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스크랩] 한국 성리학의 특징

한국 성리학의 특징

1. 정주학의 절대 우위 :

정주학 계통의 성리학은 처음에는 불교의 비인륜성을 비판하였고 나중에는 육상산·왕양명 계통의
심학을 이단시하면서 절대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일부 少論 계통의 학자들이 양명학에 개방적
태도를 보인 적도 있었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서처럼 발전할 수 없었다. 특히 17세기경부터 정주
학은 교조주의적 성격을 띠어 조금이라도 주희의 이론과 다르면 斯文亂賊으로 몰아 붙여 배척하
였으므로 정제두를 빼고는 이렇다 할 양명학 연구자가 없었다. 한편 정주학 계통의 성리학은
이기심성론·사단칠정론·인물성동이론 등 많은 부분에서 연구를 진척시켰다.

2. 主知主義的 경향 :

정주학은 주지주의적 경향이 강하고 양명학은 主情主義的 경향이 강하므로 정주학이 발달하였던
한국 성리학은 주지주의적 경향이 두드러졌다. 사실 사단칠정론, 인물성 동이론 등의 탐구는
200~300년 여에 걸쳐 논의되었고, 그 내용 또한 중국이나 일본의 성리학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심오하고 풍부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성리학의 기본적 토대였던 이와 기에 대한 담론이
활발해져 主理, 主氣, 唯理, 唯氣 등의 다양한 학설이 나왔다.

3. 禮學의 발달 :

합리성을 추구하는 한국 성리학의 주지주의적 정신은 명분론적 예학을 꽃피웠다. 성리학자들은
의리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형태를 예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성리학적 이기론은 공허한 관념에
머물지 않고 예의 실천을 통하여 체득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정몽주가 ≪주자가례≫를 실천하고 권근이 ≪예기천견록≫을 저술한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정구·
김장생·朴世采 등의 예론에서 연구의 절정을 이루었다. 한편 尹頊와 宋時烈 등의 예송에 의한
당쟁은 예 실현을 향한 열의의 극치를 보여주었다.

4. 主理論의 보수성 :

한국성리학은 주기론보다는 주리론이 우위를 차지하면서 명분론적 사고가 두드러졌다.
변화하는 감각적 세계(氣)의 근저에 있는 초감각적, 불변적 원리(理)를 추구하였기 때문에
이념형적 가치를 강하게 추구하였다. 왕통, 가통 등 정통성을 중시하면서 이 규범에 어긋나는
행위는 가차없이 지탄받았다. 이러한 주리적 경향은 변화하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기존의 규범과 가치를 묵수하려는 보수성이 강하였다. 그러나 주리파의 명분 의식은 개항기에
우리 민족의 주체 의식을 발양시키고 애국심을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대표적 주리론자인 이항로
·김평묵과 그 문인들이 척사 위정을 부르짖으며 倡義護國운동을 일으킨 것이 그 실례이다.

5. 人尊精神의 지향 :

성리학은 공자와 맹자의 유교를 계승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더욱 이론화시켰다. 사칠논변을 통하여
인간의 선한 감정이 무엇인지 연구하였고 인물성 동이론을 통하여 인간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인간의 본성을 우주의 보편적 원리인 이(理)로부터 해석하여 인간 존재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출처 : 동양철학 나눔터 - 동인문화원 강의실
글쓴이 : 권경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