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이야기

(471)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8. 마음의 철학 38. 마음의 철학 "알라야식, 인간행동 영향주는 근본의식" 마음분석 연구 중점 둔 유식학파 인간의 8가지 근본 의식체계 규명 불교는 지혜의 종교이다. 지혜란 부처님이 깨달음의 체험을 통해 보여준 위대한 인격을 지칭하는 말로서 불교의 특징을 표현한 말이다. 그렇지만 이 지혜가 생겨..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7. 공사상의 의의 - 無我說 조명 37. 공사상의 의의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 無我說 조명 '무아' 와 '연기' 의 철저한 체득 이타행과 자비행의 길로 인도 대승불교철학의 핵심인 공사상(空思想)은 대승에서 주장하는 반야지혜에 대한 규명이다. 이것은 달리 말하면 부처님의 깨달음에 대한 규명이다. 공사상을 체계화 시킨 ..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6. 공사상과 이제설 36. 공사상과 이제설 공과 연기 이해의 두 가지 기준 제시 공사상(空思想)은 대승불교 철학의 핵심이다. 용수는 불교의 핵심인 반야지혜의 근거가 공의 체득에서 이루어짐을 확신하고, 공을 규명함으로써 대승불교의 철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공사상을 논함에 있어 공과 연기를 명확히 ..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5. 공사상의 전개 35. 공사상의 전개 "空 철저히 체득해야 반야지혜 완성" 緣起 이해와 空의 구현 바탕 대승불교 이타행. 자비행 실천 대승불교의 철학적 전개는 반야바라밀다 즉 반야지혜에 대한 규명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반야지혜의 규명에 기치를 올린 사람이 용수(龍樹)이며, 이 용수에 의해 대승불교..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4. 대승불교의 철학적 전개 34. 대승불교의 철학적 전개 보살행의 이론적 근거 '반야바라밀' 규명 용수의 대승철학 체계 수립 중관. 유식. 논리학 등 다양화 대승불교는 지혜의 증득과 보살행의 실천을 근본성격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대승불교가 부처님이 증득한 지혜와 부처님이 중생을 위해 펼쳐 보인 보살행에..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3. 정토신앙 33. 정토신앙 고통 번뇌 없는 청정세계에 대한 믿음 중생구제.이타행 실천 합일 '극락정토에 왕생' 염원 담겨 대승불교의 특징 중의 하나는 법신불(法身佛)에 대한 믿음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으로서 법이 바로 부처님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진리인 법이 부처님의 모습인 까닭에 부처님의 ..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3. 정토신앙 33. 정토신앙 고통 번뇌 없는 청정세계에 대한 믿음 중생구제.이타행 실천 합일 '극락정토에 왕생' 염원 담겨 대승불교의 특징 중의 하나는 법신불(法身佛)에 대한 믿음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으로서 법이 바로 부처님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진리인 법이 부처님의 모습인 까닭에 부처님의 ..
[스크랩] [이태승 위덕대 교수의 불교란 무엇인가] 32. 일승과 삼승 32. 일승과 삼승 "대승 입장에서 기존인식을 수용하려는 노력" 일불제자와 성문. 연각. 보살승 상황에 따라 나눠진 진리 의미 대승불교는 만인의 성불을 근거로 생겨났다. 그리고 그 성불의 근거를 부처님이 깨우친 지혜에서 찾아 처음부터 반야바라밀다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반야바라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