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이야기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우강식/영남대)


1. 들어가는 말
2. 俠의 특성과 女俠敍事
3. 초기 女俠敍事의 내용과 특징
3.1 초기 女俠敍事의 내용
3.2 구성요소
3.3 전통 관념의 제약과 한계
4. 여협형상의 창조와 영향
4.1 行俠 목적
4.2 行俠 수단
4.3 인물형상
5. 나가는 말

1. 들어가는 말
본 연구는 魏晉六朝 시기 志怪小說을 통해 묘사된 女俠敍事의 産生에 관한 분석이다. 처
음 문학작품에 시도된 女俠敍事의 내용과 産生 동기, 그리고 이후 장르에 미친 영향을 탐색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소설이라는 장르가 창작되기 시작하면서 俠의 형상이 묘
사되었고, 또 동시에 여성 俠이 묘사되었다는 것은 전체 중국 무협소설사 발전과정에서 주
목할 만한 현상이라 하겠다.
현대의 대중들이 俠을 소재로 한 작품을 대하는 이유를 俠의 정의로운 행위를 통해 勸善
懲惡의 바람에서 찾는 것처럼1), 俠을 이야기하고 묘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俠의 이상과
기질을 동경하는 대중의 심리를 담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마찬가지로 고대 중국에서도 俠
을 이야기하고 묘사하였던 것은 바로 정의를 실현하는 영웅의 출현에 대한 동경이 자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무협소설이 지닌 이러한 공능은 작품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어 묘사되
는 俠의 형상과 성격에 尙武情神에 바탕을 둔 武와 正義를 추구하는 요소를 강조하게 되었
다. 그래서 전체적인 장르의 성격 또한 남성적인 “陽剛”의 풍격을 띠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하였다. 무협소설이 본격적으로 창작되기 이전 《史記》와 《漢書》 등 史書에 기재된 협객 荊
軻와 聶政, 郭解 등의 기록들을 보더라도 남성 위주의 일화를 전하고 있는 것이었으며, 이후
傳奇小說과 話本小說을 거쳐 현대 무협소설에까지 문학작품에서도 남성을 중심으로 한 서
사전통은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俠에 관한 서사가 비록 “尙武情神”을 바탕으로 한 陽剛의 성격을 지닌 문학 장르라
고 하지만, 남성으로 대표되는 특정한 性만이 주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여성은 무협소
설 장르의 발전과정에서 비록 서사의 중심에 있었다고는 단언할 수 없지만, 女性 俠에 대한
묘사는 초기부터 꾸준히 존재해 왔었다. 특히 본격적으로 무협소설이 창작되기 시작한 唐代
傳奇小說에서는 紅線과 謝小娥, 聶隱娘 등과 같이 선명한 개성을 지닌 女俠의 형상을 창조
하였고, 이러한 女俠에 대한 묘사는 무협소설 장르 발전의 한축을 형성하면서 후대로 이어
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 무협소설사의 발전과정을 탐색하는데 女俠敍事의
형성과 발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으며, 또 女俠을 묘사하게 된 창작동기를
탐색하는 것은 당시의 시대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도 있다고 하겠다. 女俠
敍事에 대한 분석은 무협소설사적인 측면과 문화사적인 측면, 양방향에 의의를 찾을 수 있
는 것이라 하겠고, 그 원류에 대한 분석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이러
한 점에 문제제기를 시작으로 하였다. 女俠敍事의 원류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陽剛
의 문학” 혹은 “남성중심의 서사”로 인식된 장르에 여성들의 독립적인 형상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무협소설사에서 女俠敍事가 지닌 의미를 정립할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겠

 

1) 김현, <무협소설은 왜 읽히는가 - 허무주의의 부정적 표출>, 《월간세대》, 1969, 10. 우강식, <武
俠 테마를 통한 異種文化의 수용과 발전 고찰 - 영상예술을 중심으로>, 《중국학》 제34집, 2009
참조.
다.
현재 女俠敍事의 원류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 언급되는 정도만 있을 뿐 거의 없는 상
황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대상이 될 수 있는 志怪小說 가운데 무협소설이라 이를만한 텍스트
의 수량과 소설적 완성도 등에도 문제가 있긴 하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심도 있게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女俠에 대한 논의 또한 주로 唐 傳奇 이후의 작품에 치중되고
있으며, 聶隱娘, 紅線, 謝小娥 등 주요 작품과 인물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다.2) 필자는 女


2) 주요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短篇俠義小說에 관한 연구로 崔奉源의 연구를 주
목할 만한데, 그는 70여 편의 고전단편협의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협의관의 묘사, 무공의 묘사,
인물묘사의 神怪的 색채 그리고 불교와 도교 등 종교의 영향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논문의
제2장 1절에서 六朝 시기에 俠義觀의 형성과 함께 志怪小說의 형식을 통해 俠義小說로 표현되었
음을 이야기하였고, <李寄>와 <比邱尼> 등의 작품을 그 예로 제시하고 있다(《中國古典短篇俠義小
說硏究》, 臺灣: 政治大學, 國文硏究所 博士, 1983). 陳山은 俠의 産生과 발전과정을 서술하면서
魏晉시기 사회적으로 만연한 崇俠의 사회적 기풍이 문언무협소설을 있게 하였고, 이는 상․하층을
연결하는 매개역할을 한다고 하였다(《中國武俠史》, 上海三聯書店, 1992). 羅立群은 중국 무협소
설의 발전과정을 시기별로 정리하였는데, 魏晉六朝 시기에는 志怪의 틀 안에서 俠을 묘사하는 사
례가 보이기 시작하였고, 비교적 완전한 소설적 형식을 갖추고 있다고 하였다. 그 가운데 무협소
설의 시작으로 <李寄>와 <比邱尼> 등의 志怪小說을 언급하며 女俠의 형상을 거론하였다(《中國武
俠小說史》, 遼寧人民出版社, 1990). 鄭春元⋅張志和는 唐 이전 무협소설의 원류를 기술하며 女俠
에 대한 서사로 <李寄>와 <比邱尼>를 거론하면서 풍부한 俠義 정신을 지녔고, 후대 唐 傳奇의 女
俠敍事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언급하였다(《中國文史中的俠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4). 沈
曉梅는 志怪小說의 여성의 형상을 전기적인 요소에 근거하여 女神, 女鬼, 女人 등으로 분류 분석
하였고, 그 가운데 女人 곧 인간으로서의 女俠型이 志怪小說을 통해 唐 傳奇로 이어지는 것을 논
의하였다(《魏晉南北朝志怪小說中的女性形象硏究》, 廣西師範大學, 2006, 碩士).
