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4418)
대동합방론의 출판과 재판 그리고 전유 과정/김윤희.전주대 Ⅰ. 머리말 Ⅱ. 대동합방론의 출판과 담론지형 Ⅲ. 대동합방신의에서 일본 현대어 번역까지 Ⅳ. 대한제국 사회의 대동합방론 전유 과정 Ⅴ. 맺음말​ 【국문초록】 다루이 도키치의 대동합방론은 유교의 이상적 가치를 토대로 아시아 국 가의 연대와 일본의 침략주의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당대의 사상적 흐름에 주목하는가, 이후의 일본 침략주의의 확대 과정에 주목하는가 에 따라서 평가를 달리했다. 반면 이 책의 담론지형과 한국에서의 수용 그리 고 다루이 도키치 사후 이 책이 반복적으로 소환됐던 과정에 대한 고찰은 거 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글은 기존 연구를 토대로 1910년을 전후하여 대동 합방론이 출판, 재판, 일본어 번역, 영인 되었던 상황을 고찰한다. 나아가 1910년 강제병합 직전 대한제국..
일제의 시베리아 침략과 극동 한인정책/李良熙.충남대 1. 머리말 2. 일제의 시베리아 침략과 4월참변 1) 러시아혁명 직후의 시베리아 ‘出兵’ 2) 극동지역 한인과 4월참변 3. 일본군의 극동 한인정책 1) 시베리아 침략 초기 2) 4월참변 이후 4. 맺음말 ​■ 요약 1918년 4월 5일 일제는 자국민 보호를 이유로 블라디보스토크에 군대를 상 륙시켰다. 8월 미국의 러시아 내 체코군 철수를 위한 공동 ‘출병’ 요청은 일제가 시베리아를 침략하는 데 명분으로 작용했다. 이에 일제는 시베리아 ‘출병’을 선언하고 러시아 극동지역과 북만주 일대를 점령해 갔다. 일제의 극동지역 한인 정책은 일본 자국민보호라는 미명 아래 한인의 러시아 및 중국으로의 귀화여부 를 무시하고 이루어졌다. 이 정책은 회유와 단속으로 구분되었다. 회유는 일본 의 발전된 모습을 선..
<한성신보>의 명성황후시해사건 보도 태도와 사후조치 /장영숙.상명대 1. 머리말 2. 축소, 은폐, 조작에 의거한 사건 보도 3. 고종, 명성황후, 대원군에 대한 이미지 조작 4. 사회적 동요와 혼란의 파장에 따른 사후조치 5. 맺음말 * 상명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요약 본 연구에서는 ≪한성신보≫의 명성황후시해사건 보도 내용과 태도를 분석해 보았다. 보도는 1895년 10월 9일자부터 10월 19일자까지이다. 황후시해계획은 반민비세력의 거두인 대원군과 해산위기에 직면한 훈련대가 모의하여 일으킨 쿠데 타로 위장되었다. 이를 위해 훈련대 병사들과 순검의 다툼을 10월 3일부터 보도하 였다. 시해계획의 사전모의에 따라 훈련대가 순검을 상대로 고의로 충돌을 일으키 고, 이를 신문을 통해 연속적으로 보도함으로써 훈련대의 불만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었다. 또한 훈련대가 대..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식민지 조선의 노동문제 인식 변화와 ‘계급투쟁론’의 형성과정 - ‘生(life)’·‘文化(culture)’개념을 중심으로 - /김명재.서울대 Ⅰ. 머리말 : 근대 사회주의 사상 수용 연구와 ‘生(life)’·‘文化(culture)’ 개념 Ⅱ. 1910년대 문명 비판 사조와 ‘인권회 복운동’으로서 노동문제 인식 Ⅲ. 사회주의 수용의 사상 지형과 ‘생’· ‘문화’의 ‘능동성’ 강조 Ⅳ. ‘생’을 동력으로 하는 ‘계급투쟁’과 ‘新文化’의 창출 Ⅴ. 맺음말 : 물산장려운동 논쟁 전후 ‘계급투쟁론’의 귀결 ​​Ⅰ. 머리말 : 근대 사회주의 사상 수용 연구와 ‘生(life)’·‘文化(culture)’개념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한국의 사회주의 수용 연구에서 다뤄져 온 ‘계급투쟁 론’의 형성을 개념어를 통해 재독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 회주의 사상 수용 연구와 관련 개념 연구사를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첫 번째로, 기존 한국의 사..
