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이 논문은 성경 언어가 실행하는 수행성이 어떻게 대안적 강해설교의 원리 가 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성경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행위를 실행하는 하나님의 살아있는 목소리이다.
성경 본문은 설교를 만들어내며 성경이 만 든 설교는 교회를 세운다.
이 모든 과정은 기록된 하나님 말씀의 수행성이 만들어낸 결과이다. 하나님 스스로가 성경 본문 안에서 그리고 성경 본문을 통해 말하고 일하신다.
성경 언어의 수행성에 대한 설교자의 이해는 설교자 가 실행하는 강해성(講解性)의 적실성이다. 성경 언어의 수행성이 강해설교 를 만든다.
그러므로 성경 언어의 수행성은 강해설교의 원리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해설교의 유효성과 온전함을 돕는 역동적인 하나님의 말씀이 실행하는 언어 수행성에 민감한 설교자가 되기 위한 대안적 성경 읽기의 방 식을 제시하려고 한다.
주제어: 강해설교, 성경 언어 수행성, 언어행위 이론, 명제적 설교, 신 설교학
Ⅰ. 들어가는 말
설교의 연구에 있어 중요한 주제는 설교의 강해성이다. 설교 이론가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설교 강해성의 원리를 주장한다. 설교의 강해 성은 종종 성경 중심적 설교라는 용어와 호환되어 사용된다. 설교의 강 해성은 성경 중심적 설교라는 주제 아래서 “귀납적, 연역적, 서사적” 등 과 같은 각각의 방식으로 규정되어 왔다. 현대의 설교 이론은 주로 두 가지 설교 형식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인다. 성경 본문에서 아이디 어나 주제를 추출해서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명제적 설교와 추출된 명제 를 개인의 경험으로 전환하는 서사적 설교이다.
Ⅱ. 설교의 강해성에 대한 선호도의 변화
1. 신학적 선명성을 위한 명제적 설교를 중심으로
설교의 강해성을 명제적으로 이해한 설교 이론이 가진 성경 언어관은 지 시적 언어관(指示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명제적 설교에서 해석의 기능은 단어가 지시하는 신학적 사상이나 주제를 인식하는 것이다. 특별 히 성경 단어 연구를 통해 본문의 교리적 주제를 담은 명제는 강해설교 의 보편성을 확립하는 주요한 설교가용 자료가 된다.1
설교에 있어 주제 의 선명성은 오랜 기간 강조되었다.2
1 Bryan Chapell, Christ-Centered Preaching: Redeeming the Expository Sermon (Grand Rapids: Baker Books, 1994), 139-40.
2 명제적 설교가 가진 역사성은 아래를 참조하라, John Henry Jowett, The Preacher, His Life and Work: Yale Lectures (New York: Hodder & Stoughton, 1912), 133; Steven W. Smith, Recapturing the Voice of God, 김대혁⋅임도균 역, 본문이 이끄는 장르별 설교(서울: 아가페 북스, 2016), 29-32.
전통적으로 설교자는 성경의 단어가 신성한 의미를 지시한다고 믿어왔다.
설교자들은 본문의 신성한 의미를 찾기 위해서 성경의 언어가 지시하는 신성한 주제를 탐구하며 설교의 내 용을 구성했다.
기원후 4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아타타시우스(Athanasius of Alexandria)의 말을 들어보자.
“목마른 자들은 성경이 담고 있는 살아 있는 말씀들로 만족할 수 있다. 그 안에서만 경건한 가르침이 선언된다. 그 누구도 이것들에 더하지 못 하게 하며, 누구도 이것들에서 빼지 못하게 하라”3
전통적인 설교가 가진 강해성은 성경 단어가 지시하는 경건한 가르 침이라는 맥락에서 이해된다.
설교의 강해성은 성경 언어로 지시된 교리 적 최종성으로 귀착되며 설교는 명확한 신학적 주제를 담고 있다.4
설교 자에게 해석학적 덕목은 성경의 단어가 지시하는 교리적 최종성을 찾아내 는 강해력이며 단어 연구 중심의 강해설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설교를 구성하는 단위는 단어가 지시하는 신학적 개념이다.
2) 설교는 명확한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되며 그 문장은 신학적 가치를 담는다.
3) 성경해석의 목적은 성경 단어가 지시하는 교리적 주제를 도출하고 적용한다.
단어 연구를 설교의 강해성으로 이해하는 설교의 장점은 청중에게 명확한 신학적 선명성 전달이다.5
3 Abraham Kuruvilla, A vison for preaching (Grand Rapids:Baker Books, 2015), 18.
4 설교의 강해성과 관련해서 명제(proposition) 혹은 중심 사상(central idea)의 강조는 현 대 설교학에서도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톰프슨(Thompson)은 “가장 확고한 설교학적인 원칙 중 하나는 설교자는 설교 메시지의 핵심을 한 문장에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설교 전체를 압축시킨 중심적이고 지배적인 사상은 설교를 준비하는 설교자에게는 선택이 아 닌 필수 사항이다.”라고 주장했다. 관련된 좀더 깊은 이해는 아래의 글을 참조하라 William D Thompson, Preaching biblically: Exegesis and interpretation (Nashville: Abingdon, 1981), 9.