사회적 배경에 대한 연구로 夏哲堯는 魏晉 시기 혼란한 사회 정치적인 배경아래 민간에서는 俠士
의 출현을 갈망하였고, 소설이 의식적으로 창작되기 시작한 志怪小說에서도 이러한 풍조에 편승
하여 무협의 요소를 담은 것이라 하였다(<兩漢魏晉南北朝文學的任俠主題>, 《寧夏大學學報》 第24
卷 第2期, 2002).
女俠敍事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로 羅瑩은 무협소설의 女俠敍事의 시작을 魏晉六朝 시기로 구분
하면서 당시에 志怪․志人소설이 성행하였고 일부 무협소설들이 그 가운데 산재하고 있다는 것과
<李寄>와 <比邱尼> 등의 작품에서 인물은 비교적 선명한 협의 형상을 지니고 후대의 女俠敍事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古代文言武俠小說中女俠形象的演變歷程>, 《四川職業技術學院學報》
04期, 2009).
唐 傳奇 이후의 女俠에 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이 논의를 진행하여 오고 있다. 胡麗는 唐代
傳奇 소설에 묘사된 男性俠과 대비되는 女俠 형상의 유래와 변화를 유형별로 살펴보면서 女俠敍
事에 내포된 문화 사상적 의미를 살펴보았고, 더불어 남성 중심의 강호의 세계에 女俠들의 운명
에 대해 논의하였다(《唐代小說女俠形象研究》, 山東師範大學, 2008, 碩士). 楊筱燕은 唐 傳奇의
발전과정과 여성형상의 발전 과정을 언급하면서 남성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협의 형상에 대해 논
의하였다(《唐傳奇中的女性形象》, 貴州大學, 2008, 碩士). 林憲亮은 唐代 소설을 중심으로 한 협
4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俠敍事의 원류에 대한 분석을 위해 “소설”이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이 시작되면서 동시에 무
협소설 또한 창작되기 시작한 魏晉六朝 시기를 주목하였고, 이 시기 志怪小說 가운데 《搜神
記》와 《搜神後記》3)에 수록된 <李寄>와 <比邱尼>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2. 俠의 특성과 女俠敍事
무협소설의 주요한 구성요인인 俠은 기원에 관한 사료적인 명확한 연대를 가지고 있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俠은 文과 武가 분명하게 분화되지 않았던 고대 중국의 士의 계층이 尙
武情神과 劍을 숭배하는 풍조를 근간으로 하여 春秋戰國이라는 정치적 혼란기를 거치면서
분화 발전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4) 일찍부터 俠에 관한 일화를 기록하였던 《史記》 등의
史書에 전하는 曹沫, 專諸, 豫讓, 聶政, 荊軻 등 古典俠에 관한 기록을 통해 보더라도 대체로
정치적 혼란기를 거치면서 신의와 명예를 중시한 기질을 보여준 내용들이었다. 당시 俠의
존재와 활동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먼저 韓非子는 俠에 관해서 “검을 차고 다니면서 사람
을 덮치고 죽이기도 하는 난폭한 민중들인데도 세상에서는 그들을 존중하여 용맹에 힘쓰는


객 형상을 논의하면서 여성의 지위가 향상된 唐代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 소설 가운데 다량의 盜
俠과 女俠 형상이 출현하게 되었다는 것과 이들이 후대 소설과 희곡 등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唐代小說之俠客形象研究》, 曲阜師範大學, 2006, 碩士). 정민경은 唐代 俠義小說에 보이
는 女俠의 형상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비교적 개방적인 시대적인 분위기에서 男俠에 비해 강한
개성을 지니고 현실을 개척해나가는 女俠들의 형상은 불교나 도교 등 종교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이야기 하였다( <唐代俠義小說속의 女俠>(《中國語文學誌》 제12호, 2002). 이 외에도 女俠에 대
한 연구는 喬孝冬․張文德의 <唐代女俠形象的審美特徵>(《淮陰師範學院學報》 05期, 2007), <女俠
形象投影下的唐文人心態>(《淮海工學院學報》 02期, 2007), 呂華의 <娥眉不讓鬚眉:解讀唐傳奇中
的女俠形象>(《皖西學院學報》 01期, 2010), 陸豔清의 <對唐傳奇女俠形象的解讀>(《柳州師專學報》
02期, 2000), 陳曦의 <唐代傳奇中的女俠形象及其審美價值>(《廣西社會科學》 03期, 2004) 등 다
수의 연구결과가 있다.
唐代 이후에 대한 연구로 馮延燕은 중국 女俠 형상의 발전 과정에서 十三妹를 기점으로 변화가
있었음을 언급하며, 豪俠과 義俠에서 情俠으로, 그리고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움에서 예교를 따르
는 형상으로의 변화를 언급하였다(《《兒女英雄傳》中十三妹形象研究》, 中南大學, 2009, 碩士). 김
명신은 淸代 俠義愛情小說에 등장하는 女俠들의 형상을 유형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淸代 女俠
의 特徵에 대한 小考>, 《中國小說論叢》 제13집, 2001).
3) 干寶, 《搜神記》, 中華書局, 1979. 陶潛 撰, 《搜神後記》, 中華書局, 1981. 이후 본고에서 인용되는
원전은 이 서적들을 참고로 할 것이다.
