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이야기

‘여성 오이디푸스’의 환상을 통해 살펴본 심청의 환상과 자살의 의미/윤인선.전주대

<한글초록>

본 논문은 심청의 희생효적 죽음에 대해 ‘대상살해로서의 우회된 자살’이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그녀의 자살이 ‘여성 오이디 푸스’로서 그녀가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환상에 기인하고 있음 과 함께 그녀의 자살행위가 무의식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효녀이자 착한 ‘아버지의 딸’로서, 청이 아버지 와의 관계에서 보여준 희생적 삶은 그녀가 아버지를 위한 희생의 환상과 아버지 구출의 환상을 지니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프로이트(Freud)와 브로이어(Breuer)의 히스테리 연구사례 중에서, 그녀처럼 ‘여성 오이디푸스’이며, 또한 히스테리 환자였던 안 나 오(Anna O.)와 엘리자베스 폰 알(Elisabeth von R.)의 환상에 대한 분석은 그 환상들의 핵심이 오이디푸스적 욕망에 있었음을 밝혀주었다.

프로이트는 그녀들의 히스테리 증상의 원인을 그녀 들이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갖는 환상에서 찾아낸 바, 심청의 희 생효적 자살행동의 원인도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갖는 그녀의 환 상에 있었다. 청이 그녀들의 경우와 다른 것은 자신이 ‘아버지에 게 버려졌음’을 깨달으면서, 그녀의 환상이 복수의 환상으로 변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녀가 자살 행동을 결행하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그녀의 희생효 이야기에서 ‘아버지의 딸 버림’은, ‘남자들 사이의 여성 교환’으로 이루어지는 친족관계에 바탕한 사회구조에서 결혼적령기의 딸에게 자신과의 근친애적 사랑의 관계를 끊고 친족이 아닌 다른 남자를 만나라는 아버지의 무의식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또한 ‘아버지의 버림’에 대응한 청 의 자살행위에는 두 가지 상반되는 양가적 욕망―아버지의 분리 메시지를 거부하는 그녀의 아버지를 향한 근친애적인 욕망과 동 시에 ‘아버지의 딸’로서의 삶을 끝내고 아버지가 아닌 다른 남자 를 사랑하는 ‘여성되기’의 욕망―이 담겨 있음을 볼 수 있다.

▶ 주제어: 심청, 안나 오, 엘리자베스 폰 알, 여성 오이디푸스, 아버지의 딸, 희생과 구출의 환상, 여성되기

I. 서론

한국에서 대표적인 희생효 이야기로 알려져 있는 『심청전』의 여주 인공 심청의 이야기는 그 이야기가 시작된 지 수백 년이 지난 지금도 여 전히 칭송받고 있다. 비록 이효상효(以孝傷孝)의 의문이 제기된다 하더 라도 그녀가 ‘착한 딸’이었다는 것에 대하여는 아무도 부정하지 않는다. 그녀의 이야기는 지금도 한국에서 부모와 학교 교사가 어린 아이들에게, ‘착한 딸’이 되기 위해서 취해야 할 태도의 모범으로 들려주는 대표적인 교육 메시지가 되고 있다.

『심청전』에 대한 다양한 연구 중에서도 특히 정신분석적 연구(조두 영 1999; 류인균 2004)는 심청의 효와 가족 구성원들의 역학 관계를 프 로이트의 이론에 의거하여 조명함으로써 심청이라는 인물과 그녀의 희 생효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연 구들은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파는 딸의 희생효에 주목하면서 도 청이 ‘착한 딸’이며 ‘효녀’라는 사실에만 주목하고 있을 뿐이며, 그 딸 이 단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한다는 명목으로 ‘왜’ 자신의 목숨까 지 내 놓으려고 했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성찰은 매우 드물다.

이를 위하 여서는 아버지인 심봉사와 딸인 청의 의식적 차원에서의 부녀관계만이 아니라 그들의 무의식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부녀관계에 대한 고찰이 필 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심청전』의 아버지와 딸의 관계에 대 한 정신분석적 연구에서, 심봉사와 청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 이 해와는 매우 상반되는 접근을 하고 있는 윤인선의 기존 논문들(윤인선 2010a; 2010b)의 주장을 논의의 출발로 삼을 것이다.

윤인선은 심청 이야기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에서, 심청이 ‘착한 딸’이고 ‘효녀’라는 기존의 관념으로부터 벗어나, 아버지 심봉사와 청의 관계를 청의 관점에서 ‘버려짐과 버림’의 관계로 파악하고 청을 아버지 로부터 ‘버림받은 딸’로 규정하였다(윤인선 2002). 그에 따르면, 청은 아 버지를 사랑하는 ‘여성 오이디푸스’1)로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소 하지 못한 채 아버지와 근친애적 공생관계를 맺고 있는 ‘아버지의 딸’이 다.

1) 프로이트에 의하면 이성의 부모에 대한 사랑의 감정과 동성의 부모에 대한 적대감 에 가까운 질투의 감정을 일컫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의 여성을 가리킨다. 곧 오이디푸스 시기에 머물러, 무의식에서 여전히 아버지를 사 랑의 대상으로 삼고 있어 아버지와 심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못한 여성이다. 머 독(Murdock)은 이런 여성을 ‘아버지의 딸’이라고 불렀다(Murdock 1994/1996; 윤인선 2010a: 32).

그녀는 아버지가 자신의 눈을 뜨고자 공양미 삼백 석의 시주를 약속 한 것으로 인해 아버지로부터 자신이 버림받았음을 ‘심리적 현실’로 인 식하고, 아버지를 향한 자신의 사랑이 배반당했음을 깨닫고 극도의 우 울증에 빠진다(윤인선 2010b). 곧 심청과 심봉사의 이야기에서 그들 은 갈등 없이 서로 사랑하기만 하는 관계가 아니라, 근친애적 사랑의 관 계 속에서 서로 버려지고 버리는 긴장과 갈등의 관계를 이룬다(윤인선 2010a: 30-31). 저자는 또한 심청이 자신과 모녀의 정을 맺은 장승상 댁 부인에게 공양미 삼백 석을 얻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자신을 인당수의 제물로 팔았다는 사실을 증거로 심청의 죽음을 ‘효를 가장한 자살’로 규 정하고, 청의 자살이, 현실적으로는 아버지의 공양미를 해결해주는 목적 을 이루게 함으로써 그녀가 효녀라는 사회적 평가를 얻게 하는 한편, 아 버지는 결국 ‘딸 팔아먹은 아버지’로 불리게 함으로써 그렇게는 절대 불 리고 싶지 않았던 아버지의 바람을 완전히 배반하는 목적을 이루고 있다 고 설명한다(윤인선 2010b: 99). 자신을 인당수의 제물로 팔은 청의 선 택은 스스로 죽고자 하는 매우 의도적인 자살 선택이며, 아버지로부터 ‘버림받은 딸’인 그녀가 이번에는 죽음을 통하여 아버지를 버리기에, 청 의 죽음을 아버지를 버리기 위해 의도된 죽음, 곧 ‘우회된 자살’로 정의 한다. 왜냐하면 그녀가 정말 죽이고 싶은 대상은 자기 자신이 아니라 바 로 자신을 버린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사랑하는 대상인 아버지를 자신 안에 섭취하고 적극적 의지로 상인들에게 자신을 팔아 죽음의 길로 떠난다. 그러므로 그녀가 인당수에 뛰어 들었을 때, 그녀가 죽인 것은 단 지 그녀 자신뿐만이 아니었다. 그녀의 무의식에서 그녀는 아버지도 자신 과 함께 죽인 것이다(앞의 책, 105).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선행 연구들의 연장선상에서 시작된다. 정신분 석적 해석은 효의 문화 속에서 감추어진 채 쉽게 드러나지 않았던 효녀 심청의 진정한 이야기를 말해주기 시작하고 있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효는 한국인의 추구하는 가치개념 중 최고의 덕목으로 한국 사 회에서 오랫동안 자리 잡고 있음으로써, 우리 사회에는 효녀, 효부, 효자 의 이름으로 찬양되고 부양된 수많은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존재해 왔다.