5 리셔(Lischer)는 “신학적 기초가 없는 설교는 파편화된 사역으로 계속 진행하게 될 것 이다.”라고 강조했지만 그는 단어 연구중심의 주제 설교의 주창자는 아니다. 더 깊은 논의는 다음을 참조하라 Richard Lischer, A Theology of Preaching: The Dynamic of the Gospel (Durham:Labyrinth Press, 1992), 44-45.
그러나 역사성과 대중성을 가진 명제 중심의 강해적 설교의 방법론도 설교자와 청중의 소통 가운데 설교의 약점을 가진다.
프레드 B. 크레독(Fred B. Craddock)은 청중에게 전달력이 떨어지는 명제적인 교리 중심의 설교를 아래와 같이 비판했다.
“설교자 는 모든 수분을 다 끓여 날려 보내고 컵의 밑바닥에 남은 얼룩을 설교한 다.”6
6 Fred B. Craddock, Preaching (Nashville: Abingdon, 1985), 123.
명제적 설교가 흥미롭지 못하며 청중과 소통이 어려운 설교로 평가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설교의 언어의 지나친 논리성은 청중과 정서적 소통의 한계를 가진다.
2) 본문의 내용과 설교의 제목만 들어도 상투적인 설교의 내용이 예상 된다.
3) 교리를 강조하는 정형화된 주제적 접근은 본문의 다양성을 담지 못 한다.
그러므로 명제적 설교는 매력적이지 않은 뻔한 설교라는 인식과 함 께 설교자와 청중들의 주목에서 멀어져 갔다.
소통의 한계를 가진 기존 의 단어 중심의 교리적 주제를 강조하는 설교적 방법론은 청중의 관심과 집중을 유발하는 설교 구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2. 체험의 선명성을 위한 ‘신 설교학(New Homiletics)’을 중 심으로
‘신 설교학’은 성경 언어를 지시적언어로 이해한 단어 중심의 명제적 설 교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했다.7
7 물론 신 설교학은 커다란 우산 아래 각각의 다양한 주제들이 섞여 있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명제중심의 전통적 설교에 관한 비판은 공유한다. 설교학에 관한 최근의 평가는 다음 을 참조하라 O. Wesley Allen ed., The Renewed Homiletic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10)
‘신 설교학’의 주창자인 데이비 드 제임스 랜돌프(David James Randolph)의 주장이다.
“설교는 강단에서의 독백이 아니며, 한 사람의 설교는 이제 옛말이다. 전통적인 견해는 새롭게 대체되어야 하는데, 설교가 한 사람이 소리 내어 말하더라도 설교 현장에 있는 사람들 모두 자신이 설교에 관여하고 있음을 아는 일종의 참여적인 체험이라는 것이다.
설교는 사건으로 이 해되어야 하고 새로운 방법론(New Way)으로 이해되어야 한다.”8
8 David James Randolph, The Renewal of Preaching (Philadelphia: Fortress, 1967), 14.
그의 주장은 설교는 지시적인 내용으로 개념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설교의 내용을 청중이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 설교학’이 말하는 청중들의 체험에 대한 소통의 강조점은 명제적 설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중요하다.
‘신 설교학’이 말하는 체험과 관련해서 설교가용 자료의 관점에서 살펴보자.
P : 지시적 언어관을 통해 강해된 설교가용 자료
Ⓐ 명제적 설교
1. P
2. P
3. P
Ⓑ 신 설교학
P.......P........P
설교를 통해서 체험되어야 할 설교가용 자료를 P 라고 할 때, 예수 님의 가나안 혼인 잔치 본문을 가지고 명제적 설교를 수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설교자는 본문의 설교를 ‘종들의 순종’이란 주제 중심의 설교가용 자료를 가지고 Ⓐ의 형식으로 명확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설교는 청중들에게 흥미롭지 않다.
그래서 동일한 설교가용 자료를 ‘신 설교학’에서는 ‘순종하면 기적을 경험할 수 있다’는 주제가 청중에게 경 험되도록 설교 내용을 ‘이야기 형식’ 혹은 ‘서사 형식’으로 설교를 수행 한다.
설교 수행과 관련되어 설교의 형식만 명제적 논리의 구성 혹은 서 사적 논리의 구성으로 달라졌다.
그러나 두 편의 설교에서는 모두 순종 이란 개념을 설교가용 자료로 사용하였고 이것은 성경 언어가 본질적으 로 가지고 있는 수행성에 따라 설교 가용재료가 강해된 것은 아니다.