4) 陳山, 《中國武俠史》, 上海三聯書店, 1992, 1-20쪽 참조.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 5


선비라 한다”5)라고 하였다. 韓非子는 곧 法家의 입장에서 俠의 무장역량이 사회질서를 혼란
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그래서 안정된 통치를 방해하는 암적인 존재로 규정한
것이다. 이에 반해 司馬遷은 “그 말에는 반드시 믿음이 있으며, 그 행동에는 반드시 결과가
있고, 이미 허락한 것에는 반드시 성실히 하고,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으며, 士의 곤란함에
달려간다. 生死存亡은 버려두고 자신의 능력을 자랑하지 않으며, 그 공덕을 부끄러워한다”6)
라고 俠을 정의하였다. 韓非子가 부정적인 입장에서 俠을 평가했다면, 司馬遷은 약자를 위
해 正義를 실천하는 俠의 利他主義적인 성격을 높이 평가하였다. 荀悅은 이러한 양자의 견
해를 정리하여, “游俠의 근본은 강하고 용맹하며 굽히지 않음에서 생겨난다. 오랫동안 평생
의 약속을 저버리지 않고, 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쳐 시대의 어려움을 구하고 동류의 사람을
구제한다. 올바르게 행동하는 것 때문에 강하고 용맹하다고 말하지만, 그르침이 심한 경우
도적이 됨에 이른다”7)라고 하였다. 곧 俠은 신의를 중시하고 이웃의 곤궁함에 먼저 나아가
는 긍정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더불어 사회질서를 어지럽힐 수 있는 위험요소도
아울러 가졌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俠의 성격
과 기질에 대한 논의는 이들의 관점을 근거로 하여 정의와 신의를 중시하는 긍정적인 성격
을 정리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8)
俠의 産生과 기질을 통해 살펴본 것처럼 俠은 전통의 尙武精神과 崇劍思想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협소설은 바로 이러한 정신과 기질을 지닌 자들에 대한
묘사가 있는 문학 장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무협소설의 기원에 대한 논의는 명확하게


5) 行劍攻殺, 暴傲之民也, 而世尊之曰磏勇之士(《韓非子⋅六反》).
6) 其言必信, 其行必果, 已諾必誠, 不愛其軀, 赴士之阨困. 旣已存亡生死矣, 而不矜其能, 羞伐其德
(《史記⋅游俠列傳》).
7) 游俠之本, 生於武毅不撓, 久要不忘平生之言, 見危授命, 以救時難, 而濟同類. 以正行之者, 謂之武
毅, 其失之甚者, 至於爲盜賊也(荀悅, 《漢記》 卷10, <孝武皇帝記一>).
8) 劉若愚는 협의 기질을 남을 돕는 것을 즐겁게 여기는 것(助人爲樂), 공정함(公正), 구속받지 않음
(自由), 知己에 충성하는 것(忠于知己), 勇敢, 성실하고 신뢰할 만함(誠實⋅足以信賴), 명예를 소
중히 여기는 것(愛惜名譽), 기개 있고 재물을 가벼이 여김(慷慨經財)이라 하였다(劉若愚, 《中國
之俠》, 上海三聯書店, 1991, 4-6쪽 참조.). 최봉원은 협의 기질을 노상에서 억울함을 당하는 사람
을 보면 서슴없이 칼을 뽑아 도와주는 것(路見不平, 拔刀相助), 은혜를 입으면 잊지 않고 보답하
고, 베푼 은혜는 보답을 바라지 않는 것(受恩勿忘, 施不望報), 다른 사람의 부족함을 돕고, 위급
함을 구제하는 것(振人不贍, 求人之急), 이미 허락한 일을 중히 여기고 생사를 가벼이 여기는 것
(重然諾, 輕生死), 옳고 그름과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 것(不分是非善惡), 덕과 재능을 뽐내지
않는 것(不矜德能), 범령에 구속되지 않는 것(不顧法令), 의를 중히 여기고 재물을 가볍게 보는
것(仗義輕財)이라 하였다(崔奉源 著, 《中國古典短篇俠義小說硏究》, 聯經出版事業公司, 1986(民
國75), 19쪽 참조).
6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통일 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지만,9) 흥미로운 것은 중국에서 본격적인 무협소설 창작이
시작되기 이전 《史記》을 비롯한 《左傳》, 《越絶書》, 《吳越春秋》 등 史書를 통해 俠에 관한 고
사를 기록하여왔다는 점이다. 예컨대 《吳越春秋》에 전하고 있는 越處女가 越王의 부름을 받
고 오는 도중 袁公을 만나 검술을 겨루었다는 기록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10) 그리고
최초의 무협소설이라는 <燕丹子> 역시 史書에서 전하는 荊軻의 秦王 시해 시도와 관련된 기
록에서 소재를 취하고 있는 것처럼 史書의 고사들은 다양한 방면으로 무협소설에 소재를
제공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렇게 일부 史書의 기록들은 분명 전기적인 이야기를 비롯
한 소설적요소를 담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문학작품으로 다루어야하는지에 대해 여전히 논
란의 여지는 남아있다고 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이들은 문학작품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史書로써의 기록이 우선한다고 할 수 있다.
