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5036)
조선잡사(17)/받은 글 >> 113회 첫째, 황희는 ‘잘못된 선택’을 신속히 수정했다.고려왕조와 양녕대군을 선택하느라 스스로 고난의 길을 떠나는 것 같이 보였지만, 몇 년 안 가서 그는 자신의 ‘잘못’을 수정하고 노선을 선회했다. 둘째, 황희는 성격이 원만한 사람이었다.문종 2년(1452) 2월 8일자 에 수록된 ‘황희 졸기’에 따르면, 그는 ‘간사한 사람’이라느니 ‘뇌물을 받는 사람’이라느니 하는 비판을 받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격이 원만해서 세종대에는 ‘어진 재상’이라는 존경을 받았다. ‘간사하다느니 뇌물을 받는다느니 하는 평판을 받은 사람이 어떻게 어질다는 평판까지 함께 받을 수 있겠느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간사함’과 ‘뇌물을 받음’은 얼마든지 ‘어짊’과 병존할 수 있을 것이다 간사하다는 것은 뒤집..
≪東坡易傳≫에 나타난 蘇軾의 情感論적 윤리설* ― 정주이학의 윤리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차영익.한림大 <목 차>1. 서론2. ≪東坡易傳≫의 특징3. 情⋅性⋅命의 합일4. 情을 근본으로 하는 윤리설5. 善을 향한 人情의 실천6. 결론 1. 서론 본 논문은 소식의 윤리적 특징을 소식의 ≪동파역전≫을 중심으로 고찰한 논문이다.정주이학자들은 천리로부터 비롯되는 선을 윤리실천의 근거로 삼았 던데 반해 사람의 자연스런 욕구를 부정했다.이에 반해 소식은 사람들의 자연 스런 본능과 욕구를 긍정하고 이로부터 비롯되는 본성을 명(命)의 경지까지 미루어간다.이렇게 정감을 긍정하는 윤리관은 어떤 체계와 어떤 특징을 가지 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소식은 북송시대의 대표적 문인이며, 정치가, 서예가, 화가이다.특히 그의 문학작품은 詩 2,700여 수, 詞 300여 수, 散文 4천800여 편이 남..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방안: AI 전환과 가치이동을 중심으로(25-6-27)/이승환.국회미래연구원 1 기로에 선 가상융합 세계 ●메타버스로 대변되는 가상융합 세계는 혁신과 거품 사이의 기로(岐路)에 위치 ∙ 가상융합 산업은 기대와 실망의 극단적 부침을 경험 중이며 초기의 파격적 비전과 투자 열풍은 기술적 한계와 시장 현실에 부딪혀 냉정한 평가로 전환 ∙ 낙관적 전망 속 냉혹한 현실에 있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했으며 이에 산업의 본질 가치와 지속성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 중 - 가상융합 시장은 2024년 1,097억 달러에서 2030년 약 9,861억 달러로 성장 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약 43.4%에 달할 것으로 전망 - 반면, 메타버스 관련 온라인 검색량은 정점 대비 약 90% 이상 급감했으며, 국내 VR·AR 산업 매출액은 2023년에 전년 대비 33.5% 감소, 수출액은 67% 급감 -..