명 제적 설교의 대안으로 나온 ‘신 설교학’을 설교학의 중요한 변화라고 말 한다.
‘신 설교학’은 다양한 이론과 철학을 설교학에 적용함으로 설교가 직면하는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역할을 하였으나 ‘신 설교학’이 가져온 설교에 대한 방법론적 다양성이 설교의 강해성에 대한 보편적 신앙고백 의 가치는 다소 안일하게 다루고 있지 않은가 싶다.
설교학적 새로움이 시대를 초월해서 설교자와 설교학자들에게 영감을 불어주어 “지금도 말 씀하시는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얼마나 방법론적으로 사용하는지 고 민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설교학은 믿음이 추구하는 이해이기 때문이 다. 그러므로 설교학에서 성경 언어는 단순히 설교를 구성하기 위한 자 료집으로서의 수동적인 대상이 아닌 능동적으로 설교자를 사용하는 주체 적인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이다.
설교자의 언어 수행 이전에 성경 언 어가 설교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살아계신 하나님의 언어가 실 행하는 수행력에 지배를 받는 설교적 가용재료에 대한 언어철학이 요구 된다.
설교자는 자신의 설교에 있어 강해성의 주도권을 누가 가졌는지 고민해야 한다.
본문의 수행성인가 아니면 설교자인가?
본문이 실행하는 것인가 아니면 설교자가 사용하는 것인가?
성경은 단순히 설교를 돕는 자료인가 아니면 대체 불가한 설교자가 변화되도록 일하시는 살아계신 말씀인가?
위의 질문들을 답하기 위해 성경 언어의 수행성이 지시하는 신학적 함의와 그에 어울리는 언어철학을 살펴보려고 한다.
Ⅲ. 성경 언어 수행성에 대한 신학적 논의
성경 언어에 대한 수행성을 강조하는 언어철학은 성경에 표현된 단어를 단순히 일반적인 교리적 진리 혹은 인간의 실존적인 개별 경험을 드러내 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성경 언어는 공동체 가 다양한 의미의 세계 속으로 참여하도록 이끈다.
성경 언어는 사건을 수행한다.9
9 Walter Brueggemann, Cadences of Home: Preaching Among Exile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7), 34.
래쉬(Lash)는 성경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이 공동체를 통해 수행될 때 비로소 온전한 해석적 기능을 실행한다고 주장했다.
“기독교의 실천은 해석적 행위로서 인간사에서 하나님의 진리를 ‘연출’ 한 언행, 담론, 고통을 목격하는 ‘연출’로 해석되는 텍스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신약성경의 수행은 이들 본문이 예수님의 이야기, 다 른 모든 사람의 이야기, 하나님의 이야기로 가장 적절하게 읽힌다는 확 신을 준다.”10
쉽게 말하면 성경 본문의 언어들은 영원하고 구속력 있는 성경적 진 리 혹은 신성한 원리를 기록한 쇼핑 리스트가 아니라 수행된 행위이며, 이 언어 행동은 공동체의 수행과 실천을 요구한다.11
설교자가 성경 언어 의 수행성에 관심을 가질 때 설교의 강해성은 단순히 본문에 대한 영원 한 지식을 강조하는 것을 넘어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우리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증언이 된다.
강해가 완료되었을 때 설교자 는 성경 언어가 수행한 사건의 증인이 된다.
즉 성경의 언어적 본성은 지시적으로 개념을 가리키는 것을 넘어 행동을 수행한다.
성경 언어의 수행성를 강조하는 설교적 이해는 성경에 표현된 하나님을 단순히 하나 님과 관련된 신성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으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성경 을 통해서 하나님은 인간을 돌보시며 그 뜻을 이루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성경의 사건 가운데 자발적 참여를 실행하시는 분이다.12
10 Nicholas Lash, “Performing the Scriptures.” In Theology on the Way to Emmaus. (London: SCM Press,1986), 42. 11 Charles L. Campbell, Preaching Jesus: New directions for homiletics in Hans Frei’s postliberal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97), 79.
12 Donald D. Evans, The logic of self-involvement. (London: SCM Press, 1963), 14.
이처럼 성경 본 문에 기록된 내용을 하나님의 수행성으로 읽을 때, 설교의 목적은 단순 히 하나님에 대한 명제적 주제의 형태를 재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세계에서의 성경 언어가 실행하고 있는 사건에 대한 책임감 있는 반응이 다.
이와 관련하여 캠벨(Campbell)은 성경 언어가 실행하는 수행성을 강 조하는 설교에서 성경적 해석의 새로운 가능성을 아래와 같이 강조한다.
“교회의 설교 실천 자체가 성경의 해석적 수행인 방식도 포함한다.
