을 적극 검토하고, 예비역 자원에 대한 드론 특기 및 부특기 제도를 확대하는 등 효율적인 병역자원 관리를 통해 국가적 드론 잠재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
<내 용>
1.문제제기
러시아의 불법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째를 맞는다.
2022년 2월 24일 05:50경 (현지시각)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나토 확장으로부터 국가 안전 보장 및 돈바스에 거주하는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우크라이나에 특별군사작전을 선포했다.
국군통수권자의 개전 선포 이후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의 서부 축선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전면적 침공을 감행했다.
러시아군은 개전 3일 만에 부차와 이르핀 등 우크라이나의 수도권 지역에 빠르게 진출하는 등 키이우 함락은 시간의 문제로 보였다.
하지만 총동원령 선포 이후 우크라이나의 국가 총력전 태세가 조기에 확립됐고, 서방의 무기 지원도 신속하게 추진되면서 우크라이나의 전쟁수행능력이 러시아의 속전속결 전략을 압도했다.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의 전면적 침공에 대비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의 조력하 에 군사력을 건설하고 군사교리를 발전시켜 왔다.
우크라이나군은 개전 초기 러시아군의 기갑 및 기계화 부대가 안고 있는 지휘통제 및 방호, 지속지원 등의 취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들었고, 드론 및 무인기 등 초보적 수준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러시아 전쟁지도 부의 전쟁목표를 무력화했다.
전쟁이 2년간 지속되는 상황에서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어떤 측도 압도적 우위를 확보하지 못 한 채 러시아가 점령 중인 영토를 기준으로 전선의 교착 상태가 확고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지난해 6월 대반격 작전을 감행했지만 대규모 인명 손실을 입고 기세가 약화하고 있으며, 전선 상황의 변경을 위해 ‘한계 없는 드론 및 무인기 작전’을 활성화하고 있다.
러시아 당국은 전쟁 장기화에 대비해 포병 탄약은 물론 드론 및 무인기 체계의 기하급수적 생산 및 공급, 그리고 민간 분야의 드론 전문인력 저변 확대 등 잠재력 결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군이 발표한 상대측의 전쟁 피해 현황을 보면 지난 1년간 화력 체계와 드론 및 무인기 분야에서 양측의 손실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양측 모두 병력 동원의 한계 에 직면하면서 최소 희생을 통해 최대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황을 평가하고,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양측의 피해율을 분석하여 유사시 한국군의 전쟁지속능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전황평가
러시아군은 크림 자치공화국과 세바스토폴 특별시를 포함하여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의 20%에 육박하는 약 115,000㎢를 점령하고 있으며,
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러시아 점령 지역을 중심으로 전선이 형성되어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영토적 완전성 회복을 위해 지난해 6월 대반격 작전을 감행했지만 의미 있는 성과 달성에 실패했다.
러시아군은 대반격 작전 간 우크라이 나군의 인명 손실이 16만 명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우크라이나군은 도네츠크 남서부 지역과 자포리자 동부 지역에 전투력을 집중하여 러시아군 방어체계에 돌파구를 형성하고자 했다. 대반격 작전이 성공한다면 러시아 본토로 연결되는 P37과 M14 등 주요 접근로를 통제하여 크림 지역은 물론 헤르손과 자포리자를 러시아 본토와 분리하여 향후 우크라이나군의 크림 지역 회복이 유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의 대반격 작전 이 국내외 정치・외교적 이유로 지연되어 지난해 6월이 다 되어서야 시작됐고, 그동안 러시아군은 방어태세를 강화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의 전투의지를 파괴할 만큼 압도적인 전력 을 보유하지 못하면서 대반격 작전은 실패로 귀결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유럽 전체의 안전보장을 위해 서방이 적시에 더 많은 무기를 지원해야 한다 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지난해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지가 약화하고 있다.1)
1) The New York Time. (2023. 12. 11.). “U.S. and Ukraine Search for a New Strategy After Failed Counteroffensiv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의회에 우크라이나의 전쟁지속능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약 610억(80조 2천억) 달러 규모의 지원 법안 처리를 요청했으나 공화당 주도의 미 하원은 우크라이나 지원에 반대하면서 법안 처리가 좌초됐다.
여기에 대반격 작전 실패와 전쟁 장기화로 우크라이나 국민의 총체적 불만이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부로 향하면서 개전 초기 주권 수호와 평화를 상징했던 우크라이나의 결사항전 의지 가 크게 후퇴하고 있다.
2월 16일 기준, 우크라이나측 추산 러시아군의 인명 손실은 40만 명에 육박하며, 약 330기의 전투기가 파손됐고, 무인기 피해 규모는 약 7천 대에 이른다.