문학작품에서의 무협소설의 창작은 대체로 唐 傳奇가 이야기의 구성과 체제, 그리고 수량
면에서 비교적 완전한 무협소설의 내용과 형식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魏晉 六朝
시기에는 소설의 창작과 더불어 비록 俠에 관한 서사가 활발한 창작으로 조류를 형성하는
단계에까진 이르지 못했지만, 분명 俠에 관한 서사가 시작 된 시기였다. 俠의 산생이 사회
정치적인 혼란과 관여되었던 것처럼 정치적 혼란이 장시간 이어졌던 魏晉 六朝 시기의 사회
적 배경 또한 春秋戰國 시기와 같이 俠을 숭상하는 풍조가 있게 된 유사한 사회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魏晉 六朝 시기 혼란한 사회 정치적인 배경아래 민간에서는 俠士
의 출현을 갈망하였고, 任俠을 숭상하는 사회적 기풍은 <白馬篇>, <博陵王宮俠曲>, <秦女休
行> 등과 같은 詠俠詩歌의 창작도 있게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소설유형인
志怪小說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풍조에 편승하여 俠을 묘사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11)
곧 <三王墓>와 <李寄>, <比邱尼> 등은 전기적인 내용을 비롯하여 俠義精神과 복수 등을 묘사
하고 있어 분명 무협소설의 시작이라 이를만한 요소들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李
寄>와 <比邱尼>에서는 여성의 협의 행위를 중심으로 서사를 진행하고 있다. 俠에 관한 서사
가 시작됨과 더불어 동양 전통의 사회적 관념과 도덕규범의 틀 속에서 더군다나 남성적 경


9) 대체로 先秦 시기(劉若愚)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兩漢 시기(王海林) 혹은 六朝 志怪(崔奉源),
唐 傳奇(葉洪生) 등의 주장들이 있다(徐斯年, 《俠的踪迹-中國武俠小說史論》, 人民文學出版社,
1995, 17-18쪽.). 그 밖에 羅立群, 《中國武俠小說史》, 遼寧出版社, 1990, 46-53쪽. 鄭春元⋅張
志和, 《中國文史中的俠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4, 59-70쪽. 袁良駿, 《武俠小說指掌圖》, 新
華出版社, 2003, 42-45쪽 참조.
10) 이 고사는 《劍俠傳》에 <老人化猿>으로 재창작 되어 있고, 현대 무협소설가 金庸은 이를 소재로
하여 《越女劍》을 창작하였다.
11) 夏哲堯, <兩漢魏晉南北朝文學的任俠主題>, 《寧夏大學學報》 第24卷 第2期, 2002.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 7


향이 강한 무협의 세계에 여성의 俠義 행위의 묘사를 시도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
하겠다.


3. 초기 女俠敍事의 내용과 특징
3.1 초기 女俠敍事의 내용
志怪小說에 수록된 女俠敍事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李寄>는 민간에 근심을 끼치는 요물에 맞선 여협의 일화를 묘사한 것이다. 東越 閩
지방 庸嶺에 거대한 식인뱀이 출몰하여 백성들에게 해를 입히고 있었다. 그렇지만 縣의 관
리들조차 거대 식인뱀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었고, 단지 소와 양으로 제사를 지내며 식
인뱀을 달래다가 결국에는 어린 소녀를 제물로 바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된다. 그러기를 아
홉 해 동안 매년 무고한 소녀들이 희생되었지만, 식인뱀을 대처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었다.
그해에도 희생될 제물을 모집하였는데, 李寄라는 어린 소녀가 제물을 자청하고 나섰다. 李
寄의 강한 의지는 부모도 막을 수 없었고, 결국 李寄는 식인뱀을 상대할 좋은 검과 사냥개,
그리고 먹이를 준비해서 뱀이 있는 동굴로 향했다. 거대한 뱀이 모습을 드러내었지만, 李寄
는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았고, 용감하게 달려들어 십여 년 동안 지방의 백성들을 괴롭혀왔
던 화근을 해치웠다. 작품은 환난에 맞서는 여협의 지혜와 용감성, 그리고 부모를 비롯한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정신이 잘 묘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比邱尼>는 신묘한 술법으로 조정의 분란을 막은 여협에 관한 묘사이다. 大司馬 桓溫에게
比邱尼 한명이 의탁하여왔는데, 比邱尼는 매번 한참동안 목욕을 하였고, 이를 기이하게 여
긴 桓溫은 比邱尼의 목욕하는 모습을 엿보게 되었다. 桓溫의 눈에 비친 比邱尼의 모습은 스
스로 칼을 휘둘러 자신의 사지를 절단하고 내장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얼마 후 목욕
을 마치고 나온 比邱尼의 모습은 예전과 같았고, 이를 두려워하는 桓溫에게 比邱尼는 계속
역모를 꾀한다면 당신의 몸도 방금 본 것과 같이 될 것이다라고 엄중히 경고하고 사라졌다.
이후 桓溫은 마음을 고쳐먹고 충직한 신하가 되었다. 작품은 전체적으로 여협의 신묘한 무
공에 관한 묘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8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3.2 구성요소
무협소설은 협의정신을 지닌 협객이 무공을 사용해 정의를 실현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것
이다. 장르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협의정신을 지닌 俠과 무공을 들 수 있겠다.12)
李寄는 지방 관리들마저 손을 놓고 무고한 소녀를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잠시 화를 피하
는 상황을 접하고는 용감하게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스스로 제물이 되기를 청하였다. 물
론 단순히 제물로 희생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용기와 지혜로 당당히 화근에 맞섰
고, 결국 화근을 제거하여 사람들의 근심을 해소시켜주었다. 比邱尼 역시 신묘한 무공을 사
용해 역모를 꾀하려는 桓溫을 겁박하여 다가올 조정의 분란을 막았다. 李寄는 백성들에게
고통을 주는 화근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희생을 감수하는 형상으로 묘사되었고, 比邱尼는
닥쳐올 조정의 혼란을 막기 위해 俠을 행하는 형상으로 묘사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俠의 기질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신의를 중시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보다 이웃의 곤궁함의 해결을 우선시하는 利他主義의 실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俠의 실천윤리이기도 한 利他主義는 사회의 불공평함에 맞서 약자를 도와 정의를 실현하는
것으로 俠이 지닌 사회적 책임이기도 한 것이다. “국가와 백성을 위하는 것이 俠의 큰 것이
다(爲國爲民, 俠之大者)”라고 하는 것처럼 俠의 利他主義는 작게는 이웃을 위해 자신을 희
생하는 것에서 크게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는 것으로 표현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李寄와 比邱尼의 행위는 협의정신의 바탕이 되는 利他主義 정신을 충실히 실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들의 행위는 정의로운 기질을 지니고 사회적 약자를 대신해 자신
을 희생하며 불안요인에 맞서는 俠의 출현을 갈망하는 대중의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여협들의 형상에서 성별 외에는 일반적인 남자 협객들과 별다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으며, 도리어 나약한 여성의 몸으로 강열한 협의정신과 높은 무예를 지녔기 때
문에 더욱 광채를 발하며 독자들의 찬탄을 받게 된다고 할 수 있다.13)
俠의 탄생이 尙武와 崇劍思想에 기인하고 있는 것처럼 무공은 俠이 그들의 신념을 실천하
는 주요한 도구가 된다. 韓非子가 俠을 “帶劍者”라고 정의했던 것처럼 俠은 탄생에서부터 무
장역량을 갖춘 형상으로 인식되었고, 俠은 무장역량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행동으로 실천했
12) 무협소설의 주요 구성요소로 武와 俠 이외에도 사건 발생과 협의 활동 배경으로써 江湖를 들
수 있겠다. 단지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초기 女俠敍事에서는 行俠 배경으로서의 江湖의 의미가
비중 있게 묘사되지 않아 논의에서 배제하기로 하였다.
