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

秋美哀歌靜晨竝-金炳淵

방랑시인 김삿갓(金炳淵)은 추미애를 그리워하였다.

김삿갓 (1807~1863) -  

김삿갓(1807~1863)은  조선후기 풍자·방랑 시인이다. 본관은 안동 김씨(新)안동김씨 로 본명은 김병연(金炳淵)이다.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이다.

선대의 조상을 살펴보면 9대 조부는 병자호란때 척화대신으로 유명한 청음 김상헌의 사촌형인 형조참판을 지낸 김상준이며 5대조부는 황해도병마절도사 김시태, 고조부는 전의현감 김관행, 증조부는 경원부사 김이환이다. 한자로 표기할 때는 삿갓 립(笠)자를 써서 김립(金笠)이라고도 한다.

그의 조부 김익순이 홍경래의 난 때 선천 부사로 있다가 항복한 것을 두고 비난하는 시로 장원 급제한 것을 수치로 여겨, 일생을 삿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단장을 벗을 삼아 각지로 방랑을 했다.

도처에서 독특한 풍자와 해학 등으로 퇴폐하여 가는 세상을 개탄했다. 그의 수많은 한문시가 구전되고 있다.

그중에 金笠(金炳淵) 蘭皐  김삿갓이 지은 詩 추미애를 그리며 漢詩는 언제나 입가에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秋美哀歌靜晨竝(추미애가정신병)  
                               김삿갓詩

秋美哀歌靜晨竝(추미애가정신병)
雅霧來到迷親然(아무래도미친연)
凱發小發皆雙然(개발소발개쌍연)
愛悲哀美竹一然(애비애미죽일연)

가을날 곱고 슬픈 노래가 새벽에 고요히 퍼지니
아름다운 안개가 홀연히 와 가까이 드리운다.
기세 좋은 것이나, 소박한 것이나 둘 다 그러하여.
사랑은 슬프고 애잔하며 아름다움이 하나인 듯하네.

위의 시는 김삿갓 김병연의 시다.
번역을 빼고 한글만 읽으면 신통하다,
어쩜 이런 여자를 욕하는 방법, 세월을 미리 내다본 거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것은 우연일까? 필연일까.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蘆野俠踪(上官鼎)의 詩  (0) 2019.12.15
이덕옥/음정사  (0) 2019.12.14
秋風辭/漢武帝 劉徹  (0) 2019.12.13
慨世歌/蘇學燮,(1856~1919)  (0) 2019.12.13
和盧侍御通塘曲  (0) 2019.12.13