아름다움으로 가장된 그 많은 미담 속에서 그 이야기들이 품고 있는 진 실되고 진정성 있는 이야기는 모두 효의 개념 아래 묻혀서 전면으로 드 러날 수 없었다. 그러나 정신분석적 독서를 통하여 우리는 효라는 개념 뒤에 감추어져 있는 열다섯 살 소녀의 진정한 이야기를 만나게 되고, 아 버지의 맹인 탈출을 기원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팔아야 하는 딸의 이 야기가 더 이상 아름다운 이야기가 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앞의 작업 에서 볼 수 있듯이, 『심청전』에 대한 정신분석적인 독서는 우리에게 이 작품 속 중요 화소들에 대한 수많은 새로운 해석을 제기한다. 정신분석 적 독서를 통하여 우리는 이 이야기를 만들어 전달해 왔던 익명의 수많 은 저자들이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도 희생하는 딸의 이야기를 만들고자 했던 의식적인 욕망 뒤에 감추어져 있던 ‘그들 자신도 모르는 무의식적 욕망’이 이 이야기 속에 담겨 있음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는 심청의 자살에 대한 원인으로 위에서 언급한, 아버지의 공 양미 해결과 청이 받을 효녀라는 사회적 평가, 그리고 ‘아버지의 버림’에 대한 ‘아버지 버림’이라는 정신적 차원의 복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무의식적 차원에서 아버지를 사랑의 대상으로 삼고 있던 ‘여성 오이디푸스’인 ‘아 버지의 딸’ 청이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근본적으로 어떤 환상을 가지고 있었는지, 그리고 그 환상을 지지하는 욕망은 무엇이었는지 밝힘으로써, 그녀의 죽음의 특성과 의미를 찾고자 한다.

그녀가 과년(瓜年)한 효녀로 서 남근기를 지나며 자연스럽게 해소되어야 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소하지 못한 채 ‘여성 오이디푸스’로서 ‘기본적으로’ 아버지를 위한 희 생과 아버지 구출의 환상을 지니고 있었음은 그녀가 어린 시절부터 아버 지를 정성스럽게 봉양하고, 나아가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희생 하는 지나친 효행을 행한 사실에서 추정된 것이었다. 본 논문은 그녀의 환상에 대한 증거자료로 그녀처럼 효녀면서 ‘여성 오이디푸스’며, 이성 관계가 전혀 없었던, 브로이어와 프로이트의 두 환자인 안나 오와 엘리 자베스 폰 알의 환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그녀들의 환상 속에 아버지를 사랑의 대상으로 삼는 ‘아버지의 딸’들의 오이디푸스적인 욕망이 핵심으 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려 한다.

여기에서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부분은 그녀가 아버지 를 지극한 효행으로 섬기는 ‘착한 딸’이지만, 또한 당시 사회적 관습으로 는 결혼 할 나이에 이른 여성으로서, 오늘날의 청소년에 해당하는 발달 기에 이른 ‘성적인 존재’라는 사실이다. 우리의 분석은 그녀의 희생효적 자살행위가 그녀의 착한 마음이나 효를 숭상하고 부추기는 문화 때문에 만 생겨난 것은 아니며, 그녀가 ‘여성 오이디푸스’로서 아버지와의 관계 에서 갖는 환상이야말로 그녀의 희생효적 자살의도를 가장 잘 말해줄 수 있는 무의식적 동기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 될 것이다.

II. ‘여성 오이디푸스’인 히스테리 환자의 환상과 욕망

1. 효녀 심청과 환상의 정신분석

심청의 이야기를 통하여 포착하게 되는, 한국에서의 ‘착한 딸’은 곧 부모의 말을 잘 듣고, 부모에게 헌신하는 딸인데,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특히 가장인 아버지에게 헌신하는 딸이다. ‘효’라는 문화적 장치에서 아 이들의 효행의 대상은 직접적으로 그들의 부모이지만, 그 범위는 아버 지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대상, 예를 들면 가깝게는 남편, 남자 형제들, 가족의 명예, 그리고 좀 더 나아가 교사, 이웃 남자들, 그리고 국가 등으 로까지 쉽게 확장된다. 남근의 특권이 지배하는 효의 문화에서, 아버지 를 무의식적 차원에서 사랑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아버지의 딸’들은 아 버지 또는 아버지를 대체하는 대상을 위하여 자신을 희생할 준비가 되 어 있다. 그녀들에게 효의 개념은, 아버지를 향한 그녀들의 근친애적 사 랑이 효 문화의 지지를 받아 보통의 딸들에게서보다 더 강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녀들의 근친애적 사랑은 남근기에 형성된 오이디푸스적 인 사랑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효가 인간성을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척 도로 작용하고 효의 덕목을 다른 어떤 덕목보다 우선시하는 한국과 같은 효행 중시 사회에서는 그 사랑이 매우 자연스럽게 효행으로 가장되어 드 러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많은 오이디푸스들은 효의 이름으로 자 연스럽게 자신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감출 수 있다.

철저한 가부장적 사회에서 자란 청은 바로 이렇게 효를 중시하는 환 경에서 탄생한 한국형 ‘여성 오이디푸스’로 아버지를 위하여 죽을 수 있 는 준비가 되어 있는 ‘아버지의 딸’이다.

『히스테리 연구』(Etudes sur l’hystérie)에서, 브로이어와 프로이트의 환자였던 안나 오와 엘리자베스 폰 알의 사례를 보면, 그녀들이 모두 심청과 같이 아버지를 사랑했고, 아 버지로부터 사랑받았으며 또한 아버지가 병을 앓게 되자 그를 간호하기 위해 헌신했었던 것을 볼 수 있다(Freud & Breuer 1895/1994: 39-64; 154-204). 그녀들은 모두 심청과 같이 아버지를 사랑의 대상으로 여긴 ‘여성 오이디푸스’의 전형이었다.

브로이어의 환자였던 안나 오는 아버지가 1880년 7월에 심한 종기 에 걸려 이듬해 4월에 임종하였을 때 21살이었는데, 브로이어는 그녀 의 병이 아버지가 아픈 시점부터 잠복되기 시작했다고 생각했다. 그녀 는 아버지가 병에 걸린 초기의 몇 달 동안 간호인으로서의 자신의 역할 에 모든 힘을 쏟아 부었다. 그 결과 그녀의 건강상태는 극도로 나빠져서 아버지를 더 이상 돌볼 수 없게 되었다. 아버지를 향한 그녀의 사랑에도 불구하고 병으로 인해 아버지를 드물게만 볼 수 있었다. 아버지의 죽음 은 “그녀가 겪을 수 있는 가장 커다란 충격”(앞의 책, 18)이었고 그녀는 이틀 동안 격렬한 흥분에 뒤이어 극도의 탈진상태에 빠졌다. 브로이어 가 묘사한 바, 그녀는 진정으로 아버지를 사랑하였다. 그가 병에 걸리자 그녀는 곧 자발적으로 나서서 온 힘을 다하여 희생적으로 간호사의 역 할을 맡았다. 그녀는 아무하고도 결코 연애를 한 적이 없었으며 그녀의 삶에서 성적인 요소는 ‘놀라울 정도로’ 거의 드러난 것이 없었는데, 이러 한 특징들은 우리에게 ‘여성 오이디푸스’를 구성하는 기본 골격을 암시 해준다.

프로이트의 환자인 엘리자베스 폰 알 역시 안나 오와 마찬가지로 ‘여성 오이디푸스’의 전형적인 경우이다. 그녀는 세 딸 중의 막내였고, 부모에게 애착을 보이고 있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건강이 나빴기 때문에 그녀는 아버지에게 많이 집착하고 있었다. 아버지는 쾌활한 성격으로 인 생을 즐길 줄 아는 남자였는데, 자신의 막내딸이 그에게는 그와 함께 생 각을 나눌 수 있는 아들이자 남자친구를 대신한다고 습관처럼 말하곤 하였다. 곧 그녀를 여성이 아닌 남성으로 대한 것이다. 그녀는 아버지에게 지적인 차원에서 많은 것을 얻었다.

그녀는 야심에 찬 수많은 계획을 마 음속에 품고 있었고 자신의 여성성에 대하여 매우 불만스러워했으며 자 신의 계획들을 실현하도록 격려해주는 아버지에 대해 자랑스러워했다. 그녀의 이러한 특성들은 바로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함으로써 스스로 여성이 되는 것을 거부하는 ‘아버지의 딸’의 면모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아버지가 폐수종으로 위기에 처하며 갑작스럽게 환자 가 되자 일 년 반 동안 그녀는 가족 중에서 가장 많이 그를 돌보았는데, 어느 날, 아버지의 붕대를 아침마다 갈아줄 때 아버지가 부어오른 다리 를 올려놓았던 장소인 그녀의 오른쪽 넓적다리에 통증이 생기면서 그녀 의 히스테리 증상이 시작되었다.

위의 두 사례는 심청이 눈먼 아버지를 봉양하며 살았던 상황과 정도 의 차이는 있지만―청은 아주 어린 나이 때부터 항상 아버지를 돌봐야 했 고 안나 오와 엘리자베스 폰 알은 아버지가 병에 걸리면서 돌보게 됨―심 청의 사례와 함께, 모두 아버지를 사랑했던 ‘여성 오이디푸스’로서 아버지 가 위기에 처하자 희생적으로 아버지를 위해 헌신했다는 공통점을 보인 다.