13) 박영종, <《聊齋志異》 중의 협객 고사 연구>, 《중국어문논총》 제28집, 2005, 501쪽 참조.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 9
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협소설에서도 무공은 俠이 목적을 실현하는데 주요수단으로
작용함은 물론 협의정신과 더불어 무협소설의 주요한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가 된다.14) 李
寄는 식인뱀을 대처하기 위해 좋은 검이라는 行俠 수단을 준비하였고, 이를 사용해 뱀을 처
단하였다. 또 比邱尼는 칼을 휘둘러 자신의 사지를 절단하는 신묘한 무공을 선보여 桓溫을
위협하였다. 비록 작품에서는 李寄의 검술과 比邱尼의 술법이 어떻게 시전되는지에 대해서
는 자세하게 묘사되고 있지는 않고 있지만, 무협서사 발전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俠이 목적
을 실행하는 과정에 무공은 분명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志怪小說의 女俠敍事의 구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인물의 협의정신의 표현에 보다
비중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무공은 이에 비해 俠이 목적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는 있지만, 그에 대한 묘사는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처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
기 무협서사에서 行俠 수단보다는 목적이 서사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3.3 전통 관념의 제약과 한계
俠의 주요한 특성 가운데 하나는 자신의 공덕을 드러내어 보상을 바라지 않으며, 더불어
낭만적이고 구속되길 거부하는 성격을 지녔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협소설에서 俠은 일반적
으로 강호를 떠돌면서 약자를 대신해 불공평함을 해소하며 정의를 시행하지만, 이루어진 결
과로 인해 名利를 추구하지는 않는 것으로 묘사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초기 女俠敍事에서
여협은 희생정신과 신묘한 무공을 가지고 俠을 행하였다. 특히 李寄는 어린 소녀의 몸으로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식인뱀의 제물을 자청하며 사건을 해결하였는데, 일련의 과정에서
보여준 용기 있는 행동과 희생정신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名利를 멀리하는 俠의
기질을 통해 본다면, 李寄의 형상은 전통 관념의 테두리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으로 비춰지고 있다.
부모님께서는 좋은 상을 타고나지 못하셔서 오직 딸만 여섯을 두었을 뿐 아들은
한명도 없습니다. 딸이란 비록 있다하여도 없는 자식이나 마찬가지입니다.15)
14) 일부에서는 무협소설의 구성 요소인 俠과 武의 중요성을 두고 논란이 있기도 한다. 예컨대, 현
대 무협소설가인 梁羽生은 “무협소설에서 俠은 武보다 중요한 것이며, 俠은 영혼이고 武는 껍질
인 것으로 俠은 목적이고 武는 俠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다.”라고 하며 무협소설에서 俠의 중요성
을 언급하기도 하였다(劉維群, 《梁羽生傳》, 長江文藝出版社, 1999, 제346쪽 참조).
15) 父母無相, 惟生六女, 無有一男, 雖有如無(干寶, 《搜神記》 卷十九, 中華書局, 1979, 231쪽.).
10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李寄의 결심에는 타인을 위한 희생정신이 물론 주요 동기가 되었겠지만, 부모를 설득하는
말에서 보는 바와 같이 “男尊女卑”의 관념 또한 李寄의 결심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결국 李寄가 마을의 재난을 제거하고 난 이후의 행보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越王이 이를 듣고 李寄를 초빙하여 왕후로 삼았고, 그 아버지는 將樂令으로 임명
하였으며, 그 어머니와 언니들에게도 모두 상을 내렸다.16)
李寄의 行俠은 자신이 왕후가 되는 것은 물론 가족들도 더불어 상까지 받게 되는 보상이
있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李寄는 어린 소녀의 몸으로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俠을 행하였
지만, 화근이 해소되고 목적을 이룬 이후 결국 다시 남성 중심의 제도권에 들어가게 된 것이
라 할 수 있다. 俠은 “자신의 능력을 자랑하지 않으며, 그 공덕을 부끄러워한다”는 기질을
지님으로 정의를 행하는 행위가 더욱 돋보이게 된다고 할 수 있다. 李寄는 희생정신으로 俠
을 행하여 결과를 이루었지만, 결국 공덕에 대한 보상으로 마무리되면서 초기에 보여주었던
강렬한 협의정신이 일부 희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초기 무협소설에서 여성협의 묘사
를 시도하긴 하였지만, 봉건여성관의 제약을 완전하게 벗어나지 못한 결과라 할 수 있다.17)
4. 여협형상의 창조와 영향
李寄의 희생정신과 용기 있는 행위, 그리고 比邱尼의 무공과 같이 志怪小說을 통해 시작
된 여협에 관한 서사는 唐 傳奇 이후 무협소설에서 여협을 묘사하는 것에 직간접적으로 영
향을 주고 있다.18)
16) 越王聞之, 聘寄女爲后, 指其父爲將樂令, 母及姊皆有賞賜(《搜神記》 앞의 책, 231쪽).
17) 袁良駿은 李寄가 왕후로 책봉되는 작품의 마지막 부분을 蛇足이라하면서 작가 干寶가 봉건관료
의 한계성을 드러낸 것이라 하였다(袁良駿, 《武俠小說指掌圖》, 新華出版社, 2003, 47쪽.).
