遊子吟(유자음)
慈母手中線(자모수중선) 자모의 수중실로,
遊子身上衣(유자신상의) 유자의 신상의 옷을,
臨行密密縫(임행밀밀봉) 누빔에 있어 알알이 누비니,
意恐遲遲歸(의공지지귀) 마음이 나들이 늦을까 염려된다.
難將寸草心(난장촌초심) 다만 한치 풀같은 마음으로,
報得三春輝(보득삼춘휘) 따뜻한 햇볕을 갚기 어려워라.
맹교가 지은 이 詩가 ,
이백이나 두보 도연명 왕유 등 수많은 시성 시선들의 작품을 뒤로하고,
현재 중국인에게 가장 늘리 즐겨 읽는 시 라하내요.
해설을 하자면,
자애로운 어머니가 나들이 떠나는 아들의 옷을 짓기위해 실로 바느질을 하는데
나그네 길에 옷이 헤어지지 않도록 촘촘히 꿰매고 있다.
그러면서 마음 속으로는 자식이 나들이에서 너무 늦게 돌아오지 않을까 걱정하신다.
이 어머니의 지극하신 사랑은 마치 춘삼월의 햇볕과도같다.
이 크나큰 사랑을 한치의 풀과도 같은 자식의 마음으로 어찌 보답할것이냐.
적어 올리고보니 돌아가신 어머님 생각이 간절하군요..
봄날 석달의 따스한 햇볕같은 어머니 사랑.....
한치 풀같은 자식의 마음으로 어찌 보답하리오..
여러분 부모님께 효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