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정치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원보.동의대



<요약문>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전통적인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에 따라
영향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
더십은 모두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변
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
십의 경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체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슷한 것이
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효과성은 상황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토대 위에서 볼 때,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효과적으
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는 상황의 조성이 필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Ⅰ. 서 론
지방자치단체장이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을 설계하며, 정책을 실현하는 등의 역할을 효율적
으로 수행하기 이해서는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가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
더십이 공무원에게 잘 수용될 때, 그들은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조할 것이다. 그리고 적극적
인 지지와 협조는 조직몰입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따라서 공무원의 조직몰입을 제고시키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장의 어떤 리더십이 효과적인 지를 규명해 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가


196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있다. 우리 나라의 지방자치단체에 있어서 지금은 어느 때보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의 중
요성이 높은 시기이다. 다른 지방자치단체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국제사회에서도 경쟁을 해야
하는 경쟁의 시대에 지방자치단체장의 효과적인 리더십의 발휘가 강조되고 있는 현실은 당연
한 귀결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제도, 예산, 인력 등의 여건이 유사할 지라도 구성원들이 얼마나
자신이 속한 조직에 애착을 가지고 조직을 위해 노력하느냐에 따라 조직의 효과성은 차이가
나게 마련이다. 조직의 성격이 동일한 지방자치단체에 있어서도 리더십에 따라 그 효과성이
상이한가? 지금까지의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은 리더십에 의해 상당
히 영향을 받는 것으로 주장되어 왔다. 최근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은 지방
자치단체에서도 전통적 리더십보다 더 효과적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것은 지방
자치단체에서의 변혁적 리더십의 적실성을 밝혀줄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의 상황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1) 일반적으로 조직의 구성원들은 그
성향에 따라 선호하는 리더십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선호하는 리더십
이 발휘될 경우 조직의 효과성은 더 높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지방자치단체장
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공무원의 성장욕구의 정도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그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10.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리더십과 조직몰입
일반적으로 리더십은 조직몰입의 영향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고, 실제로 많은 실증적 연구들
에서 상관의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한
인근, 1992; 신두봉, 1997; 김호정, 2001). 조직몰입이란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태도로서,
한 조직에 대한 개인의 동일시와 몰입의 상대적 정도를 의미한다(Mowday, Porter, and
Steers, 1982). 즉 한 개인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해 얼마나 일체감을 가지고 몰두하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러한 조직몰입은 조직구성원의 심리상태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결근, 이직
등의 부정적인 행동을 감소시키고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조직에 이익이 되는 행동을 유도하여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조직몰입도는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1) 우리 나라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의 상황요인에 대한 연구로는 이승종(1998), 이창원(1999, 2000),
김호정(2001) 등의 연구에 불과하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97


헌신도나 고용지속과 관련한 여러 가지 계속적인 태도나 행위를 측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개념으로 조직연구자들의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조직몰입은 일반적으로 태
도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으로 구분하여 정의되어 왔으나,2) 최근에는 조직몰입을 다양한 측면
에서 이해하려는 경향도 있다.3)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편의상 태도적 조직몰입, 즉 정서적 조
직몰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정서적 조직몰입이란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애착심과 헌신하려는 의사의 정도를 의미한다.