반면 러시아측 추산 우크라이나군의 인명 손실은 최소 38만 명으로 평가되며, 약 560기 이상의 전투기가 파괴됐으며, 무인기 피해 규모는 최소 1만 대가 넘는다.2)
푸틴 대통령 지지율이 80%를 상회하는 등 오는 3월 치러질 러시 아 대통령 선거에서 푸틴 대통령의 5선 가능성이 유력하다.3)
러시아군은 대통령 선거를 전후해 예상되는 우크라이나군의 도발을 억제하고 평화협상 여건을 조성하는 한편, 국내 여론을 결집하 기 위해 몇 차례 대규모 공습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미국 등 서방은 전쟁수행(Fight)・전략수립(Build)・회복(Recover)・개혁(Reform) 등 4개 분 야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기 지원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4)
서방의 ‘10년 계획’은 우크라이나 의 인도적 상황이 더이상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평화협정 체결 이후 등을 고려한 중・장기 적 지원 성격이 강하다.
이는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원 목적이 영토적 완전성 회복에서 ‘질서 있는 종전 이행’ 등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서방의 ‘인식의 전환’이자 ‘출구전략’을 의미하며, 러시아 에 평화협상을 유인하는 정치적 메시지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5)
2)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국방부.
3) Andrey Pertsev. “Russia’s Managed Democracy Is Facing a Participation Crisis.”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https://www.statista.com.
4) The Washington Post. (2024. 1. 26.). “U.S. war plans for Ukraine don't foresee retaking lost territory.”
5) 한편, 올해 11월 치러지는 미국의 대통령 선거 결과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이오와 코커스 및 뉴햄프셔 프라이머리 등에서 승리하면서 전・현직 대통령 간 리턴 매치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 프 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해 왔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24시간 이내 전쟁을 종식 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아주 쉬운 일”이라는 입장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화당 후보 확정 가능성이 커질수록 우크라이나를 돕는 서방 국가들의 연대와 지지가 후퇴할 가능성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3.무기체계 피해율 분석
우크라이나 전쟁 전황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2023 년 한 해 동안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군 당국이 추산한 상대측 피해 현황 데이터를6) 활용하여 주요 무기체계별 피해율을7) 분석했다.
6)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군 당국은 주 2~3회 정례적으로 기갑 및 기계화, 자주포 및 견인포, 전투기 및 헬기, 방사포, 방공체계 등 주요 무기체계 등을 중심으로 상대측의 피해 현황을 공개한다.
7) 피해율은 시간에 따른 피해율 변동과 미래 피해율 예측값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간(독립변수)과 피해 현황(종속변수)을 기반으 로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되며, 이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피해변화를 분석하고 미래의 피해 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기법인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모델에 각국이 발표한 상대측의 피해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무기체계별 피해율을 추 정하고, 추정된 모형을 기반으로 무기체계 피해율의 의미를 해석했다.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국방 당국이 발표한 피해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되, <그림 2>와 같이 매월 중순에 수렴된 값을 기준으 로 기갑 및 기계화, 무인기, 포병, 공중자산, 헬기 등의 무기체계의 피해 수치에 대한 누적값을 활용했다.
<그림2> :생략 (첨부논문파일 참조)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양측이 발표한 상대측 무기체계 피해 현황 데이터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통해 <표 1>과 같은 피해율을 측정했다.
앞서 <그림 2>에서 기갑 및 기계화의 기울기가 가장 높게 나타난 이유는 원 데이터 값이 무인기 및 포병 등 여타 무기체계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이며, 로그변환 및 스케일 조정을 통해 <표 1>과 같은 보정된 결과를 도출했다.
러시아군의 피해율 은 포병(13.40%), 무인기(11.92%), 기갑 및 기계화(4.99%), 헬기(1.45%), 공중자산(0.92%) 순이 며, 우크라이나군의 피해율은 무인기(11.48%), 포병(6.17%), 기갑 및 기계화(5.97%), 공중자산 (3.37%), 헬기(2.15%) 순으로 나타났다.
러시아군 및 우크라이나군 공통적으로 무인기 및 포병의 피해율이 여타 무기체계에 비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양측이 무인기 및 포병 체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우크라이나의 포병 화력 운용 규모가 개전 초기부터 러시아군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열세였고, 동원할 수 있는 포병 전력이 제한적이었 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의 포병 피해율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8
<표 1> 2023년 무기체계별 월 단위 피해율(단위:%)
구분 러시아군 우크라이나군
기갑 및기계화 4.99 5.97
공중자산 0.92 3.3
헬기 1.45 2.15
무인기 11.92 11.48
포병 13.40 6.17
러시아군의 포병 피해율은 우크라이나군의 대반격 작전 시점부터 작년 연말까지 약 2.1배 증가 했으며,
무인기 피해량은 약 1.9배에 이른다.