이 런 관점에서 설교자에게 새로운 해석적 질문이 발생한다 … 설교 가운 데 성경 언어의 수행은 예수 이야기의 패턴 이후 교회의 삶을 형성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13
캠벨은 성경에 대한 지식만이 아닌 책임감 있는 반응을 설교를 위한 성경적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쉽게 말해서 설교를 구성하기 위한 성경해석과 이후 그 해석의 여정을 통해서 도출된 설교가용 자료를 가지 고 완성된 설교를 다시 적용하기 위한 신학적 작업, 이 두 작업을 구별 하지 않는 것이다.
예수님이 등장하는 본문을 가지고 설교를 준비한다고 할 때 그 설교의 강해성은 설교자가 예수님의 본문 내용을 교리적으로 재진술 하여 다시 들려주는 것 혹은 그 추출된 신학적 내용을 청중이 경 험할 수 있도록 이야기 형식이나 서사 형식으로 구현하는 것을 넘어 설 교자 스스로가 예수님이 행하신 사건에 책임감 있는 반응을 요구한다.
강해성의 온전함은 설교가 가진 신학적 명료성이나 이야기적 재구성이 아닌 말씀에 대한 온전한 반응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성경 언어에 대한 수행성의 강조는 강해적 설교의 보편성을 본문에 담긴 명제를 발견할 것 뿐만 아니라, 강해적 설교의 보편적 원리를 본문이 실행하고 있는 수행 성에 대한 설교자의 반응에 그 기초를 둔다.
버트릭(Buttrick)은 성경 언어가 가신 수행성의 설교적 역할에 있어 특별히 현대 공동체 의식과 관련해서 주목하고 있다:
“1세기 민중들은 목적을 형성하기 위해 의식 형태와 양식과 구조를 선택하면서 언어를 연 장처럼 사용했다. 따라서 성경적 언어는 의식 속에서 기능하도록 설계된 언어이다”14
13 Campbell, Preaching Jesus, 212.
14 David Buttrick,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Interpretation 25/01(1981), 54.
그는 1세기 사람들이 사용한 성경 언어를 ‘연장’에 비유하고 있다.
성경 언어를 또 다른 형식의 도구로 연구할 때 연구자는 성경 언 어와 관련해서 성경적 언어를 하나의 ‘연장’으로 보고 성경적 언어가 참 이었는가 거짓이었는가 구별에 집중하지 않는다.
이 말은 단순히 성경의 역사성을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설교란 행위 는 이미 기록된 말씀이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믿기에 더는 성경의 진리성 을 고민하기 보다 기록된 말씀의 도구적 기능 즉 그 진리의 수행성을 중 요한 설교의 보편 원리로 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시금 “설교는 하나님 의 말씀이다”라는 진리의 보편성과 실체에 대한 설교자의 책임감 있는 반 응이 다시금 설교학의 제일 신학이 된다.
이러한 고찰은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 실제로 무엇인가를 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성경 언어는 경 고, 약속, 위로 혹은 권면 같은 의도적인 행동을 실행한다.
설교가 본문이 실행하는 경고, 약속, 위로 혹은 권면 같은 의도적인 행위를 강해하고 그 행동에 대한 책임감 있는 반응을 설교한다면 이론적으로 성경 언어가 실 행한 수행성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설교는 강해 설교가 될 것이다.
Ⅳ. 성경 언어 수행성이 요구하는 언어이론: 언어 행위(SAT: speech act theory)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 행위 이론(SAT: speech act theory)은 언어의 수행성을 직접적으로 관 심을 가진다.15
언어 행위 이론은 오스틴 (Austin)에 의해 처음에 소개되었 고, 그의 제자인 설(Searle)에 의해 체계화되었다.16
15 John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Clarendon Press, 1962), 6.
16 John R. Searle,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16-17.
언어 행위 이론에 따르 면 언어는 단순히 소리, 말 또는 진술이 아니라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라 고 주장한다.
언어 행위 이론에서 언어 사용의 수행적 특성은 구두 혹은 글로 된 내용을 사용할 때 세 가지 행동 범주를 명확하게 구분한다.
1. 단순발화 행위(locutionary action): 음성이나 문자로 표현된 행동
2. 의미수반발화 행위(illocutionary action): 단순발화 행위를 하면서 수행 되는 행동
3. 효과수반발화 행위(perlocutionary action): 의미수반발화 행위에 대한 반응 행동
언어 행위 이론이 말하는 언어 행동의 3가지 범주을 일상의 언어사 용의 상황에서 아내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문고리에 ‘페인트 조심!’이라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문장 자체 는 단순발화 행위이다.
그러나 이 문장은 ‘경고’라는 의미수반발화 행위 를 실행하고 있다.
만약 이 문장을 읽은 사람이 이 문장이 실행하는 의 미수반발화 행위인 ‘경고’를 인식해서 페인트가 마르지 않은 문고리를 잡지 않았다면 효과수반발화 행위가 실행된 것이다.