Bass는 리더십을 전통적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고, 그들간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는데,(Bass, 1990: 22) 이러한 양자간의 차이는 그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
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그는 거래적 리더십은 상황적응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라는 두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고, 변혁적 리더십은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 및 영감이라는 네
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고 한다, 여기서 이 두 가지 리더십 각각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리
더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조직몰입
거래적 리더십이란 리더의 안정지향기능을 강조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이나 규칙에
의거하여 조직목표달성에 필요한 작업들을 선정․할당하는 것과 같은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기능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할당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부하들에게 동기부여
를 하며, 그 결과에 대하여 적절한 평가와 보상을 하는 등 리더와 부하간의 상호작용, 즉 교환
관계를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가 이러한 리더십을 발휘할 때 부하는 동기가 유발되고,
리더와 부하간의 상호작용이 강조되므로 부하는 당연히 조직에 더욱 몰입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거래적 리더십은 상황적응적 보상(contingent reward)과 예외적 관리(management
by exception)라는 두 가지 구성요소에 의하여 개념화되고 있는데,( Bryman, 1992: 282) 여기
서 거래적 리더십의 두 가지 구성요소 각각의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태도적 몰입이란 개인-조직 사이에 형성되는 심리적 관계의 성격과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구성
원이 조직에 대해 갖고 있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성향을 의미한다. 한편 행동적 몰입은 조직의 구성
원으로 남아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자발적인 행위를 하게 하는 잠재적인 힘으로서 개인을 구속
하는 영향력을 말한다.(Mowday, Porter, and Steers, 1982)
3) 이러한 경향의 대표적인 경우가 Meyer 와 Allen의 몰입의 세 가지 구성요소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태도적 몰입을 감정적 몰입, 근속몰입, 규범적 몰입 등으로 세분하고 있다. 감정적 몰입은 개인의 감정
에 바탕을 둔 것으로 조직에 대한 애착과 조직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심리적인 상태를 말한다. 근속몰
입이란 인간의 이성적 판단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으로 조직을 떠남으로서 잃게 될 이익과 혜택 때문
에 계속 그 조직에 남아 있으려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즉 개인이 자신의 필요에 의해 조직에 계
속 존속하려는 것이 근속적 몰입이다. 규범적 몰입은 한 개인이 조직이 그에게 베푸는 이익이나 혜택
에 상관없이 그 조직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이 옳다고 믿거나 도덕적으로 옳다고 믿기 때문에 나타나며,
조직에 대한 사명감, 임무, 또는 조직의 목표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스스로 그렇게 해야
만 한다고 생각하는 의무감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198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1) 상황적응적 보상과 조직몰입
상황적응적 보상(contingent reward)이란 부하를 성과목표에 일치시키기 위한 보상, 승진,
임금인상 및 칭찬과 같은 보상의 적절한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부하의 노력에 대한 보상을 계약하고, 좋은 성과에 대하여 보상을 약속하며, 성취를 인정하는
것이다.(Bass, 1990: 20) 부하공무원을 성과목표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이 보상
승진, 임금인상, 칭찬 등과 같은 보상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공무원들은 공무원이 된 것을 기쁘
게 생각하고, 그들의 직무를 기꺼이 감수하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꺼이 더 높은 수준의
노력을 기울이려고 할 것이고, 공직을 떠나려는 생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지방자
치단체장이 공무원들에게 상황적응적 보상을 하게 되면 공무원들은 조직에 대해 몰입하게 될
것이다.
(2) 예외적 관리와 조직몰입
예외적 관리(management by exception)는 과업관련 활동이 계획을 세우고 있지 않을 때 주
로 취하는 리더의 행동으로. 부하의 성과가 기존의 표준에서 벗어날 때에만 부하에게 반응을
보이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이것은 조직의 규칙과 표준으로부터 부하가 이탈하는 것을 감시,
감독하고, 시정조치를 취하는 적극적인 측면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관
여하는 소극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Bass, 1990: 20) 공무원들의 성과가 기존의 표준에서 벗
어날 때 지방자치단체장이 그들을 간섭하고 통제하는 것은 공무원들이 이미 정해져 있는 표준
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는데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의 이러한
리더십은 공무원으로 하여금 공무원이 된 것을 기쁘게 느끼게 하거나, 조직에 애착을 가지고
조직을 위해 무슨 일이든지 적극적으로 노력하도록 만들지는 못할 것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
체장 부하공무원들에게 예외적 관리를 하더라도 공무원들로 하여금 조직에 대해 몰입하도록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검토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1: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은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조직몰입
Burns(1978)에 의해 처음 사용되고, Bass(1985)에 의해 체계적으로 발전된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의 성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특별한 자질 또는 카리스마에 초점을 맞추고 있
다. 변혁적 리더는 인본주의, 평등, 평화, 정의, 자유와 같은 포괄적이고도 높은 수준의 도덕적
가치와 이상에 호소하여 부하들의 의식을 더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려 한다. 그렇게 하여 리더
와 추종자가 점점 더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동기수준으로 서로를 이끌어 가는 상호관계를 포
함하는 과정이 곧 변혁적 리더십이다. 이것은 부하들의 욕구 중에서 마슬로가 말하는 고급욕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99
구를 활성화시키려는 것이며, 부하들은 일상적인 자아에서 ‘더 나은 자아’로 상승하는 것, 즉
발전되고 고양되는 것을 추구하게 된다.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간의 미시적인 영향력과정이거
나, 혹은 사회체제나 관습의 변화를 위한 권력의 이동이라는 거시적인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다소 불분명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점
은 그 본질에 있어 다차원적이라는 것이다.(Podsacoff, et. al., 1990: 114.). 변혁적 리더십은 카
리스마, 영감, 지적 자극, 그리고 개별적 배려 등 네 가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Bryman, 1999 :281)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개념적 연구들
로부터 이끌어낼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부하의 강력한 동일시를 가져
온다. 이 경우 동일시는 변혁적 리더가 채택한 한 가치에 대한 부하의 존경으로부터 일어난다.