프로이트는 “간호사의 역할이 히스테리 발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 을 한다”(앞의 책, 128)는 것을 발견하고 있다. 그녀들이 간호하는 대상 은 대체로 부모인데, 그중에서 특히 아버지일 경우가 많다. 환자를 간호 하는 사람은 그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해야 한다. ‘희생’ 은 히스테리 환자들의 공통적인 요소이며 또한 부모에게 희생효를 행하 는 자녀들의 공통적 특성이기도 하다. 희생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효행 대상인 부모나 간호대상으로부터 사랑을 받으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 으며, 희생의 정신구조 안에는 대상으로부터 자신의 인격이 높이 평가되 고 자신의 가치가 그만큼 더 인정받기를 바라는 욕망이 존재한다.

곧, 자신을 희생하며 부모를 돌보는 히스테리 환자들의 부모를 구출하려는 환 상 속에는, 효녀 효자에게서처럼, 부모에게 인정받고 사랑받고자 하는 욕망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히스테리는 “신경증 환자가 자신의 환상 에 근거해서 옭아맨 타자와의 관계”(Nasio 1990/2001: 25)에서 발생하 는데, 그는 환상 속에서 희생자 역할을 맡음으로써 그의 자아는 ‘만족하 지 않는 자아’와 ‘슬퍼하는 자아’의 모습을 보인다(앞의 책, 21-36).

청 이 어린 시절부터 맹인인 아버지를 돌봐왔다는 사실은, 효녀로서, 아버지를 ‘맹인의 불편함에서 구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희생과 구출의 환상 을 스스로에게 제공함으로써 그 환상이 아버지를 잘 섬기는 행동으로 구 체화된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그녀의 환상은 아버지에게 끊임없이 효 에 대한 가르침을 받으며 더 강화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그녀는 아버 지의 공양미 약속을 자신의 근친애적 사랑에 대한 배신으로 인식하며 인 당수의 제물이 되어 죽음을 결행하였다.

‘아버지로부터의 버려짐’이라는 극단적인 고통 상황에서, 그녀는 보통의 히스테리 환자처럼 신체의 어느 한 부분을 마비시키거나 더 예민하게 만들어 고통을 야기하는 것이 아니 라, 죽음으로써 자신의 온 몸을 원초적으로 무화(無化)시키는 끔찍한 히 스테리 증상을 보였다고 말할 수 있다.

프로이트의 두 환자와 청처럼 부모에게 헌신적인 딸은 한국사회에 서 흔히 ‘효녀’라 불린다. 효를 중시하는 한국문화는 그녀들의 효행을 지 지하고 부추김으로써 그녀들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강화시킨다. 그 에 반해 서양에서는 한국에서처럼 효가 개념으로 존재하며 자녀에게 강 요되지는 않지만 프로이트의 사례에서 보듯이 효녀는 여전히 존재한다.

매리언 우드맨(Marion Woodman)이 말했듯 지배적인 가부장적 문화 속 에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아버지의 딸’(Murdock 1994: xv)일 수밖에 없 기 때문일까? 그녀들이 ‘여성 오이디푸스’인 한 그녀들은 ‘아버지를 구하 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환상’을 먹고 자란다.

아버지를 무의식적 차원에서 사랑의 대상으로 여겼던 우리의 주인공 청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이 는 환상이 아버지를 맹인의 상태에서 구하고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던 것처럼, 우리는 프로이트의 환자였던 안나 오와 엘리자베스 폰 알에게서 아버지를 위한 희생과 구출의 환상을 발견 한다.

그들의 구체적인 환상의 내용은 ‘여성 오이디푸스’로서의 심청의 환상과 욕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서 그 분석과 함께 다음 장에서 언 급될 것이다.

그렇다면 환상이란 무엇인가? 환상은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현실 적인 기초나 가능성이 없는 헛된 생각이나 공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라 루스(Larousse) 사전』은 환상의 프랑스어인 fantasme을 ‘특히 정신분석 에서 다소 의식적인 욕망을 옮겨놓은 상상적 표현, 무의식적 욕망을 완 성하는 시나리오로, 백일몽, 계획들처럼 의식적일 수도 있고, 꿈, 신경증 적인 증상들처럼 무의식적일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우리가 살펴보고자 하는, 청을 위시한 ‘여성 오이디푸스’들의 환상은 이렇게 의식적일 수도 있고 무의식적일 수도 있다.

프로이트가 환상의 중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바로 그의 유혹 이론에서부터이다. 히스테리를 연구하면서 그는 자신의 환자들이 기억 하는, 네다섯 살 때 성인 남성에 의해 유혹받았던 장면들이 그녀들의 환 상이었다고 깨달았다. 그는 그녀들이 겪은 ‘심리적 현실’을 실제로 현실 에서 일어났던 ‘물리적 현실’로 기억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심리적 현 실’은 ‘물리적 현실’에 의거한 사실들로부터 만들어진 환상에 대한 분석 을 통해 읽혀질 수 있는데, 실제로 사실로부터 많이 떨어진 것일 수도 있다. 환상은 바로 만족되지 못한 욕망으로부터 생기는 허구이기 때문 이다. 그러므로 환상의 가장 중요한 재료는 바로 욕망 자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욕망 없는 인간을 상상할 수 없다. 인간의 욕망은 충족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부터 현실을 왜곡하는 환상이 생겨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저마다 독특한 환상은 욕망의 완성이며, 만족되지 못한 현실의 수정물이다”(Freud 1919/2001: 259).

욕망은 이렇게 환상 을 통하여 그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므로, 환상은 마치 욕망을 가리는 베 일과 같다. 그러므로 감추어진 무의식적 욕망을 깨닫기 위해서는 환상의 분석이 필요하다. 욕망과 환상은 같은 대상의 양면을 이루며, 서로가 없 이는 결코 그 어느 것도 존재할 수 없기에, 환상을 이해하는 것은 곧 욕 망을 깨닫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심청의 이야기 속에 담겨 있는 진실을 알고자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청의 환상을 이해함으로써 그녀의 욕망을 깨달아야 할 것 이다. 우리가 문학작품의 주인공의 환상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작가의 환상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며, 그 환상을 분석하여 베일을 벗겨냄으로써 우리는 주인공과 작가 그리고 사회가 지닌 욕망이 어떤 지점에서 만나고 흩어지는지 밝혀낼 수 있을 것이기에, 수많은 문학독서의 방법론 중에서 우리는 유독 정신분석적 독서에 관심을 갖게 된다.

글쓰기를 건축에 비 유한 아쑨(Paul-Laurent Assoun)에 따르면, 문학의 정신분석적 해석은 “작품에 나타난 징표들의 건축술을 연구하는 것인 바, 그 징표들은 작 품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이 표현하고 있거나 또는 숨기고 있는 욕망이 만 들어낸 ‘무의식적인 사고’를 배반하며 드러낸다”(Assoun 1996: 80).

아쑨은 이러한 환상들을 해독하는 것이 “그것들의 가면을 벗기고 특히 그들의 ‘최초의 원인으로 거술러 올라가고자 하는’ 환원을 시행하 는 것이며, 환상은 욕망에 베일을 입히는 작업으로 그 효과는 실제로 성 적인 내용을 일종의 승화작용을 통하여 성적이 아닌 것으로 포장하는 것”(Assoun 2007: 32)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환상의 분석은 성적인 욕망이 찬양하며 위대하게 만들거나 이상화시키는 기능을 통하여 승화 된 것을 다시 원래의 성적인 욕망으로 환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우리는 심청과 프로이트의 두 환자들에 대한 환상의 분석을 통하 여, 그녀들의 아버지를 위한 희생과 아버지 구출의 환상이 근원적으로 오이디푸스적 욕망에 있으며, 이 욕망은 사랑의 대상 선택을 핵심 주제 로 하는 성적 욕망이라는 것, 따라서 심청 역시 결혼을 앞둔 적령기의 여 성으로서 성적 존재였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2. 아버지를 위한 희생과 구출의 환상과 오이디푸스적 욕망

심청 이야기가 한국의 옛이야기 책에 실려서 한국의 모든 어린아이 들이 그녀의 이야기를 읽거나 듣는다면, 이것은 그녀가 아이들, 특히 여 자아이들이 본받아 행하여야 할 모범적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뜻할 것이다. 이는 여자아이들의 의도와 상관없이, 그녀들에게 부모, 특히 아 버지를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고, 또 희생해야 한다는 환상을 만들어준 다. 청 역시 자라면서 수많은 성현들의 효행이야기를 들으며 자랐기에 희생효의 환상은 이미 거기에서 싹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침내 그 녀의 환상은 효의 이름을 빌린 자기희생적 죽음으로 실현된다. ‘희생’이라는 단어는 종교적이며 철학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그것은 무엇인가를 포기하는 것과 관련된다. 어원적으로 볼 때, 희생에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의미가 부과되어 있는데, 바로 “종교적 의식을 완성시키 고자 하는 행위로서의 의미와 속세의 대상이며 존재를 성스럽게 만들도 록 하기 위해 행하는 의례적인 행위로서의 의미”(Lalande 1962: 938)이 다. 희생행위는 다시 말해, “의존과 복종, 후회 또는 사랑의 증거로서 재 물이든 목숨이든 그것을 제공하는 자와 분리되고, 또한 세속에 남아 있 는 모든 사람들과 분리되며, 자기 자신과도 분리되어 신에게로 주어지는 행위”(Chevalier & Gheerbrant 1969/1973: 839)인 것이다.