다시 보는 단종애사(端宗哀史)(7)/받은 글 다시 보는 단종애사(端宗哀史) 제72회> 이계전은 곧 수양 대군 궁으로 달려갔다. 이렇게 긴하고 은밀한 일에 자기가 참견하는 것이 계전에게는 크게 만족하였다. 며칠이 안 지나면 병조 판서가 아니냐. 정경(正卿)이 아니냐. 대감이 아니냐. 상감도 하오 하는 지위가 아니냐.생각하면 금시에 날개가 돋치어서 공중으로 날아 오를 듯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다 수양 대군의 은혜다. 이 은혜를 생각하면 아무리 하여서라도 수양 대군이 가장 미워하는 안평 대군을 하루바삐 없애드려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하고 수양 대군 궁을 향하여 마음으로 수없이 절을 하였다. 수양 대군을 만난 이계전은 첫째로 좌의정 정인지와 자기가 어떻게 간절하게 안평 대군을 죽여야 할 것을 상감께 말한 것이며 자기는 죽여 줍소사 까지 한 것이며,..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 (2) - 북한의 서예 시원 및 주체서예 성장·정립과정 고찰/김정남.성균관大 Ⅰ. 들어가는 말Ⅱ. 북한 서예 시원에 대한 고찰 1. 북한 주체사상의 태동 2. 북한의 한국서예의 시원 3. 항일혁명시기 북한 주체서예 시원Ⅲ. 북한 주체서예의 성장·정립과정 고찰 1. 주체서예 적용사례와 성장 2.「김정일미술론」을 통해 본 주체서예 사명과 요건Ⅳ. 나오는 말 Ⅰ. 들어가는 말 본 논문은 한국연구재단의「남북문화 동질성회복을 위한 북한서예문화 현황 고 찰」대과제(大課題) 중 “북한의 서예시원 및 주체서예 성장·정립과정”에 대한 고찰 이다.이는 첫 번째 논문「근대기, 남북한 서예문화 분화 초창기 현황 고찰」에 이 어서 진행되는 연구다.본고는 연구재단에 선정된 연구과제로 연구목표는 북한정권 전 기간의 서예문화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소주제(..
동양과 서양의 낭만시 비교 연구 중국의 이백과 영국의 워즈워스 시를 중심으로 /손 현外.성결대 Ⅰ. 서론 동서양을 막론하고 시는 문학의 정수로 여겨지며 인문적 전통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 다.동양 전통 문화에 크게 영향을 끼친 공자의 어록인 《논어》에 “시를 공부하지 않 고는 말할게 없다(不學詩, 無以言)”(《論語․季氏篇》)는 기록이 있다.이는 시를 배움 이 곧 말 배움임을 뜻하면서 시가 말의 모든 것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시간과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19세기 영국의 매슈 아널드(Matthew Arnold)라는 비 평가는 “시는 인간의 가장 완벽한 발언”(Arnold, M., 1955)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앞서 말한 공자의 언급과 크게 다르지 않다.즉 시를 알지 못하고서는 말을 한다고 할 수 없 다는 것이다.동양과 서양에서 공히 시가 언어의 정수이며 시의 이해가 언어의 이해임 을 ..
도연명의 새로운 이상적 인간 ‘철인’과 ‘달인’ ― 금(琴)의 의상(意象)을 중심으로/盧又禎.대구大 1) 目 次1. 들어가며2. 현학 사조와 동진 말 송 초의 도연명 3. 도연명의 새로운 이상적 인간의 제시 1) 철인, 무위(無爲)로의 자발적 인간 완성 2) 달인, 삶의 주체성과 자연(自然)의 인간 완성4. 나오며 1. 들어가며 공자가 도덕 감정과 정치 관념을 ‘예악(禮樂)’으로 관철시킨 이래로, 중국 고대 사회의 사상과 문예는 유가 학설에 도가 사상이 대립하거나 보충하는 것이 기본 맥락이 되었다.1) 1) 리쩌허우, 《미의 역정》, 이유진 역, 파주: 글항아리, 2014, 106-107쪽. 한(漢) 초에 이미 육가(陸賈)는 역사는 진화하고 발전하므로 인위(人爲)와 무위(無爲)를 결합한 통변(通變)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통변과 통물(通物, 物理와 人情의 통달)이 가능한 ‘성인(聖人)’..
영국 국채시장 불안 사례의 배경과 시사점(25-6-7)/송민기.금융연구원 ▶ 2022년 영국의 국채시장 위기를 초래했던 근원적인 취약성은 (1) 국채 금리가 재정건전성 우려에 대해 반응하는 민감도가 과거보다 높아졌고, (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펀드의 부채연계투자 (Liability-Driven Investment LDI) 운용전략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아졌던 데 있는 것으로 분 석됨. ▶ 영국 국채 금리의 재정건전성 민감도가 높아진 배경에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의료비 · 연금 관 련 재정지출의 지속적인 증가추세와 더불어 고령화된 인구구조에 따른 대규모 코로나19 대응 비 용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영국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펀드들은 인구구조 변화로 신규가입 · 추가적립이 중단된 상황에서 저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미래 부채 부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