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符讀書城南(부독서성남) - 韓愈(한유)

符讀書城南(부독서성남) - 韓愈(한유)

<아들 부에게 성남에서의 독서를 권함>

 

木之就規矩(목지취규구), 在梓匠輪輿(재재장륜여).

人之能爲人(인지능위인), 由腹有詩書(유복유시서).

詩書勤乃有(시서근내유), 不勤腹空虛(불근복공허).

欲知學之力(욕지학지력), 賢愚同一初(현우동일초).

由其不能學(유기불능학), 所入遂異閭(소입수이려).

) --> 

兩家各生子(양가각생자), 提孩巧相如(제해교상여).

少長聚嬉戱(소장취희희), 不殊同隊魚(불수동대어).

年至十二三(연지십이삼), 頭角稍相踈(두각초상소).

二十漸乖張(이십점괴장), 淸溝映(청구영오거).

三十骨骼成(삼십골격성), 乃一龍一豬(내일룡일저).

) --> 

飛黃騰踏去(비황등답거), 不能顧蟾蜍(불능고섬여).

一爲馬前卒(일위마전졸), 鞭背生蟲蛆(편배생충저).

一爲公與相(일위공여상), 潭潭府中居(담담부중거).

問之何因爾(문지하인미), 學與不學歟(학여불학여).

金璧雖重寶(금벽수중보), 費用難貯儲(비용난저저).

學問藏之身(학문장지신), 身在則有餘(신재즉유여).

) --> 

  君子與小人(군자여소인), 不係繫父母且(불계부모저).

不見公與相(불견공여상), 起身自犁鋤(기신자여서).

不見三公後(불견삼공후), 寒饑出無驢(한기출무려).

文章豈不貴(문장기불귀), 經訓乃菑畬(경훈내치여).

潢潦無根源(황료무근원), 朝滿夕已除(조만석이제).

) --> 

人不通古今(인불통고금), 馬牛而襟裾(우마이금거).

行身陷不義(행신함불의), 況望多名譽(황망다명예).

時秋積雨霽(시추적우제), 新凉入郊墟(신량입교허).

燈火稍可親(등화초가친), 簡編可卷舒(간편가권서).

豈不旦夕念(기불단석념), 爲爾惜居諸(위이석거제).

恩義有相奪(은의유상탈), 作詩勸躊躇(작시권주저).

) --> 

) --> 

) --> 

나무가 둥글고 모나게 깍임은 목수에 달려있고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은 뱃속에 들어있는 시와 글들에 달려있다.

시와 글은 부지런하면 곧 갖게 되고 부지런하지 않으면 속이 텅 비게된다.

배움의 힘을 알고자 하면 어진 이와 어리석은 이 처음엔 똑같았으나

배우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들어가는 문이 마침내 달라지는 것이다.

) --> 

집에서 각기 자식 낳아 안아주고 웃을 때엔 재주 서로 비슷하고

조금 자라 모여 장난할 때엔 같은 무리의 물고기와 다르지 않다.

나이 열두세 살에 이르면 머리 골격이 차츰 서로 달라지고

스무 살 되면 점점 더 벌어져 맑은 냇물이 도랑물에 비치는 듯하며

서른 살에는 골격 이루어져 마침내 하나는 용 하나는 돼지가 된다.

) --> 

학문을 이루면 비황처럼 나는 듯 뛰어 달리고 학문을 못 이루면 두꺼비처럼 돌아보지 못한다.

하나는 말 앞의 마부 되어 등에 채찍 맞아 구더기 생기고

하나는 삼공이나 재상이 되어 고래등 같은 집에 산다.

묻노니 무슨 연유인가? 배우고 배우지 않은 차이란다.

금과 구슬 비록 중한 보배이지만 써버리면 저축하기 어려우며

학문은 몸에 간직하여 몸에만 있으면 사용하고 남음이 있다.

) --> 

군자와 소인은 부모에게 달려 있지 않으니

보지 못하였는가, 삼공과 정승이 쟁기와 호미로부터 나온 것을.

보지 못하였는가, 삼공의 후손들이 춥고 굶주려 나갈 때 나귀도 없는 것을.

문장이 어찌 귀중하지 않겠는가, 경서의 가르침 곧 전답(田畓)과 같은 것이다.

고인 장마물 근원 없어 아침에 찼다가도 저녁에는 이미 없어진다.

) --> 

사람이 고금의 일 통달하지 못하면 마소에다 옷 입혀놓은 격이니

행동함에 불의에 빠지고도 하물며 명예가 많기를 바라는가.

철은 가을이라 장마비 개이고 새로이 시원한 기운 들판에 들어오니

등잔불 점점 가까이 할 만 하고 책 거뒀다 폈다 할 만하다.

어찌 아침저녁으로 생각하지 않겠는가, 너를 위해 세월 아껴야 하리라.

은혜와 의리는 서로 빼앗음 있으니, 시 지어 주저하는 너에게 권면하노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