사람들은 보다 상위의 질서라는 명분에 순응하여 살아있는 자를 파괴하고 버리며 제물로 바친다. 이 행위는 또한 그 대상을 거부하고 버리는 것이며 나아 가 “우리가 소유하는 것과 종교적, 도덕적, 예술적 또는 실용적이기도 한 목적으로 얻을 수 있을 것에 대한 자발적인 훼손이기도 하다”(Lalande 1962: 939).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류에게 있어 희생의 첫 번째 예는 바로 최초 의 원시부족에게 일어난 아들들에 의한 아버지 살해이다.

그는, 원시 시대에 인간은 작은 부족으로 나뉘어 살고 각각의 부족들은 가장 강력 한 한 명의 수컷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앳킨슨(Atkinson)의 가설과 다윈 (Darwin)의 이론에 따라 ‘아들들에 의한 아버지 살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자신의 이론을 구축하였다.

그[최초 원시 부족의 아버지]는 부족 전체의 주인이자 아버지였 다. […] 모든 여성들, 다시 말해 그의 부족의 여자들과 그녀들의 딸들은 모두 그의 소유였다. […] 아들들의 운명은 고단했다. 아버 지의 질투를 일깨우게 되는 아들은 가차 없이 죽임을 당하거나 거 세를 당하거나 쫓겨났다. 그들은 쫓겨나서 작은 공동체 속에서 함 께 살게 되었고, 납치하여 여자를 얻었으며, 이런 식으로 하나씩 둘씩 최초 원시 부족의 아버지와 똑같은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 공동체를 이루어 살고 있던 그들은, 서로 연합하여 아버지와 싸워 그를 정복하고, 당시의 관습에 따라 아버지를 산 채로 먹어버 렸다. […] 식인 행위는 아버지의 일부를 내체화함으로써 그와 동 일시되려는 시도로 이해된다(Freud 1939/1986: 170-172).

그에 의하면, 원시 최초 부족의 아들들에 의해 이루어진 전제적인 아버지 살해와 그에 뒤이은 식인적인 식사는 그 후에 나타난 모든 희생 들의 원형이다. 이렇게 희생에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에 있어서 아들로 부터 생겨나는 욕망이 개입한다. 아들의 이 욕망은 오이디푸스적인 욕망 이고 희생은 거세의 문제로부터 발생한다.

이 남자아이가 남근기에 이르 러 가장 집착하는 두 개의 대상은 바로 어머니와 자신의 성적 기관, 페니 스이다. 그는 모든 오이디푸스가 맞이하는 운명 그대로, 어느 순간 이 기 관과 어머니라는 대상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할 순간을 맞이한다. 왜냐 하면 그의 환상 속에서, 아버지는 그에게 어머니를 가리키면서 “이 여자 는 내 여자야, 네가 이 여자를 포기하지 않으면 너를 거세할 거야”라고 말하며 대상을 바꾸도록 명령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남자아이는 자신의 기관을 구하기 위하여 어머니가 아닌 다른 여자로 욕망의 대상을 바꾼다. 이렇게 어머니라는 대상을 희생시킴으로써 그에게서 오이디푸 스 콤플렉스는 해소된다. 곧 더 이상 엄마를 욕망하지 않는 것이다. 그가 대상 대신에 자신의 기관을 희생한다면 그는 결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를 해소하지 못하고 계속 어머니를 욕망하는 오이디푸스로 남아 있을 것 이다.

남자아이의 경우와 달리 거세의 위협이 없는 ‘여성 오이디푸스’에 게, 환상 속에서 일어나는 희생의 정신구조는 아버지를 욕망하는 것에서 남자를 욕망하는 것으로 사랑의 대상이 변화하는 것을 받아들이느냐 거 부하느냐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욕망은 공존할 수 없기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나머지 다른 것의 희생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여 성 오이디푸스’가 아버지에 대한 욕망을 선택하는 것은 남자에 대한 욕 망을 포기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남자에 대한 욕망을 선택하는 것은 아버지에 대한 욕망을 희생하는 것이다. 아버지를 무의식적 차원에서 자 신의 욕망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은 딸이 진정으로 여성이 되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을 뜻하며, 그녀가 자신의 ‘여성되기’를 희생하고 ‘아버지의 딸’로 남아있고 싶어 함을 의미한다. 딸의 이러한 무의식적 욕망은 그녀 가 환상 속에서 아버지를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고 싶다는 의미이며, 어 려움에 처한 아버지를 구하기 위하여 ‘여성되기’의 욕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그녀가 구하고자 하는 아버지는 당연히 매우 강 하게 이상화된 아버지로서, 그녀의 영웅이며 사랑의 대상이다. 심청이 자신을 수양딸로 삼고 싶어 하는 장승상 댁의 제안을 거절하 며, 자신이 없으면 아버지의 남은 수명을 마칠 길이 없으므로 “제 몸이 다하도록 길이 모시려”(「심청전-완판본」: 107) 한다고 말하는 대목은 결혼 적령기에 있는 그녀가 아버지를 모시기 위하여 결혼을 하지 않겠다 는 뜻으로 해석되는 바, 이는 그녀가 무의식적 차원에서 아버지를 자신 의 욕망의 대상으로 선택함으로써 ‘여성되기’를 포기하고 ‘아버지의 딸’ 로 남아 있을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윤인선 2010a: 39).

아버지를 위하여 죽거나 아버지의 이름으로 자신을 희생하는 환상 은 히스테리 환자들의 임상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브로이어와 프로이 트의 환자들 가운데서, 안나 오와 엘리자베트 폰 알은 모두 병든 아버지 를 돌보고 있었던 기간에 히스테릭한 증상들을 보여주었다. 그녀들은 ‘여성 오이디푸스’로서 아버지를 사랑하고 있었고, 또 그들로부터도 사 랑의 대상으로 선택된 ‘아버지의 딸’들이었다. 그녀들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는 그녀들이 스스로를 희생함으로써 아버지를 구출하려는 전형적인 환상에 사로잡혀 있었음을 볼 수 있다.

1) 안나 오의 사례

안나 오는 자신이 스스로 명명한 “자신만의 개인극장”(Freud & Breuer 1895/1994: 21)에서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곤 했는데, 일반 적으로 “환자의 병상 머리맡에서 고통스러워하는 한 소녀의 경우를 이 야기의 출발점 또는 중심 이야기로 선택하고 있었다”(앞의 책, 21). 그녀 는 자신이 주인공을 맡는 환상적인 시나리오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도 “대체적으로 아버지의 여읨에 대해 회상하는 것 같이 보였다”(앞 의 책, 24). 프로이트가 보았을 때, 아버지의 상실은 대부분의 환자들의 경우 증상을 야기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다. 안나 오에게 맨 처음 나타났던 증상은 오른팔 경직이었는데, 프로이 트는 그 원인이 그녀가 아버지를 돌보는 동안 느꼈던 두려움 때문이라 는 것을 발견했다. 그녀가 상상해낸 수많은 장면들 가운데에서 이 경직 을 야기한 환상은 그녀의 아버지를 죽음의 위험에서 구해내는 환상과 겹 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환상은 또한 그녀가 갖는 이중의 욕망에 대한 죄 책감을 잘 보여주는데, 그 욕망이란 바로 아버지에 대한 근친애적인 사 랑의 욕망과 아버지가 아닌 다른 남자를 향한 욕망이다. 곧 사랑의 대상 에 대한 갈등이 죄책감으로 나타난 것이다. 심한 열에 시달리는 아버지 에 대한 극심한 걱정 상태에서 눈을 뜬 어느 날 밤, 그녀는 조급하게 외 과 의사를 기다리면서 다음과 같은 몽상상태에 빠졌다.

 

검은 뱀 한 마리가 벽에서 튀어 나와 환자를 물려고 다가가는 것 을 보았다. […] 그녀는 뱀이 도망가도록 하고 싶었으나 감각이 없 는 오른 팔을 ‘움직이지 못하고’ 마치 마비된 것처럼 의자 등에 몸 을 기댄 채로 꼼짝하지 못하고 있었다. 자기의 팔을 바라보자 자신 의 손가락들이 죽은 자의 머리를 달고 있는 (손톱부분) 작은 뱀들 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앞의 책, 28).

그 후 조금이라도 뱀을 환기시킬 수 있는 대상이 있을 때마다 그녀 는 환각에 빠지며 오른팔이 뻣뻣하게 경직되었다. 검은 뱀의 공격으로부 터 아버지를 구하고자 한 그녀의 시도는 아버지를 구하고자 하는 환상의 핵심을 이룬다. 그러면 안나의 이 환상에서 베일을 걷어내는 작업을 통 하여 그 기원에 있는 욕망에 다가가 보자.