그리고 동일시는 조직몰입을 가져온다. 이러한 내용은 많은 실증적 연구의 결과에서 입증되었
다.(이덕로, 1994) 이들 변혁적 리더십의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부하의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이
론적으로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4)
(1) 카리스마(charisma)와 조직몰입
리더의 카리스마란 비전을 개발하고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비전과 사명을 부여하며, 자긍심
을 고양한다. 이러한 카리스마의 특징은 조직의 구성원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획득할 수 있
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카리스마는 부하들에게 강한 감정과 동일시를 유발시
켜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이다. 카리스마를 행사하는 리더의 행태는 부하에게 비전을 제시하
고, 효과적인 역할모범을 보이고, 이념적 목표를 명확하게 표현하며, 높은 기대감과 확신을 보
임으로써 동기를 유발시킨다. 그리하여 부하들은 리더를 신뢰하고, 수용하며, 동일시하고 복종
하며, 애착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부하들이 조직의 사명에 대해 감정적으
로 몰입하게되고 조직임무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게 된다. Bass의 연구에 의
하면 리더의 카리스마적 행태는 부하의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Bass.1985) 이와 같이 변혁적 리더십은 부하의 신뢰와 만족을 통하여 조직몰입을 가져온다.
Bass & Hater(1988) 그리고 Bass, Waldman, & Einstein(1985)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변혁적
리더십은 모범적인 행동과 목표나 비젼에 역점을 둠으로써 부하들의 강한 조직몰입과 직무만
족을 가져온다.
(2) 개별적 배려(individualized consideration)와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로서 개별적 배려란 리더가 부하에 대해 개인적 배려의 표시로서
부하에게 존중과 책임성을 표시하고, 부하들의 개인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갖는 등 개별적으로
4) 대부분의 연구에서 영감은 카리스마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고 카리스마에 포함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로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및 지적 자극 세 가지만을
대상으로 한다.
200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코치하고 충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개별적 배려는 리더가 부하들에게 지지와 격려, 발
전적 경험 등을 제공하고, 부하의 개별욕구나 목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
방자치단체장이 공무원들에게 지지와 격려를 하고, 발전적 경험을 제공하며, 그들의 개별욕구
나 목표에 관심을 기울여 주면 공무원들은 조직에 대해 더 높은 애착을 가지게 될 것이고 조
직을 위해 헌신하려는 의도를 가지게 될 것이다.
(3) 지적 자극(intellectual stimulation)과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로서 지적 자극이란 리더가 부하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새로운 아
이디어와 접근방법으로 도전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문제에 대한 부하들의 인식도
를 높이고 문제를 새로운 각도와 방식으로 보고 해결하도록 자극하고 유도하는 과정으로 지능,
합리성, 신중한 문제해결을 촉진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상호작용을 하면서 부하들의 변화에 영
향을 미친다. 지방자치단체장이 문제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도를 높여주고, 기존의 문제해결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하고 자극한다면 공무원들에게 참신하고 창
의적인 사고와 태도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공무원이 참신하고 창의적인 생각과 태도를 가지게
되면 조직에 대한 태도도 새롭게 바뀌어 애착과 헌신하려는 생각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
(1)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성 비교
이창원(2000)의 연구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 보다 더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을 대상으로 한 김호정(2001)의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효과성이 아주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왜 이
두 가지 연구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그것은 대상으로 삼은 리더가 달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전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대상으로 하였고, 후자는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중간관리자와는 달리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는 인사에 대한 각종
권한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상당한 보상적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보상적 권한
이 거의 없는 중간관리자의 경우와는 달리 변혁적 리더십이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현재 지방자치단체의 상황을 종합하여 볼 때,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와 이론의 검토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1: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보다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01
(2)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상호작용적 효과
지금까지는 Bass가 구성한 MLQ를 사용하여 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러한 연구들의 일반적인 결과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보다
는 서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변혁적 리더십의 요소와 거래적 리더십의