이 같은 3가지 언 어 행위가 만들어내는 의미의 실체와 수용의 결과는 단순히 ‘페인트 조 심!’라는 문장의 문법적 인식을 넘어선다. 또한 문고리에 칠을 한 집주 인은 단순발화 행위가 일어난 현장에 부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 발생시킨 의미수반발화 행위인 ‘경고’라는 행동의 에너지는 페인트가 마를 때까지 보존되고 있다.
이 행위는 적합한 상황 속에서 올바른 방 향성을 가진 의도된 행동력이다”17
17 김덕현, “언어 행위 이론(Speech Act Theory)의 이해와 성령의 언어행위로써 설교: 빌 레몬서1 장 15절-16절을 중심으로,” 「복음과 실천신학」 36권 (2015): 89-117.
크래독(Craddock)은 일찍히 언어 행위 이론이 강조한 언어의 수행성 과 관련해서 관심을 가졌다.
그는 언어를 발견되거나 발견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키는 지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언어의 본 성을 적절하게 평가하지 못한 것이라 주장했다.
“오스틴 역시 언어가 가지는 창조적이고 수행적인(Performative)특성을 부각시킨다. 언어는 어떤 것을 알려 줄 뿐만 아니라 어떤 것을 행한다.... 이렇게 언어가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기능을 하는 예들은 언어가 본래적인 힘을 잃어버리고 황폐하게 되기 전에 언어가 가진 본래적인 힘을 잘 보여주고 있다.18
언어의 수행성을 강조하는 크래독이 주장하는 언어의 본질은 “언어 의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기능”에 대한 설교적 활용이었으나 크래독이 언 어의 본질에 동의하는 ‘신 설교학’에서 언어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기능을 설교의 구성의 ‘형식’으로 활용한 것은 크래독의 비평의 논지를 충분히 담지 못한 것이다.
그는 명제적 내용을 중심으로 설교를 구성하거나 성 경에 사용된 수사 형식(form)을 따라 설교를 디자인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성경의 언어가 가진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언어의 수행성 이 가진 힘에 민감한 설교적 수행을 말하고 있다.19
18 Fred B. Craddock, As One without Authority. 3rd ed. (Nashville: Abingdon Press, 1979), 33-34.
19 기록된 하나님 말씀에 내포된 능력에 대한 믿음은 교회가 지금까지 고집해 온 기록 된 말씀과 선포된 말씀에 대한 중요한 신조(Credo)이다. Bethel. A. Müller, “A Homiletic CredoA Firm Belief in the Preaching Event,”In: Living Theology: Essays Presented to Dirk J. Smit on His Sixtieth Birthday, eds. Len Hansen and N. K, Robert Vosloo (Wellington: Bible Media, 2011), 339.
그러므로 우리는 성 경 언어가 실행하는 수행성에 민감함은 설교의 실행에 있어 설교의 강해 성의 원리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이때 성경의 수행성에 민감한 설교를 수행하기 위한 강해성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실천을 요구한다.
1. 설교자는 성경을 연속적으로 읽으면서 본문의 표현된 내용을 통해서 본문이 실행하는 사건에 관심을 가진다.
2. 설교자는 성경을 연속적으로 읽으면서 떠오르는 설교가용 자료가 단 순발화 행위 관점에서 인지되었는지 의미수반발화 행위 관점에서 인 지되었는지 고민한다.
3. 설교 적용의 단계에 있어 본문이 실행하는 의미수반발화 행위에 대 한 책임감 있는 반응 즉 효과수반발화 행위의 범주에서 고민한다.
4. 성경 언의의 수행성을 담은 설교가용 자료는 설교의 분량 또는 회수 에 적합하게 명제적으로 혹은 서사적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성경 언어의 수행성에 민감한 강해성을 연습하기 위해서 설교자는 선택된 본문이 성경 전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건에 집중한다.
그러므로 성경 언어의 수행성에 민감한 강해성이란, 설교 내용의 자리는 본문이 실행한 의미수반발화 행위 범주이며 적용의 자리는 본문이 실행한 의미 수반발화 행위에 민감하고 책임감 있는 반응으로서 효과수반발화 행위의 범주가 된다.
Ⅴ. 설교 준비를 돕는 읽기의 제언: 사무엘서 본문을 중심으로20
20 이 부분은 연구자의 선행 연구인 “개혁주의 설교학이 가진 ‘오래된 미래에 대한’ 제 고(提高)” 「칼빈논단」, 2021년 41호 33-58의 일부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연구자는 성경 언어가 실행하는 수행성에 민감한 실천적 성경 읽기를 제 시하려고 한다.
설교 구성에 사용될 설교가용 자료로서 본문이 실행하고 있는 의미수반발화 행위를 존중하는 읽기이다.