뱀은 인간에게 마치 용처럼 자주 숭배의 대상이 되는 동물이다. 뱀 은 동양의 점성술에서는 십이 간지 중에서 용 다음인 여섯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뱀의 한자어인 사(巳)는 식물들이 싹을 트고 기운차게 자라나 는 시기를 의미하는데 음력 4월이 정확히 이 시기와 일치한다. 이는 뱀 이 생명의 시초에서 그 기원과 관련됨을 말해준다. 많은 신화와 전설에 서 뱀은 신처럼 간주된다.

따라서 많은 신들이 뱀의 형상을 하고 있다. 중국의 상고대 시조설화에서 나타나는 삼황 중의 첫 번째로 꼽히는 복희 는 태호(太昊), 곧 큰 하늘이라고 불렸는데, 그의 아내이자 누이인 여와 와 함께 하반신은 뱀, 상반신은 사람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중국인들에 게 물의 신 또한 뱀의 형상을 하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원초적인 혼돈에서 나온 최초의 여성인 티 아마트(Tiamat) 여신은 뱀과 비슷한 거대한 용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 녀는 바닷물인 염수의 화신이기도 한데 이 또한 바다가 생명과 죽음의 장소로 어머니를 상징하는 것과 연결시키면 그녀는 생명의 시초에 있는 존재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한 어머니이다. “세상의 창조자 인 이 최초의 어머니와 뱀의 형상과의 연합은, 창세기에 나오는 인간들 의 최초의 어머니인 이브(Eve)와 뱀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삶을 의미하 는 이브 또는 에바(Eva)라는 최초의 어머니의 이름이 뱀과 삶을 동시에 가리키는 단어인 헤바(heva) 또는 하바(hava)에서 온 것이라는 사실에 서 다시 나타난다”(Romey 1995 : 519).

생명의 기원과 관련된 원형(原 型)으로서 “뱀의 이미지는 마음의 가장 원형적인 층에 스며들어 있다” (앞의 책, 519). 뱀은 그러므로 “영혼도 상징하고 리비도도 상징하는 이 중적 상징이다”(Chevalier & Gheerbrant 1969/1973: 182).

이 리비도 는 삶의 충동으로 “에로스적 힘의 표출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데, 이 때 이것은 죽음 충동의 에너지와는 분리된다”(Freud 1930/1994: 307).

뱀이 또한 남성 성기의 형태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우리는 어렵지 않게 뱀의 남근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의 신화와 전설 등 의 옛이야기에는 페니스를 지닌 남자 또는 여성을 유혹하는 남성성에 대 한 표현으로 뱀류를 다루고 있는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여러 가지 다양 한 글을 묶은 잡록 형식의 모음집인 16세기 『용재총화(慵齋叢話)』2)에는 앞의 이야기와 같은 유형으로 뱀으로 환생한 한 중의 이야기가 실려 있 다.

2) 1525년 경주에서 발간된 성현(1439-1504)의 문학과 풍속 이야기 모음집.

중은 밤이면 한 시골 여성의 집에 비밀스럽게 다니곤 했는데, 그러던 어느 날 죽게 되었다. 뱀으로 환생하여 이승으로 다시 돌아온 그는 낮에 는 항아리 안에 숨고 밤에는 그 여성과 관계를 가졌다. 그런데 그 비밀이 밝혀지자 그 마을의 수령이 그를 궤 속에 가두고 물속에 던지게 했다고 한다. 이 책에는 또한 뱀으로 환생한 비구니의 이야기도 나온다, 그녀는 금욕의 고행을 하던 중 자신과 성관계를 하고는 자신을 완전히 잊은 남 자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뱀으로 환생하였다. 뱀과 관련된 이러한 이야 기들에서 뱀이 불교적 세계관에 따른 환생을 통하여 이승에 다시 왔다는 점과 중과 비구니도 그 주인공이 되고 있는 사실을 통하여 우리는 불교 적 관점에서도 뱀이 성을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오랫동안 아 이가 없던 여자들이 넓적다리 사이에 뱀을 품거나 물 위에 떠다니는 뱀 의 알을 먹은 후에 임신할 수 있었다는, 민간에 떠도는 많은 이야기들과 함께, 뱀이 남성의 성적 기관을 상징함과 동시에 인간의 성적 욕망과 동 일시되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버지를 자신의 사랑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안나 오의 환상 속에 서, 아버지를 공격하는 뱀은 그녀의 새로운 사랑의 대상을 상징하는 것 으로 보인다. 안나 오는 아버지가 병으로 죽을 것을 예감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그녀가 자신의 유일한 사랑의 대상을 잃어버리는 것이기에 그녀 를 심히 두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그녀의 무의식은 그녀에게 아버지가 아닌 다른 남자의 필요성을 예고해 주었을 것이고, 이는 또한 그녀에게 아버지에 대한 그녀의 배반을 의미했을 것이다. 이 배반에 대한 죄책감 은 또한 아버지에 대한 그녀의 근친애적인 사랑에 대한 죄책감을 불러일 으킨 듯하다.

바로 이러한 이중의 죄책감이 그녀가 환각 속에서 뱀을 쫓 아버리려 할 때마다, 다시 말해 무의식 차원에서는 자신의 성적 욕망을 뿌리치려고 할 때마다 그녀의 오른팔을 경직시켰던 것이다.

뱀들의 환상과 연결된 그녀의 히스테리적 증상은, ‘여성 오이디푸 스’로서 아버지를 구하기 위하여 또는 ‘아버지의 딸’로서 아버지 옆에 머 물기 위하여, 자신의 욕망을 희생하거나 자기 자신을 희생하는 여성의 환상이 오이디푸스적 욕망에 기인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아버지가 아 닌 다른 남성을 새로운 사랑의 대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아버지의 딸’ 이라는 위치를 거부하고 여성이 되고자 하는 그녀의 자연스러운 욕망은 그녀의 무의식에서 마치 아버지에 대한 배반처럼 인식되고, 바로 그 점 에서 아버지를 향한 사랑에 대한 죄책감이 탄생된다. 따라서 그녀의 환 상들은 아버지와의 “근친애적 관계의 환상에 대한 일종의 완곡 또는 희 석시키기”(Freud 1918/1999: 136; Assoun 2007: 31)를 위한 심리적 장치가 될 것이다.

 

2) 엘리자베스 폰 알의 사례

안나 오처럼 전형적인 ‘여성 오이디푸스’였던 엘리자베스 폰 알의 경우, 그녀가 ‘아버지의 딸’임을 보여주는 근거들은 『히스테리 연구』에 서 안나 오의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녀는 막내딸로 다 른 어떤 딸보다 더 아버지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이것은 그녀 또한 아버 지에게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받았음을 의미한다. 건강이 나쁜 어머니로 인해 그녀는 어머니의 부재를 느끼며 자신이 어머니를 대신하는 듯 아버 지를 사랑하였다. 남자가 가질 듯한 자신의 야심찬 계획들을 지지해주는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며 그녀는 자신의 여성성을 거부하고 싶어 했 다. 그녀의 히스테리 증상은 걷기 힘들 정도로 다리가 아픈 것이었다. 아버지가 갑작스럽게 폐수종으로 위기에 처하자 일 년 반 동안 그녀는 가족 중에서 그를 가장 많이 돌보았다. “그녀가 처음으로 히스테리 증 상을 일으킨 것은 그녀가 집에서 아버지를 돌보고 있던 중이었는데, 갑 자기 오른쪽 넓적다리의 특정한 한 부분에 고통을 느꼈다”(Freud & Breuer 1895/1994: 130). 이 부위는 “바로 매일 아침 그녀가 아버지의 붕대를 갈아줄 때 아버지가 부어오른 다리를 올려놓았던 부분이었다. 그 녀의 아픈 부분은 ‘이렇게’ 그녀가 아버지에게 행했던 간호와 연관이 있 었다”(앞의 책, 117).

프로이트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에서 그녀에게 나 타난 초기의 히스테리성 고통의 원인을 찾아냈다.

어느 날 그녀는 한 모 임에 참석했는데, 거기에서 한 남자를 만났다. 그녀는 그와 즐거운 시간 을 보내며 그와 결혼할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녀는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만큼 그토록 강하게 그에게로 마음이 향하는 것을 느낀 적이 결코 없었다. 그러나 그녀가 황홀경에 빠져 집에 늦게 돌아왔을 때, 그녀는 아버지의 병세가 악화된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그녀는 자신이 자신만의 즐거움을 위해 너무 많은 시 간을 보냈다는 생각에 스스로를 자책하였다. 이것을 마지막으로 그녀는 저녁 내내 아버지를 내버려둔 적이 결코 없었고, 그 남자와 는 아주 드물게 밖에는 만나지 않았다(앞의 책, 115).

