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838)
신학의 현상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의 가능성 ― 계시 개념을 중심으로/배명지.성결大 I. 서론 역사적으로신학과철학의관계에대한많은연구가있었다.대표적 인인물가운데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는 이 두학문의 관계 성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한 바있는데, 그는역사적으로 신학과 철학의 상관연구가 네가지유형으로 전개되어 왔다는 점을 밝혔다. 1)     1) 판넨베르크의네유형은, 첫째, 신학과철학의대립으로, 둘째, 동일한것으로, 셋째, 신학을철학보다상위에두거나, 마지막으로철학을신학보다위에놓는관계이다. 첫째관계인철학과신학의대립을주장하는점에는, 먼저기독교는철학과무관하고 철학으로부터계시신학을지키려는견해를갖고있다. 대표적으로 터툴리아누스(T ertullianus)와 11세기 다미아니(Petrus Damiani)를뽑을수있는데, 이때부터철학을 ‘신학의시녀’(ancilla theologiae..
‘생태학적 죄’와 ‘집합적 책임’의 신학적 의도와 반향에 대한 연구/이인미.성공회大 I. 머리말 생태위기에대한기독교신학적깨달음을담은1967년린화이트 (Lynn White Jr.)의기념비적논문에서우리는오늘날환경훼손과생태파 괴가인간이저지른죄(sin)라서인간이라면막중한죄의식(guilt)을감 당해야만한다는주장을만난다.1)     1) Lynn White Jr.,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Science, New Series Vol. 155, No. 3767 (1967), 1206. 그로부터한세대쯤흐른1990년대 중반, 마조리수하키(Marjorie H. Suchocki)는기독교역사에서말하는 전통적인죄개념이대체로하나님에대한반역(rebellion against God) 을가리키지만, 자신은죄를‘피조세계에대한반역의폭력’(the violenc..
토착화신학의 상호문화적 전개 가능성 모색/신용식.부산장신大 I. 서론: 다문화적 생활세계 속에서 한국적인 것의 의미 본연구는세계화현실속에서한국의문화적, 사상적특수성에기반 을 둔 한국적 문화신학으로서의 토착화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오늘날 다문화적 생활세계속에서 요구되는 토착화신학의 새로운방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토착화신학이 곧 한국적 문화신학이다.그렇 기에 이연구는과거 토착화신학연구자들의 노고속에 잠재된 채로 남아 있던 토착문화 및 사상의 상호문화적 파편들을 다시금 조명하려는시도 이다.과거토착화신학연구자들이그토록토착적인문화와사상과신학적으로고군분투했던것은 그자체가 선교적 과제 였기때문이다.이들의 학문적투쟁은 오늘의 한국적 신학에도 여전히 이어받아 발전 시켜야 하는 중요한 과업이다.토착화신학의관점에서복음과문화의상관관계를염두에두자면, 신학은근원적으로상황적이며해..
스파르타쿠스 https://youtu.be/9UrMsA70zMAhttps://youtu.be/fqA9-sQrPMY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행위언약의 본질과 속성/박재은.총신大 I. 들어가는 글2) 신학 형성의 역사는 곧 논쟁(論爭, controversy)의 역사이다.정통과 이단 사이의 논쟁, 교파와 교파 사이의 논쟁, 전통과 전통 사이의 논쟁은 신학의 장구한 역사를 거시적으로 조망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요 소들이었다.하나님께서는 주권적인 섭리 가운데 신학 논쟁을 통해 더 뚜 렷하게 진리를 보존하셨음을 믿는다.이런 측면에서 신학 논쟁은 하나님 의 진리 보존의 한 수단으로도 볼 수 있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3)도 마찬가지이다.      2) 이 논문은 2024년 6월 20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신학부 주최 대한예수교장로회 108회기 신학부 공청회 때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논문임을 밝힌다.    ..
그리피스 존(Griffith John)의 상뎨진리1)(上帝眞理, The True Doctrine of God)󰡕에 나타난 신론 연구/서상진.대구 미래로교회 1) 『상뎨진리』는 그리피스 존이 중국인에게 하나님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록된 소책자이다. 그리피스 존은 『상뎨진리』의 내용을 편집하여, 『덕혜입문(德慧入門, The Gate of Virtue and Wisdom)』을 출간했다. 『덕혜입문』의 제6장 「상제유일(上帝唯一)」은 『상뎨진리』의 내용이 다수 포 함되어 있다. 『덕혜입문』은 1879년 상해미화서관(上海美華書館)에서 출간되었으나 현재 남아 있 지 않다. 한글 번역 초판은 1915년 언더우드가 한글 개정판은 1927년 게일(James S. Gale, 1863- 1937) 선교사의 번역으로 출판하였다. 연구자는 1897년 상해미화서관에서 출간한 한문판 『덕혜입 문』 원본을 소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논자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논구한 신론과 관련된 ..
교회 속성에 대한 논의:고전기와 종교 개혁기를 중심으로/양진영.광신大 Ⅰ. 들어가는 말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이 시대처럼 ‘교회론’의 문제가 부각된 적은 없 었다.1)소위, ‘교회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놀랍지 않을 정도로 일상화 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교회론의 현주소는 어디에 있는가? 현대 교회가 추구하는 성경적 교회는 무엇인가?역사를 거슬러 니케아 공의회(First Council of Nicaea, 325)에서 칼케돈 공의회(Council of Chalcedon, 451)2) 에서 규정한 ‘교회의 속성’ 곧, 교회는 ‘하나이며, 거룩하며,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의 정체성은 그 모습을 잘 드러내는가?3)오늘 현대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로서 어떤 속성을 드러내고 있는가?4)     1) Edmund P. Clowney, The Church, Contours ..
메타버스 교회에 있어 공간과 존재의 관계성이 갖는 신학적 의의 및 적용/장호광.안양大 I. 서론 본 연구의 목표는 현대 정보통신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등장한 메 타버스 교회를 소환하여 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동시에 신학적 논의 를 통해 그 타당성을 평가하며 미래적 전망을 제시하는 데 있다.가상 융 합 세계로서 메타버스 시대가 도래했다는 말은 시중에서 떠돌지만 본격 적으로 상용화되기에는 아직은 시기상조로서 과도기라 할 수 있지만, 과 학기술정보통신부는 메타버스 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이루기 위한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해 작년과 올해 건국대, 성균관대, 경희대, 중앙대, KAIST 대 등 8개 대학에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을 설립할 정도로 활발하게 움직이 고 있다.따라서 머지않은 장래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체를 포함해 교육, 경제, 문화, 예술, 심지어 종교 영역에서 활성화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