설교자가 주석을 보기 전 에 설교자가 사무엘서 상/하 전체 본문을 한 권으로 충분히 읽는 과정을 통해서 이후 본문 전체에서 설교자가 설교를 위해서 선택될 본문의 역할 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본문으로부터 자신에게 익숙한 설교의 주제를 중심으로 작성될 설교를 돕는 설교가용 자료를 발견하기 보다는 선택된 본문을 가지고 사무엘 상하 전체 본문 가운데서 본문이 특별히 수행하고 있는 사건에 민감한 읽기를 연습함에 이 목적을 둔다.
1. 아버지의 심부름
삼상9:3
‘사울의 아버지 기스가 암나귀들을 잃고 그의 아들 사울에게 이르되 너는 일어나 한 사환을 데리고 가서 암나귀들을 찾으 라 하매’
삼상17:17
‘이새가 그의 아들 다윗에게 이르되 지금 네 형들을 위하여 이 볶은 곡식 한 에바 와 이 떡 열 덩이를 가지고 진영으로 속 히 가서 네 형들에게 주고’ 아버지의 심부름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사울과 다윗은 다음과 같이 유사한 사건의 흐름을 가진다.
1) 아버지의 심부름을 위해 떠나는 사울
A. 사울의 아버지 기스는 암나귀를 잃어버린다.
B. 사울의 아버지 기스는 그의 아들 사울에게 암나귀를 찾도록 심부 름을 보낸다.
C. 사울은 ‘아버지의 심부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무엘은 만난다.
D. 사울은 사무엘에게 기름 부음을 받는다.
2) 아버지의 심부름을 위해 떠나는 다윗
A’. 다윗의 아버지 이새는 자기 아들 다윗에게 ‘심부름’을 보낸다.
B’. 다윗은 ‘아버지의 심부름’을 수행하기 위해 전쟁터로 방문했다.
C’. 다윗은 ‘아버지의 심부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골리앗을 만난다.
D’. 다윗은 골리앗과의 전투에서 승리한다.
두 사건을 비교하면, 사울과 다윗이 ‘아버지의 심부름’을 하는 과정 은 그 둘이 이스라엘 사회에 어떻게 공식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는지 보여주는 사건이 된다.
2. 승리에 대한 반응
삼상15:9
‘사울과 백성이 아각과 그의 양과 소의 가 장 좋은 것 또는 기름진 것과 어린 양과 모든 좋은 것을 남기고 진멸하기를 즐겨 아니하고 가치 없고 하찮은 것은 진멸하 니라’
삼상17:17
‘다윗은 그 블레셋 사람의 머리를 예루살 렘으로 가져가고 갑주는 자기 장막에 두 니라’(삼상17:17)
두 인물 모두 승리를 경험하는 과정 가운데 하나님 또는 아버지의 뜻보다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취하는 유사한 사건의 흐름을 가진다.
1) 자신의 소견에 좋은 대로 더 좋은 것을 취하는 사울
A. 하나님은 아말렉을 심판하시길 원했다.
B. 사울은 그가 보기에 하찮은 것들만 진멸하였고 나머지 값지고 좋은 것들은 자신이 가진다
C. 사울은 하나님의 뜻 보다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한다.
2) 자신의 소견에 좋은 대로 더 좋은 것을 취하는 다윗
A’. 다윗은 사울의 갑주를 원하지 않았다.
B’. 다윗은 외모가 아닌 중심을 보는 하나님을 믿었다.
C’. 다윗은 골리앗의 승리 이후에 사울의 갑주보다 더 큰 골리앗의 갑주를 자기 집으로 가져 간다
사울의 군대가 아멜렉을 칠 때 하나님은 분명히 명령하셨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아말렉이 이스라엘에게 행한 일 곧 애 굽에서 나올 때에 길에서 대적한 일로 내가 그들을 벌하노니 지금 가서 아말렉을 쳐서 그들의 모든 소유를 남기지 말고 진멸하되 남녀와 소아와 젖 먹는 아이와 우양과 낙타와 나귀를 죽이라 하셨나이다 하니’(삼상 15:2-3)
사울은 그런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했다.
사울은 이렇게 하나님의 가르침을 따르기 보다는, 왕의 보기 좋은 대로 행하는 세속의 왕들처 럼 행동하길 시작했다.
하나님은 다윗을 보실 때 외모를 보지 않으시고 중심을 보셨다.
그 래서 하나님은 사무엘을 통해 이새의 막내아들 다윗, 양 치는 소년을 왕 으로 선택하신 것이다.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였던 다윗은 하나님이 주신 승리 이후에 골리앗의 갑주를 집으로 가져간다.
이때 설교자는 기 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하나님이 다윗에게 준 승리를 강조하는 설교를 준비할 수도 있지만, 다윗의 아버지 이새가 요구한 형제들의 안전의 증 거로써 다윗이 골리앗의 갑주를 가져간 사건이 실행하는 수행성 중심의 읽기가 요구된다.