상황적응적 보상요인이 리더십효과성에 대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박우순. 1997:283)
변혁적 리더십은 모범적인 행동과 목표나 비전에 역점을 둠으로써 부하의 조직몰입과 직무만
족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거래적 리더십에 상당한 증대(add-on)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Koh(1990)의 연구결과에서도 거래적 리더십 요인만을 사용했을 때 보다는 변혁
적 리더십을 추가했을 때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 등이 증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은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서 거래적 리더십에 상당한 증대영향을 미친다는 알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은 전통적인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과 완전히 독립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거
래적 리더십의 뒷받침이 있을 때 효과를 나타내는 리더십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리더가 거래적 리더십의 상당 요소들을 보유하고 발휘하는 바탕 위에서 변혁적 리더십을 성공
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두 리더십의 상호작용정도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의
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김호섭 외, 1999: 257)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은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거래적 리더십에 상당한 증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5)
따라서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검토 위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2: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2.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의 과정이므로 상황적 프레임워크에 관하여 연구해야 한다. 상황적 요
인들은 변혁적 리더십의 출현, 작용, 그리고 효과성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Bryman,
1992; Avolio & Bass, 1988; Bass, 1985). 그러나 상황적 영향력이 변혁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
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별로 없으므로 이 분야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ryman, 1992;
Avolio & Bass, 1988). 변혁적 리더는 단순한 교환관계를 통하여 일을 하는 대신에 탁월한 목
표와 더 높은 수준의 자기성취욕구를 위해서 일하도록 부하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그리고
5) 그러나 위의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고한 연구들도 있다. Murray(1988)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변혁
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간에 의미 있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와 부하가 서로 더 높은 수준의 동기부여를 일으킬 때 일어난다.6)
성장욕구(growth needs)란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의미
한다.7) 즉 개인적 성취, 학습, 성장발전과 같은 개인의 욕구를 의미한다.(민진, 1990: 1322-1323)
House는 그의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에서 부하의 내면에 있는 지배적인 욕구가 리
더의 행동에 대한 부하의 선호와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ouse, 1971) 리더의 행동에
대한 부하의 선호와 수용의 정도에 따라 부하의 조직에 대한 충성과 애착은 달라질 것이다. 즉
부하가 리더의 행동을 매우 선호하고 수용하면 부하는 더욱 조직에 대해 충성하고 애착을 가
지게 될 것이고, 반대로 리더의 행동을 싫어하고 거부한다면 조직을 위해 애쓰려는 마음보다
는 조직을 따나고 싶은 감정이 클 것이다. 리더의 행동에 대한 부하의 선호와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하의 내면적 욕구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성장욕구도 이러한 욕구들 중에서 대표
적인 것으로 파악된다.8) Burns(1978)는 변혁적 리더십을 의도된 변화의 성취를 향하여 리더와
부하의 동기기초를 서로 가볍게 자극함으로서 집합적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
는데, 이 정의에서도 부하의 성장욕구의 강도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
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조직연구자들은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차이 중에서 성
격이 인간의 본성이나 본질, 인간관과 관련된 중요한 속성 중의 하나로서 조직에서의 행동상
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한다.(민진, 1990: 1323) 성장욕구는 그 성질상 성격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정도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은 행동상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장욕구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부하의 조
직몰입간의 조절변수로 성장욕구강도를 선택한다. 성장욕구강도란 개인으로서의 성장과 발전
에 대한 인간의 욕구에 관련되는 인간의 속성이다. 해석적 구성개념으로서, 성장욕구강도는
직무특성의 영향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심개념이다.(Kulik, & Oldham,1988: 936-959.) 높은
질의 교환관계에 있는 부하들이 낮은 질의 교환관계에 있는 부하들 보다 더 큰 범위의 직무와
6) Burns(1978)는 변혁적 리더십을 의도된 변화의 성취를 향하여 리더와 부하의 동기기초를 서로 톡톡
침으로서 집합적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 정의에서도 부하의 성장욕구의 강도
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 한다.
7) 성장욕구에는 Maslow의 욕구계층 중에서 자아실현욕구 및 존경욕구의 일부가 해당되고, 한편
Alderfer는 인간의욕구를 존재, 욕구, 관계욕구, 그리고 성장욕구의 3단계로 계층화시켰다.