18) 본고에서는 초기 女俠敍事를 통해 표현된 여협의 형상이 唐 傳奇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를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唐宋傳奇集》(魯迅 校錄, 魯迅全集出版社, 1927)과 《太平廣記》(李
昉, 中華書局, 1961)에 수록된 작품들을 참고로 할 것이다.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 11
4.1 行俠 목적
李寄는 식인뱀을 처단하고 난 후 희생된 소녀들의 유골 앞에서 “그대들은 겁 많고 나약하
여 뱀의 먹이가 되었으니 심히 슬프고 불쌍하구나”19)라고 한탄하였다. 이렇게 李寄를 통해
표현된 희생정신과 용기 있는 행위는 관부는 물론 남성들의 힘으로도 해결하지 못한 일을
어린 여성의 몸으로 해결한 여협을 묘사한 것이다. 곧 사회 저층에 있는 여성들에게 커다란
용기가 될 수 있는 약자의 강인함과 지혜를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20) 唐 傳奇에서도
여성의 몸으로 희생정신과 용기를 지닌 여협의 형상은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버지와 남편을 도적에게 살해당한 謝小娥는 꿈에 보인 도적의 단서를
바탕으로 원수의 정체를 알게 되었고, 이후 남장을 하고 원수의 집에 일꾼으로 들어가 기회
를 보아 도적을 죽여 원수를 갚았다. 복수가 주요 行俠 목적이 되지만, 과정에서 보여준 지
혜와 용기 있는 여협의 형상이 돋보인다고 하겠다. 그 밖에 紅線은 藩鎭의 분쟁을 막기 위해
황금 합을 훔쳐내는 용기와 지혜를 발휘하였고, 聶隱娘은 신묘한 검술과 경공으로 탐관오리
를 처단하였을 뿐 아니라 지혜를 발휘하여 고강한 무공을 지닌 자객 精精兒와 空空兒로부터
주군을 보호하였다.
李寄가 민간의 화근을 제거하기 위해 俠을 행했다면, 比邱尼는 다가올 조정의 분란을 막
기 위해 俠을 행했다. 이들의 행위는 크게는 국가의 분쟁을 막기 위해 俠을 행하는 여협의
형상에서 작게는 백성에게 해로움을 주는 탐관오리 등을 처단하는 여협의 형상을 묘사하는
것에 영향을 주고 있다. 예컨대, 紅線이 주군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황금 합을 훔쳐낸 것
은 “지금 두 곳의 강역이 보존되고 만백성이 모두 목숨을 온전하게 되는”21) 결과가 있었고,
聶隱娘은 무공을 익히고 하산한 이후 무고하게 백성을 해치는 탐관오리를 처단하기도 하였다.
4.2 行俠 수단
志怪小說의 女俠敍事에서 무공은 俠을 행하는 주요 수단으로 묘사되고 있다. 李寄는 검을
사용하여 식인뱀을 처단하였고, 比邱尼는 자신의 사지를 잘라내는 신묘한 무공을 사용하여
19) 汝曹怯弱, 爲蛇所食, 甚可哀愍(《搜神記》 앞의 책, 231쪽).
20) 樊曉雪, <中國古代小說中的女俠之“智者”>, 《長沙鐵道學院學報》 04期, 2008, 84쪽 참조.
21) 今兩地保其城池, 萬人全其性命(《太平廣記》 卷第195, 豪俠三).
12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상대를 위협하였다. 비록 무공이 시행되는 과정에 대한 세심한 묘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
만, 여협은 분명 武의 수단을 사용하여 결과를 이끌어내는 형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렇게
무공을 사용해서 俠을 행하는 여협의 사례 또한 唐 傳奇에서는 보편적으로 운용된다고 할
수 있다. 聶隱娘이 5년간 比邱尼 밑에서 수련하여 익힌 검술과 경공은 탐관오리들을 처단하
고, 또 자객으로부터 주군의 신변을 보호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紅線이 황금 합을 훔쳐내어
藩鎭간의 분쟁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은 하룻밤에 700리를 왕복할 수 있었던 경공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 <車中女子>에서의 여인은 무고한 인명을 구출하기 위해 “여인은 몸을 날려
뛰어 오르더니 날아서 황궁을 빠져나갔으며, 성문에서 수십 리 떨어진 곳에 내려앉는”22) 신
묘한 경공을 펼쳤다.
한편 比邱尼는 상대를 위협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사지를 절단했다가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신묘한 무공을 사용하였다. 비록 지나친 과장으로 현실성이 다소
떨어지긴 하지만, 이렇게 변신술을 사용하거나 혹은 약품을 운용하는 것 또한 여협의 형상
과 능력을 다채롭게 하는 것으로 후대 무협소설에서도 즐겨 운용되는 묘사방법 가운데 하나
라 할 수 있다. 唐 傳奇에서 聶隱娘은 머릿속에 비수를 숨기기도 하였고, 자객 空空兒를 상
대하기 위해서 “눈에놀이(蠛蠓)로 변해 僕射(劉昌裔)의 장속에 잠입하여 동정을 살피기도”
하였다. 또 탐관오리와 자객을 처단하고 난 이후 “시체를 당 아래로 끌어내어 약으로 시체를
물로 만들었는데, 터럭하나 남지 않았다”23)고 하고 있다.
4.3 인물형상
志怪小說에서 女俠敍事의 인물형상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比邱尼라고 할 수 있겠는데,
이는 표면적으로 여성 종교인이라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여협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
만 작품을 통해서 표현된 比邱尼의 行俠 과정은 엄밀히 말해 종교적 의미를 설파하는 것과
는 거리가 있다. 그보다는 比邱尼라는 여성수도자가 지닌 신비주의와 협의정신의 표현에 주
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唐 傳奇에서도 여성 종교인과 관련된 묘사 또한 이어
지고 있다. <聶隱娘>에서 홀연히 등장한 比邱尼는 聶隱娘을 데리고 사라졌고, 5년 후 다시
데리고 왔다. 比邱尼는 聶隱娘에게 고강한 무공을 전수하였고, 더불어 탐관오리를 처단하게
22) 女人縱身騰上, 飛出宮城, 去門數十裡乃下(《太平廣記》 卷第193, 豪俠一).