즉 단순히 본문의 내용이 승리한 다윗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 내용을 가지고 사무엘서 상/하 전체 본문을 가운데 드러내 려고 혹은 진행하려는 사건은 설교자로 하여금 본문의 수행성이 만들어 가는 설교가용재료가 지시하는 강해성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한다.
다윗이 골리앗의 갑옷을 취한 것은 자신이 보기에 더 효율적이고 가 치 있다고 여긴 것을 선택하고자 했던 마음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하나님은 겉모습이 아닌 다윗의 중심을 보았지만, 승리 이후 다윗 은 자신의 겉모습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골리앗의 갑옷과 검을 자신의 집 으로 가져갔다.
다윗은 아버지가 말한 형들이 안전하다는 증거를 자신의 겉모습을 변화시키고 더 나가 자신의 승리의 증거인 골리앗의 갑주로 이 해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행동은 다윗이 앞으로 어떤 왕이 될 것인지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3. 의로운 자를 죽이려는 음모
삼상19:14-15; 삼상19:31;삼상23:26
사울이 전령들을 보내어…다윗을 보라 하 며 이르되 그를 침상째 내게로 들고 오라 내가 그를 죽이리라’
‘…사람을 보내어 그를 내게로 끌어 오라 그는 죽어야 할 자이니라 한지라’
‘…사울과 그의 사람들이 다윗과 그의 사 람들을 에워싸고 잡으려 함이었더라’
삼하11:14-15; 삼하11:22-25
‘다윗이 편지를 써서 우리아의 손에 들려 요압에게 보내니…너희가 우리아를 맹렬 한 싸움에 앞세워 두고…그로 맞아 죽게 하라’(삼하11:14-15)
‘전령이 가서 다윗에게 이르러…왕의 부하 중 몇 사람이 죽고 왕의 종 헷 사람 우리 아도 죽었나이다 하니 다윗이 전령에게 이르되…이 일로 걱정하지말라’(삼하 11:22-25)
1) 의로운 한 사람(다윗)을 죽이려 하는 사울
A. 사울은 다윗을 질투하여 죽이려한다.
2) 의로운 한 사람(우리아)을 죽이려하는 다윗
A’. 다윗은 자신의 범죄를 감추려고 우리아를 죽이려한다.
다윗이 블레셋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사람들에게 관심을 얻게 되자 사울은 그를 경계하기 시작한다.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 만이로다’(삼상18:7)
이후 사울은 다윗을 죽이고자 꾀를 내기 시작한다.
다윗은 우리아의 아내였던 여인, 밧세바를 범한다.
다윗은 밧세바가 임신 한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 사실을 우리아가 알아차리기 전에 그를 죽이 고자 꾀를 낸다.
4. 성경 언어 수행성을 통해서 예상되는 설교 가용재료
이 같은 설교를 돕는 본문 읽기를 중심으로 설교자는 설교의 내용의 구 성뿐만 본문의 본문이 실행하는 수행성에 책임 있는 반응의 조건들에 청 중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교를 연속적으로 몇 편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 혹은 설교를 명제적으로 구성할지 아니면 서사적으로 구성할지 까지 계획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기능적인 설교적 접근도 필요하지만 무엇 보다도 이 같은 성경 언어가 실행하는 수행성에 민감한 읽기는 ‘내가 설 교를 준비하는 가운데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에 대한 답이 바로 ‘설교의 강해성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답이 된다.
성경언어의 수행성 은 두 왕을 비교하고 있다.
본문이 실행한 비교라는 행동은 설교자로 하 여금 다음과 같은 설교 가용재료를 준다.
사울도 다윗도 모두 인간의 왕 으로서 삶의 자리에서 살다 생을 마감한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바라고 원했던 왕들 역시 한계가 분명한 그들과 같은 사람이다.
왕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 한 분밖에 없다’라는 사실이다. 성경 언어의 수행성은 설교자를 증인으로 만든다.
설교자는 성경 언어가 실행하는 수행성에 민감한 읽기 를 통해서 자신의 설교를 명제적으로 구성할지 혹은 서사적으로 구성할 지 선택하기 이전에 본문을 통해 성경의 저자이자 증인 되시는 성령님과 의 인격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성령님과 인격적인 소통을 경험했다는 설교자가 본문을 충실히 읽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이 뜨거워지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말씀으로 마음이 뜨거워진 설교자의 설교 행위를 통해서 공동체가 함께 그 마음이 공유되는 것이다.
바로 성경 언어가 수 행하는 의미수반발화 행위에 민감하고 책임감 있는 반응에 대한 공동체 적 수행이 시작되는 것이다.
Ⅵ. 나오는 말
성경 언어 행위가 실행하는 수행성이 설교의 강해성의 원리가 된다면 설 교 가운데 일어나는 사건은 성령이 만들어낸다.