위의 사실로부터 프로이트는 그녀의 육체적인 고통을 ‘방어를 위한 전환 기제’로 설명한다. 곧 그녀의 고통은 ‘심리적인 불안이 신체적인 아 픔으로 변환’되었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그녀가 느낀 즐거운 도취와 그녀가 집에 돌아왔을 때 그녀의 아버지가 처한 비참한 상태 사이의 대 조에서 갈등이 촉발되고 이 두 가지 감정은 양립될 수 없었다. 그 결과, 에로틱한 표현은 감정의 연합 너머로 거부되고, 그에 결합되었던 애정은 당시에(또는 그 순간보다는 조금 더 전에) 나타난 신체적 고통을 그대로 되살리거나 또는 더 강도 높게 나타내는 데 사용”(앞의 책, 116-117)되 었다는 것이다.

그녀는 그 남자와 결혼하기 위하여 그를 기다리려고 생각한 적도 있 었는데, 이것은 그녀가 아버지로부터 이 젊은 남자에게로 사랑의 대상을 바꾸려고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그녀는 아버지를 향한 자 신의 사랑을 배반하려 했던 것이고 딸의 지위에서 한 남자의 여자라는 지위로 옮겨가고 싶어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 날 밤, 아버지 병세의 심 화는 그녀로 하여금 자신의 ‘여성되기’를 포기하도록 하였다. 그녀는 아 버지를 구하는 것을 사명으로 여기며 아버지를 결코 떠나지 않고 희생 적으로 간호하였다.

아버지 병세가 심해지자, 그 젊은이와 결혼하여 떠 나려던 자신의 욕망에 대한 죄책감과 함께 자신이 아버지의 병세 악화 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느꼈다. 그녀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여성되기’ 의 욕망을 아버지에 대한 배반으로 생각하고 그에 대한 죄책감을 느꼈 다는 사실은 그녀가 아버지와 근친애적인 사랑의 관계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자를 향한 욕망에 대한 죄책감은 그녀의 무의식에서 그녀 의 근친애적 사랑과 연결되어 있다. 아버지를 구하고자 하는 그녀의 희 생은 자신의 여성성을 포기하고 ‘아버지의 딸’로서 아버지 옆에 남아 있 으려는 오이디푸스적 욕망을 표현한다. 이 희생의 환상에는 또한 자기의 양가적인 욕망―근친애적인 사랑의 욕망과 아버지를 떠나 다른 남자에게 가고자 하는 욕망―에 대한 죄책감을 면제받으려는 그녀의 욕망이 숨어 있다. 아버지를 위해 희생하고 아버지를 병 또는 위험에서 구하고자 하는 히스테리 환자들의 환상은 이렇게 오이디푸스적인 딸들의 근친애적 사랑이라는 핵심으로 귀착된다.

위의 두 사례에서 보듯이, 희생의 환상은 자연스럽게 구출의 환상과 연결된다.

아이에게서 부모를 구출한다는 환상은 대개의 경우 아이가 자 신의 현실적 부모를 황제 부부로 대체하면서 가족을 환상 속에서 재구 성하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자신을 낳아준 사람들을 보다 고귀하며 품위 있는 부부로 대체하는 것은 그들을 제거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높이 려는 의도이다.

다시 말해서 자신에게 생명을 준 그들을 구하려는 것이 다(Freud 1909/1997: 160). 프로이트는 ‘구출의 모티프’가 부모 콤플렉 스의 자동적인 파생물이라고 말하며, 아이는 부모로부터 생명의 빚을 지 고 있기에 그들에게 선물을 돌려주고 싶은 바람을 갖는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이 선물은 아버지가 자신에게 들인 모든 비용을 돌려주고 싶은 소년에게 도전의 가치를 부여하며, 소년은 그 때 ‘아버지를 위험에서 구 출한다’는 몽상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상력에 의해서 그는 아버지에 게 진 빚에서 벗어난다(Freud 1910/1993: 198).

이러한 환상은 가족소설에서 중요한 전략적 역할을 맡고 있다. 구출 하는 환상이 아버지에게 적용될 때, 그것은 소년이 아버지가 자신만의 아버지거나 아들을 위한 아버지기를 바라는 것을 뜻하며 또한 아버지와 같은 아들을 갖고 싶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에게 어머니를 구출하는 것 은 그에게 아이를 선물해준다거나 그에게 아이를 만들어 준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환상 속에서 소년은 자신의 아버지와 완전히 동일시된다 (앞의 책, 199-200). 이렇게 우리는 아버지 또는 어머니를 구하는 환상 속에서도 희생의 환상에서와 마찬가지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관련된 근친애적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다.

구출하는 환상이 여성에 의한 것일 경우, 그것은 ‘스스로 아이를 낳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Freud & Breuer 1895/1994: 200).

그러 므로 여기에서 아버지를 구한 다는 소녀의 환상은 자신을 어머니와 동일 시하며 아버지의 아이를 세상에 내보내고 싶다는 바람의 표현이라는 것 이 드러난다. 이 환상은 소녀에게 아버지를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하도록 허락하는 오이디푸스적 근친애로 귀착시킨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어머 니든, 아버지든, 부모를 구하는 아이의 환상이 아이의 오이디푸스적 욕 망을 숨기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III. 심청의 환상: 구출의 환상에서 복수의 환상으로

안나 오와 엘리자베스 폰 알이 지녔던 환상에 대한 분석은 우리에게 그녀들이 갖는 아버지에 대한 오이디푸스적 욕망을 보여주었다. 청의 희 생적 효행에서도 우리는 그녀의 오이디푸스적 욕망이 효를 숭상하는 사 회적 장치에 의해 자연스럽게 허용되고 더 나아가 부추겨지기까지 했다 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아버지에게 청이 정도를 뛰어넘는 효행으 로 죽음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에는 그녀의 환상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 살펴보기로 한다. 빈한한 가세에 공양미 삼백석을 약속하고 그 약속을 파기하고 싶지 않았던 아버지의 이기적인 행동과 그에 따르는 이기적인 말들에도 언제 나 효를 내세우며 아버지를 섬겼던 청은 아버지의 약속을 지켜주기 위해 자신의 생명까지도 내버리는 극단적 희생효의 결심을 한다. 그녀는 효녀 이기 때문에 자신의 행동이 아버지에게 얼마나 큰 슬픔과 충격을 안겨줄 지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만약 청의 죽음 후에 설사 아버지가 눈을 뜰 수 있다 하더라도, 자식의 목숨을 버려 눈을 뜨게 된 아버지는 평생 결코 행복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청의 행동은 아버지의 이 기심을 결코 용서하지 않겠다는 단단한 의지에 다름 아니다. 곧 그녀를 지배했던 아버지를 위한 희생과 아버지 구출의 환상은 그녀가 ‘아버지로 부터의 버려짐’을 ‘심리적 현실’로 인식하면서 아버지에 대한 복수의 환 상으로 변모한다.

그 환상을 지지하는 복수의 욕망은 그녀가 아버지를 사랑했던 만큼 더 강렬하고, 버림받음으로써 상실된 그녀의 자아는 동일 시를 통하여 대상인 아버지를 자신 안에 섭취하여 공격한다. 이 공격은 곧 그녀 자신에 대한 공격이 되어, 그녀는 스스로 죽음에 이른다. “그러 므로 그녀가 인당수에 뛰어들었을 때, 그녀가 죽인 것은 단지 그녀 자신 뿐만이 아니었다. 그녀의 무의식에서 그녀는 아버지도 자신과 함께 죽인 것이다”(윤인선 2010b: 105).

버림받은 사람의 자살행동의 배후에는 언제나 자신을 버린 사람에 대한 복수의 감정이 있다. 버림받는 자는 버린 자가 자신의 행동으로 고 통 받기를 바란다. 전자는 자신에게 고통을 준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없다고 판단될 때, 자신에 대한 학대와 같은 자기파괴가 그에게 자신 이 겪은 만큼 고통을 줄 수 있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대상인 타자 앞에서 자신을 훼손하여 파괴된 모습을 드러낸다. 이러한 행위는 타자가 그에게 준 고통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려는 의도에 서 생겨난다. “보아라, 나를 이렇게 파괴한 사람은 바로 당신이다. 자, 이 제 당신이 얼마나 잔인하게 나를 찢어 놓았는지 받아들이고 내가 고통 받은 것만큼 고통 받아라”. 이러한 복수를 통하여 그녀가 진실로 기대하 는 것은 그녀가 얼마나 소중한 딸이었는지 아버지가 자신의 진정한 가치 를 제대로 발견하며, 그녀를 버린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고통스러워하며 후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녀의 자살행위는 아버지를 구출하는 희생 효의 모습을 띠고 있지만, 실제로 그녀의 무의식 차원에서는 그 행위 뒤에 아버지에 대한 복수의 욕망이 도사려 있다.

곧 아버지를 구출하는 환 상의 이면은 “복수의 환상으로 채워져 있는 것이다”(Assoun 2007: 34).