한국 지장신앙과 무속의 역동적 변용에 관한 연구: 죽음의례를 중심으로/루타나도미닉.한국학중앙연구원 본 논문의 목적은 대승불교의 보살신앙 가운데 관음신앙과 함께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장신앙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하여 한국인의 죽음관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었는지를 해명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지장보살은 불교의 신격이지만 그 신격의 기원, 그리고 보살에 관련된 신앙체계의 전개와 발전은 불교만 아니라 고대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의 고유한 또 다른 신앙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연구해야 하는 대상이다. 또한 똑같은 이유로 각 나라의 지장신앙은 조금씩 다르게 나타기도 한다. 따라서 이 주제가 포괄하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장신앙에 관련된 세 가지의 죽음의례, 말하자면 49재와 수륙재, 그리고 생전예수재를 선택하여 이것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 과정을 중심축으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조선 건국의 정당화:신화와 역사의 긴장/최연식外.연세대 􀓛 논 문 요 약 􀓛조선의 건국은 마상의 건국이었다는 점에서 정당성이취약한 건국이었다. 따라서 조선 건국의 주체들은 역성혁명이 예견된 역사의 숙명이었음을 알릴 새로운 방법을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점에서‘하늘을 나는 용들의 노래’(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즉 용비어천가의 탄생은 처음부터 정치적인 것이었다.조선의 건국이 천명에 의해 예견된 것임을 강조하는용비어천가의 서사구조는 간결하고 명쾌하다. 그러나 용비어천가는 용들의 노래인 동시에 백성의 노래가 되어야했고, 영웅들의 신화인 동시에 역사의 교훈이 되어야 했다. 이것이 용비어천가에 내재된 긴장의 원천이었다.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은 이 문제를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하나는 역사를 신화화하는 방..
친밀성의 물화 사회철학적 분석을 위한 시론/정태창.공주대 초록이 논문은 친밀성(intimacy)의 물화(Verdinglichung)를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체 계적으로 이론화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작업이 수행된다.첫째, 친밀성과 친밀 관계의 개념을 관련된 철학 적, 사회학적 연구들에 기초하여 명료하게 규정하고, 그동안 친밀성 영역과 관련된 논의 의 중심 개념을 이루어온 성(sexuality), 사랑(love), 가족(family)의 개념을 검토하고 각 각의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이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물화 현상의 사회철학적 분석을 위 해서는 친밀성 개념이 기본 범주로 가장 적절하다는 점을 보인다.둘째, 친밀성의 물화를 ① 주관, ② 상호주관, ③ 객관의 세 차원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
易學을 통해본 圓覺經의 成佛論 - 周易과 正易을 중심으로 - /이현중.충남대 한글 요약본고에서는 원각경의 成佛論을 中國易學의 전적인 周易의 順逆合一과 韓國易 學의 전적인 正易의 倒逆生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는 일상의 삶으로부터 遠離心을 發하여 수행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하여 實相의 세계를 물건적 관점에서 가치상의 우열을 가진 性과 相, 중생과 부처, 무명과 圓覺의 양자로 구분하여 중생, 무명을 벗어나서 원각, 부처에 이르는 수행과 成佛을 논한다. 그러나 相에서 性을 향하는 상구보리는 逆방향 중심의 證悟成佛論으로 順방향의 衆 生本來成佛論과 모순을 일으킨다. 중생이 본래성불이라면 무명이 없어서 수행을 할 필요가 없고, 무명이 있다면 부처라고 할 수 없음은 물론 수행을 통하여 성불할 수 없 다. 따라서 물건적 관점에서 제시된 실상의 두 측면인 본래성불과 증오성불이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