8)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Hackman 과 Oldham은 직무특성모형에서 핵심
적 직무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근무자들의 자아성장에 대한 욕구의 강도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함으로써 성장욕구강도의 조절변수로서의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핵심적 직무특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작업자의 기능과 능력을 얼마나 다양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에 초점을 맞춘 기능의
다양성, 작업자들의 계획수립, 의사결정, 수단결정 등에서의 자율성, 일의 진행사항과 업적, 직무자체
와 감독자, 혹은 정보체계에서 비롯된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것까지를 포함하는 피드백 등은 의미상
리더십과 관련될 수 있는 내용을 내포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03
더 도전적인 임무를 수용하기 때문에,(Phillips, Antoinette S. & Bedeian, Arthur G.,1994:
992-993.) 성장욕구강도를 리더십연구의 조절변수로 사용하는 것은 합당하다. 변혁적 리더십
은 부하의 내재적 욕구에 초점을 맞추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변혁적 리더는 부하들의 더 높
은 이상에 호소함으로써 그들의 의식을 일깨우고자 추구하는 리더이다.( Burns, 1979) 즉 변혁
적 리더는 부하들로 하여금 과업산출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함으로써, 결
국 그들의 자아실현욕구를 촉진하도록 변형시킨다. 그리 하여 부하로 하여금 더욱 자율적, 자
기지시적, 자아실현적이고 이타적이 되도록 하는 지도자이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는 부하들의
프라이드를 스며들게 하고 그들의 신뢰를 얻는다. 거래적 리더가 부하의 동기유발을 일으키고,
조직목표를 성취시킴으로써 효과적인 관리자이기는 하지만, 리더-부하관계에 대한 그러한 성
과상황적 접근방법은 더 높은 수준의 동기유발, 충성, 그리고 몰입을 일으키고 설명하는데는
충분하지 못하고, 변혁적 리더십이 그것을 할 수 있다.(Vasu, Michael L., Stewart, Debra W.,
& Garson, G. David, 1998: 111)
Bass에 의하면 변혁적 리더는 부하들의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
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부하들의 동기유발은 도전, 책임감, 성장 등에 가치를 두도록 부
하들의 욕구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Bass, 1985) 따라서 부하들의 성
장욕구강도는 변혁적 리더십을 잘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리더십 효과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4-1: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가 높을 수록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높을 것이다.
가설 4-2: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가 높을 수록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높을 것이다.
가설 4-3: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가 높을수록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분석틀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과 그것을 토대로 설정한 가설에 입각하여 본 연구의 분석의 틀
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204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성장욕구강도
리 더 십
-거래적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조 직 몰 입
2. 표본의 선정 및 자료의 수집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의 공무원 각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여 지방차지단체장의 리더십에
대한 부하공무원들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인 공무원들은 부산, 경남의 기초자치
단체에서 근무하는 21개 기초자치단체의 공무원 590명이었다. 조사대상조직의 선정은 판단추
출에 의하여 결정하였고, 조직 내의 개인의 추출은 성, 연령, 직급, 학력 등을 감안하여 층화추
출에 의해 결정하였다. 본 조사는 2002년 3월 20일부터 4월 6일까지에 걸쳐 이루어졌다. 배부
한 설문서는 총 590부였으나, 회수된 것은 416부였다. 이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한 것을 제외
하고,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한 것은 378부였다. 표본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성별로 남자
가 296명이고 여자는 82명이었으며, 직급별로는 4급이 17명, 5급이 48명, 6급이 169명, 7급이
144명이었고, 연령별로는 20대가 12명, 30대가 116명, 40대가 183명, 그리고 50대가 67명이었다.
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본 연구를 위한 각각의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은 다음과 같다. 변수측정을 위해서 기존
척도를 사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 행태와 리더십효과성인 부하의 조직몰입을 측정
하기 위하여 선정된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기초자치단체장과 접촉이 있는 공무원 중에서 설문
을 조사하였다.
1)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독립변수로서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거래적
리더십이란 교환적 관점에서 부하로 하여금 기대되는 노력을 발휘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리
더십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그것이 부하에게 지각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변혁적 리더십이란 부
하로 하여금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리더십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그것이 부하에게 지각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은
오하이오 접근방법(Ohio Approach)과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이들 구성요소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05
중의 하나에 관련되는 리더행태 각각의 유형을 상세하게 기술하는 설문지를 부하가 완성하도
록 한다.(Bryman, 1992: 282.) 변수의 측정을 위해서는 모두 기존의 척도를 사용했다. 독립변
수인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및 지적 자극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의 성과적응
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에 대한 측정은 선행 연구들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Bass(1985)
의 척도(MLQ)를 기초로 하였는데, 그의 요인분석결과 factor loadings가 높게 나타난 문항들
을 선정하여 다시 요인분석하여 요인들간에 구분이 명확한 문항들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9)
최종적으로 선정된 척도문항 수는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카리스마에 관한 것이 8문항, 개별적
배려에 관한 것이 5문항, 지적 자극에 관한 것이 3문항 등 총 16문항이고, 거래적 리더십의 경
우는 상황적응적 보상에 관한 것이 6문항, 예외적 관리에 관한 것이 5문항 등 총 11문항이다.