프로이트의 쥐인간 사례는 이러한 복수의 환상을 잘 보여준다. 그 는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이 조건이 좋은 다른 남자를 더 좋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그는 여러 가지 복수의 환상을 가진다. 그녀가 그를 사랑 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하게 되자 곧 그는 몽상에 빠진다.

“그는 매우 부 자가 되어서 다른 여성과 결혼한다. 그리고 그 여인의 마음을 상하게 하 기 위하여 그녀를 방문한다. [이러한 몽상은] 그녀가 마침내 죽어야 한 다는 확실한 생각”(Freud 1909/1974: 89)으로까지 진행된다. 그의 또 다른 환상에서 그녀는 높은 신분의 공무원과 결혼했고 따라서 그가 보기 에 그녀는 사회적으로 높은 신분에 많은 가치를 두는 여성인 것처럼 보 인다. 그의 환상은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그는 그녀의 남편과 같은 직 종으로 들어가 그 남편보다 훨씬 더 성공한다. 따라서 그녀의 남편이 부 하직원이 되었는데, 어느 날 부정직한 일을 저지른다. 그 여성은 그의 발 아래 엎드려 자기 남편을 살려달라고 애원한다. 그는 그러마고 약속하 고 그녀에게 다음과 같이 밝힌다: 그는 이러한 순간이 올 줄 알았기에 그 녀를 사랑한다는 이유만으로 이 자리에 왔다. 이제 그의 사명은 완수되 었고 그녀의 남편은 구해졌으니 그는 자신의 일을 그만둔다”(앞의 책, 109). 또 다른 환상에서는 “그 여성이 고난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 처하 자 그는 일본도 두 개를 들어 그녀를 자유롭게 한다. 그는 검을 들고 그 녀가 있다고 생각되는 곳으로 달려가고 […] 거기에서 그녀가 두 손에 엄지손가락을 죄는 고문 기구를 달고 벽에 기대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앞의 책, 113). 그녀에게 구애를 거절당한 쥐인간은 그녀를 구출하는 욕망을 만족 시키기 위해, 그녀가 위험에 처하거나 남편의 잘못 때문에 어려움에 처 하는 상황, 또는 그녀가 그와 비교하여 열등한 상태가 되어 마음 상하는 상황 등을 자신을 환상 속에서 만들어낸다.

다시 말해 그의 환상 속에서 ‘그녀는 죽어야 했고’ 그녀가 자신을 구해준 사람의 가치를 인정하기 위 해서는 그[쥐인간] 덕분에 다시 살아나야 했던 것이다. 그의 환상 속에 서 그녀를 죽이려는 그의 욕망이 실제로 그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 욕 망은 오히려 그녀를 죽음에서 구하려는 욕망인 것이다. 그녀가 자신을 거부한 것을 보상해주는 최후의 승리를 위해서, 그의 “구출의 환상은 요 구에 대한 신경증적 논법 안에서 전략적인 자리를 차지한다. 이것은 비 록 무의식적 차원이라고 해도 타자가 실제로 요구하는 상태에 있음을 전 제해야 하는데, ‘구출자’는, 환상의 의하여, 타자의 요구를 만들어낸 다음 에 그녀를 만족시키는 향유를 누린다”(Assoun 2007: 35).

청의 아버지 구출 역시 아버지의 요구로 생겨난 것이다. 그의 요구 는 곧 공양미 삼백 석이다. 그녀는 안맹에서 구출되려는 그의 요구에 응 답한다. 아버지의 요구는 그녀가 버림받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기도 했지 만, 그의 요구를 들어주되 그가 원하지 않는 방법으로 들어줌으로써, 그 의 요구는 그녀에게 그에게 복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그의 요구 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그녀는 효의 이름으로, 아버지를 구출하는 자신의 죽음의 행위를 향유하는 것이다. 쥐인간의 그 여인에 대한 복수는 그녀가 그를 남편으로 선택하지 않 은 것에 대해 후회함으로써 그녀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으나 그 역시 “자신이 숭배하는 여인에게 고통을 주고자 하는 자 신의 충동으로 괴롭다”(Freud 1909/1974: 131)고 프로이트는 말한다.

쥐인간처럼 청도 자신에게 상처를 준 대상인 아버지를 구출하는 복 수의 환상을 꿈꾸는데, 그 이면에 있는 욕망은 아버지가 자신을 버린 것 에 대하여 후회하는 것이다. 곧 공양미 삼백 석을 약속한 것, 그리고 마 지막 순간까지 그 약속을 취소하지 않았던 것을 아버지에게 후회하게 하 려는 것이다. 또한 그녀가 열다섯의 나이로 당시로는 과년한 나이지만, 현대 심리학의 발달단계상으로는 청소년기에 해당한다는 점을 이해하 면,

청이 복수의 환상으로 극단적인 희생효를 실행하며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게 되는 것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다. 부모들과 갈등을 빚고 자살을 시도한 청소년들의 다음과 같은 고백들은 심청의 복수의 환상이 자살로 실현되는 심리적 과정을 잘 보여준다.

나는 내가 자살을 시도하면 부모님이 내게 “우리가 정말 미안하구 나. 아들아 제발 집으로 돌아오렴”.이라고 말하러 오면 저는 이렇 게 대답하고 싶었어요: “우리 사이에는 이제 더 이상 어떤 해결책 도 남아 있는 게 없어요. 댁으로 돌아가세요. 저는 더 이상 부모가 필요 없어요”.라고요. 왜냐하면 이것은 제게 많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죠. 저는 복수하고 싶었어요(김시업 & 한중경 1999: 21).

나는 내가 죽게 되면 무슨 일이 생기게 될까 상상했어요. 제 부모 님이 장례식에서 “우리가 매번 의견을 나누었어야 했는데. 이제는 너무 늦었구나”라고 말하면서 울 거에요. 그러면 저는 관 속에 누 워 땅에 묻히며, 그들에게 “바로 그게 제가 항상 당신들에게 말했 던 거지요”.라고 대답하며 기뻐 소리 지를 거에요(앞의 책, 21).

이 청소년들의 고백은 그들의 자살 시도가 부모에게 그들이 한 행동 에 대해 복수함으로써 그들이 후회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고 있었음을 분 명하게 보여준다. 청이 효의 이름으로 아버지를 구출하는 자살행위 역시 그녀가 아버지에게 버림받았던 것처럼 그를 버림으로써 그에게 자신의 이기적인 행동을 후회하고 그녀의 가치를 인정해 달라고 애원하는 행동 이었다. 따라서 그녀의 희생은 바로 효를 가장하여 아버지를 죽이는 ‘대 상 살해의 우회된 자살’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IV. 결론: 심청 자살의 무의식적 욕망과 그 의미

본 논문은 효녀이고 ‘아버지의 딸’인 청이 지닌 환상에 대한 자료로, 그녀처럼 효녀이면서 ‘여성 오이디푸스’이고, 이성관계가 전혀 없었던, 브로이어와 프로이트의 두 환자인 안나 오와 엘리자베스 폰 알의 환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그녀들의 환상 속에 오이디푸스적인 욕망이 자리 잡 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분석은 또한 그녀들의 환상이 항상 아버지에 대한 그녀들의 근친애적인 욕망과 다른 남자에 대한 욕망이 충돌하는 지 점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양가적인 욕망 에 대해 죄책감을 느꼈고 또한 그 죄책감을 면제받으려는 욕망이 복합적 으로 환상을 만들어낸 것이었다.

곧 심청처럼, 아버지를 위해 희생하고 아버지를 구하고자 했던 그녀들의 환상은 이렇게 오이디푸스적인 딸들 의 근친애적 사랑이라는 핵심으로 귀착됨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청의 경우가 그녀들의 경우와 차별되는 한 가지 사실은, 그 녀들이 아버지로부터 버림받지 않은 반면, 청은 아버지의 공양미 삼백 석 시주 약속과 함께, 아버지로부터 버림받았음을 ‘심리적 현실’로 인식 하고 아버지와의 근친애적 사랑의 유대가 아버지의 배신으로 깨어졌음 을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그녀의 아버지 구출의 환 상과 아버지를 위한 희생의 환상은, 자신을 버린 아버지를 자신도 버림 으로써 아버지에게 복수하고자 하는 복수의 환상으로 변모한다.

아버지를 사랑하는 ‘여성 오이디푸스’에게 아버지의 버림이라는 ‘끔 찍한 벌’은, 아버지의 무의식 차원에서 볼 때, 남성들 사이에서 물건처럼 여성들이 교환되는 구조(Lévi-Strauss 1967: 569)인 사회 속으로 자신 의 딸이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겨냥한 것일 수 있다.

만약 이 ‘끔찍한 벌’ 이 없었다면,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청은 장승상 댁에게 자신이 말한 것처럼 ‘결코 결혼할 생각도 하지 않고’ 아버지를 봉양하면서 아버지와의 근친애적 사랑을 향유할 것이기 때문이다. 아버지에 의한 청의 버림은 청을 교환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실제로 자신을 위해 그녀를 무엇인가 이로운 것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이기적인 아버지의 욕 망에 기인한다.