한편, 우크라이나의 무인기 피해량은 6월 이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포병 피해량은 1.4배에 이른다.
양측 모두 기갑 및 기계화 무기체계의 피해율이 높은 이유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상전 위주로 전개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동 무기체 계의 피해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인명 손실도 비례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러시아군은 전투기 등 공중자산(0.92%) 및 헬기 피해율(1.45%)이 우크라이나군과 비교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러시아군이 압도적인 포병 화력과 드론 및 무인기, 대규모 지뢰 지대 등 장애물을 방어작전 에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9)
8) 두진호. (2023). “우크라이나 사태 전훈 분석.” 국방정책연구, 제38권 제4호. p. 53.
9) 러시아군은 2022년 7월 루한스크 점령 이후 헤르손 철수 등 수차례 과감하게 전선을 조정했고, 최근 마린카와 아우디우카 등 일부 상징성과 전략적 필요성이 있는 특정 지역 점령을 위한 제한된 공격 작전 외에 사실상 방어작전으로 전환했다.
한편, 러시아군 공중자산의 상대적 피해율이 낮은 이유는 전자전 장비를 적극 활용하여 레이더 탐지 회피능력과 생존성이 개선됐고, 우크라이나군의 방공망 체계가 러시아군의 탄도미사일 공격등에 의해 피해가 증가한 요인도 있다.10) 우크라이나군의 공중자산 및 헬기 피해율은 러시아군과 비교해 높게 나타났다.
우크라이나군은 지난해 6월 대반격 작전 수행을 위해 특정 기간에 걸쳐 전투기 등 가용한 합동 화력수단을 집중적으로 운용했으나 우크라이나군의 전력 열세로 돌파구 형성 등 러시아군의 방어체계를 와해하는 데 실패했으며, 상대적으로 치명적인 전력 손실을 입었 다고 분석할 수 있다.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은 무인기 및 포병을 활용한 지상 작전에 사활을 걸고 있다
양측 모두 감시정찰 및 타격용 무인기, 자주포 및 곡사포 등의 운용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 며, 대반격 작전이라는 특정 국면에서 무인기 및 포병 체계의 피해율도 그만큼 비례했다.
이는 인명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는 도덕적 책무와 함께 병력 동원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해 무인기 및 포병 체계의 운용 비중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무인기로 획득된 표적 정보에 대해 FPV(First Person View) 자폭 드론과 포병 공격은 물론, 감시정찰용 무인기를 통한 피해평가 환류 등 일련의 전투 수행방법이 현대전의 뉴노멀(New Normal)로 정착되는 등 우크라이나 전쟁
을 통해 화력 체계와 무인기를 활용한 합동작전의 중요성이 확인됐다.
미래전의 압축판과 같은 우크라이나 전쟁은 생존성은 최소화하면서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드론 및 무인기 등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도입을 통한 병력 절감형 군구조로의 전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런 배경 에서 인구절벽 및 북한 위협 등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안보 위기 대응을 위해 인식의 전환과 제도 혁신 노력이 요구된다.
4.결론 및 시사점
러시아 당국은 2022년 부분 동원 선포 이후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동원태세와 전시 경제 체계를 확립했고, 이를 바탕으로 전장에서 요구하는 각종 재래식 무기와 탄약의 기하급수적 생산 및 공급을 통해 전쟁 장기화 및 나토의 확장에 대비하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개전 이후 드론 및 무인기 생산량을 17배 가까이 확대했으며, 포병 탄약은 연내 25배 증산할 계획이다.11)
러시아 국방부 및 방산 업체 등 군산복합체는 긴요 무기체계의 즉시 전력화를 위해 5~8년 소요되던 획득 기간을 4~7개월로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등 사실상 전시 획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12)
러시아 교 육 당국은 국가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중・고등학생 교과과정에 드론 및 무인기 운용을 필 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등 민간 영역의 드론 및 무인기 역량을 특별군사작전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 한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
한편, 우크라이나가 자력으로 생산 가능한 유일한 무기체계는 드론 및 무인기 분야이다.
우크라 이나 당국은 작년 12월 한 달간 약 5만 대의 FPV 자폭 드론을 생산했으며, 올해 백만 대 가까운 자폭 드론을 생산하는 등 드론 및 무인기의 기하급수적 공급을 통해 전쟁 장기화에 대비할 계획이 다.13)
잘루즈니 우크라이나군 전 총사령관은 “무인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유・무인 복합전투체 계는 싸우는 방법과 전략적 사고방식에도 혁명을 가져왔다”고 평가했다.14)
11) Известия. (2023. 8. 15.). “Производство боеприпасов «Краснополь-М2» в 2024 году вырастет в 25 раз.”