23) 當化爲蠛蠓, 潛入僕射腸中聽伺. / 拽出於堂之下, 以藥化爲水, 毛髮不存矣(《太平廣記》 卷第194,
豪俠二).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 13
하는 등 협의정신 또한 전수하였다. 하지만 작품에서 比邱尼의 내력에 대한 언급은 철저하
게 생략되었고, 단지 고강한 무공과 협의정신을 지닌 은사의 이미지만 남겨주고 있다. 謝小
娥 역시 도적을 처단하여 은원을 해결한 이후 출가하여 比邱尼가 되었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李寄가 行俠 결과에 보상을 받은 것에 비해 比邱尼는 桓溫을
위협하여 목적을 달성한 이후 종적을 감추어버린 것이라 하겠다. 작품에서는 비록 간략하게
처리되었지만, 초기 무협소설에서 俠의 은거를 묘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무협소설의 핵심
장면을 정리한 丁永强에 의하면 俠이 은원을 갚고 강호의 화근을 제거하여 갈등이 해소된
이후 최종단계로 은거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24) 俠의 은거는 名利를 멀리하며 자
유로운 개성을 추구하고자 했던 俠의 성격과 부합되는 점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건이
해결되고 강호를 떠나는 은사의 형상을 지닌 여협은 唐 傳奇에서도 보편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聶隱娘은 주군을 자객으로부터 보호하여 목적을 달성한 이후 은거를 선택하였고, 謝
小娥도 원수를 갚고 난 이후 출가하여 강호의 은원을 멀리한 것 역시 여협의 은거를 묘사한
것이라 하겠다. 紅線도 藩鎭의 분쟁을 막는 공을 세운 뒤 薛嵩의 보답을 거절하고 강호를
떠났으며, 荊十三娘 역시 그러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5. 나가는 말
<李寄>와 <比邱尼>는 협이 문학작품의 소재로 주목받기 시작하는 것과 더불어 창작된 것
이다. 志怪小說은 비록 서사구조와 사건의 묘사가 성숙한 형태를 갖추진 못했으며, 작품의
대부분의 내용 또한 귀신과 신선 등 세간에 전하는 기괴한 이야기들을 묘사한 것들이다. 때
문에 서사구조와 묘사는 성숙한 형태를 갖추지 못한 소설 발전단계의 초보적인 단계라 할
수 있지만, 작품에서 묘사된 전기적인 요소와 俠義精神 등에서 분명 무협소설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俠은 崇劍과 尙武精神을 근간으로 하여 정치적인
격동기를 거치면서 발전했고, 利他主義로 대표되는 실천윤리를 가졌다. 살펴본 바와 같이
<李寄>는 백성들에게 고통을 주는 화근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희생을 감수하는 형상으로 묘
24) 丁永强이 제시한 핵심장면은 仇殺, 流亡, 拜師, 練武, 複出, 豔遇, 遇挫, 再拜師, 情變, 受傷, 療
傷, 得寶, 掃清幫兇, 大功告成, 歸隱이다(<新武俠小說的敍事模式>, 《藝術廣角》 第6期, 1989).
우강식, <《酉陽雜俎》 <盜俠篇>의 武俠敍事에 관한 고찰>, 《中國小說論叢》 제37집, 2012, 6-7쪽
참조.
14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사되었고, <比邱尼>는 조정의 분쟁을 막기 위해 俠을 행하는 형상으로 묘사되어 利他主義로
대표되는 俠의 실천윤리를 잘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희생정신
을 비롯한 협의정신은 강조되어 표현된 반면 무공에 대한 묘사는 이 시기 세심하게 다루어
지지는 않고 있다.
魏晉六朝 시기는 신선과 귀신 등을 묘사한 志怪小說 장르의 특성에 묻혀 여성협에 관한
묘사는 활발한 창작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무협소설의 근간을 이루는 협의정신과
무공에 대한 묘사가 시도되어 후대 무협서사 발전의 기본적인 유형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유가적 이데올로기를 비롯한 각종 사회 통념이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제약하고
있던 고대 사회에서 소설의 창작과 동시에 여성 협객을 중심으로 하여 서사가 있었다는 것
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 하겠다. 여성 협객의 창조는 남성적 성향이 강한 무협소
설의 세계에 여성이 단순 조력자가 아닌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강호를 구성하는 인물
창조에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李寄와 比邱尼를 통해 시도된
女俠敍事는 거칠지만 기본적인 인물형상과 주제의식을 이룬 가운데 唐 傳奇를 거쳐 현대
무협소설에까지 보다 구체화되고 다양한 성격을 지닌 여협으로 계승되고 있다. 특히 협의정
신과 隱逸思想 등의 사상적인 측면 이외에 무공에 대한 묘사는 후대로 오면서 보다 세심하
게 그려지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參考文獻>
<원전>
干寶, 《搜神記》, 中華書局, 1979.
魯迅 校錄, 《唐宋傳奇集》, 魯迅全集出版社, 1927.
陶潛 撰, 《搜神後記》, 中華書局. 1981.
班固, 《漢書》, 中華書局, 1962.
司馬遷, 《史記》, 中華書局, 1982.
李昉, 《太平廣記》, 中華書局, 1961.
<연구서 및 논문>
강영숙, 《搜神記硏究》, 숙명여자대학교, 1987, 석사.
곽정식, <女性英雄小說의 出現의 社會的 要因에 대한 管見>,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女俠敍事의 産生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 15
《인문과학논총》 제3집, 2001.
김명신, <淸代 女俠의 特徵에 대한 小考>, 《中國小說論叢》 제13집, 2001.
김현, <무협소설은 왜 읽히는가 — 허무주의의 부정적 표출>, 《월간세대》, 1969. 10.
나병철, 《문학의 이해》, 文藝出版社, 1997.