2) 조직몰입
종속변수로서의 조직몰입이란 자신이 속해 있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공무원의 태도로서
조직에 대한 애착심, 긍정적 공감대, 조직에 남아 있고 싶은 감정 그리고 참여의식 등으로 조
작적 정의를 내린다.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의 측정은 조직애착, 조직동일화, 직무몰입의 내용들
을 모두 포함한 기존척도를 기초로 사용하였고, 문항 수는 5개이다.
3) 성장욕구강도
조절변수로서의 성장욕구강도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공무원이 자신의 개인적 성장과 발전
에 대해 의욕이 강한 정도를 의미한다. 조절변수인 성장욕구의 측정은 개인적 성장과 발전, 직
무에 대한 자부심, 변화에 대한 태도 등을 포함한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민진,1992 ; 김
호정, 1984)를 기초로 사용하였고, 문항 수는 5개이다. 각 변수의 문항들은 Likert-Type의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Ⅳ. 연구의 결과
1.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분석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9) Bass가 개발한 이 MLQ는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6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표 1>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분석(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구분 평균 표준편차
상관계수
1 2 3 4 5 6
1. 상황적응적 보상 2.85 .82 (.90)
2. 예외적 관리 2.97 .71 .67 (.82)
3. 카리스마 3.06 .94 .83 .61 (.95)
4. 개별적 배려 3.26 .84 .81 .62 .86 (.89)
5. 지적 지극 2.98 .91 .79 .55 .84 .80 (.85)
6. 조직몰입 3.12 .85 .64 .53 .65 .68 .58 (.85)
1. ( ) 안은 신뢰계수(cronbach'α)
2. 상관계수는 모두 p<.001에서 유의함.
<표 1>을 통해서 보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신뢰계수는 모두 .80 이상으로 높은 수
준이다. 그리고 변수들 간에는 최하 .53에서 최고 .86으로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인 상황
적응적 보상 및 예외적 관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방자치단
체장의 리더십으로서의 상황적응적 보상은 공무원들의 조직몰입과 .64의 의미 있는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으로서의 예외적 관리
는 공무원들의 조직몰입과 .53의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
리고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인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그리고 지적 자극과 조직몰입간의 관
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으로서의 카리스마는 공무원들의 조
직몰입과 .65의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음 지방자치단체
장의 리더십으로서의 개별적 배려는 공무원들의 조직몰입과 .68의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으로서의 지적 자극은 공
무원들의 조직몰입과 .58의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편 전체로서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상관관계
구분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조직몰입
거래적 리더십 1.00
변혁적 리더십 .82*** 1.00
조직몰입 .65*** .68*** 1.00
*p<.05, **p<.01, ***p<.001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07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은 공무원의 조직몰입과 .65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도 공무원의 조직몰입과 .68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독립변수로 하고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는 <표 3>에 제시
되어 있는 바와 같다.
<표 3>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
β t
카리스마 .13 1.43
개별적 배려 .40 5.01***
지적 자극 -.04 -.52
상황적응적 보상 .17 2.30*
예외적 관리 .11 2.15*
R² .50
F 74.84
Sig. F .000
*p<.05, **p<.01, ***p<.001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
의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설명력은 50.4%이며, F값은 74.841(p<.001)로 회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인 상황적응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는 베타값
이 각각 .17과 .11로 모두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P<.05) 반면에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의 경우 개별적 배려만 베타값이 .400으로 조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카리스마와 지적
자극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8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2)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
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는 <표 4>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표 4>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변수 β t
거래적 리더십 .27 4.80***
변혁적 리더십 .46 7.10***
R² .487
F 176.51
Sig. F .000
*p<.05, **p<.01, ***p<.001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의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설명력은 48.7%이며, F값은 176.501(p<.001)로 회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각각 베타값이 .27과 .46으로 모두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장
의 거래적 리더십이 높을 수록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1과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2는 모두 지지되었다.