이것은 아버지가 그녀를 사회적 ‘교환의 구조’ 속으로 떠 나보낼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에게 아버지의 버림은 그 녀에게 그가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시키게 하는 잔인한 사건이다. 따라서 ‘아버지의 딸 버림’은 무의식 차원에서 그녀에게, ‘여성 교환의 구조’ 속에서 자신과 분리됨으로써 사랑의 대상을 바꾸고 가족 밖에서 남자를 찾도록 유도하는 ‘무자비한 요구’이다. 그렇다면, ‘아버지의 버림과 배신’에 기인하는 청의 복수의 환상을 살찌우는 욕망의 정체는 무엇일까? 우리는 그 욕망이 두 가지의 상반된 양가적 욕망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바로 아버지에 대 한 근친애적 욕망과 그에 반하는 아버지와 분리되려는 욕망이다.

먼저 아버지에 대한 근친애적인 욕망은 아버지의 버림에 대해 죽음 이라는 행위로 맞선 그녀의 과도한 반응을 통하여 아버지로부터 보내진 분리의 무의식적인 메시지에 대한 거부와 함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녀가 아버지에 대한 근친애적 사랑을 끝내고 싶지 않고, ‘아버 지의 딸’로 계속 남아 있고 싶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그녀는 여성의 교환이라는 구조 속으로 들어갈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그녀가 “여성에게 인종학적으로 결정된, 교환의 대상이라는 위치를 부 여한 상징적 체계”(Zafiropoulos 2003: 571)에 편입하지 않겠다는 의미 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 아버지와의 분리의 욕망은 그녀가 아버지의 버림을 깨닫는 순간, 무의식 차원에서 그녀에게 전달되는 아버지의 분리의 요구를 수용 하며 생겨난 것으로, 그녀 역시 사랑의 대상인 아버지를 향한 오이디푸 스적 욕망을 끊고자 하는 욕망이다. 이 분리의 욕망은 복수의 환상을 지 지한다.

‘여성 오이디푸스’에게 아버지와 분리되는 욕망은 그녀의 ‘여성 되기’라는 무의식적 욕망으로 이어진다. 그 욕망은 그녀에게 사랑의 대 상으로 아버지가 아닌 다른 남자를 찾도록 만들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녀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벗어나도록 해준다.

그렇다면 딸은 어떻게 여성이 되는가? 프로이트에 따르면, 남자나 여자나 아이가 자신의 리비도를 투자하는 첫 번째 대상은 모두 어머니 이다. 그런데 그들의 운명은 오이디푸스기에 이르면서 달라진다. 소년은 여전히 어머니를 사랑의 대상으로 삼는 데 반하여 소녀에게는 그 대상 이 어머니에서 아버지로 대체된다. 이러한 대상의 변화는 한 번 더 다른 “남자에의 욕망을 위해 근친애적 욕망을 끊는 결정”(Assoun 1983: XIII) 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딸은 여성이 된다. 아쑨은 딸이 여 성이 되기 위해서는 “과거의 애착을 분명하게 끊는 결별을 결정해야 하 고, […] 프로이트가 인간이 완수해야 할 과업 중에 가장 복잡한 과업중 의 하나로 제시한 ‘여성되기’의 과업을 이루기 위한 도전을 이해해야 한 다”.(앞의 책, XIV)고 말한다. 거세의 환상적인 위협에 의하여 오이디푸 스 콤플렉스를 해소하는 소년과 비교하여 소녀는 더 어려움을 겪는다. 왜냐하면, 소녀에게는 그녀가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결정적으로 끝내도 록 할 그 어떤 외부의 위협이 없기 때문이다. 청의 경우에는 거기에 더하 여, 어머니 없이 맹인인 아버지를 모시고 살아야 했기 때문에, 자연스럽 게 여성이 되는 발달과업 단계에 이르기보다는 딸로 머물러 있으려는 욕 망을 갖는 것이 어떤 점에서는 ‘착한 딸’로서 자연스러운 결과일 수 있 다. 청이 겪은 아버지의 버림과 희생효의 과정은 모두 ‘여성 오이디푸스’ 인 그녀의 ‘여성되기’의 험난함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시업 & 한중경 (1999). 『청소년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예솔.

류인균 (2004).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서울대학교 출판부.

성현 (1525/1997). 『용재총화(慵齋叢話)』. 솔출판사.

윤인선 (2002). 「버림받은 딸 심청」. 『한국언어문학』. 49. 113-139.

______ (2010a). 「심청의 어머니 나라 여행」. 『세계문학비교연구』. 29-54.

______ (2010b). 「심청의 우울증」.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2(1). 89-107.

정하영 역주 (1995). 『심청전』. 한국고전문학전집 1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조두영 (1999). 『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일조각.

Assoun, P.-L. (1996). Littérature et psychanalyse. Coll. Thèmes & études. Paris: ellipses.

______ (1983/1997). Freud et la femme. Paris: Editions Payot Rivages.

______ (2007). Leçons psychanalytiques sur le Fantasme.

Paris: Economica/Anthropos. Chevalier, J. & Gheerbrant, A. (1969/1973).

Dictionnaire des symboles. 4 vols. Seghers. Freud, S. (1909/1974).

L’homme aux rats. Journal d’une analyse.

Coll. Bibliothèque de psychanalyse. Paris: Puf.

______ (1910/1993). “D’un type particulier de choix d’objet chez l’homme”. Œuvres complètes Psychanalyse X. Paris: Puf.

______ (1918/2005). “A partir de l’histoire d’une névrose infantile”. Œuvres Complètes Psychanalyse XIII. Paris: Puf.

______ (1919/2001). “Le créateur littéraire et l’activité imaginaire”. L’inquiétante étrangeté et autres textes. Coll. Folio Bilingue.

Paris: Gallimard.

______ (1939/1986). L’homme Moïse et la religion monothéiste. Coll. Connaissance de l’inconscient. Nrf, Paris: Gallimard.

______ (1930/1994). “Le malaise dans la culture”. Œuvres complètes Psychanalyse XVIII. Paris: Puf. Freud, S. & Breuer, J. (1895/1994). Etudes sur l’hystérie . Coll. Bibiliothèque de psychanalyse dirigée par Jean Laplanche. Paris: Puf. Lalande, A. (1962).

Vocabulaire technique et critique de la philosophe. Paris: Puf. Le Guen, C. (2008).

Dictionnaire Freudien. Paris: Puf. Lévi-Strauss, C. (1967).

Les structures élémentaires de la parenté. Coll.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Paris: La Haye, Mouton. Murdock, M. (1994/1996).

Fathers’ Daughters: Transforming the Father-Daughter Relationship. New York: Fawcett Columbine. Nasio, J.-D. (1990).

L’Hystérie ou l’Enfant Magnifique de la Psychanalyse. 표원경 옮김 (2001).

도서출판 백의. Romey, G. (1995).

Dictionnaire de la symbolique: Le vacabulaire fondamental des rêves, T. 1. Paris: Albin Michel. Zafiropoulos, M. (2003).

Lacan et Lévi-Strauss ou le retour à Freud 1951-1957. Coll. Philosophie d’aujourd’hui. Paris: Puf.

네이버국어사전 ‘환상’: http://krdic.naver.com/search.nhn?query=%ED% 99%98%EC%83%81&kind=all 라루스사전 ‘fantasme’: http://www.larousse.fr/dictionnaires/francais/ fantasme/32843

La signification du suicide de Sim Cheong et ses fantasmes vus à travers les fantasmes des Oedipes au féminin Yoon, In-Sun*

Cet article a pour objet de révéler la signification au niveau de l’inconscient de l’acte de suicide de Sim Cheong, fille-de-père, qui résulte des fantasmes qu’elle développe en tant qu “Oedipe au féminin”. Cet objet est basé sur notre recherche antérieure qui interprète sa mort comme un ‘suicide détourné’ dont le sens profond est un meurtre d’objet. Nous analysons pour cela les fantasmes des cas d’Anna O. et d’Elisabeth von R. interprétons que Cheong avait des fantasmes de sauvetage de son père et de sacrifice pour lui, typiques des hystéries de type “Oedipe au féminin”, qui viennent du désir oedipien. Son acte de suicide représente une transition de ces fantasmes de sacrifice et de sauvetage au fantasme de vengeance contre le père. En résumé, son suicide comporte la signification de ses deux désirs ambivalents: le désir de devenir une femme en rompant la relation incestueuse avec son père, et le désir de rester toujours un Oedipe au féminin qui prend son père comme son objet d’amour.

▶ Mots-clés: Sim Cheong, Anna O., Elisabeth von R., Oedipe au féminin, fille-de-pere, fantasme de sacrifice et de sauvetage, devenir-femme

논문 투고 일자: 2016.07.10. 심사 완료 일자: 2016.07.31. 게재 확정 일자: 2016.08.05.

라캉현대정신분석학지18권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