왜냐하면 기록된 말씀의 저자도 성령이시고, 설교를 준비하는 가운데 설교자의 마음을 변화시키 시는 분도 성령이시며, 그 말씀대로 선포하도록 돕는 분도 성령이시기 때문이다.
강해 설교를 주관하는 강해성의 주체는 성령이다.
설교학의 관심은 설교 형식의 변화 보다 설교자의 변화이다.
설교자의 설교가용 자 료는 성령이 실행한 언어의 수행력이 만들어낸 설교자이다.
그러므로 설 교의 강해성은 더 이상 설교 가운데 성경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고민함 으로 그 해답의 결과로 설교의 형식을 구성하는 것을 넘어 근원적으로 설교적 책임감과 설교자의 정체성이 된다.
그러므로 성경 언어의 수행성 가운데 설교자가 변하지 않은 강해설교란 강해적이라 말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김덕현. “언어 행위 이론(Speech Act Theory)의 이해와 성령의 언어행위로써 설교: 빌레몬 서1장 15절-16절을 중심으로”, 「복음과 실천신학」 36 (2015): 89-117. . “개혁주의 설교학이 가진 ‘오래된 미래에 대한’ 제고(提高)”, 「칼빈논단」, 2021년 41호 33-58. Allen, O. Wesley ed. The Renewed Homiletic.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10. Austin, John L.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Clarendon Press, 1962. B. A. Müller, “A Homiletic Credo- A Firm Belief in the Preaching Event.” In: Living Theology: Essays Presented to Dirk J. Smit on His Sixtieth Birthday. eds. Len Hansen and N K, Robert Vosloo. Wellington: Bible Media, 2011. 337-48. Brueggemann, Walter. Cadences of Home: Preaching Among Exile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7. Buttrick, David.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Interpretation 25/01(1981), 46-58. Campbell, Charles L. Preaching Jesus: New directions for homiletics in Hans Frei’s postliberal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97. Chapell, Bryan. Christ-Centered Preaching: Redeeming the Expository sermon. Grand Rapids: Baker Books, 1994. Craddock, Fred. As One Without Authority. 3rd ed. Nashville: Abingdon Press, 1979. . Preaching. Nashville: Abingdon Press, 1985. Evans, Donald D. The logic of self-involvement. London: SCM Press, 1963. Jowett, John Henry. The Preacher, His Life and Work: Yale Lectures. New York: Hodder & Stoughton, 1912. Kuruvilla, Abraham. A vison for preaching. Grand Rapids:Baker Books, 2015. Lash, Nicholas. “Performing the Scriptures.” In Theology on the Way to Emmaus. London: SCM Press,1986, 37-46 Lischer, Richard. A Theology of Preaching: The Dynamic of the Gospel. Durham:Labyrinth Press, 1992. Randolph, David J.The Renewal of Preaching. Philadelphia: Fortress, 1967. Searle, John R.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Smith, Steven W. Recapturing the Voice of God. 김대혁⋅임도균 역. 본문이 이끄는 장 르별 설교. 서울: 아가페북스, 2016. Thompson, William D. Preaching biblically: Exegesis and interpretation. Nashville: Abingdon,1981.
Abstract
A Study on Expository Preaching Considering Biblical Language Performance
Kim, Duckhyun( Calvin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Liturgy & Homiletics)
This paper studies how the performance of Biblical language can be an alternative principle of expository preaching. The Bible is the living voice of God who practices the salvation of the Trinity. The Bible text creates sermons. The sermon made by the Bible establishes a church. All of this is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of the recorded God’s word. God himself speaks and works within the Bible and through it. The pr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of Biblical language is the adequacy of strength practiced by the preacher. The performance of Biblical language makes preaching a strong performance.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Biblical language becomes a principle of expository preaching.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n alternative way of reading the Bible to become a preacher sensitive to the language performance carried out by dynamic God’s words that help the effectiveness and integrity of strong preaching.
Key-Words: Expository preaching, Performance of Biblical language, Speech act theory, Propositional preaching, New homiletics
논문 접수일: 2024. 08. 17. 수정 접수일: 2024. 09. 30. 게재 확정일: 2024. 10. 19.
성경과 신학 112 권
'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 속성에 대한 논의:고전기와 종교 개혁기를 중심으로/양진영.광신大 (0) | 2025.01.28 |
---|---|
메타버스 교회에 있어 공간과 존재의 관계성이 갖는 신학적 의의 및 적용/장호광.안양大 (0) | 2025.01.28 |
독일 경건주의가 바흐의 교회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하재송.총신大 (0) | 2025.01.14 |
복음전도의 타당성에 대한 윤리적 성찰/김선일.웨신大 (0) | 2025.01.14 |
본문과 상황의 창조적 긴장으로 상호작용하는 선교적 해석 모형 도출/김은홍.백석대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