3. 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증폭효과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모두 공무원의 조직몰입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결과도 지방자
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모두 공무원의 조직몰입과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는 두 가지 리더십 중에서 어느 것이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
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증폭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증폭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층적 회
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은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
고, 1단계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두 가지 구성요소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방정식을 구성한
후, 2단계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세 가지 구성요소들과 이들을 합산한 변수를 각각 독립변
수로 하여 회귀식에 투입하였다. 이러한 계층적 회귀분석의 결과는 <표 5>와 같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09
<표 5> 조직몰입에 대한 증폭효과 분석
구분 상황적응적 보상 예외적 관리 카리스마 R² ΔR²
1단계 .53*** .17** .43
2단계 .27*** .14** .34*** .47 .04***
상황적응적 보상 예외적 관리 개별적 배려
1단계 .53*** .17** .43
2단계 .21** .11* .45*** .50 .07***
상황적응적 보상 예외적 관리 지적 자극
1단계 .53*** .17** .43
2단계 .38*** .16** .20** .45 .02***
상황적응적 보상 예외적 관리 변혁적 리더십
1단계 .53*** .17** .43
2단계 .17* .13* .46*** .49 .06***
*p<.05, **p<.01, ***p<.001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은 공무원의 조직몰입
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142.330, p<.001). 그런데 여기에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추가하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증폭되는데, 그 내용을 상세하게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리스마를 추가하는 경우, R제곱의 변화는 .036(Δ F=32.949, p<.001)
만큼 증폭하며, 개별적 배려를 추가하는 경우, R제곱의 변화는 .068(Δ F=17.960, p<.001) 만큼
증폭하고, 지적 자극을 추가하는 경우 R제곱의 변화는 .014(Δ F=31.915, p<.001) 만큼 증폭하
며, 마지막으로 이들의 합산인 변혁적 리더십을 추가하는 경우 R제곱의 변화는 .054(ΔF=24.940,
p<.001) 만큼 증폭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거
래적 리더십보다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1과 지방자치단
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를 증폭시킬 것이라는 가설3-2는 지지되었다.
4.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
해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장욕구강도를
210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낮은 집단, 중간집단, 그리고 높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집단의 경우를 비교하였다.10)
1)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변혁적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가 성장욕구강
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장욕구강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 집단별
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구 분
성 장 욕 구 강 도
저 중 고
거래적 디러십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조직몰입상관계수 -.038 .101 .437 .460 .518 .605
유의확률 .886 .654 .000 .000 .000 .000
N 22 22 147 147 200 200
<표 6>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장욕구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지
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간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성장욕구강도가 중간인 집단의 경우 지방자치단
체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간에는 상관계수가 .437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확률 .000)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간에는 상관계수가 .46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0) 마지막으로 성장욕구강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
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간에는 상관계수가 .51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확률 .000)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공무원의 조직몰입간에는 상관
계수가 .6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0) 이러한
결과를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장욕구강도
가 낮은 집단, 중간집단, 높은 집단의 순서로 보면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계수는
-.038, .437, .518의 순이고,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는 .101, .460, .605의 순 이다. 이것을 통해
성장욕구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계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 양자를 비교해 보면 성장욕구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
10) 성장욕구의 강도는 그 정도에 따라 3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1에서 2.5까지는 낮은 집단,
2.6에서 3.5까지는 중간집단, 그리고 3.6에서 5까지는 높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11
과 조직몰입의 상관계수보다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상관계수가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성장욕구강
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장욕구강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 집단별
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표 7>와 같다.
<표 7>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구 분
성 장 욕 구 강도
저 중 고
조직몰입 조직몰입 조직몰입
β t β t β t
변혁적 리더십 .672 1.381 .310 3.225** .497 5.778
거래적 리더십 -.639 -1.313 .235 2.446* .143 1.657
R² .093 .246 .374
F .969 23.353 58.900
Sig F .393 .000 .000
*p<.05, **p<.01, ***p<.001
<표 7>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장욕구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지
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
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성장욕구강도가 중간인 집단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장의 거래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베타값이 .235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확률 .000) 지방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베타값이 .31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0) 마지막
으로 성장욕구강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의 거래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
입에 미치는 영향은 베타값이 .143으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자치단
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베타값이 .497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0) 이러한 결과를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장욕구강도가 낮은 집단, 중간집단, 높은 집단의 순서로 보면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베타값은 무의미, .235, 무의미의 순이고,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는 무의미, .310, .497 순 이다. 이 결과를 통해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성장욕구강도가 높아짐에
212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는 의미를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성장욕구강
도가 높을 수록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4-1은 기각되
었다. 반면에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는 성장욕구가 높아 짐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의 베타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욕구강도가 높을 수록 변
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 4-2는 지지되었다. 그리고 거
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비교해 보면 성장욕구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의미있는 변화를 찾아볼 수 없으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
치는 영향은 계속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장욕구강도가 높을수록 거래적 리더십
보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보다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여줄 것이
라는 가설4-3은 지지되었다.