대중문학연구회, 《무협소설이란무엇인가》, 예림기획, 2001.
박명진, <宋元 小說話本의 公案ㆍ俠義 類型>, 《中國小說論叢》 제20집, 2004.
박영종, <《聊齋志異》 중의 협객 고사 연구>, 《중국어문논총》 제28집, 2005.
박혜숙, <여성영웅소설과 평등, 차이, 정체성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제31집, 2006
년.
박혜준, 《干寶의《搜神記》연구 = 異物과 人間과의 關係를 中心으로》, 경희대학교, 2009,
석사.
박희병, 《기인과 협객》, 돌베개, 2010.
우강식, <金庸 武俠小說 속의 女性의 形象과 役割>, 《中國小說論叢》 제27집, 2008.
우강식, <무협(武俠) 테마를 통한 이종문화(異種文化)의 수용과 발전 고찰 — 영상예술을
중심으로>, 《중국학》 제34집, 2009.
전용문, 《女性 英雄小說의 系統的 硏究》, 충남대학교 박사, 1988.
전용문, <女性系 英雄小說의 形成動因>, 《목원어문학》 제4집, 1983.
정민경, <唐代俠義小說속의 女俠>, 《中國語文學誌》 제12호, 2002.
高爽, 《唐傳奇中的女性形象》, 東北師範大學, 2003, 碩士.
喬孝冬․張文德, <唐代女俠形象的審美特徵>, 《淮陰師範學院學報》 05期, 2007.
魯迅, 《中國小說史略》, 上海古籍出版社, 1998.
羅瑩, <古代文言武俠小說中女俠形象的演變歷程>, 《四川職業技術學院學報》 04期, 2009.
羅瑩, <芻議清代文言武俠小說中的女俠形象>, 《西北民族大學學報》 05期, 2009.
呂華, <娥眉不讓鬚眉: 解讀唐傳奇中的女俠形象>, 《皖西學院學報》 01期, 2010.
劉維群, 《梁羽生傳》, 長江文藝出版社, 1999.
陸豔清, <對唐傳奇女俠形象的解讀>, 《柳州師專學報》 02期, 2000.
李炳海, <從北朝騎射女傑到唐代女俠傳奇>, 《中國文化研究》 04期, 1996.
林保淳, 《兒女情長入江湖 ─ 古典小說中的女俠形象》, 臺灣裏仁書局, 2003.
林憲亮,《唐代小說之俠客形象研究》, 曲阜師範大學, 2006, 碩士.
白軍芳, 《唐傳奇中的女性形象》, 陝西師範大學, 2000, 碩士.
樊曉雪, <中國古代小說中的女俠之“智者”>, 《長沙鐵道學院學報》 04期, 2008.
16 / 中國小說論叢 (第 38 輯)
蕭之尊⋅戴翼軍⋅陳爾訓, 《中國武俠小說大觀》, 雲南人民出版社, 1993.
沈曉梅, 《魏晉南北朝志怪小說中的女性形象硏究》, 廣西師範大學, 2006, 碩士.
楊筱燕, 《唐傳奇中的女性形象》, 貴州大學, 2008, 碩士.
楊萍, <從唐人女俠傳奇到21世紀女性武俠>, 《西南大學學報》 04期, 2008.
易劍東, 《武俠》, 南方日報出版社, 2001.
吳士餘, 《中國文化與小說思維》, 上海三聯書店, 2000.
王茂福, <《聊齋志異》女俠形象論略>, 《寧夏大學學報》 04期, 1993.
王茂福, <以性行俠, 濟困扶危 — 論《聊齋志異》中的女俠形象>, 《明清小說研究》 04期,
1997.
袁軍, <略論明清之前文言小說中俠客形象的發展演變>, 《安徽文學》 02期, 2009.
袁良駿, 《武俠小說指掌圖》, 新華出版社, 2003.
劉若愚, 《中國之俠》, 三聯書店, 1991.
程大力, 《中國武術歷史與文化》, 四川大學出版社, 1995.
鄭春元⋅張志和, 《中國文史中的俠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4.
曹正文, 《中國俠文化史》, 上海文藝出版社, 1994.
周光慶, 《中國讀書人的理想人格》, 湖北敎育出版社, 1998.
陳山, 《中國武俠史》, 上海三聯書店, 1992.
陳平原, 《千古文人俠客夢》, 人民文學出版社, 1992.
夏哲堯, <兩漢魏晉南北朝文學的任俠主題>, 《寧夏大學學報》 第24卷, 第2期, 2002.
胡麗, 《唐代小說女俠形象研究》, 山東師範大學, 2008, 碩士.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mergence of chivalrous women narrative depicted
through Zhiguai Fictions in Wei-Jin and Six-Dynasties. And this is also to aim at
the content and emergence of chivalrous women narrative written as the first
literature works and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genres after that time.
Li JI and Bi Qiu Ni were created at the same time when chivalrous was given
subject matter of literature works first. Although its narrative and depiction were
the beginner level which did not form a complete type, it had lots of facts such as
Kung Fu and chivalrous heros.
It is said that Wei-Jin and Six-Dynasties couldn’t form a trend by an active
creation of chivalrous women, being deepen in Zhiguai Fictions genres depicting god
and ghosts. However, chivalrous spirit and Kung Fu, the base of Kung Fu novels,
were seen in that literature. So it can be said that it showed the basic type in the
development of Kung Fu narratives. Expecially, by creating chivalrous women in
Kung Fu novels typical of men’s characters, it can be said that it showed various
possibilities of forming Jianghu. The images of women through Zhiguai Fictions
gave us the basic type and possibility about the goal of chivalrous expert
swordsmen, ways, and the type of character. The images of Chivalrous Women
depicted like this were developed into more specified and more various characters
after Tang Chuanqi.
Keywords: Chivalrous Women, Chivalrous Women Narrative, Chivalrous Women
images, Kung Fu novels, Li JI, Bi Qiu Ni, Zhiguai Fictions, Kung Fu,
Chivalrous spirit, Tang Chuanq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