12) ТАСС. (2023. 12. 19.). “Российская армия - самая боеспособная в мире. Шой гу рассказал об итогах года и ходе СВО.”
13) The KIYV Independent. (2023. 12. 20.). “Minister: Ukraine already produced 50,000 FPV drones in December.”; REUTERS. (2023. 12. 21.). “Ukraine to produce a million FPV drones next year - minister.”
14) CNN. (2024. 2. 1.). “Ukraine's army Chief: The Design of war has changed.”
우크라이나군은 드론및 무인기를 활용해 전쟁 장기화 및 서방의 무기 지원 축소 정책에 대비하고 열악한 제공작전 여건 개선을 위한 돌파구를 모색하는 등 ‘빈곤의 무기’를 활용한 ‘가성비 전투 효과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2023년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의 주요 무기체계 피해율을 분석한 결과, 양측 모두 무인기 및 화력 체계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는 경제 문제 및 사회 저항 등의 이유로 총동원령 발령이 불가능하며, 우크라이나 또한 총동원령 상황에도 동원 자원 확보가 여의치 않기 때문에 양측 모두 드론 및 무인기의 기하급수적 생산 및 공급을 통해 사람을 대체할 전투수단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한국 사회의 인구절벽 및 북한 의 무인기 위협 고도화 등 미래 작전환경 변화에 대비해 드론 및 무인기 등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의 적극적인 전력화가 필요하다.
지난해 한국과 북한의 합계출산율은 각각 0.7명과 1.8명으로 나 타났다.
지금과 같은 저출산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23~2027 국방중기계획’에서 요구하는 상비병 력의 최소 수준인 50만 명 유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향후 남북한 병역자원의 격차는 더 벌어질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발전을 통해 병력 절감형 군구조로의 질서 있는 전환은 필연적이다.
또한 드론 및 무인기가 야전 제대별 편성 장비라는 통념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소모성 무기체계’로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특히 타격용 드론 및 무인기를 대량 보급하 여 전투능력은 극대화하되 전시 인명피해는 최소화는 등 작전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 가 있다.
둘째, 북한 위협을 고려하여 긴급한 전력증강이 요구되는 분야에 대한 차별화된 획득제도를 정립해야 한다.
러시아는 물론 우크라이나 당국은 위협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획득제도를 도입해 긴요 무기체계의 속도감 있는 전력화를 통해 전쟁지속능력을 확충하고 있다.
우리도 한반도 안보 상황의 특수성과 현대전의 특성을 고려한 획득제도 개선 및 적용이 필요하다.
2023년 보스토치니 정상회담 이후 러북 간 군사협력이 심화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에서 신뢰성이 검증된 러시아의 드론 및 무인기가 북한에 대량 유입될 수 있다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여 한국형 드론 및 대드론 체계의 조기 전력화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나아가 드론 및 무인기를 별도의 무기체계로 분류하여 획득제도 초기 단계에서 소요군 간 합동성 을 제고하고, 민관군 기술 수용성과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유사시에 대비해 해외 구매 드론 및 무인기의 적정 비중을 고려하되, 한국군 체계와의 상호운용성 극대화를 위한 표준화 작업 도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드론 및 무인기의 국가적 역량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드론 설계 및 운용을 전문적으 로 취급하는 특성화고 설립을 적극 검토하고, 일반 특성화고에 드론 생산 및 운용, 정비 관련 학과 를 신설하여 과학기술 전문인력 저변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역 자원에 대한 드론 특기 및 부특기 제도 확대 및 효율적인 병역자원 관리를 통해 유사시에 대비한 “드론 전사 풀(Drone Warrior Pool)” 구축 등 드론 및 대드론 관련 국가적 잠재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
국방논단1980호
'전쟁군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총체전력정책 사례연구를 통한 한국군 예비전력 정예화 방향 연구/강용구.국방大 (0) | 2024.11.15 |
---|---|
그리스도인과 전쟁, 그리고 평화 - 전쟁과 평화론의 3가지 유형 - /이상규.백석대 (0) | 2024.11.15 |
한말 의병부대의 의료실태와 한의사의 의병전쟁 참여양상/김성민.국민대 (0) | 2024.11.15 |
인천상륙작전 초기 구상과 좌절-블루하츠 작전에서 레드하츠 작전으로-/이상호(李相昊).군사편찬연구소 (0) | 2024.11.15 |
미국 기동전 사상의 형성에 관한 연구 - 미국의 공지전투(AirLand Battle) 교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김영환.국방대 (0)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