Ⅴ. 결 론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 나라의 지방자치단체들은 매우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 직면하고 있고, 그러한 까닭으로 앞날을 예측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상
황하에서도 지방자치단체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주민들의 편익과 복지향상을 위해 발전지향적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지향적 노력은 모든 구성원들이 조직인으로서 한
층 높은 가치관을 가지고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때 가능한 것이며, 그것은 지방자
치단체장이 어떤 리더십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전통적인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으로 구분하여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
에 따라 영향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과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거래적 리
더십의 경우 구성요소가 모두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
졌으나,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는 개별적 배려만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는 거래
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특히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대체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슷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
장의 리더 행태와 리더십 효과성은 상황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연구결과의 토대 위에서 볼 때,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13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는 상황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
다.11) 최근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이 적합한 상황은 급변하고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요구되거나, 업무에 대한 창의력이 요구되는 상황, 부하들의 자발성과
책임성이 요구되는 상황 등이다. 지금 우리 나라의 지방자치단체가 처한 상황이야말로 바로
이러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상황이론에 따르면 리더십은 상황
과 부합할 때 그 효과성이 높다. 따라서 지금의 우리 나라 지방자치단체장은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성장욕구강도라는 개인적 특성
이 리더십의 효과성을 조절하는 요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충분히 있
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연구를 위한 표본의 추출이 부
산과 경남지역에 한정되었고, 변수도 성장욕구강도에 한정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표본의 추출을 전국적으로 하고, 다양한 변수
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호섭 외(1999), 새조직행태론, 서울: 대영문화사.
김호정(1984), 직무특성이 관료행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호정(2001),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35(2).
민진(1990), 직무특성과 자기성취의 관계, 한국행정학보, 24(3): 1317-1335.
박우순(1997). 현대조직관리론, 서울: 법문사.
신두봉(1997), “조직몰입의 유형과 영향변수에 관한 탐구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이덕로. (1994). 변환적 거래적 리더십이 부하의 추가노력,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23(3): 217-239.
이승종(1998), 민선자치단체장 리더십의 영향요인. 한국행정학보, 32(1): 147-162.
이창원(1999),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리더십 행태와 그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
보, 33(3): 273-286.
한인근(1992), 한국공무원의 근무성과에 대한 조직몰입과 조절변수의 영향력. 부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Avolio, B. J. & B. M. Bass(1988), "Transformational Leaership, Charisma and Beyond", J.
11)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의 효과성을 위해서는 그 직위에 관한 직무분석과 수행과업의 성격파악을
통해 그런 상황과 적합한 자질과 특성을 지닌 사람을 선출하는 것이 우선적이다.
214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T. Hunt, et.al. (eds.). Emerging Leadership Vistas, Lexington, MA: Lextington
Books Koh, W. L. K.(1990), An Empirical Validation of the Theor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Podsacoff, Philip M. et. al.(1990),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ership Quarterly, vol. 1, no. 2, 1990,
House.R.J.(1977) "A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J.G. Hunt & L.L. Larson(eds.),
Leadership:The Cutting Edg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Mowday, L. W. Porter, and R. M. Steers. (1982).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New York: Academic
Press.
Bryman, Alan(1992). "Leadership in Organizations", in Handbook of Organization Studies,
pp.276-292.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Free
Press.
Bass, B. M.(1990),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Winter.
Burns, J.M(1978). Leadership(New York: Harper & Row.
House, R. J. (1971), A Path-Goal Theory of Leader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6: 321-339.
Kulik, C. T. & Oldham, G. R.(1988), Job Diagnostic Survey. In S. Gael (ed.), The Job
Analysis Handbook for Business, Industry, and Government, vol.2, New York:
Wiley.
Phillips, Antoinette S. & Bedeian, Arthur G.(1994), "Leader- Follower Exchange Quality:
The Role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Attribut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4).
Vasu, Michael L., Stewart, Debra W., & Garson, G. David(1998),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ublic Management, New York: Marcel Dekker Inc.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15
Abstract
The Impact of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eon, Won-Bo
This article analyzes the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its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fficial,
and the the growth needs strength of officials to moderate the impac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proved that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mpac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nhances the impac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proved that the growth needs
strength to moderate the impact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of the chief executive of local government is affected by situational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up situations that the chief executive of the local
government gives full play to its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